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단어재인에서 간섭자극 억제능력

        황민아(Mina Hwang),임종아(JongAh Lim),최경순(Kyungsoon Choi),고선희(Sunhee Ko),최소영(Soyoung Choi),김주형(Joohyoung Kim),전미영(MiYoung J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여러 연구에서 ADHD 아동들의 반응 억제 결함이 충동성과 과잉행동 및 그에 따른 다양한 행동문제를 야기하는 근본적인 결함이라고 주장하였다(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본 연구에서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졌을 때 ADHD 아동의 억제능력을 일반 아동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3-6학년에 재학 중인 ADHD 아동 11명과 일반 아동 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들은 어휘, 문장따라말하기, 단어재인, 읽기이해에서 정상적인 발달 수준에 있었다. 아동들은 교차-양상 단어재인 간섭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아동들은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간섭단어를 무시하고 동시에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목표단어를 가능한 빠르게 읽도록 지시받았다. 간섭자극의 유형에 따라 세가지 간섭조건이 구성되었는데, 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같았고, 비중복간섭 조건에서는 간섭단어와 목표단어의 목록이 달랐고, 무간섭조건에서는 청각적 간섭단어가 제시되지 않았다. 결과: 목표단어의 읽기 반응 시간에 대해서 집단×간섭유형의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 주효과, 간섭유형의 주효과 및 집단과 간섭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무간섭조건에서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은 유의미하게 다르지 않았지만, 두 간섭조건에서는 ADHD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목표단어 읽기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느렸다. 논의 및 결론: ADHD 아동들은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단어재인 능력을 갖고 있더라도 언어적 간섭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 간섭자극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서 결과적으로 목표단어의 단어재인이 방해를 받았다. ADHD 아동의 억제 결함이 언어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bjective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imary deficit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is in response inhibition, resulting in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and causing various behavioral problems (Barkley, 1997; Schachar, Tannock, Marriott, & Logan, 199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hibi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DHD during word recognition while interfering words were presented. Methods: Eleven children with ADHD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l in grade 3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were developmentally within normal range in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y performed a cross-modal Stroop-like task of word recognition, where two different words were simulta¬neously presented visually and auditorily.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the target word on a computer screen as fast as they could, while ignoring the auditorily presented inter-fering word. Three condi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interference type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the same set of words, interfering words and target words from different sets, and no interfering words. Results: Without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 were not different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reaction time of tar¬get word reading. However, in the two conditions with auditory interference, the ADHD children’s reading time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ADHD were les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interfering words while reading. The influence of inhibition deficit of ADHD children on language processing was discussed.

      • KCI등재

        5~7세 아동과 성인의 문법성판단 : 조사 오류를 중심으로

        황민아(Mina Hwang),정미란(Miran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Grammaticality judgment is widely used to reflect the development of metalinguistic awareness of children. In this study, grammaticality judgment skills of Korean- speaking children and adult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ranging from 5-7 years old and college students. Their task was to judge the grammatical correctness of 48 short sentences, half of which contained incorrect case-markers and the other half were grammatically correct. In addition to the accuracy of responses, reaction times (RTs) of the participants’ decisions were measured. Four types of case-markers, including nominatives “i/ga”, accusatives “ul/lul”, a locative “e,” and an instrumental “ro,” were systematically changed to generate the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Results: The participants’ sensitivity to grammatical errors was enhanced with age while their RTs decreased with age. They were most sensitive to errors of case-markers in nominative positions, followed by locative, instrumental and accusative positions. Errors in nominative positions had the shortest RTs while errors in accusative positions had the longest. Discussion & Conclusion: In terms of the patterns of response accuracy across the four types of erroneous case markers, the children 5-7 years old were similar to the adults. In terms of RTs, only the 7-year-old children were similar to the adults. The resul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cquisition of case-markers in Korean. 문법성판단은 메타언어 인식의 발달을 연구하는데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언어인식 중 조사 오류를 탐지하는 능력의 발달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5~7세 일반아동과 성인을 포함한 140명을 대상으로 조사에 오류가 있는 문장에 대한 문법성판단과제를 실시하여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아동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A'으로 측정한 반응정확도가 증가하였고 반응시간은 감소하였다. 성별의 차이는 반응시간에서만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미하게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오류가 있는 문장에 대한 오류 탐지 빈도와 반응 시간을 조사별로 분석한 결과, 오류탐지 빈도에서는 “-가”의 오류를 가장 잘 탐지하였고, “-에,” “-로,” “-을” 순으로 낮아졌다. 오류 탐지 반응시간의 경우 “-가”의 오류를 가장 빨리 탐지하였고, “-로”와 “-에”에 대한 반응시간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을”에 대한 반응시간이 가장 느렸다. 논의 및 결론: 조사별 오류 탐지 빈도에서는 5~7세 아동들 모두 성인과 유사한 반응 양상을 보였지만, 반응시간에서는 7세 아동의 반응양상만이 성인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아동의 조사습득 과정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장따라말하기 검사의 학령 전 단순언어장애 진단 정확도

