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동물의 마커리스 모션캡쳐를 위한 3 차원 모델 생성 방법

        황상철(Sang-Chul Hwang),최영(Young Choi) (사)한국CDE학회 2012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multi-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modeling multi-view camera. Since 3D scene reconstruction for small animals by concurrent multiple views have a occlutation problem. To remedy the problem, a geometric relationship among multiple cameras is used for camera calibration. First camera parameters for multi-view camera are obtained by iteratively reducing discrepancy between estimated and actual distances. Estimated distances are calculated using extrinsic parameters for every cameras. Camera calibration arrange multiple camera in a geometric relationship. Finally, by repeatedly applying camera calibration to all of rotating multi-view cameras. we can obtain improved extrinsic parameters using Lenvenberg-Marguardt(LM) optimization method. In the end, using the acquired absolute camera posture, we reconstruct a model in the 3D virtual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한해협과 동중국해의 해황과 수괴의 계절분포: 대기에 의한 냉각효과 보정

        신홍렬,황상철,곽종흠,Shin, Hong-Ryeol,Hwang, Sang-Chul,Kwak, Chong-Heum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1

        Water mass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1985 and 1986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Korea Strait. Kuroshio water (type K) and mixed water (type I) were broadly distributed at 50 m depth in winter and spring, and mixed waters (type I to IV) were distributed in summer and autumn. At 100 m depth of the East China Sea, and mixed water (type I) was broadly distributed in winter and spring, and mixed waters (type I to III) were in summer, and type I was in autumn. Water mass in summer is the most influenced from the Chinese coastal water. In the Korea Strait, the Kuroshio water (type K) was the main water mass in winter and spring, and mixed waters (type I to IV) were in summer and autumn. If temperatures are corrected to remove the cooling effect from the atmosphere, the Kuroshiowater region was diminished, however the mixed water region was expanded in winter and spring. This shows that although the Kuroshio water appears to be a main water mas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Korea Strait in winter andspring, in reality the mixed water (type I) which is slightly changed from the Kuroshio water (type K) widely distributed. The tongue-shaped distribution of low density surface water indicates that the water mixed with the Chinese coastal water flows to the Korea Strait and the Okinawa in summer. 대한해협과 동중국해에서 1985년과 1986년에 관측한 수온, 염분자료를 사용하여 수괴를 분석하였다. 대한해협과 동중국해 수심 50m에서의 수괴 분포 특성은, 겨울과 봄철에는 쿠로시오 해수(수괴 K) 및 쿠로시오계 혼합수(수괴I), 여름과 가을철에는 대륙 연안수의 영향을 많이 받은 혼합수(수괴 I${\sim}$IV)의 수괴분포가 넓게 나타났다. 겨울과 봄에 수심 loom의 동중국해는 주로 쿠로시오 해수(수괴 K) 및 쿠로시오계 혼합수(수괴 I)가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여름에는 혼합수(수괴 I${\sim}$III)가 널리 나타나 연중 여름에 가장 혼합이 많이 된 수괴가 분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가을에는 쿠로시오계 혼합수(수괴 I)가 주요 수괴였다. 대한해협에서는 겨울과 봄에는 쿠로시오 해수(수괴 K), 여름과 가을에는 혼합수(수괴 I${\sim}$IV)가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겨울과 봄철에 대기로부터의 냉각에 의한 보정을 하면,쿠로시오 해수(수괴 K)의 분포해역이 줄어든 대신에 쿠로시오계 혼합수(수괴 I)의 분포 해역이 늘어났다. 즉, 동중국해와 대한해협에서 겨울과 봄에 주로 쿠로시오 해수(수괴 K)가 분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실제는 약간 변질된 쿠로시오계 혼합수(수괴 I)가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이다. 계절별 해황특성으로 여름철에 표층 저밀도수의 분포가 대한해협과 오끼나와 쪽으로 향하는 두 갈래 혀 모양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것은 중국대륙 연안수와 혼합된 저밀도 표층수의 흐름이 대한해협과 동중국해 동남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2005년 7-8월에 관측한 북동태평양 $131.5^{\circ}W$의 해수특성 및 해양구조

        신홍렬,황상철,Shin, Hong-Ryeol,Hwang, Sang-Chul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3

