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4-Pentenoic Acid로 유발시킨 라이증후군 흰쥐의 뇌에서 GFAP면역반응성 성상교세포의 변화

        양현억, 황경태(Hyun-Eog Yang, 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4-pentenoic acid(4-Pa)로 유발시킨 실험적 라이증후군 흰쥐에서 교세포원섬유성 산성단백질(GFAP)항체를 이용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면역세포화학법으로 대뇌와 소뇌의 피질 및 수질에 분포하는 GFAP양성 성상교세포를 감별 염색하여 그 면역반응성과 이들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계측하여 성상교세포에서의 GFAP활성도를 확인하고, 아울러 이들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PA를 투여한 동물에서 투여후 40-80분 사이에 모두 경련발작을 일으켰으며, 4-PA투여후 30분에 혈당값은 정상대조군 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SGOT값과 혈중 암모니아값은 정상대조군 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PA를 투여한 동물의 대뇌에서 대상속에 분포하는 GFAP양성 성상교세포의 GFAP면역반응성과 면적비율은 정상군 것에 비하여 다같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GFAP항체를 이용한 면역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볼 때 성상교세포의 세포질에 있는 중간세사가 선택적으로 염색되었으며, 이들 중간세사는 4-PA투군의 대뇌 및 소뇌 성상교세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미루어 볼 때 4-PA에 의한 실험적 라이증후군에서 조기에 대뇌 및 소뇌에 분포하는 성상교세포의 GFAP발현과 중간세사가 현저히 증가하며, 이와 같은 현상은 라이증후군에서 대상적 반응성 성상교세포중의 한 양상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4-pentenoic acid(4-PA) has been known to be a useful neurotoxin to produce most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Reye's syndrome in rats, but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effects of this reagent on the changes of t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immunoreactivity of astrocyt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 designed this study in order to clarify the alterations of the GFAP-immunoreactivity, area percent and ultrastructure of GFAP-positive astrocytes in the brain of the rat with experimental Reye's syndrome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using anti-GFAP antiserum. Method: Reye's syndrome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every 4 hr with 50mg/kg body weigh of 4-PA for 10 doses, followed by a single dose of 200mg/kg. Animal were sacrificed in 30 minutes after th final injection, and tissue blocks were taken from the cerebrum and cerebellum. Paraffin sections were immunostained with the indirect immunoperoxidase method for light microscopy, and the area percent of GFAP-positive astrocytes was calculated using the image analysis system(Vidas 2.0, Kontron, Germany) in the immunostained sections. For electron microscopy, pre-embedding immunocytochemical method was applied Resul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ll rats were observed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those of the Reye's syndrome, including convulsion, hyperammonemia, hypoglycemia and elevated SGOT. The GFAP immunoreactivity and the area percent of GFAP-positive astrocyte in 4-PA-treated anima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erebral cingulum and cerebellar cortex and medulla, as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control. The increment was highly signigicant in cerebellum than in cerebrum. However, the intensity was observed to be slight in frontal cortex. The intermediate filaments in the cytoplasm of astrocytes were selectively immunostained by the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and these GFAP-immunoreactive intermediate filaments were markedly increased in both cerebral and cerebellar astrocytes of the 4-PA treated animals.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elucidate that the increment of GFAP expression and intermediate filaments in the astrocytes of cerebrum and cerebellum are striking feature in the early stage of Reye's syndrome induced by 4-PA, and suggest that the compensatory reactive astrocytosis is consequently involved in the encephalopathy.