        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문장따라말하기 검사는 영어권 연구들을 포함한 다양한 언어권 연구들에서 단순언어장애 진단에 있어서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검사로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따라말하기 검사가 학령 전 한국 아동의 단순언어장애 진단에도 유용한 검사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5~6세 단순언어장애 16명,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생활연령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6명, 언어연령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6명으로 총 48명이었다. 문장 길이와 구문 복잡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제작한 총 36 문항의 문장따라말하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아동의 수행은 문장단위, 낱말단위 두 가지 방법으로 채점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생활연령일치아동에 비하여 문장따라말하기 수행이 유의미하게 저조하였으나, 언어연령일치아동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아동들의 문장따라말하기 수행은 다른 언어검사 결과들 중 일부와 상관을 보였는데, 아동 집단마다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문장따라말하기 검사 수행에 근거한 단순언어장애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및 예측도는 5세, 6세 집단 각각에서 모두 85% 이상이었다. 5세, 6세 아동집단에서 양성우도비(positive likelihood ratio)는 각각 20.83, 11.0 이었고, 음성우도비(negative likelihood ratio)는 각각 0.13, 0.09 이었다. 논의 및 결론: 문장따라말하기 검사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학령 전 아동들의 단순언어장애를 진단하는 검사로서 진단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For children speaking various languages including English, Chinese and French, sentence repetition has been found to be one of the best clinical markers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the present study, the accuracy of a sentence repetition test in diagnosing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mong Korean preschool children was investigated. Methods: Sixteen five- to six-year-ol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1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s, and 16 younger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 sentence repetition test containing 36 sentences of varying length and syntactic complexity was developed. The children's performances on the sentence repetition test were scored in two different ways. The sentence level scoring system followed the 'correct - incorrect' criteria used in most standardized tests where a single error made during sentence repetition lead to a 0 score. In the word-level scoring system, correctly repeated words were counted. Results: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erformed significantly more poorly compared to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younger children with matching language skills. The children's performances on the sentence repetition tes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erformances on other language tests but in different ways across the group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e sentence repetition test in diagnosing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ere greater than 85% in both the five- and six-year age groups. The positive likelihood ratios for these age groups were 20.83 and 11.0, and the negative likelihood ratios were 0.13 and 0.09, respectively. Discussion & Conclusion: The sentence repetition test was found to be very accurate in diagnosing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mong Korean preschool children aged five to six year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읽기부진 중학생의 다의동사 처리 특성

