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불일치가 전문대학생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미결정의 매개효과

        형정은(Hyung jung-eun),강선모(Kang sun-m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미결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588명(남: 270, 여; 318)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진로미결정, 안녕감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해 기초자료분석을 하였고 Amos 22.0을 이용해 구조모형 검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검증을 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전문대학생의 높은 자기불일치는 안녕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의 관계를 진로미결정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대학생에 안녕감에 연령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변인인 자기개념으로서 자기불일치가 연령 특수적 변인인 진로미결정을 통해서도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에 있어서 자기불일치 수준과 함께 진로미결정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determine career indecision as mediators. For this study, 588 college students(270 men & 318 Women)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set about self-discrepancy, career indecision, and well-being. Th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which could make work basic data structure model validly and AMOS 22.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indeci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elf-discrepancy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well-being had impacted on well-being directly. It indicated high self-discrepancy of college students decreased well-being. Second, career indeci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It indicated self-discrepancy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well-being impacts on well-being directly and career indecision as variable reflecting the age characteristics. This conclusion provid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both self-discrepancy and career indecision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well-being.

      • KCI등재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강선모(Kang Sun Mo),형정은(Hyung J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 determine self-discrepancy as mediators. For this study, 432 college students(215 men & 217 Women) in Busan answered the questionnaire set about family strength, self-discrepancy, and career indecision from March 2 to 11, 2017. Th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which could make work basic data structure model validly and AMOS 2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family strength as general variable for predicting career indecision had impacted on career indecision directly. It indicated high family strength of college students decreased career indecision. Second, self-discrepa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indecision. This indicated that the family health, which is the developmental aspect of the individual from the structure of the family, affects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elf-discrepancy, which is an individual internal aspect. This conclusion provid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both family strength and self-discrepancy when we prepare intervention strategy for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career indecision.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32명(남: 215, 여: 217)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2일부터 11일까지 가족건강성, 자기 불일치, 진로미결정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 21.0을 이 용해 기초자료분석을 하였고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모형 검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진로미결정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자기불일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구조로부터 오는 개인의 발달적 측면인 가족건강성이 개인 내적 측면인 자기불일치를 통해서도 전문대학생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상담을 하는데 있어서 가족건강성과 자기불일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명화(Myung-Hwa Cheong),형정은(Jung-Eun Hyung),조채영(Chae-Young J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58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1.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 가설과는 달리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주는 시사점을 논의를 통해 밝혔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college students’ self-discrepancy has an effect on their well-being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For this study,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on self-discrepancy,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were administered to 587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21.0 program. Firs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lf-discrepancy,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ir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Second, contrary to the research hypothesis, soc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학생포트폴리오 참여 확산을 위한 구성 항목개발 연구

        김진숙(Kim Jin Sook),조채영(Jo Chae Young),김경미(Kim Kyoung Mi),형정은(Hyung J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성과 동기적 측면에 초점을 둔 학생포트폴리오 구성항목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기 위한 활용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포트폴리오 선행연구와 동기이론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였다. 또한 부산 소재의 D전문대학교의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에 참여하여 수상 경험이 있는 학생 6명과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지도의 경험이 있는 교수 5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과 FGI를 통해 개발된 학생포트폴리오의 구성항목 및 활용방안에 대한 초안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완성된 학생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는 ‘프롤로그, 나를 이해하기, 전공능력키우기, 사회인으로서의 능력키우기, 직업세계입문하기, 에필로그’로 구분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이해 도구, 학업관리 도구, 예비사회인으로서 시민의식 개발도구, 직업기초능력 향상 도구, 취업준비도구, 셀프마케팅 도구로써 포트폴리오의 활동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을 자기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돕고 교수들이 학생포트폴리오를 지도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student portfolio mostly focusing on self-directedness and motivation, and to research the application plans for encouraging students to make the portfolio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we examined the literatures of advanced researches and motivation theory, and proceeded FGI(Focus Group Interview) of 6 students who won the prizes in student portfolio competition held at D college in Busan and 5 professors who have wide experiences of supervising such student portfolios to analyze the requirements. To validate the draft of the components and application plans for student portfolio, we sought for the improvement on the research and FGI through receiving professional advices. As the final result, the components of the student portfolio included ‘Prologue’, ‘Understanding Myself’, ‘Improving Ability Related to Major’, ‘Improving Ability of Social Skills’, ‘Entering Into Job World’ and ‘Epilogue’. We can use student portfolio in 6 fields, namely ‘self understanding’, ‘academic management’, ‘citizenship development’, ‘core competency’, ‘employment preparation’ and ‘self-marketing’. This study finds its meaning to help the students who are to make the student portfolio in self-directed way as well as the professors who supervise and evaluate thes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