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일러를 이용한 무미익 항공기의 횡방향축 제어기설계 및 시험

        홍진성(Jin-sung Hong),황선유(Sun-yu Hwang),이광현(Kwang-hyun Lee),허기봉(Gi-bong Hur) 한국항공우주학회 201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7 No.6

        수직미익이 없는 전익기 형상은 낮은 레이더반사면적(RCS) 특성으로 인해 최근 UCAV를 위한 대표적인 형상으로 대두되고 있다. 무미익 전익기 형상은 방향축 관점에서 보면 정적으로 불안정하면서도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직 조종면이 없다는 두 가지 난제를 모두 갖고 있다. 이같은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추력 벡터링을 적용하거나 날개의 항력차이를 이용하는 드래그러더(Drag Rudder) 형태의 에일러론 또는 스포일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익기형상의 횡방향축 공력특성 및 드래그 러더 중 스포일러 형태의 조종면에 대한 공력특성을 설명한다. 또한, PI 구조의 제어설계 기법을 사용하여 전익기의 횡방향축 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비행시험을 통하여 설계된 제어기로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함을 보였다. A tailless or Blended-Wing-Body(BWB) shaped configuration is highlighted for UCAV with low RCS characteristics. The BWB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by its directional static instability and low controllability. To control the directional movement of the BWB configured vehicle, directional thrust vectoring equipment or drag rudder typed control surfaces which utilize the drag differences of the wing can be considered. This paper deals with a BWB shaped configuration using a spoiler and describes the lateral-directional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shwon that the lateral-directional motion can be controlled effectively by using the classical PI control structure. This control law is verified by flight test and showed adequate for the tailless BWB shaped UAV.

      • KCI등재

        실용상승한도 고도 부근에서 무인기의 속도 및 고도유지 제어에 관한 연구

        홍진성(Jin-sung Hong),원대연(Dae-yeon Won),장세아(Se-ah J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9 No.5

        항공기에 사용되는 공기 흡입식 엔진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성능의 한계를 가지며, 이는 실용상승한도(Service Ceiling)와 절대상승한도(Absolute Ceiling) 고도로 나타나게 된다. 고정익 항공기가 순항비행(Level Flight) 상태에서 고전제어기법(Classical Control)을 사용하여 고도 및 속도 유지를 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속도 증/감속을 위해 추력을 사용하고, 고도 증/감을 위해 피치 자세를 사용한다. 실용 상승 한도 고도 부근에서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고도 오차를 줄이기 위해 피치를 증가시키면 속도 감속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피치 자세를 사용하여 속도를 먼저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무인기의 경우 이 두 가지의 방법을 자동으로 적절한 시점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도 상승률이 둔화되는 실용상승한도 부근에서 속도와 고도유지 알고리즘의 전환 방법을 제안하고, 비행시험을 통해 개선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Air-breathing engines used in aircraft have a performance limit as the altitude increases, and this determines the service and absolute ceiling altitude. The method of maintaining altitude and speed in a fixed-wing aircraft in level flight using classical control method is generally using thrust for speed increase/deceleration and pitch attitude for altitude increase/decrease. If this method is used near the service ceiling altitude, increasing the pitch to reduce the altitude error results in a speed red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control method that maintains the speed first using the pitch attitude. Especially in the cas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ese two methods should be automatically available at the right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switching the speed and altitude maintenance algorithm near service ceiling altitude.

      • KCI등재

        국가 현안 주제 선정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반 하이브리드 방법론

        홍진성 ( Jin Sung Hong ),최희석 ( Hee Seok Choi ),한희준 ( Hee Jun Han ),김재수 ( Jae Soo Kim ),유은지 ( Eun Ji Yu ),임소라 ( So Ra Lim ),김남규 ( Nam Gyu Kim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4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3 No.1

