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발적 장무지 신전건 파열이 일어난 원위 요골 골절의 방사선적 분석

        이준구 ( Jun-ku Lee ),홍인태 ( In-tae Hong ),권영우 ( Young-woo Kwon ),장규철 ( Gyu-chol Jang ),한수홍 ( Soo-hong Han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2

        목적: 원위 요골 골절 후 발생한 장무지 신전건의 자발성 파열로 분당차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들의 방사선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위 요골 골절 발생 이후 자발성 무지 신전건파열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가 시행된 2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요골 골절에 대해 정복 내지는 내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건파열 후 첫 번째 내원 시 시행한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으며 손목 관절 전후면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월상와에서 골절 선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측면 사진을 통하여 리스터 결절(Lister`s tubercle)의 높이와 골절 선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편측의 손목 관절 방사선 사진으로 그 높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25예에서 비전위성 골절 양상을 보였으며, 전위 골절 3예에서는 평균 2.0 mm의 전위를 보여주었다. 월상와에서 골절 선까지 거리는 평균 9.1 mm였으며, 리스터 결절의 정점으로부터 근위부의 골절선까지는 평균 3.0 mm였다. 리스터 결절의 높이는 3.4 mm였으며 건측은 3.1 mm였다. 결론: 2 mm 이하의 전위, 리스터 결절 3 mm 이내의 원위 요골 골절 시 빈도는 낮지만 장무지 신전건 파열 가능성에 대한 인지 및 사전 설명이 필요하다. Purpose: The spontaneous extensor pollicis longus (EPL) tendon rupture is a well-documented complication of non-displaced or minimally displaced distal radius fracture. Authors analyzed the radiographs of patients treated for closed EPL rupture after distal radi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eight patients (21 females, 7 males; average age of 58 years) with tendon transfer for spontaneous rupture of EPL after distal radius fracture were included. Wrist radiographs were taken at the first visit with EPL rupture. On the lateral view, posterior cortical displacement, distance from highest point in Lister`s tubercle to fracture line, and height of the Lister`s tubercle were measured. The distance from the lunate facet to the fracture line was measured on anteroposterior view. Radiologic change at the time of EPL rupture around the Lister`s tubercle was evalu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contra lateral wrist radiograph. Radial beak fracture pattern was also identified. Results: The interval between the injury and the spontaneous EPL rupture varied from 2 to 20 weeks, with an average of 6.7 weeks. There were 25 cases of non-displacement, 3 cases of mean 2.0 mm cortical displacement.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lunate facet to the fracture line was 9.1 mm (3-12.1 mm), from the highest point in Lister`s tubercle to the fracture line was 3.0 mm toward proximal radius (1.7-4.9 mm). The average height of the Lister`s tubercle was 3.4 mm in the injured wrist and 3.1 mm in the opposite wrist. Radial beak fracture pattern was shown at 11 cases. Conclusion: All cases presented no or minimal displaced fracture, and the fracture line was in the vicinity of the Lister`s tubercle. Those kinds of fractures can highlight the possibility of spontaneous EPL rupture, depites its rarity.

      • KCI등재

        족부 및 족관절부 연부조직 재건을 위한 전외측 대퇴 천공지 피판술의 임상결과

        한수홍(Soo-Hong Han),홍인태(In Tae Hong),이요한(Yohan Lee),조용길(Yong-Gil Jo),권영우(Young Woo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1

