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적 상황과 비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의 관계 연구 - TTCT의 도형검사와 MCPSAT를 중심으로 -

        황동주,이강섭,서종진,Hwang, Dong-Jou,Lee, Kang-Sup,Seo, Jong-Jin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와 비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퍼센트, t-검증과 상관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번째, 수학 영재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MCPSAT)와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TTCT)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두 번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TTCT)에서 제목의 추상성을 제외하고 모든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세 번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에서 유창성과 융통성은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에서 독창성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네 번째,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사이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중학생 전체에서는 r=.41(p<.05)이고 r=.21에서 r=.56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일반 학생은 r=.27(p<.05)이고 r =.07에서 r=.27까지 분포하고 있다. 다섯 번째로 수학 영재학생의 경우는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사이의 상관관계는 r=.11이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 결과는 수학 영재학생의 경우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사이의 상관관계는 거의 0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능력은 비 수학적인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조합된 능력이 아니라 다른 특별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학 영재 학생들의 사례수가 적어서 수학 영재 학생의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주장을 일반화하기에는 충분치 않을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We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MCPSAT: Lee etc. 2003)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A; TTCT: adapted for Korea by Kim, 1999).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3 eighth grade students(129 males and 84 females). In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than regular students. Second,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than males.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for middle students was r=.41 (p<.05) and regular students was r=.27 (p<.05). A tes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as r=.1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ese results reveal littl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in both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lso but for the group of students of relativel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was near zero. This suggests that divergent thinking ability in mathematical situations may be a specific ability and not just a combination of divergent thinking ability in non-mathematical situations.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ing: The sample size in this study was too few to generalize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the divergent thinking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al situation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Based on the TTCT; Figural A and the MCPSAT

        Jong Jin Seo(서종진),Dong Jou Hwang(황동주),Kang Sup Lee(이강섭) 한국영재학회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와 비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 적 사고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퍼센트, t-검증과 상관 분석을 사 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번째, 수학 영재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수학적 상 황에서의 확산적 사고(MCPSAT)와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TTCT)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두 번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 수 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TTCT)에서 제목의 추상성을 제외하고 모든 요소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세 번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 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에서 유창성과 융통성은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 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 적 사고에서 독창성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 나고 있다. 네 번째,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사이 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중학생 전체에서는 r=.41(p<.05)이고 r= .21에서 r= .56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일반 학생은 r=.27(p<.05)이고 r = .07에서 r= .27까지 분포하고 있다. 다섯 번째로 수학 영재학 생의 경우는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사이의 상관 관계는 r=.11이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 결과는 수학 영 재학생의 경우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사이의 상 관관계는 거의 0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능력은 비 수학적인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조합된 능력이 아니라 다른 특별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학 영재 학생들의 사례수가 적어서 수학 영재 학생의 수학적 상황과 비 수학적 상황에서의 확산적 사고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주장을 일반화하기에는 충분치 않을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가지 고 있다. We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MCPSAT: Lee etc. 2003)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A; TTCT: adapted for Korea by Kim, 1999).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3 eighth grade students(129 males and 84 females). In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than regular students. Second,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than males.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for middle students was r= .41 (p< .05) and regular students was r= .27 (p< .05). A tes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as r = .1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ese results reveal littl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in both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lso but for the group of students of relativel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al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s was near zero. This suggests that divergent thinking ability in mathematical situations may be a specific ability and not just a combination of divergent thinking ability in non-mathematical situations.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ing: The sample size in this study was too few to generalize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the divergent thinking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al situation and non-mathematical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이강섭 ( Kang Sup Lee ),황동주 ( Dong Jou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논문집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6학년 학생 212명과 미국의 5~7학년 학생 148명이며, 2009년 4월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에 대한 검증은 SPSS 12.0K로 신뢰도(Cronbachh α)와 변별도를 구하고 Rasch의 1모수 문항반응이론으로 적합도지수와 난이도를 구하였으며, 연구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의 다중비교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수학 개념의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 학생들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은 수학 창의성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수학적 사고력에서는 6개의 하위영역 중 4개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하나의 학년군으로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of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were consider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ixth grade student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instrument consists of 9 item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212 Korean and 148 American students. SPS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ies and reliability. Reliabilities(Cronbach α)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is 0.9047 and i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is 0.9299 which were satisfied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n the test items. Internal validity were analyzed by BIGSTEPS based on Rasch`s 1-parameter item respons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difference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Especially we get the some informations o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for American`s fifth grade to seventh grade students.

      • KCI등재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 : TTCT;Figural A와 MCPSAT; A를 바탕으로 Based on the TTCT;Figural A and the MCPSAT; A

        이강섭,황동주 한국수학교육학회 2003 수학교육 Vol.42 No.1

        We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MCPSAT: Kim etl. 1997) and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A (TTCT; adapted for Korea by Kim etl. 1999). The subjects in this were 37 fifty-grade students. In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hav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originality of general creativity and the three elements-fluency, flexibility, and the total--of mathematical creativity (significant at p<.01). Second, We know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of general creativity and the three elements of mathematical creativity(significant at p<.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