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 탐색 연구 -Big 5 성격 요인을 중심으로-

        홍성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5개 지역 6개 중고등학교 총 3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 개인별 전체 학업성취 평균 성적을 알아보고, 성격 5요인에 근거한 NEO 청소년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성격 5요인의 변화추이,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 성격 요인 파악, 학습장애 위험군 유무에 따른 성격 5요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기술통계, 시각적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성격 5요인 중 성실성과 신경증이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체계적인 증감을 보였고, 성격 5요인 중 학업성취에 유의한 관련성을 지닌 성격 변인들로써,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성격 요인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onality trait of At-Risk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ll 317 adolescents were tested NEO-PI-R: Korean version. And on the basis of test data collected for understanding about personality traits of At-Risk adolescents and comparison between At-Risk and Non At-Risk adolescents,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were main factors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t-Risk adolescents and identifying whether At-Risk adolescents or not.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장애대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국내외 원격교육 지원 상황 연구

        홍성두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7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distance education support for guaranteeing the right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riencing serious difficulties through the COVID-19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the Ministry of Education - universities - learners – teachers. And, based on these contents, we tri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a distance education support plan in Korea. To this end, we reviewed the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response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e case of establishing a plan to support distance education by domestic universities, the case of online learning strategy for learners, and the case of guidelines for developing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professor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made six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2020,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ies in Korea showed great adaptation and change in the establishment of response strategies and distance education support plans in 2021.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here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implemented for a long time, the specificity of the guidelines and plans is much lower. In overseas cases, specific 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 development guidelines were prepared for distance education learners and instruct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 First, in order to support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pecific guidelines for developing content for distance education in countries that have been implementing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a long time. Second, the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integrated educational situation within the university. Third, dista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s a program that can mix face-to-face + non-face-to-face as much as possible.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fessors. Fifth, each university should prep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use remote classes on how to use various software when using their own learning management system content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를 통해 교육권, 건강권, 거주권 등 다양한 권리 측면에서 심각한 침 해를 당하고 있는 장애대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국내외 원격교육 지원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 교육부, 대학, 학습자, 교수자 측면에서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지원 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원격교육 지원 방안을 수립할 때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의 권고사항, 교육부의 대응, 국내 대학의 원 격교육 지원 계획 수립 사례, 장애대학생 학습자들을 위한 온라인 학습전략 사례, 장애대학생 교수자를 위한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지침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국제기구에 서는 장애인들의 교육권과 관련된 핵심 권고 사항을 국제사회에 제시하였다. 이런 국제사회의 대응과는 별개로 우리나라 교육부와 대학에서도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런 원격교육 지원 계획 수립의 노력들은 코로나19 대응 초기였던 2020년에 비해 2021년에 더욱 커다란 적응과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장애대학생들의 원격교육을 오랫동안 실 행했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지침이나 계획들의 구체성이 떨어졌다. 반면에 해외 의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원격교육 지원 사례에서는 장애대학생 원격교육 학습자와 교수자를 위 한 구체적인 학습전략과 콘텐츠 개발 지침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 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장애대학생 원격교육을 오랫동안 실행해 온 여러 국가들의 구체적인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 지침들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은 대학 내 통합교육적 상황을 고려한 유니버셜 디자인을 기초로 하는 것이어야 한 다. 셋째, 장애대학생들의 원격교육은 최대한 대면+비대면 혼합 가능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부는 장애대학생들과 교수자들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각 대학들은 자체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할 때마다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종 소프트 웨어 사용 방법에 대한 원격수업을 장애대학생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장애대학생의 교수학습권 측정도구의 타당화

        홍성두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3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o on to colleg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developing various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ough these polic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presenting effective plans to guarantee and support the educational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validated scale to determine whether these plans are improving the educational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reas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igher education studies on the educational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questionable. It is also questionable whether the policy made based on these studies on the right to education is justified.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lidity of the scale for measuring the right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measuring the right to teaching and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454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urvey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 TLI, SRMR and RMSEA were examined for the scale, validity turned out good.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goo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cale for measuring the right to teaching and learning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urned out to be a valid and reliable scale.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대학으로 진학하는 장애학생들의 비율이 점차 증가해왔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도 장애인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통해 장애대학생들의 교육권을 보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내실화 방안들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이런 내실화 방안들이 장애대학생 당사자 입장에서의 교육권을 증진시키고, 실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제대로 타당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로 인해 장애대학생 교육권 관련 고등교육 연구들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의심스럽고, 이런 연구들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권 관련 정책방안들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생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교수학습권 측정도구를 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애 대학생 교수학습권 측정도구를 구성하는 문항의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장애 대학생 교수학습권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셋째, 장애 대학생 교수학습권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이 연구문제들을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장애대학생의 교수학습권을 측정하는 데에 많이 활용한 국립특수교육원의 ‘장애학생 교육권 지수' 척도를 활용하여 장애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기준으로 연구 문제에 따라 각각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장애대학생 교수학습권 측정도구는 총 4개요인(총 12개 문항)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체 12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가 .933으로 높은 신뢰도 결과를 보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장애대학생 교수학습권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모형 적합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구조를 활용한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결과도 매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연구에 있어서 사례기반추론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홍성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 application of case-based reasoning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research. Case-based reasoning is the process of solving new problems based on previous experiences and difficult situations. In the special education, case-based reasoning might be useful due to the fact that the most cases of special education are considered a set of very unique and unusual sit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is of use in identifying disabilities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Finally, implication fo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특수교육연구에 있어서 사례기반추론의 적용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사례기반 추론은 인간이 새로운 문제 상황에 직면해 있을때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직면한 문제를 분석하여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 내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말한다. 사례기반 추론은 특수교육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특수교육분야의 사례는 대부분 정형화하기 힘든 예외적인 지식들을 다루는 독특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이런 조건에서는 일반적인 추론 양식인 규칙기반추론 보다는 사례기반 추론 방식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진단 및 평가분야에서 사례기반추론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본연구의 교육학적 함의와 향후연구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의 타당화

        홍성두,이재열,유인지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burnou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factors and items of the scale? Second, what is validity of the scale? Third, what is reliability of the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measurement scale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burnout, 101 teachers of special class were surveye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relation with factors and items of the scal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 TLI, RMR and RMSEA were examined, validity was satisfying.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gent, discriminant, concurrent validity was acceptab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measurement scale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burnout was valid and the questionnaire was reliab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research were also provided. 개별 학생의 장애 특성과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교육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특수교사는 스트레스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극도의 직무 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소진 상태를 초래하게 되는데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직무 스트레스 간에 관계는선행연구들을 통해 다양하게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가 타당화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수학급 교사들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측정도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충분히 타당화하지 않고 기존에 개발된 외국의 측정도구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거나 내용타당도만을 고려하여 문항의 일부를 수정혹은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를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 심리적 소진을 구성하는 요인과 요인 내 문항은 무엇인가? 둘째, 특수학급 교사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셋째, 특수학급 교사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이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는 데에 많이 활용되어온 ‘Maslach Burnout Inventory’(Maslach & Jackson, 1981)를 특수학급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통해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특수학급 교사 심리적 소진측정도구는 총 3개 요인(총 11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전체 11개 문항의 신뢰도는 .860으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심리적 소진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내적 구조에 의한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도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공인타당도 또한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