        북동태평양 열대 해양의 해수특성과 해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7-8월에 $131.5^{\circ}W$ 관측선에서 관측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적도 부근 태평양의 해수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서태평양 $137^{\circ}-142^{\circ}E$에서의 CTD 자료도 분석하여 동태평양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여름철 동태평양의 표층수온은 적도반류 해역에서 가장 높았다. 이것은 $28^{\circ}C$ 이상의 고온수가 봄과 여름철에 적도반류를 타고 서태평양으로부터 동태평양으로 이동하여 약 $4^{\circ}-15^{\circ}N$ 사이에서 동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북적도해류의 표층에 나타나는 저염분 고용존산소의 해수는 동태평양의 파나마만으로부터 서태평양의 필리핀 부근까지 이동하는 저염분수 때문이다. 반면 남적도해류의 표층에 고염분과 저용존산소의 해수가 분포하는 것은 남태평양 아열대 기원의 고염분수가 적도를 넘어 남적도해류 표층의 열대해수(Tropical Water)와 심층의 고염분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심 약 500-1500 m 사이의 중층에서는 염분최소층이 분포하는데, $5^{\circ}N$ 이남은 남극중층수(AAIW) 기원의 해수가, $5^{\circ}N$ 이북은 북태평양중층수(NPIW) 기원의 해수가 분포한다. $4^{\circ}-6^{\circ}N$ 해역에서는 직경 약 200 km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냉수성 소용돌이(cold eddy)가 관측되었다. 서태평양에 비해 동태평양에서 표층수온은 $1^{\circ}C$ 이상 낮았으며 표층염분은 높았다. 적도 부근의 표층 아래에 분포하는 고염분수는 동태평양에서 상대적으로 저염분(약 0.5 psu) 이었고, $14^{\circ}N$ 이남에서 염분최소층의 염분과 밀도는 동태평양에서 높았다. To investigate hydrograph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opical ocean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acific, CTD(Conductivity-Temperature-Depth) data along $131^{\circ}W$ and $137^{\circ}-142^{\circ}E$ in July-August 2005 wer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along $131.5^{\circ}W$ in summer is highest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ECC) because of the high-temperature water greater than $28^{\circ}C$ moving through the ECC from the western Pacific to the eastern Pacific in spring and summer. Based on the evidence of the presence of low salinity and high dissolved oxygen water in the North Equatorial Current(NEC), we suggested that the low salinity water moved from the Gulf of Panama to the east of Philippine along the North Equatorial Current(NEC). The South Equatorial Current(SEC) had the most saline water from surface to deep layer because the saline water from the Subtropical South Pacific Ocean moved to the north. The salinity minimum layer was observed at 500-1500 m depth along $131.5^{\circ}W$. The water mass with the salinity minimum layer in the north of $5^{\circ}N$ came from the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NPIW) and that in the south of $5^{\circ}N$ came from the Antarctic Intermediate Water(AAIW), which was more saline than the NPIW. Cyclonic cold eddy with a diameter of about 200km was found in $4-6^{\circ}N$. Sea surface temperature along $131.5^{\circ}W$ in the eastern Pacific was lower than along $137^{\circ}-142^{\circ}E$ in the western Pacific; on the other hand, sea surface salinity in the eastern Pacific was higher than in the western Pacific. Subsurface saline water from the Subtropical South Pacific Ocean was less saline in the eastern Pacific than in the western Pacific. Salinity and density(${\sigma}_{\theta}$) of the salinity minimum layer south of $14^{\circ}N$ was higher in the eastern Pacific than in the western Pacific.

