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아동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황민아(Min 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3

        배경 및 목적: 비단어 따라말하기 검사는 언어장애 아동들을 선별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여러 언어권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검사의 여러 가지 특성들이 따라말하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5-9세 일반 아동들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 양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단어의 길이와 조음복잡성이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5-9세의 한국어를 사용하는 일반아동 15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5음절 길이의 비단어 32개가 제작되었는데 그중 반은 조음복잡성이 높고 나머지 반은 조음복잡성이 낮았다. 아동들은 녹음된 비단어를 듣고 따라말하였으며 아동들의 수행은 항목단위와 음절단위 두 가지 양식으로 채점되었다. 결과: 연령(5)×조음복잡성(2)×비단어길이(4)의 혼합 3원 분산분석 결과 연령, 조음복잡성, 비단어길이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연령과 비단어길이, 조음복잡성과 비단어길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단어의 길이가 짧을수록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은 향상되었는데, 비단어길이의 효과는 연령이 어린 아동들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5-9세 한국어를 사용하는 일반아동들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은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된 것과 마찬가지로 연령, 비단어길이, 조음복잡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비단어의 특성, 검사실시 방법, 채점 양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word length and phonological complexity on the performances of nonword repetition in Ko-rean-speaking children. Methods: Typically developing Korean-speaking children of age 5 to 9 (N= 15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epeat 32 nonwords of differ-ent lengths (2 to 5 syllables) and of two levels of phonological complexity. Two scoring methods were applied: total number of correctly repeated nonwords and percentage of correctly repeated syllables. Results: A three-way ANOVA of age× nonword length× phono-logical complexit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s of age, nonword length, and phonological complexity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nonword length and age. In other words, the older children repeated nonwords more accurately than the youn-ger children, and the children experienced more difficulty in correctly repeating the longer or phonologically complex nonwords relative to the shorter or phonologically simple non-words. The effect of nonword length on children's repetition performances decreased with ag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speaking children of age 5 to 9 repeat nonwords more accurately as they grow up. The effects of nonword length and phonologi-cal complexity on nonword repetition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e.g., Gallon, Harris, & Van der Lely, 2007; Munson, Kurtz, & Windsor, 2005). How the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nonwords, test procedures, and scoring systems may affect chil-dren's performances on nonword repetition tests was discussed.

      • 3-5세 아동의 시제어미 이해와 산출의 정확성

        원혜미,황민아,Won, Hey-Mi,Hwang, Min-A 한국음성학회 2005 음성과학 Vol.12 No.4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development of verb inflections or endings in 3- to 5-year old Korean-speaking children using 28 action verbs for both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s. For each verb, a l0-second long motion picture and a sheet of paper with three random-ordered color pictures representing 'before, in the middle of, at the end of' the action were generated. A past tense inflection' -et ta,' two present progressive verb endings '-enta' & '-ko itta.' a future tense ending '-elyeko hanta' were tested. In the comprehension task, children were asked to point to a picture correctly representing the tense of a presented verb. In the production task, children were asked to produce a verb with correctly marking the tense of a presented picture. The order of the two tasks were counterbalanced across the children, and the motion pictures were only presented in the first task. Across the ages, the performance accuracies on both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s were the highest for the past tense marking followed by two present progressive and future tense markings. For each verb endings, the changes of accuracies across ages were analyzed in both tasks. The types of errors for production tasks were also reported.

      •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법성 판단 및 오류수정 - 조사를 중심으로 -

        임종아,황민아,Lim, Jong-Ah,Hwang, Min-A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impairments.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of ages ranging from 7 to 9 years and of IQ's ranging from 71 to 84, and 40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Twenty normal children were matched with the language impaired children in their language ages and the other 20 normal children were matched with the language impaired children in their chronological ages. The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the grammatical correctness of 48 short sentences, half of which were ungrammatical sentences containing incorrect case-markers and the other half wer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Four types of case-markers including nominative "i/ga", accusative "ul/lul", locative "e," and instrumental "ro" were systematically changed to generate the ungrammatical sentences. The language impaired children performed worse than both groups of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in detecting the ungrammatical sentences and in correcting the case-markers of those sentences. In detecting the errors of ungrammatical sentences, the language impaired children exhibited variable performances across the different case-markers.