        황민아(Mina Hwa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읽기는 교과 과정을 학습해야 하는 학생들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능력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미정보를 확인하고, 적절한 의미를 빠르게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읽기부진학생들이 다의동사의 의미를 처리함에 있어 일반학생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학교 1~3학년 읽기부진학생 11명과 일반학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성판단과제를 통해 다의동사가 포함된 문장이 의미상으로 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과제의 조건은 의미일치조건과 의미불일치조건으로 나뉘며, 점화 문장과 목표 문장에 포함된 다의동사의 의미의 일치여부에 따라 분류되었다. 연구결과: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의미일치조건에 비해 의미불일치조건에서 반응정확도가 낮았으며, 반응시간이 더 소요되었다. 읽기부진학생의 경우 일반학생에 비해 두 조건 모두에서 반응정확도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특히 의미불일치조건에서 더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읽기부진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목표문장의 의미적절성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다. 읽기부진학생은 불필요한 정보를 억제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이 이들의 성공적 읽기 이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urpose: Since the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includes advanced courses requiring extensive reading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may experience more academic frustration. However, the studies on secondary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Korea were relatively limi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processing of ambiguous verbs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Method: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11 had reading difficulties while 23 did not. Two sentences containing a same ambiguous verb were presented consecutively on a computer scre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each sentence made sense (Sensicality judgment task). In the consistent condition, the verb meaning of the first sentence(priming sentence) was identical to that of the following sentence(target sentence). Whereas, in the inconsistent condition, the verb meanings of the priming and the target sentences were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e normal peers, th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in judging sensicality of the sentences containing ambiguous verbs. Both groups of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accurate in the consistent condition than in the inconsistent conditio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condition was also noted. Both groups of students responded significantly faster in the consistent condition than in the inconsistent condition.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and interaction effect were noted in response time to the target sentences. Conclusion: Th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performed poorly compared to the normal peers in determining the semantic appropriateness of a sentence containing an ambiguous verb, especially when a different meaning of the verb was used in the preceding priming sentence. They appeared to be ineffective in suppressing irrelevant word meanings activated previously. Unsuppressed meanings of the ambiguous verbs might interfere with th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s. Ineffective suppression of irrelevant information may negatively a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 KCI등재후보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장 이해

        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세 가지 단서(조사, 어순, 생물성)를 체계적으로 조작한 문장을 이해할 때, 세 단서를 활용하는 양상과 그 정도를 언어연령이 일치된 정상아동들, 그리고 생활연령이 일치된 정상아동들과 비교하였다.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세 단서 각각을 활용하는 양상은 정상아동들의 양상과 유사하였으나 그 정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은 두 정상아동집단보다 생물성단서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조사단서를 활용하는 정도는 언어연령이 일치된 아동들과는 유사하나 생활연령이 일치된 아동들보다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즉, 단순언어장애아동들이 조사단서를 처리하는 능력은 언어능력이 비슷한 정상아동과는 다르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의미적 단서인 생물성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들은 문장이해에서 의미적 단서의 영향을 정상아동들보다 더 많이 받는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tence comprehension strategies used by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ithin a framework of competition model. Fourteen children with SLI(SLI children)(ages 4;7- 7;2) and 14 age-matched normal children(CA children), and 14 younger children with matching language ages(LA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an actout procedure,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termine the agents in sentences composed of two nouns and a verb with varying conditions of three cues(case-marker, animacy, and word-order). The results of group comparisons revealed that the SLI children relied animacy cue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of normal children, and the two normal groups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use of animacy cues. In terms of case-marker cues, the CA children relied on case-marker cue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the SLI children did not differe from the LA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use of word-order cu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SLI children use case-marker cues as much as the normal children with similar language skills, they tend to rely more on animacy cues when animacy cues are available.

