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upuncture Stimulation to HT8 Enhances Cell Proliferation in Hippocampus on an Epilepsy Mouse Model

        김승태,박해정,홍미숙,김승남,두아름,인창식,이혜정,정주호,박히준,Kim, Seung-Tae,Park, Hae-Jeong,Hong, Mee-Sook,Kim, Seung-Nam,Doo, Ah-Reum,Yin, Chang-Shik,Lee, Hye-Jung,Chung, Joo-Ho,Park, Hi-Joon Society for Meridian and Acupoint 2010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8 No.2

        목적 : 뇌의 신경세포 증식은 해마 치상회와 뇌실하영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Kainic acid(KA)를 이용한 간질 동물모델을 연구하던 중 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현상을 발견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수컷 ICR계 생쥐를 Saline(n=8), KA(n=8), KA+Acu(n=8)의 세 군으로 나누고, 모든 생쥐들에게 KA 주입 3일 전부터 1일 1회씩 5'-bromodeoxyuridine(BrdU)을 3일간 주입하였다. Saline군에는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뇌실 내에 주입하였고, KA군 및 KA+Acu군에는 $0.1{\mu}g$의 KA를 뇌실 내에 주입하였으며, KA+Acu군에 속한 쥐들에게는 KA 주입 2일전, 1일전, 주입 직후에 양쪽 소부(少府)(HT8)에 자침하였다. KA 주입 3시간 후 쥐의 뇌를 적출하고 해마 치상회부위의 BrdU 및 neuropeptide Y (NPY)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결과 : 소부(少府) 자침이 KA의 독성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파괴를 줄여주었으며, BrdU 양성 세포 및 NPY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KA 주입시 세포증식이 일어나긴 하나, 3시간 안에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결론 : 소부(少府) 자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을 촉진하며, 이는 KA의 효과가 아닌 KA 투여 전 소부(少府) 자침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마우스 간질 동물모델에서 소부혈 자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김승태 ( Seung Tae Kim ),박해정 ( Hae Jeong Park ),홍미숙 ( Mee Sook Hong ),김승남 ( Seung Nam Kim ),두아름 ( Ah Reum Doo ),인창식 ( Chang Shik Yin ),이혜정 ( Hye Jung Lee ),정주호 ( Joo Ho Chung ),박히준 ( Hi Joon Park ) 대한경락경혈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7 No.2

        목적: 뇌의 신경세포 증식은 해마 치상회와 뇌실하영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Kainic acid(KA)를 이용한 간질동물모델을 연구하던 중 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현상을 발견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수컷 ICR계 생쥐를 Saline(n=8), KA(n=8), KA+Acu(n=8)의 세 군으로 나누고, 모든 생쥐들에게 KA 주입 3일 전부터 1일 1회씩 5`-bromodeoxyuridine(BrdU)을 3일간 주입하였다. Saline군에는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뇌실 내에 주입하였고, KA군 및 KA+Acu군에는 0.1μg의 KA를 뇌실 내에 주입하였으며, KA+Acu군에 속한 쥐들에게는 KA 주입 2일전, 1일전, 주입 직후에 양쪽 少府(HT8)에 자침하였다. KA 주입 3시간 후 쥐의 뇌를 적출하고 해마 치상회부위의 BrdU 및 neuropeptide Y (NPY)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결과: 少府 자침이 KA의 독성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파괴를 줄여주었으며, BrdU 양성 세포 및 NPY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KA 주입시 세포증식이 일어나긴 하나, 3시간 안에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결론: 少府 자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을 촉진하며, 이는 KA의 효과가 아닌 KA 투여 전 少府 자침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알코올 의존에서 Catalase 유전자 다형성의 연합 연구

        이해원(Hae-Won Lee),오동열(Dong-Yul Oh),홍미숙(Mee-Sook Hong),정주호Joo-Ho Chung),김종우(Jong-Woo Kim)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03 중독정신의학 Vol.7 No.2

        Objective: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free radicalmediated CNS neuronal dysfunction is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alcoholic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defense system and alcoholics by analyzing polymorphism of catalase gene, an antioxidant enzyme. Method: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in promoter region in the catalase gene using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were studied between 117 Korean controls and 94 Korean alcoholics. Results: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lcohol dependent patients and the controls in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HinfI polymorphism in the catalase gen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lcohol dependent patients whose age of first drinking are 18 years old or less and the normal controls in th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y. Conclusions:The results do not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 of catalase gene and alcoholics.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HinfI polymorphism in the catalase gene could be associated with early age of first drinking in alcoholics.

      • KCI등재

        소부혈(少府穴) 자침(刺鍼)이 Kainic Acid로 유도(誘導)된 간질(癎疾) 동물(動物)모델의 해마(海馬) 치상회(齒狀回)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승태 ( Seung Tae Kim ),정주호 ( Joo Ho Chung ),정우병 ( Wu Byung Jeong ),김장현 ( Jang Hyun Kim ),강민정 ( Min Jung Kang ),홍미숙 ( Mee Sook Hong ),박해정 ( Hae Jeong Park ),김연정 ( Yeon Jung Kim ),박히준 ( Hi Joon Park ),이혜 대한경락경혈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4 No.4