      • KCI등재

        The Processing of Ambiguous Verbs in School-Aged Children and Adults

        류정민(Jung Min Ryu),황민아(Min a Hwang),고선희(Sun hee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1

        배경 및 목적: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미 정보들을 탐색하게 되는데, 이때 문맥과 관련이 있는 의미는 촉진하고 관련이 없는 의미는 억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학년 아동들이 다의동사의 의미를 처리함에 있어 성인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25명과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 판단 과제를 사용하여 다의어가 포함된 점화 문장과 목표 문장이 말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과제는 점화 문장과 목표 문장에 포함된 다의동사가 같은 의미로 사용된 의미일치조건과 점화 문장과 목표 문장에 포함된 다의동사가 다른 의미로 사용된 의미불일치조건으로 나뉜다. 결과: 아동들과 성인들 모두 의미일치조건보다 의미불일치조건에서 낮은 정확도와 느린 반응속도를 보였고, 아동들이 성인에 비해 모든 조건에서 낮은 정확도와 느린 반응속도를 보였다. 그러나 아동들의 경우 유독 의미불일치조건에서의 반응정확도가 성인에 비해 현저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아동들은 성인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읽기 이해 능력이 미숙하기는 하지만 문맥을 활용하여 의미를 처리하려는 경향은 성인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반면 문맥과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정보를 억제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보이는데 이 같은 특성이 아동들의 읽기 이해 실패의 원인이 될 것이다. Objectives: When we read texts,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meanings of various words. During this process, the meanings related to the context are facilitated, and the meanings unrelated to that context are suppresse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differ from young adults in the processing of ambiguous verb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5 children in 5th to 6th grade and 17 young adults. Response accuracy and reaction time were measured using a sensicality judgment task, where the participant judges if a sentence makes sense, or is nonsense, after reading it. This task was divided into consistent and inconsistent conditions depending on the consistency of meaning of ambiguous verbs in the priming and the target sentences. Results: Both children and adults showe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s in the inconsistent condition than in the consistent condition. Children showed lower accuracy and slower response times than adults in both conditions. Children showed remarkably low accuracy in the inconsistent condition. Conclusion: Children performed poorly compared to adults in reading comprehension, but tended to use contexts to process word meanings like adults. However, they showed difficulty suppressing information irrelevant to the context of sentences. It means that premature suppression ability can cause failures in reading comprehension for children.

      • KCI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운율과 맥락에 따른 정서이해 능력

        강근영 ( Keun Young Kang ),황민아 ( Min A Hwang ),정미란 ( Mi Ran Je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이 상대방의 정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 하는 단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만 9∼12세의 지적장애 아동 13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아동 13명을 대상으로 운율 및 맥락에 따른 정서 이해 능력을 비교하였으며 실험자극은 3개의 과제에서 각 20문항씩 총 60문항이었다. 실험과제는 (ㄱ) 무의미 문장에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는 과제로 운율을 통한 정서이해 능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ㄴ) 정서가 담긴 의미 문장에 운율을 조합한 과제로 정서 이해 단서 활용에서 집단, 두 자극의 정서 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 집단×두 자극의 정서일치 여부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ㄷ)정서가 담긴 얼굴 표정 맥락에 운율을 입힌 무의미 문장을 조합한 과제로 정서 이해 단서 활용에서 집단, 두 자극의 정서 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 집단×두 자극의 정서일치 여부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ㄱ) 과제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ㄴ)과제에서 운율 기반 정서 판단 점수에서 집단 간 차이, 두 자극의 정서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 및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ㄷ)과제에서는 두자극의 정서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지적장애 아동은 정서적 운율이 함께 제시된 맥락 정서와 상충될 경우, 정서 판단을 위해 의존하는 단서에서 정상 아동과 질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motional recognizing ability from the affective prosody and contex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DD)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3 IDD children from 9 to 12 years old and 13 TD children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They were asked to identify the speaker’s emotion from three different tasks; (a) non-meaningful sentences with affective prosody (b) linguistically meaningful sentences with affective prosody and (c) non-meaningful sentences with affective prosody combined with facial exp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a) The IDD group didn’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TD group when affective prosody was the sole cue. (b)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roup and context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group × context. When the prosody didn’t match the linguistic content, IDD children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hildren. (c)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context on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DD children were able to understand the emotion on the basis of affective prosody. However because of IDD children’s low intelligence and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they relied more on the obvious content to infer the speaker’s emotion than TD children when prosody contradicted with linguistic content. Furthermore the two groups considered both affective prosody and facial expression when the prosody was combined with a predominant nonlinguistic cue.