      • 내성천에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증강도입과 모니터링

        나진영,최병습,황상철,양현,Na, Jin-Young,Choi, Byoung-Seub,Hwang, Sang-Chul,Yang, 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본 연구는 영주댐 건설사업 영향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어류 흰수마자의 보전을 위하여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를 서식적합지로 이주시키고, 댐에 의한 내성천 상하류 단절 및 유전적 폐쇄에 대비하여 인공종묘생산 및 복원을 통해 내성천에 치어를 방류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영주댐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는 8회 이상 포획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이주가능지로 이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성천에서 포획한 친어 40개체를 통해 인공종묘생산한 치어 5,000개체는 친어의 유전 다양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전에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조건 분석을 통하여 자연 서식지와 유사한 최적방류지를 선정하여 인공종묘생산 치어를 방류하였다. 초기에는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분산이 이루어졌으나, 시간흐름에 따라 확산이 진행되면서 재포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포획된 방류 개체들은 내성천 자연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복부 팽만도가 높고 총배설공으로 배설물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자연 먹이 섭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영주댐 상하류 내성천 흰수마자 유전적 동질성 확보와 복원 개체군의 증강에 일차적 성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효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The conservation project to protect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was executed against declining the gene diversity of the fish after the construction of Youngju Dam in a sand-bed stream (Naeseongcheon Stream). We tried to move the populations of G. naktongensis from submerged planned sites to alternative habitats, bred artificially and augmented the juveniles to optimal habitat, and monitored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implementation. No entity of G. naktongensis was confirmed at the planned submerged sites despite attempting to capture more than 8 times and eventually the movement to alternative habitat could not be implemented. About 40 individuals of G. naktongensis were captured in the Naeseongcheon Stream and a total of 5,000 individuals were artificially spawned up. The population of juvenile inherited the genetic diversity from the brood stock. The bred juveniles were discharged at the selected optimal site that had a habit condition what was similar to their natural habitat. The micro-dispersion around the discharging area was found at the early stages of the augmentation. The re-capturing rate of discharged juveniles was reduced as time passed. The discharged juveniles seemed to adapt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Naeseongcheon Stream. The observation of their high abdominal distension and excrement demonstrated that the juveniles fed successfully in the discharging area. Therefore, securement of genetic homogeneity and enhancement of restoration population of G. naktongensi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Youngju Dam site from the artificial seed producing seemed to be primarily successful and long-term monitoring and analysis of the effect was expected to be necessary.

      • KCI등재

        HSPF-EFDC 모델을 연계한 홍수조절댐 수질 변화 예측

        이영기 ( Young-gi Lee ),황상철 ( Sang-chul Hwang ),황현동 ( Hyun-dong Hwang ),나진영 ( Jin-young Na ),유나영 ( Na-young Yu ),이한진 ( Han-ji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3

        본 연구는 홍수조절댐의 운영패턴 변화에 따른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홍수조절댐은 홍수시 하천유량을 일시적으로 담수하여 홍수를 지체시키는 한편, 평상시에는 자연하천 흐름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댐 건설 후 담수시 수질변화는 유역모델(HSPF)과 댐 내 수리·수질변화모델(EFDC)을 연계하여 예측하였다. 강우시 유역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HSPF 유역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HSPF의 분석된 자료를 EFDC 모델의 입력 자료로 적용하였다. 수질모의 결과 댐 건설 후 수몰로 인한 오염원 감소와 강우시 일시적 저류로 인하여 수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홍수조절댐의 특성상 담수되는 기간이 짧으므로(2∼3일) 부영양화 등 수질 악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획 중인 댐의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모델의 충분한 보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모의에 일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실측자료 확보를 통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면, 이를 활용하여 신규 홍수조절댐의 환경영향평가 시 다양한 운영조건에 따른 수환경의 영향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edicted the effect of operation pattern of flood control dam on water quality. Flood control dam temporarily impound floodwaters and then release them under control to the river below the dam preventing the river ecosystem from the extreme flood. The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and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were adapt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before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in the proposed reservoir. The non-point pollutant delivery load from the river basin was estimated using the HSPF, and the EFDC was us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using the provided watershed boundary conditions from the HSPF. As a result of water quality simulation, it is predicted that the water quality will be improved due to the decrease of pollution source due to submergence after dam construction and temporary storage during rainfall. There would be no major water quality issues such as the eutrophication in the reservoir since the dam would impound the floodwater for a short time (2~3 days).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age of a planned dam,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to the exact simulation because the model can not be sufficiently calibrated. However, if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is improved through the acquisition of actual data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water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new flood control dam.

      • SCOPUSKCI등재

        열대 태평양에서 운영되는 TRITON 부이와 비교를 통한 KORDI 부이 시스템 개선 연구

        김동국,전동철,김응,황근춘,황상철,Kim, Dong-Guk,Jeon, Dong-Chull,Kim, Eung,Hwang, Keun-Choon,Hwang, Sang-Chu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1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3 No.suppl3

        This study documents KORDI's experience of successfully deploying a deep ocean buoy for monitoring oceanic and atmospheric variabilities in the tropical western Pacific Ocea nsince May 2010.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RITON (big and old type) with m-TRITON (smaller and new type) buoys within the JAMSTEC's buoy management system. The objective of operating a KORDI buoy is to ascertain oceanic variability in the tropical western Pacific. We adopted a slack-line mooring type to observe water temperatures at six layers from surface to 400 m depth. However, we could not acquire satisfactory result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buoy management system. A new KORDI buoy has been developing, which has been modified from both buoys, and ARGOS-3 satellite system and a slack-type mooring 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