        국가적 차원의 현안에 대한 주제 선정은 선정된 주제로부터 유관 부서의 어젠다(Agenda)가 도출될 뿐 아니라, 가까운 미래와 먼 미래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R&D 투자의 초석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소수의 전문가에 의해 Top-Down 방식으로 수행되어 온 기존의 현안 선정 방식은 복잡한 사회의 급변하는 이슈를 적절하게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국가 현안 도출 시도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지만, 데이터 분석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법론은 추출된 이슈가 과연 중요한 현안인지 아니면 단순한 가십성 이슈인지 구분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문가가 선정한 기준 현안에 텍스트 분석을 통해 새롭게 추출된 이슈들을 보완하는 통합 키워드 추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정부에서 발표한 기준 자료에 명시된 국가 현안과 뉴스, 칼럼, 정책자료, 토론자료의 분석 결과로 도출된 추가 이슈 키워드를 통합하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제안 방법론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At the national level, the selection of pending national issue theme is very important not only for deriving the core agenda for each of selected topic, but also for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R&D investment, which will influe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near and distant future. However, the conventional top-down method for selecting pending national issues have some limitations that it can`t properly reflect the current issues of the complex socie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hybrid form of extracting and integrating issue keywords. At first, we extract seed keywords from the standard source data. And then, additional issue keywords a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a topic analysis that is conducted on policy reports, news, columns, and discussion documents. By showing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o 11,000 real documents,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is examined.

      • KCI등재

        단일 카테고리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자동확장 방법론

        홍진성(Jin-Sung Hong),김남규(Namgyu Kim),이상원(Sangwon Lee)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4 지능정보연구 Vol.20 No.3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문서는 정해진 기준에 따라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제공되고 있다. 과거에는 카테고리 분류 작업이 수작업으로 수행되었지만, 문서 작성자에게 분류를 맡기는 경우 분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고 관리자가 모든 분류를 담당하는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는 문서 분류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문서 분류 기법은 각 문서가 하나의 카테고리에만 속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문서가 다양한 주제를 갖는 실제 상황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식별을 위한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으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이미 다중 카테고리가 부여되어 있는 문서에 대한 학습을 통해 분류 규칙을 생성하므로 단일 카테고리만 부여되어 있는 기존 문서의 다중 카테고리 식별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카테고리, 토픽, 문서간 관계 분석을 통해 단일 카테고리를 갖는 문서로부터 추가 주제를 발굴하여 이를 다중 카테고리로 자동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원 카테고리가 식별된 총24,000건의 문서 중 23,089건에 대해 카테고리를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정확도 분석에서 카테고리의 특성에 따라 카테고리 분류 정확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 카테고리로 분류된 문서에 대해 다중 카테고리를 추가로 식별하여 부여함으로써, 규칙 학습 과정에서 다중 카테고리가 부여된 문서를 필요로 하는 기존 다중 카테고리 문서 분류 알고리즘의 활용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numerous documents including unstructured data and text have been created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age of social media and the Internet. Each document is usually provided with a specific categor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In the past, the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manually. However, in the case of manual categorization, not only can the accuracy of the categorization be not guaranteed but the categorization also requires a large amount of time and huge cost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wards the automatic creation of categories to solve the limitations of manual categorization. Unfortunately, most of these methods cannot be applied to categorizing complex documents with multiple topics because the methods work by assuming that one document can be categorized into one category onl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ome studies have attempted to categorize each document into multiple categories. However, they are also limited in that their learning process involves training using a multi-categorized document set. These methods therefore cannot be applied to multi-categorization of most documents unless multi-categorized training sets are provi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requirement of a multi-categorized training set by traditional multi-categorization algorithms, we propose a new methodology that can extend a category of a single-categorized document to multiple categorizes by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categories, topics, and documents. First, we attempt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s and topics by using the result of topic analysis for single-categorized documents. Second, we construct a correspondence table between topics and categorie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inally, we calculate the matching scores for each document to multiple categories. The results imply that a document can be classified into a certain category if and only if the matching score is higher than the predefined threshold. For example, we can classify a certain document into three categories that have larger matching scores than the predefined threshold. The main contribution of our study is that our methodology can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multi-category classifiers by generating multi-categorized documents from single-categorized documents. Additionally, we propose a module for verifying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performed intensive experiments with news articles. News articles are clearly categorized based on the theme, whereas the use of vulgar language and slang is smaller than other usual text document. We collected news articles from July 2012 to June 2013. The articles exhibit large variations in terms of the number of types of categories. This is because readers have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in each category. Additionally, the result is also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events in each category. In order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result from the number of articles in different categories, we extracted 3,000 articles equally from each of the eight categories. Therefore,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used in our experiments was 24,000. The eight categories were “IT Science,” “Economy,” “Society,” “Life and Culture,” “World,” “Sports,” “Entertainment,” and “Politics.” By using the news articles that we collected, we calculated the document/category correspondence scores by utilizing topic/category and document/topics correspondence scores. The document/category correspondence score can be said to indicate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of each document to a certain category. As a result, we could present two additional categories for each of the 23,089 documents. Precision, recall, and F-score were revealed to be 0.605, 0.629, and 0.617 respectively when only the top 1 predicted category was evaluated, whereas they were revealed to be 0.838, 0.290,

