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홍성두 ( Sung Doo Hong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해서 타이포그래피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에 의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문자의 배열상태나 레이아웃이나 디자인을 말하는데, 이는 장애학생들의 학습자 특성에 맞게 적절한 교재의 형식을 제공하여 장애학생들의 읽기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포그래피와 관련하여 타이포그래피의 개념과 타이포그래피의 기초개념인 시각적 사고의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타이포그래피 연구가 특수교육분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타이포그래피 연구는 시각적 자극, 추상개념의 형상화 웹페이지 구축, 유니버셜 디자인, 교과서 및 교재 구성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es about typography for improving the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ypography is the art, craft and techniques of type design, modifying type glyphs, and arranging type. Type glyphs (characters) are created and modified using a variety of illustration techniques. The arrangement of type is the selection of typefaces, point size, line length, leading (line spacing) and letter spacing. As reviewing related studies on typography published in national/international journals, we wer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visual thinking and concept of typograph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연구를 위한 베타분포의 활용방안 탐색

        홍성두 ( Sung Doo Hong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지적장애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상당수의 많은 데이터는 모집단의 편포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적 장애 연구의 대부분은 정규성 가정을 전제로 하는 정규분포의 표집분포인 χ2분포, t분포, F분포에 기반한 통계 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단언컨대, 이는 검정력상에 문제를 야기시키고, 1종오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 연구 분야에서 비정규분포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 방법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비정규분포중 지적장애 학생들의 모집단이 흔히 보이기 쉬운 좌경비대칭 분포(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를 형성할 수 있는 분포 형식이 베타분포(Beta distribution)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타분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자료가 비정규성을 가질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표본의 크기와 검정력 차원에서 검토하고, 베타분포의 여러 가지 수리적 특성을 소개하고, 지적장애 연구 분야에 있어서 베타분포의 활용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n Beta distribution for research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Many research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encountered 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 in many applications of research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most of them didn`t considered the peculiarity of 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 In this paper, we explained problems about a incorrect hypothesis of normality test for research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beta distribution for researches about 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 by mathematical procedure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about beta distribution for research ab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lthough beta distribution with bayesian method had some disadvantages, it could be used to in actual research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증거기반교수의 개념과 연구적 타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홍성두 ( Sung Doo Hong ),여승수 ( Seung Soo Y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증거기반교수(Evidence-Based Instruction or Evidence- Based Practice)는 특수교육분야에서 최근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 중 한가지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현장전문가들과 연구자들은 어떤 교수를 증거기반교수로 정의할 수 있는지와 증거기반교수를 결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는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거기반교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특수교육뿐만 아니라 의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증거기반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조작화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증거기반과 관련된 핵심주제 중에 한 가지인 연구적 증거 확보에 관한 몇 가지 논쟁점을 cook 등(2009)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관련된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in the view of applications of research based practice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surprisingly, teachers and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debate both the defini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and processes of identifying evidence-based practices. Considering these issues mention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defining evidence-based practices in other areas of medicine, clinical psychology, and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some issues on verifying research evidence that is one of important topics in evidence-based practi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학습장애 대상 쓰기 연구에 대한 효과 -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

        홍성두 ( Hong Sung Doo ),정광조 ( Jung Kwang Jo ),조은혜 ( Jo Eun Hy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습장애 대상 쓰기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대상연구 42편을 대상으로 PND 효과 크기를 통한 메타분석과 증거 기반의 실제에 부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종속변인이 필기 및 기초기능인 연구들은 아주 효과적이며(PND=96.58%), 기타 종합적인 능력(PND=85.17%), 단어 수준의 작문 (PND=79.72%) 그리고 문장 수준의 작문(PND=75.17%)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변인에서는 과정중심쓰기전략이 문장 및 단어 수준에서는 효과적인 중재(PND=84.83%, 89.24%), 자기교수 및 자기조절전략은 문장 및 단어 수준에서는 효과적인 중재(PND=81.57%, 83.44%) 그리고 필기 및 기초기능 수준 그리고 기타 종합적인 능력에서는 아주 효과적인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PND=100%). 또한, 정보화기기 활용전략은 문장 및 단어 수준에서는 효과적인 중재가 아니지만(PND=67.52%, 70.00%), 필기 및 기타 종합적인 능력에서는 아주 효과적인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PND=96.67%, 89.71%). 마지막으로 또래 활용전략은 문장 및 단어 그리고 기타 종합적인 능력에서 비효과적인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PND=53.45%, 54.01%, 44.38%). 마지막으로 총 42편 중에서 22편의 연구들은 증거 기반의 실제 정도에 부합하였지만, 나머지 20편의 연구들은 증거 기반의 실제 정도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학교와 가정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증거-기반의 실제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rit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 writ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choose 42 single-subject researches, Meta-analyse using Percentage of Non-overlapping(PND) methods and investigate whether correspond with evidence-based practice. Results of analysis, written and basic skills intervention is most effectively dependent variable category. Furthermore, sentence-level, vocabulary-level, and another dependent variables are verified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independent variable category, process writing approach and self-instruction intervention are confirmed in effective program. But information equipment utilizing strategy and peer assistance strategy are verified ineffectually. Finally, 22 studies are meeting the requirements on evidence-based practice, but 20 studies are not satisfied the condition on evidence-based practice. From now on, statistically confidential and various effect size must be exercised for single-subject meta-analysis, through that comparison, it is necessary to suggesting evidence-based practice for confirm about effective intervention.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홍성두 ( Sung Doo Hong ),여승수 ( Seung Soo Y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주된 연구목적은 잠재성장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중재반응모형이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하위 유형 분류에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판별모형인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36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수학(BASA-Math; 김동일, 2006)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수학능력을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수학학습장애위험군 학생들의 하위유형에 따른 발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성장계층모형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Tier 1에서는 4개의 그룹으로 발달적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고, Tier 2에서는 2개의 하위그룹으로 발달적 특성이 구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잠재성장계층모형을 사용하면 중재반응모형을 통한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가 가능하고, 이들의 발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교육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math. Participants included 236 students in Grade 3, monitored across 15 weeks using CBM math. Latent growth class analysis(LGCA) was employed to investigate whether distinct classes of participants at risk for math could be identified. As a result, in Tier 1, LGCA produced four classes of participants based on data from 1-5 weeks. In Tier 2, two classes were identified based on CBM math data collected on 10 measure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LGCA was a useful tool to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math.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 타당화

