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배후 간척농지 퇴수지인 계화조류지의 수질오염 요인분석 및 대책평가

        남귀숙 ( Gui-sook Nam ),송영희 ( Young-hee Song ),이의행 ( Eui-haeng Lee ),황선경 ( Sun-kyeng Hwang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계화 간척지는 1960년대 정부주도의 농경지확장사업의 일환으로 약 4,000여ha의 농경지가 조성되었으며, 계화조류지는 농경배수 퇴수를 새만금호로 배제하기 전 저류기능과 수위조절 기능을 가지는 조류지로 만들어 진 호소이다. 유역은 70%이상의 농경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간척지의 토질특성상 사질이 많아 농약과 비료 사용량이 타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 계화조류지의 수질오염 원인은 낮은 수심(0.6m)과 퇴적물 교란, 계화조류지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심각한 정체현상을 들 수 있으며, 강우에 의한 토지유출 오염부하 기여도가 높고, 환경기초시설 방류수의 지속적 유입을 들 수 있다. 계화조류지는 수질요인에 근거하여 좌안의 수심 1m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깊은 GH 1, 2, 3, 4 지점 지역을 Ⅰ지역, 수심 1m 이하의 GHS 5 지점이 Ⅱ지역, 교각 우측 GHS 6 지점이 Ⅲ지역, 배수장 앞 수심 1m 이상의 GHS 7, 8 지점을 Ⅳ지역으로 하는 등 크게 4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간척지 관개용수 및 강우 유입은 Ⅰ지역의 GHS2 지점, Ⅳ지역의 GHS 8의 소하천, 배수장 펌핑시 Ⅰ지역에서 이루어진다. Ⅱ, Ⅲ지역은 유입이 크지 않으며, Ⅱ지역은 펌핑시 Ⅰ지역의 물이 유입되며, Ⅲ지역은 Ⅱ지역을 지나온 Ⅰ지역의 물과 배수장에서 펌핑하지 않을 경우 Ⅳ지역의 물이 혼합되는 특징을 나타냈다. 상관성 분석결과 유역의 질소 영양염이 호내의 질소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인의 경우는 지점 간에 상관성을 나타나지 않아 유역에서의 인 유입은 호내의 총인 농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과 Ⅳ지역은 영양염과 수질환경이 달라 식물플랑크톤 우점종도 상이하였는데, Ⅰ지역에서는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 Microcystis limnentica, 녹조류 Schroederia spiralis 종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던 반면, Ⅳ지역에서는 내염성을 가지는 Cyclotella menghiniana, Cyclotella sp. 종들이 우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IV 지역은 9월 중순 이후 염분도 증가에 따라 규조류가 대량 발생하였다. 염분도 증가는 Ⅳ지역의 유입 하천에 위치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염분도가 평균 1.45 ‰ 농도로 호수의 염분도보다 높게 나타났고, 9월 중순 이후 관개용수의 중단과 배수장 펌핑 횟수의 감소 등으로 염분도 농축이 진행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관개용수가 공급되지 않는 9월 중순 이후에는 영양염의 저감뿐만 아니라 염분도 저감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계화조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를 줄여야 하며, 동시에 계화조류지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동절기 정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또한, 수질개선을 위해 침강지와 인공습지 등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 대책, 조류지의 정체수역 해소를 위해 준설대책,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정화대책, 그리고, 비구조적 대책으로 시비량 감축 등을 토대로 최적의 대안으로 계화조류지 수질개선대책 기본계획(안)을 마련하였으며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수질 및 수생태기준 Ⅳ등급의 수질 목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새만금 배후지역인 계화간척농지와 계화조류지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분석

        이의행 ( Eui-haeng Lee ),남귀숙 ( Gui-sook Nam ),송영희 ( Young-hee Song ),황선경 ( Sun-kyeng Hwang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새만금 배후지역인 계화조류지와 그 인근지역의 생태환경 특성을 알아보고, 계화조류지의 생태적인 관리방안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계화조류지 및 유입배수로에서 2008년 8월에 식물, 어류, 양서파충류 및 포유류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류는 계화조류지 및 계화지역 일대에서 추계(2008년 10월)와 동계(2009년 2월)로 대별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대상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83종으로 계화조류지 내에서는 갈대군락이 매우 발달되어 있었으며, 말즘, 검정말 등이 저류지내 군락을 이루기도 하였다. 계화조류지 도로가를 따라 넝쿨장미, 이팝나무 등이 ‘아름다운 가로수 만들기’의 일환으로 식재되어 서식하고 있었으며, 탈염진행이 느린 지역에는 나문재, 퉁퉁마디 등의 염생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계화조류지 어류는 총 17종 158개체 중, 13종(참붕어, 붕어, 참몰개 등)의 1차담수어와 4종(숭어, 가숭어, 풀망둑, 검정망둑)의 주연성어류가 출현하였다. 계화조류지내에서는 숭어, 붕어, 풀망둑 등이 주로 채집되었으며, 유입하천에서는 참붕어, 붕어, 참몰개 등이 우세하게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화조류지 내에는 과거 1990년대 어촌계와 계약하여 내수면 양식업을 한 수백개의 통발과 삼각망이 아직도 방치되어 있으며, 이중 80 % 정도는 아직도 숭어, 붕어 등 어류를 수확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서류는 두꺼비, 참개구리, 황소개구리 3종이 관찰되었으며, 파충류는 아무르장지뱀, 유혈목이 2종이 조사되었는데, 이중 황소개구리는 야생동ㆍ식물보호법에서 지정한 생태계 교란 야생동물로서 수서생태계에 악영항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포유류는 계화도 및 인근지역에서 너구리의 배설물, 고라니의 발자국과 배설물 등이 관찰되었으며, 청설모가 육안으로 관찰되어 총 3종의 포유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조류의 경우, 본 연구대상지 내에서 관찰된 조류종중 청둥오리는 전체 관찰개체군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대상지 일대를 중심으로 관찰된 법적보호종 및 희귀종은 저어새, 큰기러기, 말똥가리, 황조롱이, 검은머리물떼새 및 알락꼬리마도요로 6종이 출현하였으며, 이 중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Ⅰ급은 저어새 1종이었고, Ⅱ급은 큰기러기, 말똥가리, 검은머리물떼새 및 알락꼬리마도요 4종이었다. 또한, 천연기념물은 저어새(제205호), 황조롱이(제323호) 및 검은머리물떼새(제326호)로 4종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동계를 중심으로 수금류(Natatorial birds)가 집중적으로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면성 및 잠수성 수금류가 모두 도래하면서 결빙이전까지는 조류지 일대 전체를 고루 이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계화조류지 일대가 지속적으로 조류의 도래지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가에 대한 평가 및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