      • KCI등재후보

        간질환아에서 항경련제 투여가 혈청 및 적혈구 엽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유, 황경태(Young-Yoo Kim, 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To assess the effect of antiepileptic drugs(AEDs) on blood folate, we evaluated the serum and red cell folate levels by means of competitive radioassay as well as the peripheral blood findings in epileptic children treated with various AEDs. This study included a control group of 24 children(13 males, 11 females : 6-16 years of age) and 56epileptic patients(32 males, 24 females : 6-20 years of age) who were divided into four AED-treated groups : phenobarbital(PB) monotherapy (n=9), carbamazepine(CBZ) monotherapy(n=22), valproic acid(VPA) monotherapy(N=11) and CBZ polytherapy(N=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d cell fol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serum folate level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red cell folate level reduced by up to 2SD below the mean of control group was 11 of 56 patients in AED-treated group : 3 of 9 in PB monotherapy(33.3%), 6 of 22 in CBZ monotherapy(27.3%), 1 of 11 in VPA monotherapy(9.1%) and 1 of 14 CBZ polytherapy(7.1%) 3. From the peripheral blood studies, only the value of mean corpuscular volume(MCV)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MCV value increased by up to 2 SD above the mean of control group was 13 of 56 patients in AED-treated group : 4 of 9 in PB monotherapy(44.4%), 3 of 22 in CBZ monotherapy(13.6%), 1 of 11 in VPA monotherapy(9.1%), and 5 of 14 in CBZ polytherapy(35.7%). 5. The reduced levels of red cell folate and the increased values of MCV were observed in PB monotherapy, CBZ monotherapym and CBZpolytherapy, but not in VPA monotherapy group. 6. There was neither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ed levels of red cell folate and the increased values of MCV nor between the duration of AEDs therapy and the reduced levels of red cell folate or the increased values of MCV. It is suggested that the reduction of red cell folate levels should be considered in epileptic patients treated with PB or CBZ, although the clinical symptoms of folate deficiency were not Found in patients of this study, and that the measurement of red cell folate may be a useful parameter to detect the disturbance of folic acid metabolism in its early stage.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이 있던 환아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

        최병준(Byung Joon Choi) 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2 No.1

        목적 : 열성 경련은 소아 경련에서 가장 흔한형으로 생후 9개월 전과 5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열성 경련은 간질로 발전하는 경우가 비교적 적고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호전된다. 그러나, 열성 경련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 중 하나는 간질의 발생률이다. 특히 신경학적 이상, 발달 이상, 간질의 가족력, 복합 열성 경련 등은 간질로 이행 할 수 있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의사와 부모의 또 다른 지대한 관심 사항은, 열성 경련 후에 올 수 있는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후 유발 원인 없는 발작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도와 예측 인자를 조사하였다. 방법 : 초 회의 열성 경련이 있어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상 혹은 응급실 내원 당시 체온이 상승하여 열이 있을 때 전신적인 경련이 생긴 경우로 연령은 6개월에신 3세 사이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거 병력 비열성 경련, 간질, 뇌의 염증, 신생아 경련, 대사성 질환 등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동안 강남 성모 병원에서 추적이 가능했던 3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완전 추적은 이루어졌지만 처음 내원시의 기록이 차트 혹은 인터뷰로 확인되지 않은 41명은 제외하여 총 333명만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결과 : 신경학적 이상 유무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신경학적 이상이 긴는 경우 310명 중 15명(4.8%),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23명 중 10명(43.5%)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단순 열성 경련과 복합 열성 경련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단순형은 213명 중 13명(6.1%), 복합형은 120명 중 12명(10.0%)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복합 열성 경련 위험 인자를 비교하여 보면, 위험 인자 1개인 99명 중 9명(9.1%), 2개 이상인 21명 중 4명(19.1%)에서 발생하였다. 직계 가족에서 열성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열성 경련 병력이 없는 256명 중 17명(6.6%), 열성 경련 병력이 있는 77명 중 8명(10.4%)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친척 중에서 열성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열성 경련 병력이 없는 170명 중 14명(8.2%), 열성 경련 병력을 가진 163명 중 11명(6.8%)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직계 가족에서 간질 병력을 살펴보면, 간질 병력이 없는 299명 중 22명(7.4%), 간질 병력이 있는 34명 중 3명(8,8%)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친척 중에서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경련 병력이 없는 257명 중 18명(7.0%), 경련 병력을 가진 76명 중 7명(9.2%)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열성 경련의 숫자를 살펴보면, 1회 210명 중 9명(4.3%), 2회 64명 중 6명(9.4%), 3회 35명 중 4명(11.4%), 4회 이상 24명 중 6명(25%)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발열 기간을 비교하여 보면, 1시간 미만 69명 중 7명(10.1%), 1시간 이상 24시간 미만 200명 중 16명(8%), 24시간 이상 54명 중 2명(3.1%)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체온을 비교하여 보면, 38.5℃ 미만 57명 중 6명(10.6%), 38.5℃ 이상 276명 중 19명(6.9%)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인 발생하였다. 발생 연령을 비교하여 보면,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77명 중 5명(6.5%),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 170명 중 14명(8.2%), 24개월 이상 36개월 미만 73명 중 4명(5.5%), 36개월 이상 13명 중 2명(15.4%)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자 202명 중 16명(7.9%), 여자 131명 중 9명(6.9%)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결론 : 복합 열성 경련은 특히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의미 있게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증가 하였는데, 한 가지보다는 2개 이상의 복합 열성 경련이 연관이 있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를 시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을 한 환아의 반수 이상에서 2번 이상의 원인 없는 발작을 나타냈는데, 발달 이상이나 혹은 신경학적 이상이 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이러한 인자는 간질의 고 위험 재발 인자라고 생각된다. 신경학적으로 정상인 경우 여러 위험 인자가 의미 있게 관련을 보이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greatest concern for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i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epilepsy, but also unprovoked seizur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isk and predictors of unprovoked seizures. Study factors include three identified factors of unclear significance-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and the number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and two new factors that are important predictors - the height of temperature and the duration of fever prior to the initial febrile seizure. Methods : Children(n=333) between 6 months and 5 years of age with first febrile seizure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risk and predictors of unprovoked seizures for 10 years. Children with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meningitis or encephalitis), past history of febrile seizures or epilepsies were excluded. Results : 10(43.5%) of 23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had epilepsies. 12(10%) of 120 children with complex febrile seizures had epilepsies. 17(6.6%) of 256 children without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in 1° relative and 8(10.4%) of 77 children with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in 1° relative had epilepsies. Conclusion : In our results, there exist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unprovoked seizures and complex features in neurodevelopmentally abnormal children compared with normal children.