        홍성두 ( Hong Sung Doo ),유인지 ( Yoo In J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2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주체가 아닌 주변인과 같은 위치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 같은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학급 교사에게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가 제대로 타당화된 적이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수렴타당도는 어떠한가? 셋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변별타당도는 어떠한가? 넷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학급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을 총 3개 하위변인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구조에 의해서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공인타당도를 활용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교사 효능감 척도, 직무 스트레스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와 교사 효능감 척도간의 정적 상관는 유의하게 나타나서,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직무 스트레스 척도와는 부적 상관도 유의하게 나타나서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lidity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Four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 how is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Second, how is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Third, how is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cale? Forth, how is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101 teachers of special class were survey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relation with Self-efficacy Scale, and Stress Scale. The scales proved good in every index.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 TLI, RMR and RMSEA were examined for the scale, validity turned out good.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good. As a result of concurrent validity, th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Scale,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Sca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turned out to be a valid questionnair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ossible follow-up research a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국외 중도・중복장애 초등학생 학업 중재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연구

        홍성두 ( Hong Sung Doo ),김주선 ( Kim Joo S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중도·중복장애 초등학생의 학업 중재에 대한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학업 중재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학생 학업 역량에 대한 과소평가로 학업 중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초등학생의 학업 향상을 위해 교육 장면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국외 단일대상연구들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7개의 선정 및 제외 준거를 설정하고 준거에 따라 최종 3편의 논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에는 학업 관련 사례가 총 12개로 나타났으며, 중재 효과 크기는 비중복비율 방법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는 성별, 나이, 장애 특성 및 의사소통 특성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변인별 차이는 나이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이의 경우, 고학년 학생이 저학년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중재 효과를 보였다. 중재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는 독립변인, 종속변인, 중재 제공자를 중심으로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독립변인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종속변인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인 읽기 이해력 변인이 타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 특성 변인에 따른 효과 크기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증거기반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각 연구의 질적 수준을 CEC 질적 평가지표를 통해 검토한 결과 96~10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 편의 연구는 100%를 보였으나 두 편의 연구에서 각각 중재 기간 정보 미제공으로 96%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중도·중복장애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need for academic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the wide variety of information on academic interventions and underestimation of student academic competence, academic interventions are not actively fulfill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rvention effects of single-subject studies abroa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scene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To examine the researches, 7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t and finally 3 researched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analysis. A total of 12 academic-related cases were found in the selected researches, and the intervention effect was calculated using the non-overlapping ratio method. As a resul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was examined by gender, age,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y each variabl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xcept 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o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interventionist, the reading comprehension variable, which is the most difficult task in dependent variables, 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variabl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Finally, in order to provid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examined through CEC qualitative indicators, which was very high, 96~100%. On the basis of theses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장애 유무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홍성두 ( Hong Sungd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단축형을 비장애 학생 집단과 발달장애 학생 집단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검사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먼저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검증을 통한 검사의 구인동등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 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156명의 연구대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중 남학생은 91명, 여학생은 65명이었으며, 비발달장애학생은 107명, 발달장애학생은 49명이었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발달장애 유무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가 발달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발달장애학생과 비발달장애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발달장애 유무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유무를 고려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타당화 했다는 점과 척도의 오차를 반영하여 집단 간의 잠재평균의 차이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다른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발달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또 교사들은 각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여 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 유무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점은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onstruct equival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 using multi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cording to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56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ccording to the result,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were verified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refore, the scale could be used for student regardles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by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latent means between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Also, non-handicapped stude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From these results, meaningful suggestions regarding measur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an be made. First,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an know their exa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and they can refer to this for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reover, educators can identify each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and acquire the core information to develop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s between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 could be a basis for developing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gram according to dis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