      • KCI등재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어휘판단에서 단어길이 효과

        황민아(Mina Hwang),최경순(Kyung-Soo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읽기장애아동의 단어해호화 과정의 특성을 실시간(on-line)으로 측정한 연구들은 난독증 아동들에 집중되어 진행된 반면, 음독능력이 정상범주에 속하는 읽기이해부진아동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자소-음소 전환이 규칙적인 언어들의 경우 단어 음독의 정확도가 아니라 속도가 읽기이해와 상관이 있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면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의 음독 정확도가 일반아동들과 유사하더라도 단어를 읽고 재인하는 속도는 일반아동들에 비해 느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단어를 읽고 재인하는 과정의 실시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의 읽기이해부진아동 10명과 일반아동 12명이었다. 단어재인과정에서 단어 길이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음절과 4음절 단어에 대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어휘판단의 반응 정확도와 반응속도 모두에서 일반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단어 길이 효과는 두 집단 아동들 모두에서 나타났지만, 읽기부진아동에게서 유의미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은 표준화된 읽기 검사에서 실시한 음독의 정확도가 일반아동들과 유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어휘판단 과제에서 일반아동에 비하여 단어를 읽고 재인하는 정확도가 떨어지고, 속도가 느렸으며 이러한 경향은 긴 단어에서 더욱 강력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참가한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읽기이해 뿐 아니라 단어재인에서도 일반아동들에 비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과 같이 자소-음소 전환이 규칙적인 언어에서 단어해호화 능력의 발달을 측정할 때 음독의 정확도만을 기준으로 삼는 것의 제한점과 이에 따른 읽기장애 분류의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Purpos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vestigating the on-line word-decoding process during reading in dyslexic children using various languages, studies on word-decoding skill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re limited. Poor comprehenders are supposed to have normal word-decoding skills based on their accuracy scores in standardized word-reading tests. Reportedly, for children learning to read languages with transparent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s highly correlated with reading speed but not with the accuracy of word-reading. Since the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language is known to be transparent, it is possible that Korean poor comprehenders are slower in recognizing words relative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even though the accuracy of word-reading is similar in the two groups. Methods: Ten poor comprehenders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4th grad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children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on words with two different lengths, two syllables or four syllables. Result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significantly slower and less accurate in their performances on the lexical decision task. The word-length effec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oor comprehenders, as the differences in speed and accuracy of lexical decision between short and long words were greater in the poor comprehender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scussion & Conclusion: In a standardized reading test, the poor comprehenders only exhibited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and were similar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word-reading accuracy. However,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in the lexical decision task indicated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 word-recognition.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n a language with transparent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like the Korean language, using word-reading accuracy as a measure of word-decoding skills may not be appropriate. The importance of cross-linguistic differences of reading development in diagnosing various types of reading disabilities is also discussed in the present paper.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문장읽기에서 통사 처리 특성