      • KCI등재

        H-스멕타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생성관계

        노진환 ( Jin Hwan Noh ),홍진성 ( Jin Sung Hong ) 한국광물학회 2010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3 No.4

        제3기 마이오세 화성쇄설성 퇴적층인 범곡리층군의 주요 구성 암층인 부석질 응회암의 흡착기능성 광물자원으로서의 자원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그 응용광물학적 특성 및 그 규제 요인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장기 지역 범곡리층군에서 주된 암상을 이루는 부석질 응회암은 속성변질 되어 저품위 제올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이룬다. 이들은 부석편의 존재로 인한 성분적 특수성에 기인하여 일부 광석들은 양이온치환 능력, 비표면적 및 산성의 pH 농도와 연관된 우수한 흡착기능성을 나타낸다. 이 흡착기능성 광물질에서 낮은 pH 농도를 유발하는 것은 주로 결정구조상 층간에 수소 이온을 갖는 H-스멕타이트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H-스멕타이트는 층간 교환성 양이온으로서 수소 이온의 존재에 의해 결정구조상 불규칙성이 야기되어 엽편상의 결정 가장자리가 다소 말린 형태를 보이고, X-선회절 분석에서는 (001) 회절선을 비롯한 주요 기저 회절선들이 일반적인 Ca-유형의 스멕타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보이 것이 특징이다. 이 H-스멕타이트의 원물질 해석과 광물 공생 관계를 토대로 이 독특한 점토광물의 생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즉, 부석질 유리편이 속성과정 동안에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수화·변질의 결과로 규산이 해리되면서 생성된 수소 이온에 의해 공극수의 pH 가 감소되어 단백석이 생성됨으로써 스멕타이트의 생성을 조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강한 산성을 유발하는 이같은 H-스멕타이트의 존재에 의해서 범곡리층군의 저품위 흡착기능성 광물자원의 산업적 효용도, 특히 산성백토나 상토 부문 등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Pumiceous tuffs occurring in the Beomgockri Group are examined applied-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ntroling factors to evaluate their potentials as the adsorption-functional mineral resources. The pumiceous tuffs are diagenetically altered to low-grade zeolites and bentonites in the Janggi area. Compositional specialty due to the presence of pumice fragments induces the altered tuffs to exhibit the characteristic adsorption property combined with cation exchange capacity, specific surface area, and acidic pH. Unusual lower pH in the adsorption-functional mineral substances is turned out to be originated from the presence of H-smectite having H+ in the interlayer site of the sheet structure. On account of disordered crystallinity resulting from the exchanged H+ in the interlayer site, the smectite commonly forms crenulated edges in the planar crystal form and exhibits characteristic X-ray diffraction patterns showing comparatively lower intensities of basal spacings including (001) peak than conventional Ca-smectit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paragenetic relations and precursor of the H-smectite, a genetic model of the peculiar clay mineral was proposed. The smectite formation may be facilitated resulting from the precipitation of opal-CT at decreasing pH condition caused by the release of H+ during diagenetic alteration of pumice fragments. Because of the acidic smectite, the low-grade mineral resources from the Beomgockri Group may be applicable to the adsorption industry as the raw materials of acid clays and bed-soil.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