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황매향(黃梅香),김봉환(金鳳煥),최인재(崔忍在),허은영(許銀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청소년들의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탐색해 보았다.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조사」에는 중학생, 일반계 고교생, 전문계 고교생 6509명이 연구대상으로 표집되었다. 진로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진로발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변인들로 일에 대한 가치(내적 가치, 외적 가치), 성공에 대한 귀인(내적 귀인, 외적 귀인), 진로미결정 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직업 역량을 선정하고, 각 변인들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의사결정 준비성, 진로정보 탐색 행동,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만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다른 변인들에서는 연령증가에 따른 일관된 변화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의 진로발달의 특성을 논의하고, 진로 발달의 지표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 및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2009 Korea Youth indicators survey Ⅳ-Youth Career, Job Index"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of Youth Policy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6,509 boys and girls from middle schools,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Occupational value(internal, external),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internal, external), career decision level(decidedness, assurance, readiness, independ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exploring, training), career competence(self understanding, work world information, understanding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analysed. Readiness of career decision making, career information exploring behavior, and understanding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rades. It implies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might be similar to US in some area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mply the social-cultural differences might influence on the uniqueness of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일-가족 양립에 대한 태도가 진로 계획에 미치는 영향

        황매향(黃梅香),조윤진(趙奫晋),조효진(曺孝珍),방지원(方智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시기에 있는 남녀 대학생들의 일-가족 양립에 대한 태도 및 계획을 살펴보고, 이러한 태도가 어떠한 경험과 환경을 통해 형성되고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대학생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를 이해하고자, 서울시내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7명을 6개 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족 양립에 대한 태도’, ‘일-가족 양립에 대한 계획’, ‘계획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 ‘부모님으로부터의 영향’이라는 4개의 영역과 그에 따른 17개의 하위 범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남녀 대학생들은 결혼 이후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가정생활이 일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진로 선택 및 결정의 과정에서는 일과 가정을 분리된 것으로 인식하거나, 일-가족을 양립하게 되는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현재의 진로 계획과 목표를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 모두 강한 진로지향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것과 관련된 구체적인 대안을 고려하고 있지 않았으며, 일-가족 양립과 관련된 태도 및 계획은 부모님으로부터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 to investigate the attitude and plan toward work-family balance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what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developed these attitudes. To gain a subjective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students, 6 focus groups were conducted with 27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Common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by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detail,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expect that family life could be a barrier to their carrier after marriage, they perceive work and family separately when considering on their future careers. When considering their careers only, they did not consider family at all. Whil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 strong career seeking directivity, both did not show serious consideration of how they would deal with work-family balance concretely. Furthermore, parental influence was significant in constructing their attitudes and plans towards work-family bal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기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황매향(黃梅香),최희철(崔喜喆),임효진(林孝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중1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의 행복(삶의 만족)과 밀접히 관련되는 개인 내적변인인 자존감과 환경 변인인 또래애착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중1 시점(1차년도)과 중3 시점(3차년도) 사이의 2년 간격, 그리고 중3 시점(3차년도)와 고2 시점(5차년도) 사이의 2년 간격에서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모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은 고등학교 2학년 시점까지 5년간의 시간 동안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둘째, 세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 중 또래애착이 자존감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에서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만족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 역시 이전 시점에서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존감에서 또래애착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에서 자존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또래애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존감에서 삶의 만족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에서 자존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에서 또래애착 및 자존감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data, we collect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from 7th, 9th, and 11th graders.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a longitudinal and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interest. Results showed that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stable over time. Also, cross-lagged coefficients from peer attachment to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positively significant, meaning that adolescents’ peer attachment causally affected thei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imilarly, cross-lagged coefficients from self-esteem to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 reflecting that adolescents’ self-esteem led to their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cross-lagged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peer attachment or self-este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causal effects on their later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대학생 집단의 유형과 관련요인 분석