        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읽기부진학생들의 통사처리 능력을 다룬 선행 연구들에 서는 주로 구어에 대한 문법검사를 이용하거나 메타통사적(metasyntactic) 과제에 대한 수행을 검 사함으로써 일상적으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의 통사처리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들이 문장을 읽고 이해할 때 통사처리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4~6학년 읽기부진학생 50명과 일반학생 52명을 대상으 로 구문 구조의 복잡성이 다른 두 유형의 문장(단순문장, 관형절 포함 복문)에 대한 문장-그림 확인 과제를 실시하였고, 이해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단순문장은 규범어순(Subject-Object- Verb: SOV, 이하 SOV)과 비규범어순(Object-Subject-Verb: OSV, 이하 OSV) 문장을 포함하였 고, 관형절문장은 주격관형절과 목적격관형절을 포함하였다. 결과: 이해정확도의 측면에서 읽기부 진학생은 관형절문장 뿐 아니라 단순문장 이해에 있어서도 일반학생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두 집단 학생들 모두 단순문장에서는 OSV문장보다 SOV문장을, 관형절문장의 경 우에는 목적격관형절문장보다 주격관형절문장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였다. 집단과 어순, 집단과 관 형절유형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해반응시간에 대한 자료분석 결과, 단순문장이해 검 사에서 어순과 집단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는데, 일반학생들만 SOV문장에 대한 반응시간이 OSV문장에 비해 유의미하게 빨랐고, 읽기부진학생들에게는 어순에 따른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 미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읽기부진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일반학생에 비하여 통사처리에 어려움 을 보였지만 어순이나 관형절유형에 따른 이해검사의 수행 양상은 일반학생과 유사하였던 본 연구 의 결과를 통해 이들이 일반학생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통사분석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순문장에 대한 이해반응시간에서의 집단과 어순의 상호작용은 읽기부진학생들이 일반학생들 에 비하여 문장이해시 어순정보를 활용하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증거로 여겨진다. Background & Objectives: Studies on syntactic skills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or poor readers focused on their metasyntactic skills or their subtest scores on grammar from standardized tests of spoken language, not on their syntactic processing during sentence read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processing of poor readers while they read and comprehended given sentences. Methods: A total of 102 elementary students (50 poor readers and 52 normal readers) at grades 4 to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performed two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using two types of sentences of different syntactic complexity (simple sentences of noun-noun-verb form and complex sentences containing a relative-clause). A half of simple sentences were of SOV order and the other were of OSV order. Complex sentences contained either a subject relative-clause or an object relative-clause. A sentencepicture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for both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and response times (RT) as well as response accuracies were measured. Results: The poor readers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the normal readers in performing both simple-sentence and complex-sentence comprehension tasks. Both groups of students’ comprehension accuracies were greater for SOV sentences than for OSV sentences, and were greater for subject relative-clauses than for object relative-claus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volving group and sentence types were noted in accuracy measures of the two tasks. In the analysis of RT for simple sentence comprehens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word-order was noted. The normal readers were significantly faster in comprehending SOV sentences than in comprehending OSV sentences, while such RT difference across sentence types was not observed in the poor readers. Discussion & Conclusion: In general, the poor readers showed difficulties in syntactic processing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relative to their normal peers. However, they did not exhibit atypical patterns of syntactic processing as their performance patterns in two sentence comprehension task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ormal reader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word-order of simple sentences in the RT measures was interpreted as an evidence of the poor readers’ inefficiency in utilizing word-order and case-markers in analyzing the syntactic structures of sentences.

      • SCOPUS

        한국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이해

        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가 세 가지 단서(조사, 어순, 생물성 단서)를 체계적으로 조작한 문장을 이해할 때, 어떤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지를 정상 성인과 비교하였다. 실어증 환자들은, 정상 성인에 비하여 정도가 약하기는 했지만, 정상성인과 마찬가지로 조사 단서에 가장 많이 의존하여 문장을 이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권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이 어순 단서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던 이전 연구결과와 다른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어증 환자가 보이는 언어적 결함이 언어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며, 브로카 실어증을 문법형태소 처리의 결함이라는 특정한 구조적 손상으로 설명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mpairment of Korean - speaking adult s with Broca s aphasia. Korean is different from other standard European languages in it s strong reliance on grammatical morphemes to signal grammatical relations of words in a sentence. A variety of noun suffixes are used to mark cases in Korean. Use of these case-marker s permit s relative freedom of word order in Korean, although the canonical order of SOV is used most frequently . Given the fact that most researches on aphasia have been carried out in European languages (especially , English ), the language impairment s of Korean - speaking aphasics may not be con 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es. T en Korean - speaking adult s with Broca s aphasia and 15 normal adult s were tested to determine relative sparing and impairment of grammatical morphology , word order , and semantic information in a sentence interpretation task. As normal adult s, the cue that the adult s with aphasia relied mostly on in sentence interpretation was grammatical morphology , followed by semantic information, and word order at the last . In other words, Korean - speaking adult s with Broca s aphasia were able to process grammatical morphemes even more than semantic information or word order . T hese result s are not con sistent with the notion of selective loss of grammatical mor - phology in Broca s aphasia based on the findings from English - speaking aphasic adult s. T he importance of cross - linguistic differences of language breakdown s in aphasic adult s was discus 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