      • KCI등재

        학령전기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용언의 논항 수에 따른 문장 산출 능력

        한영희(Young Hee Han),황민아(Min A Hwang),정미란(Mi Ran Jeo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tence production ability, including obligatory argument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of language age 4 to 5 (n=10)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n=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produce complete sentences including obligatory arguments when they were shown picture cards. The target sentences were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1, 2, 3 argument structures according to argument numbers. The 1, 2, 3 argument structures contained three types, respectively. Each type had five items and there was a total of 45 items. The #1 argument structure included [agent], [object], [experiencer]; #2 argument structure included [agent-object], [agent-locative], [agent-coexistencer]; while #3 argument structure included [agent-object-recipient], [agent-object-instrument], [agent-object-locative]. A two-way mixed ANOVA of group (2) × argument numbers (3) was performed. Results: The two-way mixed ANOVA revealed the statistically main effects of group and argument number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other words,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produced fewer complete sentence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3 argument structure was more difficult than 1, 2 argument structure to all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1 and #2 argument number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3 argument number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f children did not completely understand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predicate, they would have difficulty in producing the sentences, including the obligatory arguments. The implications and restric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Hyperlexia 아동의 글자읽기 기술과 언어·인지적 특성

        박은정(Eunjung Park),황민아(Mina Hwang),남민(Mi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Hyperlexia 아동의 글자읽기 기술과 이와 관련된 언어.인지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3세 10개월-7세 6개월의 Hyperlexia 아동 11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11명의 정상아동에게 지능검사, 언어검사, 언어문제해결력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의 '읽기'와 '읽기이해' 소검사를 실시하였다. Hyperlexia 아동들의 경우 언어성 지능지수에 비교된 글자읽기지수에서 모두 1.20 이상의 점수를 보였고, 정상아동의 글자읽기지수에 비하여 봉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읽기이해지수는 Hyperlexia 아동과 정상아동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yperlexia 아동은 자신의 언어성 지능에서 기대되는 것 이상의 글자 읽기 능력을 보이는 반면, 읽기이해에서는 글자읽기 능력 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Hyperlexia 아동들은 정상아동에 비해 언어상 지능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전반적인 언어능력, 특히 표현언어와 언어문제해결력에서 낮은 능력을 보였다. 지능검사의 하위 소검사들에 대한 수행을 분석한 결과, Hyperlexia 아동들은 언어성 검사들 뿐 아니라 동작성 검사 중 통합적 사고와 개념화를 요구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인 반면, 단순한 시지각적 재인능력은 정상아동보다 우수하였다. .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보조사 이해 및 산출

        문현아(Hyun a Moon),황민아(Min a Hwang),최경순(Kyung Soo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결함은 익히 알려진 바이나, 문법형태소 특성마다 수행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한국어의 보조사는 다른 문법형태소와는 달리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보조사이며, 한국어 발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보조사 이해와 산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보조사 '은/는', '만', '도' 이해와 산출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단순언어장애아동 10명(생활연령 4;10-6;8, 언어연령 3;10-5;8), 동일 생활연령 일반아동 10명(생활연령 4;8-6;8, 언어연령 4;7-6;4) 및 동일 언어연령 일반아동 10명(생활연령 3;11-5;9, 언어연령 3;11-5;7)이었다. 이해과제에서는 보조사가 포함된 문장을 들려준 후 3장의 그림 중 문장 의미와 적절한 그림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산출과제에서는 그림을 제시한 후 문장으로 그림을 묘사하도록 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은 보조사 '은/는', '만', '도' 이해과제에서 동일 언어연령 일반아동뿐 아니라 동일 생활연령 일반아동과도 유사한 수행을 보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산출과제에서는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세 가지 보조사 유형(은/는, 만, 도) 모두에서 동일 생활연령 집단뿐 아니라 동일 언어연령 집단보다도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지만, 수행 패턴은 일반아동과 유사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아동은 보조사 이해 및 발달 패턴 측면에서는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행 수준을 보였으나, 보조사 산출 측면에서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looks at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three semantic particles (nun, man, do) in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Methods: Ten children with SLI (chronological age [CA] 4;10-6;8, language age [LA] 3;10-5;8), te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 (CA 3;11-5;9, LA 3;11-5;7) and ten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CA 4;8-6;8, LA 4;7-6;4)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hildren's comprehension of three semantic particles (nun, man, do) was tested using a picture pointing task. The production of the particles was measured during a picture description task using part of pictures presented in the comprehension task. Results: In comprehension performance, the children with SLI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other two groups. In production performance, the children with SLI performanced significantly worse than both the CA matched children and LA matched children. In both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all groups scored highest on 'man', followed by 'nun' and 'do'.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children with SLI produce these three semantic particles inefficiently. But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comprehension when compared to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 SCOPUS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행동 분석