        목적: 족부 및 족관절부의 연부조직 결손은 해부학적 한계와 기능적 특성상 선택할 수 있는 재건술의 폭이 비교적 적은 편으로 미용 및 기능적 필요로 인하여 동일 하퇴부의 추가 반흔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 그 선택의 폭은 더 줄어들게 된다. 저자들은 이런 경우 전외측 대퇴 천공지 피판술을 시행하였고 그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16예가 대상에 포함되었고 남자 12명, 여자 4명, 평균 나이는 34세였다. 연부조직 결손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으로 9예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33개월이었고 피판의 평균 크기는 146 cm²로 피판의 생존 및 합병증, 보행 여부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16예의 피판 중 15예는 성공적으로 생존하였으며 1예에서는 환자의 조기 보행으로 인한 천층 일부 괴사로 피부이식술을 추가하여 호전되었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보조 기구 없이 독립 보행이 가능하여 피판이 보행에 지장을 준 경우는 없었고 최종 추시까지 잔존하는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족부 및 족관절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에 있어 이차 치유나 단순 봉합, 또는 유경 피판술 등의 방법으로 피복이 어려운 경우 전외측 대퇴 천공지 피판술은 안전하면서도 얇게 결손 부위를 피복할 수 있어 유용한 유리 피판술로 생각된다. Purpose: Soft tissue reconstruction of a defect around the foot and ankle is a particularly challenging procedure due to the anato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area. Hence, only a limited number of treatment options are available. Moreover, if patients wish to avoid additional scars on the ipsilateral lower leg for cosmetic reasons, even fewer options are available for treatment. The authors used an anterolateral thigh perforator flap for soft tissue defects in this area, when other surgical options were inadequa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and the efficacy of this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cases of soft tissue defects around the foot and ankle were included. Participants included 12 male and 4 female subjects, and the mean age was 34 years. The most common cause of defect was acute trauma,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Flap survival time, surgical complications, and ambulation status at the final follow-up stage were evaluated. Results: All 16 flaps successfully survived, except for one case with partial flap necrosis that was thought to be due to weight bearing earlier than scheduled. All patients were able to walk independently without any aid at the final follow-up stage. No patients showed other significant surgical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anterolateral thigh perforator flap is a good alternative for soft tissue defects of the foot and ankle, when other options are not applicable.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surgery using an anterolateral thigh perforator flap is safe and highly reliable.

      • KCI등재

        하지 골절과 동반된 연부조직 결손 재건을 위한 역행성 비복동맥 피판술

        한수홍(Soo-Hong Han),홍인태(In-Tae Hong),최성주(SeongJu Choi),김민욱(Minwo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3

        목적: 하지, 특히 정강이 앞 부분이나 발, 발목에서의 연부조직 결손은 피복에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하지의 개방성 골절 또는 폐쇄적 골절 후 수상부위에 발생한 다양한 연부조직 결손에 대하여 역행성 표재 비복동맥 피판술을 사용하여 피복을 시행한 예들을 수집, 분석하여 그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부터 2018년 4월까지 하지의 골절 후 수상 부위에 발생한 연부조직 결손에 대하여 역행성 비복동맥 피판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최소 6개월 추시가 가능했던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8개월이었다. 8예는 개방성, 다른 8예는 폐쇄적 골절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연부조직 결손이 발생했다. 피판의 평균크기는 51.9 cm²였으며, 가장 큰 피판의 크기는 10×15 cm²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수술 후 피판의 생존 여부와 추가 술식,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이식 피판은 모두 생존하였으며, 공여부에 별다른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수술 후 단기 추시 당시 1예에서 경계부의 부분 괴사 소견이 발견되었으나 변연절제술과 1차 봉합을 통해 회복되었다. 다른 1예에서는 혈종이 발생하여 추가로 혈종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추시기간 내 피판은 성공적으로 생존하였다. 이식부의 미용적 목적으로 피판 축소수술이 3예에서 시행되었고, 피판부를 절개하고 접근하여 내고정물을 제거하거나 추가적 내고정술을 시행한 건이 3예였었다. 결론: 역행성 표재 비복동맥 피판술은 하지 골절과 동반된 연부조직 결손의 치료에 있어 적극적 적용을 고려할 만한 유용한 술기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Soft tissue defects of the distal lower extremity are commonly accompanied by a fracture of the lower extremities. Theses defects are caused by the injury itself or b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urgical treatment of the fracture, which poses challenging problem. The reverse superficial sural artery flap (RSSAF) is a popular option for these difficult wounds. This paper reviews these cases and reports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03 and April 2018,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RSSAF for soft tissue defects of the lower third of the leg and ankle related to a fracture were reviewed. A total of 16 patients were involv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 months. Eight cases (50.0%) of the defects were due to an open fracture, whereas the other eight cases (50.0%) w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 after closed fracture. The largest flap measured 10×15 cm² and the mean size of the donor sites was 51.9 cm². The flap survival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All flaps survived without complete necrosis or failure. One case with partial necrosis of the flap was encountered, but the wound healed after debridement and repair. One case had a hematoma with a pseudoaneurysmal rupture of the distal tibial artery. On the other hand, the flap was intact and the wound healed after arterial ligation and flap advancement. A debulking operation was performed on three cases for cosmetic reasons and implant removal through the flap was performed in three cases. No flap necrosis was encountered after these additional operations. Conclusion: RSSAF is a relatively simple and safe procedure for reconstructing soft tissue defects following a fracture of the lower extremity that does not require microsurgical anastomosis. This can be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soft tissue defects on the distal leg, ankle, and fo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