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의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홍후조(Hoo-Jo H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0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집중이수는 다교과 분산이수를 개선해 소교과 집중이수를 겨냥하여 수업, 학습, 과제, 시험에서 개선을 가져오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집중이수는 어느 학교급에서, 어떤 교과목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언명 없이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묻혀서, 학교별로 매년 다른 불안정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해당 교과목은 공통필수가 아니라 선택교과목으로 지위가 격하되었으며, 학교의 시행착오와 혼란이 예측된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라는 이름으로 맡겨두어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보다, 오히려 해당 학교급, 해당 교과목, 교과목들의 조합, 개선 순서와 시기 등을 분명하게 정해주어서 집중이수의 도입을 통해 본래 기대했던 교육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취하는 것이 더 낫다는 입장에서 옹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이수를 해야 할 학교급은 중학교이며, 도덕, 음악, 미술, 기술ㆍ가정, 선택과목을 그 대상으로 하되, 기술ㆍ가정은 6학기에 걸쳐 이수하던 것을 4학기에, 나머지는 2개 학기에, 선택과목은 각각 1개 학기에 이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았다. 개설 조합은 음악-미술-선택과, 도덕-기술ㆍ가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 후속조치로써 필요한 교원 수급 조정, 담임교사 배정, 교과서 제작, 가르치지 않는 학년과 학기에 대한 대책, 고입 연합고사 개편 등을 다루었다.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ssons, learning, and tests throughout the introduction of condensed courses rather than scattered one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laborated standards of the level of schools and subjects, in the name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schools suffered from numerous trial and errors, confusion, and a waste of time. Because of the fact that each school was likely to change its curriculum every year, some of the required target subjects were appointed to become elective courses.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curriculum will improve with taking follow-up measures consisting of clear-cut directions about school levels, target subjects, combination of subjects, and serial order of offering courses etc. The condensed lesson plan in this paper focuses on middle school subjects such as moral education, music, fine arts, vocational technology and other electives. Offering a combination of music-art-electives and moral education-vocational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Among the subjects, vocational technology which is originally earmarked for six semesters would be better completed in four semesters. Other subjects should be taught in two semesters and the elective studies are recommended to be finished in one. In addition, the necessary complementary measures such as the prediction of the demanded classroom teachers, altered time schedule, text book editing and the reformation of the high-school entrance exam were discussed.

      • 입학사정관제도의 2007년 시범대학 운영 현황과 성과분석

        홍후조 ( Hoo Jo Hong ),김정희 ( Jung Hee Kim ) 한국고등교육정책학회 (구 한국고등교육학회) 2009 高等敎育硏究 Vol.16 No.1