      • KCI등재후보

        간질환아에서의 항경련약제의 장기치료가 혈청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정승연(Seung-Yun Chung),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1

        저자들은 장기간 항경련약제로 치료한 간질 소아에서 혈청 면역글로불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군 55명과 환아군 68명을 대상으로 혈청 IgA, IgG, IgM값을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혈청 IgA 의 평균값은 항경련약제 치료를 한 각 연령군의 환아군에게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5). 2. 혈청 IgG와 IgM의 평균값은 각 연령군의 정상군과 환아군 사이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3. 정상군의 각연령군별 혈청 IgA평균값에서 2표준편차 이하의 낮은 값을 보인 환아는 환아군 68명중 12명(17.6%)에서 있었다. 이들 12명을 치료한 항경련약제별로 보면 9명은 phenytoin을, 1명은 valproate를, 나머지 2명은 phenytoin과 phenobarbital을 병용 치료한 환아이었다. 혈청 IgA의 낮은 값은 phenytoin치료군에게 가장 많아 환아 32명중 9명(28.1%)에서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항경련약제의 장기 치료는 혈쳥 면역글로불린 가운데 주로 IgA에 변화를 보였으며 낮은 혈청 IgA값은 여러 항경련약제중 특히 phenytoin치료와 관련이 있었다. Aberrations of serum levels of immunoglobulin have been demonstrated in some patients with epilepsy receiving anticonvulsant drugs. The most constant finding is an abnormally low serum level of IgA in phenytoin treated patients. Changes in IgG and IgM levels have also been found. but the results are conflicting.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other anticonvulsant drugs upon serum immunoglobulins. Authors therefore started this study to assess the humoral immune response to various anticonvulsant drugs in epileptic children. The study included 68 epileptic children(male 43, female 25) taking anticonvulsant drug for minimum of 4 and a maximum of 33 months at the time of testing and a control group of age matched 55 healthy children(male 32, female 23), Sera were collected from all patients and controls and stored at -20℃ until analysis. The serum levels of IgA, IgG and IgM were determined by using immunodiffusion plate of low level test(LC-Partigen). For statistical evalu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tested by Student's t-tes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erum level of Ig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s than the controls in each age groups(P <0.05). 2. The mean serum levels of both IgG and IgM in the patien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in controls in each age groups. 3. Twelve of 68 patients(17.6%) who received anticonvulsant drugs had low serum IgA level below 2 S.D. from the normal mean in each age groups. Of the 12 patients. 9 were treated with phenytoin. one with valproate and remaining 2 with combination of phenytoin and phenobarbital. An abnormally low IgA was most common in phenytoin treated patients and it was observed in 9 of 32 children (28.1%)