        Objectives: Epilepsy is one of the most common serious brain disorders that affect people of all ages, and it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unprovoked seizures. We examined whether acupuncture can reduce both the incidence of seizures and hippocampal cell death in dentate gyrus (DG) using a mouse model of kainic acid (KA)-induced epilepsy. Methods: ICR mice (20~25g) were given acupuncture once a day at acupoint HT8 (sobu) bilaterally during 2 days before KA injection. After an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0.1μg of KA, acupuncture treatment was subsequently administered once more (total 3 times), and the degree of seizure was observed for 20 min. Three hours after injection, we confirmed the neural cell death using cresyl violet staining and silver impregnation staining, and determined the expressions of c-Fos and glutamate decarboxylase (GAD)-67 using immunohistochemistry techniques in the DG. Results: KA induced epileptic seizure, neural cell death, increased c-Fos expression and decreased GAD-67 expression in the DG. Acupuncture treatment at HT8 reduced the severity of the epileptic seizure and inhibited neural cell death from KA. In addition, acupuncture normalized the expressions of c-Fos and GAD-67 in the same areas.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cupuncture treatment at HT8 may reduce the KA-induced epileptic seizure and neural cell death in the DG possibly by normalizing c-Fos expressions and the gamma-aminobutyric acid neurons.

      • KCI등재

        한국인 남성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DLX6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간 연관성 연구

        김현근(Hyoun Geun Kim),원성식(SeongSik Won),이승구(Seung Ku Lee),남민(Min Nam),방희정(Hee Jung Bang),박현정(Hyun Jung Park),윤진영(Jin Young Yoon),최경식(Kyung-Sik Choi),홍미숙(Mee Sook Hong),정주호(Joo-Ho Chung),곽규범(KyuBum Kwack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1 No.1

        Objectives: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abnormalities of social functioning, communication and behavior. The association of the 7q21-34 region with ASD has been reported. The DLX6 gene, which is located at the 7q22 region, is one of the positional and functional candidate genes for ASD. We found that there is no association between DLX6 polymorphisms and ASD in the Korean male population. Methods:We selected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hat might be implicated in the change of the DLX6 gene expression. The genomic DNA was collected from the venous blood of 147 male controls and 179 male patients with ASD. The genotypes of the selected SNPs were determined using the Illumina GoldenGate assay, and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HapAnalyzer software and SAS Enterprise. Results:We found no association of the three SNPs in the DLX6 gene with ASD in the Korean male population. Conclusion:Our study suggests that the three SNPs in the DLX6 gene are not associated with ASD, and we need to analyze the previously reported regions for their associations with ASD.

      • 한 남자에서 수면 박탈 시 cDNA Microarray 분석에 의한 유전자 발현

        정영철,홍미숙,정주호,김종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2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약 8000개 이상의 사람의 주요 유전자를 검색할 수 있는 TwinChip Human 8K cDNA miceoarray를 이용하여, 수면 박탈이 이러한 주요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대량으로 확인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Mendelson이 시행한 수면 박탈 방법을 변형하여 4일간의 일정으로 수면 박탈을 시행하였으며 첫째날(baseline) 수면 박탈 시행전과 4일째 수면 박탈 실험 완료 후에 각각 혈액채취를 하였다. 수면 박탈전과 수면 박탈후에 채취한 혈액을 대상으로 단핵세포를 분리하여 RNA를 추출후 TwinChip Human 8K cDNA microarray 반응을 시킨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분석된 8287개의 유전자들 중 fluorescence ratio (Cy5/Cy3)가 3 이상인, 즉 수면 박탈 후 3배 이상 발현에 증가되었다고 볼수 있는 유전자는 NTS, RHAG, CLIPR-59, FLJ0849, Homo sapiens TFT-I interacting peptide 20mRNA, GRM3, ELK3, ETS-domain protein(SRF accessory protein 2), RBMS1 등으로 8개였고, fluorescence ratio(Cy5/Cy3)가 0.33 이하인, 즉 수면 박탈 후 3배 이상 발현이 감소되었다고 볼 수 있는 유전자는 ESTs, IL-2, ATP6V0A1, Homo sapiens cDNS FLJ31377 fis, clone NESOP100008, CYP11A, RECQL4, IGSF3, CGI-94, CALR 등으로 9개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에서 발현의 변화를 보인 유전자들을 RT-PCR이나 western blot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향후 수면의 다양한 양상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자세하게 알기 위해서는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연구가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leep deprivation on gene expression by cDNA microarray analysis. Methods : Subject of this study is one 27 years old mal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without sleep/wake complaints. Baseline blood sample was done at 09:00 of the day 1. Subject slept 4 hours on the day 1, 2 hours on the day 2. and total sleep, deprivation on the day 3. Blood samples was done in the morning of the day 4. Using cDNA microarray technique. gene expression profile was assayed. Results : There were 8 qenes up-regulated and 9 genes down-regulated after sleep deprivation Up-regulated genes were NTS(neurotensin), RHAG(Rhesus blood group-associated glycoprotein), CLIPR-59(CLIP-170-related protein), FLJ0849(hypothetical protein FLJ10849). Homo sapiens TTF-l interacting peptide 20mRNA, GRM3(glutamate receptor, metabotropic 3), ELK3 ETS-domain protein(SRF accessory protein 2) RBMS1(RNA binding motif, single stranded interacting protein 1) and down-regulated genes were ESTs, IL-2(interleukin-2), ATP6V0A1 (ATPase, Htransporting, lysosomal V0 subunit a isoform), Homo sapiens cDNS FLJ31377 fis, clone NESOP100008 CYPl1A(cytochrome P450, subfamily XIA cholesterol side chain)), RECQL4(RecQ protein-like 4), IGSF3(immuno-globulin suerfamily, member 3), CGI-94(CGl-94 protein), CALR(calreticulin).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not fully explain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with respect to the expression of certain genes, but the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involvement of sleep deprivation or gene expression profiles Further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ese genes by RT-PCR or Western bl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