        이 연구는 2007년도 10개 대학에서 시범적으로 도입·운영한 입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입학사정관제도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는 바, 이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소질과 적성, 능력과 장애, 진로를 만족시키는 입시제도여야 할 것이다. 학생이 적성과 진로에 따라 공부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어야할 것이다. 둘째, 입학사정관제는 성적과 대학이 아니라 적성과 모집단위(진로)에 따라 대학입시가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입학사정관의 중요한 역할은 국가·사회적으로 모집단위별로 최소한의 공통성을 갖는 타당한 대학입시, 대학별 특성과 모집단위별특성을 가미한 타당한 대입시를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수험생이나 학부모 입장에서는 고교 학업과 생활 그 자체로 대입을 준비하여야 하고, 대학입시 준비에 별도로 필요한 시간, 노력, 비용이 가급적 적게 들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d and presente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has been demonstrably introduced and operated by ten pilot universities in 20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the implications that are necessary to grope for the revitalization plan of the futur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se are the followings. First of all,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fulfill the each single student`s various nature, aptitude, improvement, ability, academic course and career plan. It should lead the student to study after one`s academic aptitude and career plan. Moreove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ught to contribute to accomplish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fter aptitude and recruitment units not after the grades of the student and the status of the university. The important role of admission officer system is to develop a vali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hich has a minimum commonness of recruitment units nationally, individual college traits, proper students of the certain department. and let students take the reasonable courses depending on their academic aptitude and future plans. At last, in the student and parents` aspec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hould be simply prepared by schoolwork and high school life. Also, there should be less extra time, less extra effort, less extra money spent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preparation. Especially, there is a risk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an provoke private education to become individualized, synthesized, prolonged and more expensive. Besides, private education has a high possibility to nurture chronically passive, dependent learners. Consequently, to prevent these drawback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dmission officers should contribute to settle a system and culture that allows students to get admitted to a better university if they have a superior capability of self-directed-learning and receive less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참고서가 필요 없는’, ‘확장된’ 교과서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홍후조(Hoo-Jo Hong),백혜조(Hei-jo Baik),임혜진(Hye ji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18대 대통령선거에서 한나라당 박근혜 후보의 공약으로 제안된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상(像)을 규명하고, 그것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것으로 인해 교육에서는 어떤 변화를 겪을 것인가를 탐색해본 연구이다. 학습자 입장에서 더 나은 교과서를 구안해보고, 교과서 출판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공약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전통적인 탐구형 교과서 본문 + 참고서의 보완 자료 + 문제집의 양질의 문항”이 합본된 형태라고 보았다. 현재 교과서는 세 가지 특성을 아주 부분적으로 구현하는 어정쩡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좋은 교과서상’에 비추어보면 공약이 제시하는 교과서상은 그 부분집합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교과서의 기능과 모양이 확장되더라도 본래 수업용 교재가 가진 특성 과 기능인 교과교육과정기준의 반영, 교과별 특성 반영,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 협동학습 중심 수업의 길잡이 역할 수행, 학생의 탐구심 호기심 집중력 등의 유발 등을 약화시킬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 즉, 공약이 제시하는 교과서상은 전통적인 교과서 본문을 탐구형으로 유지함으로써 수업에서 교사의 창의적 개입을 막아서는 안 될 것임을 지적하였다. 공약의 교과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강조된 교과서이다. 그러므로 학생의 학습에서 예습,복습, 보충 심화, 숙제 및 정보 제공 기능 등 길잡이 노릇을 하는 참고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종 시험에 대비하되 정보 기억과 정답 확인 차원의 선택형 문항을 넘어 미래지향적인 서술형 논술형 수행평가를 지향하는 시험대비용이어야 할 것을 권고하였다. 끝으로, 이런 새로운 교과서를 제작 보급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교과서 집필 및 편집의 제작 기간 연장, 새로운 집필지침, 두꺼워지는 교과서를 현재 별도 제작의 보완교재가 아닌 시계열적 분책, 디지털 교과서에 의한 보완, 가격의 인상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age of textbook that does not need supplementary materials that Park Geun Hye, Hannara’s Candidate of Presidential Election proposed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and estimate changes that educational field will experience with new textbook. First of all, the presidential election’s pledges were analyzed to identify it. It was found that the comprehensive textbook would integrate ‘Main body of traditional investigative textbook + Supplementary materials in reference books + Good quality questions in workbooks”. When summarizing the images of good textbook, it was found that the textbook proposed by the pledge would be a subset of ‘good textbook’. Although functions and form of textbook may be expanded, it is not necessary to weaken the reflection of curriculum standards which is the original characteristic and the function of textbook, reflection of subject characteristics, facilit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role to guide classes and stimulation of will to explore, curiosity and concentration of students. In other words, the textbook proposed by the pledge commented that creative intervention of teachers should not be interfered in classes by maintaining the body of textbook as investigative one. Additionally, it recommended that the new textbook should be for the examination preparation by including future‐oriented descriptive and essay type questions beyond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checking memory and information performing the reference book guiding students in learning including preview, review, supplementary study, further study, homework and information provision. Finally, to produce and distribute this new concept textbook, there shall be extended period for writing and editing, new writing guidelines, supplement by digital textbook, time-serial division of textbook to reduce the thickness of a volume and consideration of price increase.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에서 학년군, 교과군 개념의 교육과정적 의의 분석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도입된 학년군과 교과군에 관한 시론적 연구이다. 선행연구가 없는 관계로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도입의 필요성, 취지와 목적, 장단점,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학년군과 교과군의 장단점을 교육목표, 교육과정, 수업, 교육평가, 교육제도와 환경, 교사와 학생의 참여와 역할 측면에서 검토해보았다. 학년군과 교과군은 다분히 집중이수를 위한 방편으로 도입되었으나, 외국의 경우를 보면 학년군은 일정한 시기와 단계의 교육의 중점을 표현하고,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를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이 두 개념은 교육과정 설계의 종횡을 교직하는 두 축으로써, 장차 단계별 교육 중점의 설정과 교과의 정비를 위한 잠재적 효용이 높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ddresses grades and subjects cluster which were first introduced into the 2009 reform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Precedented research concerning these two themes were not found in Korea. Research were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s, problems, strength and weakness, improvement and consequent way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grades and subjects cluster. Grades and subjects cluster has some potentiality in improving the attain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um frameworks, textbook publishing, tests and evaluation, teacher supply and placement, student grouping and accommodation, changed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system, and cultural environment of school. Grades cluster tied together plural grades was introduc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educational focus of each grades, students-teacher pair for several sequential years, focused course-taking, non-graded system especially for the high school, etc. And subjects cluster tied together plural subject matters was install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a focused course-taking particularly in the secondary schools. Grades cluster and grades cluster get together compose the two axles of school curriculu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wo concepts have prosperous potentiality in improving the Korean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교과내 단원 내용과 통합된 창의성 지도의 효과 연구:

        홍후조(Hong, HooJo),임유나(Lim, YooNa),민부자(Min, BuJa),임혜진(Lym,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지식과 정보가 폭증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인재는 창의적·협동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사람이다. 교육받은 인재상이나 교육목표에서 ‘창의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지만,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교과수업에는 창의적 사고기법이 통합되어 있지 못하다. 연구자들은 교육에서 창의성이 중요하다면 교과 수업에 창의적 사고기법이 적절히 통합되어 가르쳐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국어, 사회, 과학과의 내용을 분석하고, 창의적 사고기법의 적용이 가능한 단원과 차시를 선정, 박사급 연구자 4인이 협의하여 창의적 사고기법 12가지가 포함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고, 실험반에 8주간 12차시의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검사를 이용해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측정하였다. 동질성이 확보된 비교집단과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평균차이검증(t-test),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및 전체 창의성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 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의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기준, 교과서, 수업, 평가 등에서 개선의 필요성을 재확인한 셈이다. The quality of outstanding individual in future society is creative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However, subject classes, which take the greatest proportion of school curriculum, failed to incorporate creative thinking modes. Researches regarded that if creativity is important in education, school curriculum should integrate creative thinking skills into daily classroom teaching. Hence,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e content of 4th grade subjects at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selected units and periods which creative thinking is applicable. 4 doctoral-level researchers developed the 12 subject-integrated materials for classroom teaching. Experimental classes implemented the program for 8 weeks 12 periods. The team measured the effect of the program with the Creative Thinking Assessment Tool(Cronbach α=.86) of KEDI. It conducted t-test via before-tests and after-tests of an equivalent comparative group and covariance analysis, whose covariate is the before test result of each creativity factor.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pressed meaningful difference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ccuracy, and overall creativity with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thinking educational program, which reconstituted subject content, encouraged students’ creativity improvement.

      • KCI등재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홍후조 ( Hoo Jo Hong ),백혜조 ( Hei Jo Baik ),민부자 ( Bu Ja Min ),변자정 ( Ja Jung Byun ),조호제 ( Ho Je Cho ),하화주 ( Hwa Ju Ha ),장소영 ( So Young Jang ),이혜정 ( Hye Jung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교육에서 학부모의 영향이 커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150개 지역에서 4천여 개의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중복, 혼란, 낙차, 비약, 학교급 요구나 수요자 요구를 무시한 제공자 위주 등의 문제를 낳고 있어 일정한 기준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목적은 교육부, 교육청, 교육지원청, 학교, 학부모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구체적인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데 바탕이 되는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을 개발·제공하는데 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 개발의 주체는 연구진, 협의진, 현장의견진, 심의진이었고, 연구진이 협의진, 현장의견진의 의견을 들어 다듬은 학부모교육과정 기준은 초안, 시안, 심의안의 단계를 거쳐 심의진의 심의 후 최종안으로 확정되었다. 학부모교육과정기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그 성격·목표·특성을 중심으로 한 기본토대(platforms),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바탕이 되는 내용의 구성체제 및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진 구성 틀(frameworks), 그리고 이를 현장에서 실천하는데 필요한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한 실행지침(guidelines)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누가(연구진-협의진-현장의견진-심의진), 어떤 합리적이고 타당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무엇을(학부모교육과정기준의 초안-시안-심의안-최종안) 개발하였는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교육과정기준 개발 과정과 결과를 반성적으로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research for this report was conducted to establish curriculum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parents. This report addresses the entire process of “who” (R&D committee, consulting group, lay group, approval council) and “how” the curriculum standards should developed adequately (draft-proposal version-approval version), based on reflective notes. We presided over the principal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by educational researchers, a consulting group and a lay group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a curriculum standards approval council. The researchers gathered preliminary opinions from the consulting and lay groups. These standards were then compiled a written draft, which was then revised as a proposal version and finally as an approval version. The finalization, through deliberation and examination, of the approval version referred to the approval council concretized the fi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tudents` parents. The curriculum standards were composed of three designated parts: platforms for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ontent frameworks for achieving the stated purpos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carrying out the first two par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