      • KCI등재

        홍역 환아에서 C-반응 단백(CRP)의 의의

        최상림,이경일,이형신,홍자현,황경태,Choi, Sang-Lim,Lee, Kyung-Yil,Lee, Hyung-Shin,Hong, Ja-Hyun,Whang, Kyung-Ta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5

        목 적 : 홍역 환아에서 CRP 값에 따라 합병증을 포함한 임상 및 검사실 소견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홍역으로 입원한 환자 253명을 대상으로 CRP 음성군 134명(0.5 mg/dL 이하, 53.0%)과 6-19 mg/L 군 85명(33.6%), 20-49 mg/L 군 27명(10.7%), 50 mg/L 이상 군 7명(2.8%), 4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대하여 총 발열일, 입원일, 합병증 발생 빈도, 백혈구 수와 분획, 비정상 간효소치 비율을 비교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합병증의 발생은 8일 이상 입원한 경우로 하였다. 결 과 : 전체 홍역 환아의 평균 CRP 값은 $11.1{\pm}7.5mg/L$이었다. CRP 음성군과 5-19 mg/L 군, 20-49 mg/L 군과의 비교에서 총 발열일, 입원일, 2배 이상의 간효소 치 상승 및 합병증의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CRP 음성군과 50 mg/L 이상 군의 비교에서는 총 발열일($4.7{\pm}1.7$일 vs $7.2{\pm}3.9$일), 입원일(5.4일${\pm}$1.4일 vs 9.4${\pm}$4.7일), 백혈구 수($5,900{\pm}2,700/mm^3$ vs $12,700{\pm}6,700/mm^3$)와 합병증의 빈도(5.2% vs 42.9%)에서 50 mg/L 이상 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CRP가 증가함에 따라 총 발열일, 백혈구 수 및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 효소치의 상승과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대부분의 홍역 환아에서 CRP는 음성 또는 경도의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CRP가 50 mg/L 이상일 경우 합병증에 의한 총 발열일과 입원일이 증가하였으며 백혈구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간 효소 치의 상승과는 관련이 없었다. Purpose : We evaluate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in patients with measles according to C-reactive protein(CRP) concentra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measles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jeon St. Mary's Hospital from October 1999 to May 2000. We divided the patients with measle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RP level, i.e., those with below 5 mg/L(134 patients, negative group), those with 6-19 mg/L(85 patients), those with 20-49 mg/L(27 patients), and those over 50 mg/L(7 patients). We compared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mong these four groups. Results : The mean CRP level of all patients was $11.1{\pm}7.5mg/L$.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the negative group and the 6-19 mg/L group or the 20-49 mg/L group in the duration of fever, hospitalization days, complications determined with longer hospitalization for more than eight days, white blood cell count, and incidence of hepatitis. Compared with the negative group, the over 50 mg/L group showed a longer duration of fever($4.7{\pm}1.7$ vs $7.2{\pm}3.9days$), duration of hospitalization($5.4{\pm}1.4$ vs $9.4{\pm}4.7days$), incidence of complications(5.2% vs 42.9%) and a higher mean level of WBC count($5,900{\pm}2,700/mm^3$ vs $12,700{\pm}6,700/mm^3$). With an increasing CRP level,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duration of fever, complications and WBC count to increase. However the levels of liver enzymes(AST/ALT) were not associated with CRP level. Conclusion : A CRP level of over 50 mg/L in measles is associated with severity and co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rostaglandin E-2값 변화