        박지은(Ji Eun Park),황민아(Min a Hwang),박은숙(Eun Sook Park),신지철(Ji Cheol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6 No.1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화된 놀이상황에서 아동의 의사소통의도 표현의 전체빈도, 형식(제스추어, 발성), 기능(행동통제, 사회적 상호작용, 동시주의집중), 자음을 포함한 발성, 다음절발성, 낱말 및 낱말조합을 측정하여, 생활연령 일치대조군 및 인지수준 일치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의사소통의도표현의 전체빈도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의사소통의도 표현형식 중 발성의 사용빈도가 생활연령 일치대조군 보다 뇌성마비군에서 더 낮았다. 의사소통기능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뇌성마비군과 인지수준 일치대조군 간에서의 의사소통의도 표현의 전체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회귀분석 결과, 인지수준 일치대조군의 경우 인지발달점수와 의사소통의도 표현빈도간에 높은 선형관계를 보인 반면, 뇌성마비군에서는 이 둘간의 선형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음을 포함한 발성 및 다음절발 성, 낱말 사용빈도는 뇌성마비군이 생활연령 일치대조군 보다 더 낮았지만, 인지수준 일치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e investigated the communic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children) and two groups of normally dev e lop in g ch ildr en - ch ildr en with mat ch in g chr on olog ical ag e (CA ch ildr en ) an d ch ildr en with mat ch in g men t al ab ilit ies (MA ch ildr en ) . T h e t ot al fr e qu en cy , forms (g es tur e , v oc alizat ion ) , an d fun ct ions (b eh av ior alr e gulat ion , s ocial in t er a ct ion , j oin t at t en t ion ) of c ommun ic at iv e b eh av ior s wer e e x amin e d in s tr uctur e d p lays . In addit ion , th e differ en t typ es of v oc alizat ion (v o calizat ion with cons on ants , mult is y llab ic v ocalizat ions , wor ds , mult iwor ds ) of CP ch ildr en wer e c omp ar e d with th e two n ormal gr oups . T h er e wer e n o s ign ific an t differ en ces in th e t ot al fr e quen cy of c ommun icat iv e b eh av ior s b e twe en th e gr oups . In th e fr e quen cy of v o calizat ion , th e CP ch ildr en v o calize d s ign ific an t ly les s th an th e CA ch ildr en . T h e thr e e gr oups of ch ildr en wer e n ot s ignificant ly differ ent fr om on e an oth er in th e fr e quen cies of g es tur es . T h er e wer e n o s ignificant gr oup differ en ces in th e fun ct ions of c ommun ic at ion . Vo calizat ion with c ons on an ts , mults y llab ic v o - c alizat ion , an d th e fr e qu en cy of wor d us e wer e lower for th e CP ch ildr en wh en c omp ar e d with CA ch ildr en , b ut th er e wer e n o s ignificant differ en ces wh en comp ar e d with th e MA ch ildr en . Alth ough th e CP ch ildr en wer e n ot s ign ifican t ly differ en t fr om th e MA ch ildr en in th e t ot al fr e quen cy of commun ic at ion , a r e gr es s ion b e twe en th e ment al s k ills an d th e commun ic at iv e b eh av ior s of e a ch gr oup y ie lde d differ en t r es ults . On ly th e MA ch ildr en s h owe d lin e ar r e lat ion b e twe en th e two as p e cts wh ile th e CP ch ildr en did n ot.

      • KCI등재

        Elaborative Inference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Instrument Inference

        박예슬(Ye Seul Park),황민아(Min a Hwang),고선희(Sun hee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정교화 추론은 글을 읽는 과정에서 글의 내용과 읽는 사람의 지식을 통합하는 것으로 이는 글의 표상을 더욱 정교하게 함으로써 글의 이해를 촉진하고, 정보를 기억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정교화 추론 중 도구 추론을 중심으로 그 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15명과 일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아동들에게 특정 도구가 연상되는 유도 문장을 읽도록 한 후에 제시되는 글자가 단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이때 유도 문장 후에 제시되는 글자는 유도 문장과 관련된 도구 단어가 제시되는 조건과 관련이 없는 도구 단어가 제시되는 조건으로 나뉘며 각각의 조건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관련 조건과 무관련 조건 간 반응시간에 차이가 없었던 데 반해 일반 아동은 무관련 조건에서보다 관련 조건에서 그 반응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과 달리 도구가 내현화된 문장을 읽으면서 실시간으로 관련 도구를 추론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경우 글을 읽는 과정에서 사실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대부분의 자원을 할당하여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은 정보를 부가적으로 처리하는 데는 제한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Objectives: Elaborative inference is the integration of a text and the reader’s knowledge; it facilitates comprehension and allows readers to more easily learn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 inference (a type of elaborative inference) in poor comprehen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 poor comprehenders and 15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in 3rd to 6th grade.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cide if target words (instrument words) were words or nonwords after reading sentences including the cue to infer instrument while measuring their reaction time. In this lexical decision task, the target words were divided into two conditions: the related condition between sentences and instruments words (related condition) and the unrelated condition between sentences and instrument words (unrelated condition). Results: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reacted faster in the related condition than the unrelated condition; on the other hand, poor comprehend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Conclusion: Unlik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poor comprehenders failed to infer instruments in real time while reading. From this result, it can be explained that poor comprehenders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implicit information while reading texts because they assign most of their comprehension resources to processing the literal information in th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