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산권침해와 손실보상의 근거 : 학설과 판례의 재검토

        홍준형(Hong, Joon Hyung) 한국부동산연구원 1996 부동산연구 Vol.6 No.1

        憲法上 財産權保障과 損失補償의 근거에 관한 한 財産權의 내용과 한계, 헌법 제23조제1항에 의한 법률유보의 이해, 재산권에 내재하는 社會的 制約의 기준, 헌법 제23조제1항과 제3항의 상호관계 등 아직도 많은 문제들이 미해결상태로 남아 있다. 특히 揚失補償의 憲法的 根據인 헌법 제23조제3항과 관련하여 보상규정을 두지 않은 법률에 의한 공권력행사에 의하여 재산권을 침해당한 개인이 이 헌법규정을 근거로 직접 법원에 손실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헌법 제23조제3항의 법적 성질 및 손실보상청구권의 성립여하에 관하여 종래 방침규정설, 직접효력설, 위헌무효설이 대립되어 오다가 최근 헌법 제23조제1항 및 제11조에 의거하여 헌법 제23조제3항 및 관계규정의 類推解釋을 통해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간접 효력설’(‘유추적용설’)이 제기되고 있고, 또 이에 관한 판례의 입장도 일관되어 있다고 볼 수 없는 형편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학설과 판례가 안고 있는 이론적 불명확성과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이를 비교법적 측면에서 반추함으로써 쟁점을 분명히 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도를 모색하였다. 입법자가 공용침해를 규정하면서 그에 대한 보상규정을 두지 않았더라도 어떠한 형태로든 헌법 제23조제3항이 요구하는 정당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견지에서 손실보상청구권은 헌법 제23조제1항과 제3항의 통합적 해석을 통하여 법률에 의한 구체화가 있기 전에도 헌법적으로 성립하며, 그 보상기준이나 내용, 절차를 구체화하는 것은 헌법 제23조제3항에 의한 입법자의 책무이지만 입법자가 그러한 입법형성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헌법재판소나 법원이 직접 손실보상을 명할 수 있다는 이론구성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밝혔다.

      • KCI등재후보

        유럽통합과 독일행정법의 변화

        洪準亨(Joon-Hyung Ho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4 행정법연구 Vol.- No.12

        Impact of the european integration on the German national administrative law has been immense and remarkable, which is neither well known nor in detail discussed in Korea. European Administrative Law, which emerged originally as a discrete body of those special laws governing the organs of the European Community encompasses now far broader elements like public laws of each member state to be applied to the community-relevant issues and cases as well as those public laws formed by various instances of the European Union like the Commission,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Communities etc. It exercises great influence upon the German Administrative Law primarily through the direct effect and principle-guided reception of european laws and legal doctrines. So long as the German Administrative Law still plays a role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reference models in Korean Administrative Law, the changes in legal doctrines and theories brought about by the European Integration need to be correctly reviewed and analyzed together with its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which is the main target of this article.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those legal doctrines and jurisprudence regarding legal forms of administrative acts (Rechtsformen- und Handlungsformenlehre), subjective public rights(subjecitve offentliche Rechte), administrative discretion(Ermessen und Beurteilungsspielraum) and Administrative Guideline and Standards(Verwaltungsvorschriften ).

      • KCI등재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동의명령제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홍준형(Joon-Hyung Hong),김정희(Jeoung-Hee Kim) 한국기업법학회 2007 企業法硏究 Vol.21 No.4

        Since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s (hereinafter “FTA”) was signed in 2007, it seemed to be inevitable to introduce consent order system in Korea. A consent order is a series of executive procedure expressing a voluntary agreement between two potential parties - a defendant being investigated especially for unfair trade practices and the government regulatory body - to a law suit. That is, without admitting guilt, the defendant might agree to cease the activities alleged by the government to be illegal, in return for closing the case.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might efficiently accomplish regulatory purposes thereby. This article tries to give some significant advices in introducing the institution of the “Consent order” in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the domestic legal system. For that purpose, the article explores the definition, institutional characters and functions, and other relevant information of the consent order system. Given that inquiry, it discusses some issues and alternativ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Bill for『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on August 7, 2007. Specifically, the article maintains that the institutional advantages of “Consent order” should not wrongfully be taken as to be adding another arbitrary leverage to apply rules to the existing list of measures for government's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deliberate the possibilities of moral hazard, unpredictability of the government affairs, or the government’s over-regulation problems which may follow the “Consent order” system. These problems, however, can be solved by existing rules or procedural-complements, such as making public the agreement reached between the parties or having a certain period of time seeking public comments related to the “Consent order”. In sum, the “Consent ord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as a form that fits well into the domestic legal system. For that purpose, it is highly recommendable to refer to the “Consent order” practiced in the U.S., where the system originated from. The Bill『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of 2007 proves to be by and large a very positive one, in which sets institutional devices to soften unexpected impacts of the new system. Nonetheless, there still remain some shortcomings, such as limitation of scope to apply “Consent order” and exclusion of a defendant’s right to advance opin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환경분쟁 재정절차 배상액 현실화 방안 -공사장 소음,진동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중심으로-

        홍준형 ( Joon Hyung Hong ) 한국환경법학회 2011 環境法 硏究 Vol.33 No.1

        지난 20년간 괄목할 발전에도 불구하고 환경분쟁조정제도는 아직도 개선 또는 보완을 요하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특히 배상액 수준과 관련하여 환경분쟁 재정결과가 분쟁해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공사장 소음·진동으로 인한 환경분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전국적으로 건축 및 토목공사가 거주지 인근에서 많이 시행되어 그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는 민원이 빈발하고 그 결과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대한 재정 신청이 늘고 있지만 배상기준이 너무 낮고 비현실적이어서 실질적인 분쟁해결책이 되기 어렵다는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환경분쟁 재정절차 중 공사장 소음·진동으로 인한 환경분쟁에 있어 현행 정신적 피해에 대한 평가방법 및 배상액 산정기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배상액 산정기준을 재검토하여 적정한 배상 수준을 도출하고 배상액 현실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범위는 첫째, 생활소음 중 공사장 소음·진동을 피해원인으로 하는 분쟁, 둘째, 소음·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정신적 피해에 대한 배상기준으로 한정한다. In order to vitalize the use of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as ADR, it is crucial to provide the injured party with an opportunity to get realistic compensation which should be also sufficient enough to discourage those activities causing environmental damages. Insufficient damage amount has been spotted, therefore, a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dis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service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Act(EDAA). This paper reviews existing standards and level of damage amount given to the injured within the Arbit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EDAA and suggests some reasonable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practice to enhance the func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al Arbitration, by examining various factors to be applied in readjusting the Damage Amount Guideline set by the Central Environmental Dispute Adjustment Committ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