        최병준(Byung-Joon Choi),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PG는 모든 조직에 존재하여 생물학적으로 상당히 광범위한 역할을 한다. 특히 중추신경계에서는 생리적인 환경에서 소량 존재하나 여러 가지 자극(고체온, 열성 감염, 뇌졸중, 정신분열증 및 간질)후에는 PG가 상당히 현격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환아에서 뇌철수액내의 PGE-2를 정량하여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방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회의 단순 열성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만 6개월에서 만 5세 사이의 환 57명과 경련없이 열을 주소로 입원한 같은 연령군 환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열이 없는 환아 7명이었다. 모든 환아에서 척수 천자를 시행하였고 열성 경련 환아는 경련 후 48시간 이내에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30℃로 냉장 보관후 방사 면역 측정법(Prostaglandin E₂[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으로 검사하였다. 결과 : 1)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GE-2의 값은 147.3±79.3pg/ml로 경련없이 열만 있었던 군의 72.4±75.4pg/ml에 비하여 2.0배 높았고 열이 없는 대조군의 19.2±28.4pg/ml 보다는 7.7배 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2) 발열 및 연력과 뇌척수액네 PGE-2의 값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3) 열성 경련환아에서 4시간 이내에 채취한 PGE-2의 값은 176.5±65.7pg/ml로 4시간 이후에 채취한 군의 93.3±74.9pg/ml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결론 :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GE-2의 값은 열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경련없이 열만 있는 군에 비해서도 높았다. 특히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을 경련 후 4시간 이내 채취하였을 때 PGE-2의 값이 경련 후 4시간 이후에 채취한 뇌척수액에서 얻은 값에 비해 더욱 높았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 Prostaglandins(PGs) are known to produce a remarkably broad spectrum of effects that embraces practically every biological function, and has a particular physiological rol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Significant increases of PGs levels are seen in certain diseases, such as febrile infection, stroke, schizophrenia, and epilepsy. Prostaglandin is also increased in a response to rising body temperature, and prostaglandin E-2(PGE-2) in lumber cerebrospinal fluid is also increased in febrile convulsion.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PGE produces a rise in body temperature and also antagonizes convulsions induced by pentylenetetrazole, penicillin, electric shock. Therefore we studied PGE-2 levels in cerebrospinal fluid of afebrile childre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and fev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Methods : The subjects comprised 57 cases with febrile convulsion, 24 cases of afebrile diseases and 9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All patients were undergoing lumbar puncture and PGE-2 levels in CSF were determined by highly specific radioimmunoassay(Prostaglandin E₂[125I]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 Results : 1) The CSF 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147.3±79.3pg/ml) than those in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72.4±75.4pg/ml) and afebrile children(19.2±28.4pg/ml)(p<0.05) 2)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CSF PGE-2 levels between age and fever in both groups. 3) The CSF PGE-2 levels within 4 hours(176.5±65.7pg/ml) after convuls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 hours after convulsion(93.3±74.9pg/ml). Conclusion : The CSF 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than those in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and those in afebrile children. The CSF PGE-2 levels within 4 hours after convul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 hours after convulsion.

