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립 유치원 회계 투명성 지표 개발 연구

        홍지인,이필남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3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추진과제 중 하나인 사립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 제고를 위해 2019년에 처음 도입된 사립 유치원 K-에듀파인 시스템이 2020년부터는 전국의 사립 유치원에 적용,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사립 유치원 K-에듀파인 시스템의 도입 및 적용이라는 수단적 차원의 투명성 제고 방안에서 진일보하여 실질적인 회계 투명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사립 유치원 회계 투명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립 유치원 회계 제도와 현황, 사립 유치원 회계 관련 선행연구, 영리기업, 공공기관, 사립학교의 회계 투명성 관련 선행연구를 광범위하게 검토한 후, 사립 유치원 회계 투명성 지표의 3대 영역으로 회계정보의 접근성, 충분성, 정확성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2차에 걸쳐 지표 초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13개 하위 지표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립 유치원 회계 투명성 지표를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사립 유치원 K-에듀파인 시스템 적용 이후 회계정보의 접근성과 충분성은 상당히 높아졌으나, 정확성 측면에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은 편이다. 따라서 앞으로 사립 유치원 회계 투명성의 실질적인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계정보의 정확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립 유치원의 회계 담당자와 교육청 담당자의 전문성 강화, 사립 유치원 K-에듀파인 시스템의 개선 및 사용자 편의성 강화, 시도교육청의 주기적인 사립 유치원 회계정보 검증 및 맞춤형 현장 지원 체계 강화를 제언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private kindergartens’ accounting transparency,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Private Kindergarten K-Edufine System (PKKES) in 2019, and every private kindergarten started to implement the PKKES in 2020.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ccounting transparency indicators for private kindergartens to reach substantial accounting transparency over and above the system implementation. To develop accounting transparency indicators, we reviewed accounting rules and regulations, literature related to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and studies on accounting transparency in for-profit organizations,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schools extensively.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evised three sub-categories of accounting transparency: access to, sufficiency of, and accuracy of accounting information. Using Delphi method with 16 expert panelists, we validated draft indicators and finalized 13 indicators. Judging from the accounting transparency indicators devised by this study, while access to and suffici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improved to a great extent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KKES, accuracy of accounting information still has a lot to improve. Hence, upgrading accuracy will eventually enhance accounting transparency for private kindergartens. We suggested that human resources in charge of private kindergarten should have 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the PKKES should be sufficiently upgraded, and local education offices should regularly check out accounting information of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학습공동체 참여가 대학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지인(Hong, Jiin),배상훈(Bae, Sang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With an ever-growing concern over learning outcomes, an increasing number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adopting learning communities as one of their high impact practic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se activ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differ by socio-economic status of students. The samples consisted of 72,893 students from 100 Korean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 writing skills, b) critical thinking, c) problem solving skills, d)statistical analysis skills, e) collaborative competencies, f) attitude about openness to diversity, g) citizenship, and h) values and ethics development of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tudent s SES and whether to participate in learning communities. The student s SES were also included as the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outcom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2015 K-NSSE(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database and the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data, the study employed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statistical technique. To reduce the sample selection bias and estimate the effects of treatment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receiving the treatment, the study employed the Propensity Scoring Matching (PSM)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Second, in most cas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S an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Exceptions were that high SES participants showed greater increase in critical thinking and development of values and ethics. The study results provide two implications. First,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he universities may have to develop and implement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on campus. Second, the universities may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to low income students who may hav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se educational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의 정도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학부교육선도대학 협의회가 공동으로 수행한「2015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표본은 100개 대학에 재학 중인 72,893명의 학생이다. 종속 변인은 대학생의 학습 성과이며, 학생들이 대학에 다님으로써 향상되었다고 인식한 글쓰기,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력, 통계적 분 석 등 인지적 학습 성과와 협동 역량, 다양성 이해, 교양 시민, 가치관 및 윤리관 형성 등 사회․정서적 학습 성과로 구성되었다. 연구 변인은 학습공동체 참여, 조절 변인은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이다.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를 엄밀히 추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에는 다층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공동체 참여는 학생의 개인 특성과 학습참여 행동, 대학 특성 등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대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공동체 참여가 비판적 사고력 향상 및 가치관 및 윤리관 확립에 미치는 효과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크게나타났다. 이를 제외하면 나머지 학습 성과에 대해서는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습공동체 참여의 조건적 효과는 대체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학습공동체 참여는 취약계층 학생들에게도 학습 성과 향상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학습공동체 참여가 저조하고 학습성과도 대체로 낮다는 결과를 함께 고려하면, 현재로서의 학습공동체는 사회계층에 따른 학습 성과 의 격차를 보완하는 역할에 있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홍지인(Hong Jee-In),배상훈(Sang Hoon B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경험이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 는데 있다. 아울러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의 대학 몰입의 관계가 대학 특성에 따라 차 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2013년 학부교육 실태조사 (K-NSSE)’로 수집된 전국 39개 대학에 재학 중인 16,600명의 학생 자료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인은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자부심 등 을 의미하는 ‘대학 몰입’이며, 독립변인은 대학 수준에서 ‘소재지’, ‘규모’, ‘평판도’를, 학생수 준에서 ‘성별’, ‘가계소득’, ‘학년’, ‘고교내신성적’ 및 ‘교수-학생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다. 연 구 결과, 교수와 상호작용은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몰입에 대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영향은 대학의 규모와 평판에 따라 차이가 있 었다. 대학 규모가 클수록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나타났고, 사회적 평판이 낮은 대학에 재학하는 학생일수록 교수와 상호작용에 따른 대학 몰입의 향상 이 보다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적극적인 학 습 참여와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유도하는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의 상호 작용을 질적으로 개선하고 양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studen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institutional commitment vary by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amples include 16,600 students from 39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The dependent variable is institutional commitment which is measured by th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sense of belongings, and perception of quality of a particular institution. Independent variables were gender, high school performance, family income level, grade,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at the student level and enrollment size, location, reputation of university at the institutional level. Interaction with facul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ir commitment to the university. In addition, the effect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institutional commitment were different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e positive effects of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seem to be the strongest in larger universities compared to smaller ones. The institutional reputation have the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the effect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on institutional commitment of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students, the universities may develop a variety of strategies to support faculty-student interac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