        황매향(黃梅香),임효진(林孝璡),임지숙(任智淑),손보영(孫甫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자아정체감 수준 따른 대학생 내의 잠재 하위집단을 탐색하고 이와 같은 잠재집단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들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2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980명을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후, 성별, 연령, 부모의 지지가 자아정체감 집단 분류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아정체감의 잠재적 하위 유형은 추정된 평균점수에 따라 4개의 이질적인 하위집단으로 분류되는데, 자아정체감의 모든 하위 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정체감-하’ 집단, 하위요인의 수준이 전체집단의 평균 수준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정체감-평균’ 집단, 모든 하위요인이 평균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인 ‘정체감-상’ 집단, 모든 하위요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며 ‘정체감-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는 ‘정체감-최상’ 집단으로 나뉘었다. 둘째, 성별, 연령, 지각된 부모의 지지 수준에 따라 각 하위집단에 속할 확률이 차이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남학생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정체감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고, 부모의 지지가 높을수록 정체감이 높거나 정체감 수준이 최상인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이러한 배경변수는 집단에 속할 확률을 서로 달리 예측하고 있었는데, 특히 성별과 어머니의 지지가 집단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청년기 자아정체감 발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과 가능한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unobserved sub-groups in emerging adults" ego-identity and to test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in determining latent groups. A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Korean senior college students.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re exist multiple latent groups based on indicators of ego-identity, in relation to gender, age and parental support. Results showed that four subgroups within the sample were found to be qualitatively different as they presented average identity group, low identity group, high identity group and very-high identity group. The four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levels of 6 indicators (e.g. initiativeness, self-receptiveness, confirmativeness for future, goal orientedness, subjectivity, and intimacy) of ego-identity. Next, we investigated whether background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class membership. Covariates such as gender, age, and parental support (e.g. instrumental, emotional, evaluative, and informational support) contributed to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effect of variables, 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high and very-high identity group while wo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average and low identity group. Also, older students tended to belong to high identity group than younger students. Students who perceived higher parental support were likely to belong to average and high identity group. However, gender, age, parental support didn"t predict classification significantly for very-high identity group as compared to other group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types of subgroups in emerging adults" ego-ident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 경험

        황매향(黃梅香),고홍월(高虹月),김진영(金眞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1

        점차 다문화 사회로 발전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다양한 체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분석하여 아동지도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정 아동의 담임으로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현직 초등교사들에게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경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요청하였다. 9명의 초등교사가 13명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지도한 경험에 대해 심층면담에 응해주었고, 이 교사들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이나 학부모가 겪는 어려움, 교사의 어려움, 다문화아동에게 효과적인 지도방법과 비효과적인 지도방법,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 등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교사들과의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학습관련 문제, 발달적 문제, 일상생활의 문제를 보였으며, 이런 아동의 문제를 접근할 때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으로 문제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고, 발달적인 문제에서는 전문 지식과 전문가의 조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대처방법 중에서 효과적인 부분은 관심과 배려, 특별지도, 자신감 고취, 역할연습 등이 있으며, 효과적이지 않은 방법으로는 특별한 관심, 같은 나라 출신의 친구를 붙여주기, 윽박지르기 등이 있었다. 그리고 교사가 부모를 대할 때 느끼는 어려움과 교사가 호소한 다양한 지원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다문화가정 아동지도를 위한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view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taught the ethnic minorities as homeroom teachers and find out the implication for the teacher assistant system within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end of twenty century when Korea had a very big economic shock, the glottalization of Korea has been rapidly undertaken. Now Korea is becoming a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country by day by. B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not prepared to teach and guide them and their difficulties are not well identified. To help these teachers to cope this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to help the ethnic minorities and their parents to be happy at their schools,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detail. This study aimed to collect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dentified the multicultural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data.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reported their experiences with 13 ethnic minorities"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eachers" stories are followings: (a) teachers perceived ethnic minorities" school problems as three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learning problem, developmental problem and daily activities; (b) teachers" successful intervent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teaching Korean language, treating equally, enhancing self-confidence, matching mentors and role playing; (c) the suggestions for teachers" assistant system of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uch as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for teachers and children, establishing the assistant system for the ethnic minorties, and enhanc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s.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황매향,하혜숙,강지현,여태철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논의가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강점의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데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시, 경기도, 전라도에 재학 중인 5~6학년 아동 9명과 아동의 담임교사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개별 심층 인터뷰와 교사의 관찰일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고 교사의 관찰일지를 심층 인터뷰 자료와 매칭한 다음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은 아동, 부모, 교사 측면에서 모두 나타났다. 아동의 노력으로는 “수용을 통한 긍정적 정체감 형성하기”, “소통하기에 부족함 없는 말하기”, “친구들하고 잘 지내기”, 부모의 노력으로는 “부모가 노력하며 함께 하기”, 교사의 노력으로는 “다문화 수용과 긍정적 바라보기”, “경험을 통해 이해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요인들을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및 교육지원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