      • KCI등재후보

        간질환아에서 항경련제 투여가 혈청 갑상선 호르몬값에 미치는 영향

        이인구(In-Goo Lee),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1

        저자들은 장기간 항경련제 투약을 받고 있는 간질 환아에서 혈청 갑상선 호르몬값(thyroxine; T, free thyroxine; FT, triiodothyronine; T 및 thyrotrophin;TSH)의 변화를 알아보고저, 항경련제 치료군(valproic acid(VPA) 투여군, carbamazepine(CBZ) 투여군, diphenylh-ydantion(DPH 투여군. phenobarbital(PB) 투여군 및 combination (COM, 병용) 투여군)의 환아 89명과 대조군의 소아 40명에서 혈청 T, FT, T 및 TSH값을 각각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청 T, FT 및 T평균값은 대조군의 것과 각각 비교하여 CBZ 투여군과 병용투여군에서, 그리고 혈청 T 및 FT값은 DPH 투여군에서 각각 유의한 저하가 있었고, 이중 혈청 FT의 평균값은 항경련제 치료군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P<0.01). 2. 혈청 갑상선 호르몬 가운데 한 개 또는 그 이상이 대조군의 평균에서 2배의 표준편차 이하로 저하된 낮은 값을 보인 환아는 총 79명중 43명(54.4%)에서 있었다. 이중, 혈청 FT의 낮은 값은 가장 많아 79명 중 37명(46.8%)에서 있었고, 항경련제별로 보면 CBZ 투여군에서 가장 많아 16명중 13명(81.3%)에서 있었다. 3. 혈청 TSH값이 대조군의 평균에서 2배의 표준편차 이상으로 증가된 높은 값을 보인 환아는 총 79명중 1명(1.3%)에서 있었다. 이 환아는 또한 혈청 FT값의 저하를 동반하고 있었으며 추적 조사해 본 결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임상 소견은 인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질 환아에서 혈청 호르몬값에 대한 항경련제의 영향은 주로 CBZ 및 DPH의 단독투여와 관련이 깊었으며, 이는 약물을 병용 투여시 더욱 현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갑상선 호르몬 가운데 혈청 FT값의 측정은 항경련제 투여와 관련된 갑상선 기능의 이상을 찾아내는데 가장 예민한 방법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monly used anticonvulsant drugs on the thyroid hormones in epileptic children. authors examined 79 patients(male 50, female 29)) of five anticonvulsant-treated groups sho received valproic acid(VPA.n=26).carbamazepine(CBZ.n=16). diphenylhydantoin(DPH.n=13) and phenobarbital(PB. n=9) respectively, or a combination of these(COM.n=15) for the periods varying from 4 months to 6 years, and a control group of 40 children(male 30. female 10).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10.75±1.19 years and that of the controls 10.88±2.36 years. None of the controls received drugs with known effect on thyroid or pituitary function, and all subjects were clinically euthyroid. All sera from patients and conrols were obtained immediately from blood samples and stored at -20℃ until they were assayed at the same time. In all 119 children, the serum levels of thyroxine(T), free thyroxine(FT), triiodothyronine(T), and thyrotrophin(TSH) were measured by a radioimmunoassay. The comparison of the control and anticonvulsant-treated groups was conducted by means of analysis of variance. In the cas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unnet multiple comparison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which group i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erum levels of T. FT and 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CBZ and COM, as compai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and those of T and FT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DPH. 2. Forty-three of 79 patients who treated with various anticonvulsant drugs had low serum thyroid hromonal levels below 2 SD from the mean of control group. Of the 79 patients 37(46.8%) had low serum level of Ft. and abnormally low FT was most common in the group treated with CBZ and it was observed in 13 of 16 patients(81.3%). 3. One of the 79 patients had high serum TSH level above 2 SD from the mean of control group, and the patient was clinically euthyroid during the study. Our study revealed that the decreasing effects on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s by anticonvulsant drugs were mainly related to the treatment of CBZ, DPH and COM. Also, we demonstrated that estimation of the serum level of FT was a suitable test for the initial laboratory work-up to detect thyroid hormonal abnormality in epileptic children taking various anticonvulsant drugs.

