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 공 복합 선형점 자료의 분석을 위한 시각화시스템의 개발

        홍상기(Sang Ki Hong) 한국도시지리학회 199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 No.1

        Point patterns, the locations of particular events mapped as points in a study area, are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spatial patterns. The term linear points refers to points that occur exclusively on a line or a set of tines. The location of traffic accidents in a road network is a good example of linear point data. This study develops an interactive visualiz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linear point data to identify spatial, temporal, and spatiotemporal patterns. The visualization system consists of modules that allow the user to interactively query and display the various attributes of the data. The central module in this system, the point visualization module, allows for easy query construction through point and click methods. The results of these queries are instantaneously posted to the visual display. Using the vertical axis of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facilitates visualization of the temporal components of the data. Further exploration of the temporal dimension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temporal slider and slide show tools.

      •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개발 전략 연구

        홍상기(Hong Sang-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0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기반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7대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개발을 위해 플랫폼의 비전을 설정하고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 기본지리정보 활용 활성화방안 연구

        홍상기(Sang-Ki Hong),안종욱(Jong-Wook Ah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5

        정부는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 GIS에 기본이 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연차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2001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기본지리정보의 활성화를 위해 2003년부터 교통(도로)분야, 2004년 수자원분야의 기본지리정보를 전국단위의 연속적인(seamles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제1단계 기본지리정보구축의 목표는 국가지리정보 수요자가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GIS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가장 기본이 되고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지리정보를 구축해서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제1단계 기본지리정보구축사업의 목표가 기본지리정보의 구축에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유지관리 및 활용방안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지리정보 활용의 활성화방안 마련을 위해 효율적인 기본지리정보 유통방안과 민간부문과의 협력체계 확대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기본지리정보 유통방안으로는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온라인 유통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온라인 유통방안 중 기본지리정보 통합관리기관이 기본지리정보 통합관리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집중식의 유통방안이 현 시점에서는 효과적인 유통방안인 것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기본지리정보 유통가격과 관련해서는 활용활성화 측면에서 차별가격, 단계별 가격, 저작권료 적용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기본 지리정보구축사업의 홍보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협력체계 확대구축방안으로는 현재의 기본지리정보 구축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추진협의회를 활용활성화 측면에서 활용기관인 지자체 및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업체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때 파트너십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다. 셋째, 기본지리정보 활용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개선방안으로는 기본지리정보 정의 및 분야 그리고 항목의 재정비 방안, 그리고 품질향상방안, 표준정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해양 지리정보 피쳐 카탈로그 작성에 관한 연구

        홍상기,윤석범,Hong, Sang-Ki,Yun, Suk-Bum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6 No.1

        GIS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GIS 데이타에 대한 표준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국제표준화기구 산하 지리정보전문위윈회(ISO/TC211)에서 제정중인 ISO 19100 시리즈 표준들과 OpenGIS 컨소시엄에서 만들어내고 있는 각종 명세서(Specifications)는 표준화를 통한 지리정보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양GIS 분야의 표준화도 이런 맥락에서 시급한 과제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해양GES 사업에서 구축되는 데이터에 대해 일관된 의미를 사용함으로써 각 사업간 연계를 원활히 하고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양지리성보에 대한 공통 피쳐 카탈로그(Feature Catalogue)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피쳐 카탈로그의 전반석인 개념 및 구성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국내외의 다양한 분야와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해양지리정보 피쳐들의 목록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에서 사용되고 있는 피쳐들의 목록을 조사.분석하여 해양지리정보시스템(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국가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피쳐들의 목록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해양 지리정보 공통 피쳐들을 도출하고 피쳐의 분류체계, 코드체계를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피쳐들을 공통피쳐 카탈로그로 작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도출된 피쳐들을 표준 등록소에 등록할 수 있는 XML 스키마를 개발하였으며 XML 스키마를 토대로 피쳐들을 표준 등록소에 등록할 수 있는 등록 도구를 개발하였다.cm^3$로 가정했을 때, 경상분지의 화강암류의 압력평균값이 약 $0.73{\sim}3.16kbar$의 범위를 가졌고,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의 정치 깊이는 $2.6{\sim}11.4km$범위를 가졌다. 이는 경상분지 화강암류에 대해 유추된 기존의 정성적인 생각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각섬석의 $Al^T$함량을 이용한 여러 경험적, 실험적인 압력계가 많은 제한점이 있지만 경상분지의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에는 정성적으로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최종적으로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는 천부관입 암체이고 노출된 화강암류가 천부지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것이 아니라 낙관적 예측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Standards are essential to facilitate the efficient use of GIS data.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TC211's 19100 series and various technical specifications from OpenGIS Consortium are some of the examples of effort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among GIS applications. Marine GIS is no exception to this rule and in this context. developing standards for marine GIS is also in urgent needs. Using the same meaning and definition for the features commonly found in marine GIS applications i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interoperability among systems. One of the key requirements for maintaining the standard meanings for features is to build a common feature catalogu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feature catalogue and describe the ways in which the feature catalogue can be organized. To identify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various marine GIS applications, a comprehensive search has been made to collect and analyze the feature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with the National GIS (NGIS) system, the features used in various NGIS applications have been analyzed as well.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are used to create a comprehensive list of common features for marine GIS. This paper then explains the common feature catalogue for marine GIS and the provides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s for the common features. In addition, a registration tool for registering the common features into the standard registry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Web-based tool can be used to input features into the feature catalogue by various applications and also to maintain a standard-compliant feature catalogue by standard ag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