      • SCOPUSKCI등재

        Kainic Acid로 처리한 해마박편배양 마우스 간질모델에서 치아이랑 Parvalbumin 면역 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정희선,신미영,김영훈,이인구,황경태,김명석,Chung, Hee Sun,Shin, Mi-Young,Kim, Young-Hoon,Lee, In-Goo,Whang, Kyung-Tai,Kim, Myung-Su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목 적 : 중증 측두엽간질환자와 kainic acid(KA)로 처리한 측두엽간질 동물모델에서 해마 치아이랑의 사이신경세포가 소실된다. 측두엽간질 마우스모델인 마우스해마의 기관형 배양에 의한 KA 간질모델에서 parvalbumin(PV)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치아이랑에 분포하는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를 감별염색하여 세포체 및 그 가지돌기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측두엽간질의 병태생리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 법 : 실험적 간질 모델은 C57/BL6 마우스의 해마박편을 이용한 기관형 배양에서 $10{\mu}M$ KA 투여로 유발시켰으며, PV 항체를 이용한 광학현미경적 면역조직화학법으로 치아이랑에 분포하는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를 감별염색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관찰하였고, 또한 이들 세포의 세포수를 계측하고 KA처리 후 배양하면서 시간경과(8, 24, 48, 72시간)에 따라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KA 처리를 하지 않고 배양된 해마조직박편(대조군)의 치아이랑에서 PV 면역반응성 세포는 가지돌기 나무가 잘 발달되어 있고 사이신경세포로서 이들은 주로 과립층과 이층 밑의 다형층에 산재하였다. $10{\mu}M$ KA에 1시간 정도 노출되었을 때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돌기에는 염주상이 형성되었고 가지돌기는 가늘어져 있었다.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는 KA 처리 후 배양액에서 KA를 제거한 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형태학적 회복을 보여주었다. KA 제거 후 8시간 회복군에서 세포돌기의 염주상은 볼 수 없었으며 가지돌기는 가늘어져 있었다. KA 제거 후 24, 48, 72시간 회복군에서도 염주상은 거의 볼 수가 없었으며 가지돌기의 두께도 회복되었다. PV 면역반응성 사이신경세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KA 처리군과 KA 제거 후 8시간 회복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세포수의 감소가 있었으나 KA 제거 후 24시간 회복군, KA 제거 후 48시간 회복군 및 KA 제거 후 72시간 회복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 었다. 결 론: 이러한 결과는 KA에 의하여 유발된 치아이랑 사이신경세포의 세포소실이 일시적이며 가역적인 현상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Purpose : Loss of hippocampal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has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evere temporal lobe epilepsy and in animals treated with kainic acid(KA). Interneurons contain $Ca^{2+}$- binding protein parvalbumin(PV). The effects of kainic acid on parvalbumin-immunoreactive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were investigated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Methods : Cultured hippocampal slices from postnatal day nine C57/BL6 mice were exposed to $10{\mu}M$ KA, and were observed at 0, 8, 24, 48, 72 hours after a one hour KA exposure. Neuronal injury was determined by morphologic changes of PV-IR interneuron in dentate gyrus. Results : Transient(1 hour) exposure of hippocampal explant cultures to KA produced marked varicosities in dendrites of PV-IR interneuron in dentate gyrus and the shaft of interbeaded dendrite is often much thinner than those in control. The presence of varicosities in dendrites was reversible with KA washout. The dendrites of KA treated explants were no longer beaded at 8, 24, 48 and 72 hours after KA exposure. The number of cells in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was decreased at 0, 8 hours after exposu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4, 48 and 72 hours recover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ed that loss of PV-IR interneurons in dentate gyrus is transient, and is not accompanied by PV-IR interneuronal cell death.

      • KCI등재후보

        정상아의 연령에 따른 청성뇌간 반응의 발달적 변화

        김종인(Jong-In Kim),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저자들은 출생후부터 20세까지의 건강아 160명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청성뇌간반응 발달적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파형을 보면 Ⅰ,Ⅲ 및 Ⅴ파는 출생후부터, Ⅱ파는 생후 2개월부터 출현하였고, 정점잠시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점차 단축되어 생후 3-6개월경에 성인과 유사한 파형을 보였다. 2. 각파의 정점 잠시를 보면 Ⅰ파는 생후 2개월부터, Ⅲ파는 2세부터, 그리고 Ⅴ파는 6-8세부터 성인값에 도달하였다. 3. 각파의 정점간 잠시에서 정점간 잠시 Ⅲ-Ⅰ은 2세부터, 정점간 잠시Ⅴ-Ⅲ과 Ⅴ-Ⅰ은 6-8세부터 각각 성인값에 도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which take place during the period from term neonate to 20 years of age. ABR were elicited from neurologically normal 160 subject(M: 89, F:71). To avoid movement and other artifacts the infant was sudied during sedated sleep with Nopron?? syrup, but older subjects were instructed to remain as motionless as possible. Bioelectric activity was recorded from disc electrodes placed as Cz and A1 or A2 of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Auditory stimuli(clicks) consisted of 10 msec in duration and of an intensity of 75 dB above hearing threshold, which were delivered monoaurally through headphone at a rate of 10/sec. ABR with 2.048 stimuli was amplified and summated in an averaging computer, and the plotted by an X-Y recorder(Neuropack Ⅱ, Model MEB-51100,Nihon Koden Co, Japan) for measurements of the latency(msec) and amplitude(μv) of the various compon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ate was determine by student t-test.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Waves Ⅰ,Ⅲ and Ⅴ were clearly distinguishable at birth, whereas wave Ⅱbegan to differentiate as independent peak at 2 months of age. The waveform similar to adult was established at 3-6months of age. 2. Peak latencies of wave Ⅰ,Ⅲ and Ⅴ had reached the adult values at 2 months, 2 years and 6-8 years of age respectively. 3. Interpeak latencies of wave Ⅲ-Ⅰ had reached the adult values at 2 years of age, and those of wave Ⅴ-Ⅲ and Ⅴ-Ⅰ at 6-8 years of age. 4. The amplitude of wave Ⅰ and Ⅲ had reached the adult values at 2 years of age, and those of wave Ⅴ at 4 years of age.

      • KCI등재후보

        동일 발열 질환 경과 중에 반복되는 재발성 열성 경련과 혈청 나트륨 농도

        최병준(Byung Jun Choi),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목 적 : 열성 경련에서 저나트륨혈증이 나타나며, 저나트륨혈증은 동일 열성 질환 경과 중에 다시 경련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열성 경련 환아에서 혈청 나트륨을 측정하여 나트륨의 레벨을 알아보고, 같은 열성 질환 경과 중에 열성 경련이 다시 생기는 것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의 열성 경련 환아 98명을 대상으로 환자군 I로 설정하였다. 또한, 열이 없고 경련이 없었던 환아 32명을 대조군 I, 열이 있으면서 경련이 없던 환아 48명을 대조군 II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환아군과 대조군에서 혈중 나트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열성 경련 환자군 I, 대조군 I과 대조군 II의 혈청 나트륨은 각각 135.5±3.7, 138.7±3.2과 138.0±3.0 mEq/L로 열성 경련 환자군 나트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열성 경련의 재발군과 재발하지 않았던 군의 혈청 나트륨은 133.1±4.1과 136.1±3.3 mEq/L로 재발군의 나트륨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열성 경련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청 나트륨이 낮았으며, 열성 경련 환자에서 동일 열성 질환 경과 중에 다시 열성 경련이 생겨 재발하는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혈청 나트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열성 경련과 나트륨 저하는 연관이 있으며, 동일 열성 질환 경과 중에 다시 열성 경련이 생겨 재발하는 군과 나트륨 저하도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 Hyponatremia may be common in febrile convulsions and lower the threshold for febrile convulsion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hyponatremia and febrile convulsions and also examined the effect of hyponatremia on the recurrence of convulsions during the same febrile illness. Methods : Serum sodium levels were measured from 98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among whom there were 21 recurrent and 77 non-recurrent patients during the same febrile illness. Also, as a control group, we selected 32 febrile and 48 non-febrile children, who did not have febrile convulsions. Results were analyzed by Student'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 average serum sodium level in febrile convulsions was 135.5±3.7 mEq/L,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138.7±3.2 mEq/L of febrile children and 138.0±3.0 mEq/L of non-febril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P<0.05). The average serum sodium level in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during the same febrile illness was 133.1±4.1 mEq/L,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136.1±3.3 mEq/L in non-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P<0.05). Concl usi on : The serum sodium levels of the patients with febrile convuls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lso, the lower the sodium levels were, the higher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during the same febrile illness oc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