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탁구선수의 운동특성과 스포츠 상해의 관계

        현주정(Hyun Joo Jung),안길영(Ahn Gil Young),고선혜(Ko Sun Hye) 한국여성체육학회 1998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12 No.-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xiety and sports injuries of table tennis play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ing-pong player`s movement and sports injuries, I conducted a survey based upon a randon sampling with 300 athelets, 50 athelets form each sex and each high school, college, and adult group. The result is as following : 1. There are three forms of sports injuries according to sex. The first one in skin injuries such as abrasion, blisters and boils. The second in muscle and tendon injuries such as cramps and bruise. The third one in injuries related to nerve and sensory organs like neuralgra and sight disorder. According to age, blisters mainly appeared as skin injuries, neuralgra and sight disorder as injuries related to nerve and sensory organs. There are also specified injuries according to the paddle holding style. Boils mostly appeared as a main skin inquiry, cramps and destruction of subcutaneous tissue as a main muscle and tendon injuries. The stat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rveyed groups according to sex, age and the paddle holding style mentioned above. 2. There were sports injuries related to intensity and frequency, respectively. According to frequency, there were abrasion, blisters, boils, rooting-out of fingernail and toenails for skin injuries. For muscle and tendon injuries, there were cramps and contusions, for joints, dislocation, damage of cartilage, arthritis and chronic joint distortion. In the nerve and sensory organs frequently appeared concussion of the brain, neuralgra, sight disorder and paralysis. According to intensity, all the sysmptoms and injuries appeared from all the three surveyed groups. 3. In the comparison by sex age, there were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lt;.01, p$lt;.001. The differences by sex revealed in the abdomen and the difference by age revealed in knee joints and feet. 4. In the comparison by the paddle holding style, there were statistically conspicuou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lt;.05. The differences appeared in upper limbs specifically arms and in lower specifically thigh. 5. In the comparison by intensity and frequency, there showed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head, upper limbs, lower limbs and feet.

      • KCI등재

        기억자극의 과제 무관련 세부특징 정보가 과제 관련 세부특징에 대한 시각단기재인에 미치는 영향

        현주석(Joo-Seok 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2

        시각단기재인 과정에 대한 유사성 합산 모형은 단기기억에 저장된 기억 표상들과 재인검사 자극간 유사성의 합산치가 재인의사결정을 좌우한다고 제안한다[1]. 본 연구는 수직 공간주파수를 달리하는 두 Gabor 자극에 대한 공간주파수 재인 과제에서 과제와 무관한 기억자극의 위치 정보가 재인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의 매 시행에서 참가자는 시야 좌우에 제시된 서로 다른 두 Gabor 자극의 공간주파수를 기억하고 약 1초 뒤에 제시된 재인검사 자극과의 동일성 여부를 보고하였다. 재인검사 자극은 기억 항목과 동일하거나 기억된 항목을 기준으로 공간주파수 차원에서 1 또는 4 최소식별단위 만큼 표적과 유사한 미끼자극이었다. 또한 재인검사항목이 제시되는 위치는 재인이 요구된 기억항목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하거나 혹은 반대편 시야 위치에 제시되었으며, 참가자는 검사자극의 위치변화를 무시하고 공간주파수 차원의 재인 반응만을 요구받았다. 실험 결과 미끼자극에 대한 오인반응(false recognition)은 기억항목과 미끼자극 간 유사성 합산치가 커짐에 따라 증가했다. 아울러 과제와는 무관하게 검사항목의 위치 변화가 있었던 조건의 경우 없었던 조건에 비해 이러한 오인 반응의 빈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무관련 위치 변화에 의한 미끼자극에 대한 오인 반응의 감소는 재인과제의 요구와는 관계없이 무관련 세부특징이 과제 관련 세부특징에 대한 재인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시각단기기억에 저장되는 정보가 세부특징들의 독립적 표상이 아닌 세부특징 간 공고한 결합에 의해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summed-similarity model of visual short-term recognition proposes that the estimated amount of summed similarity between remembered items and a recognition probe determines recognition judgement decision (Kahan & Sekuler, 200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task-irrelevant location change on the recognition decision against two remembered Gabor gratings differing in their spatial frequencies. On each trial in Experiment, participants reported if two gratings displayed across the visual fields are the same or not as the probe grating displayed after about a second of memory delay. The probe grating would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memory items (lure) by 1 or 4 JND units. The location of the probe would also vary randomly across the left and right visual field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item.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their recognition task exclusively to the spatial frequencies of the memory items and the probe while ignoring the potential location change of the probe. The results showed that false-recognition rates of the lure probe increased as the summed similarity between the memory items and the probe increased. The rates also further increased in the condition where the probe location wa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item compared to the condition where the probe location was the same. The increased false-recognition rates indicate that information stored into visual short-term memory is represented as a form of well-bound visual features rather than independent features.

      • KCI등재
      • KCI등재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에 기초한 영상기억의 타당성

        현주석(Joo-Seok 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9 인지과학 Vol.30 No.4

        영상기억은 시각기억 처리 과정의 최초 저장 기제로서 오랫동안 이론적인 타당성을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관심이 대폭 증가한 시각단기기억과 시각장기기억에 비해 영상기억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심의 부족은 영상기억 및 시각지속 현상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이해의 결여가 그 원인인 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는 영상기억 및 시각지속 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경험적 연구 사례를 개관해 영상기억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더 나아가 영상기억의 타당성에 대한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들의 핵심 내용들을 토대로 향후 영상기억 연구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Since last several decades, iconic memory has been accepted theoretically valid for its role of the first storage mechanism in visual memory process.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less interests in iconic memory among researchers than their interests in visual short- and long-term memory. Such little interests seem to arise from a lack of detailed understandings of theories and methodologies about iconic memory and visual persistence. This study aimed to achieve the understandings by reviewing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of iconic memory and visual persistence. The study further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iconic memory research according to the essential aspects of phenomenological and ecological criticisms against the validity of iconic memory.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작업기억 표상에 대한 고정해상도 슬롯 모형과 탄력적 자원 모형 사이의 쟁점에 대한 개관

        현주석(Joo-Seok 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5 인지과학 Vol.26 No.4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의 표상 특성에 대해 상반되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고정해상도 슬롯 모형과 탄력적 자원 모형을 개관하고, 두 모형 간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고정해상도 슬롯과 탄력적 자원모형을 태동시킨 객체 및 병렬 저장 가설을 살펴보고 두 모형의 상반되는 주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두 모형을 지지한 구체적인 연구사례를 통해 경험적 지지 증거의 객관성을 평가하고 관련 신경생리학적 모형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모형 간의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이론적 그리고 방법론적 재고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렴적 증거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resnt study reviewed two contrasting models, fixed-resolution slot versus flexible-resource hypotheses, for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visual working memory (VWM), and emphasized the necessary efforts for resolving their conflicting argument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review explored the background hypotheses of the object-based versus parallel independent storage models, and introduced theoretical bases for their contrasting claims. The review then evaluated validity of empirical evidence provided in the studies to support each model, and attempted an understanding of their neurophysiological background. The study furth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reconsiderations to resolve their conflict as well as the necessity of obtaining converging pieces of evidence to accomplish the resolution.

      • KCI등재

        제주 재래종 감귤 ‘홍귤’, ‘편귤’ 과피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

        현주미(Ju Mi Hyun),박경진(Kyung Jin Park),김상숙(Sang Suk Kim),박석만(Suk Man Park),이영재(Young Jae Lee),현주(Hyun Joo An)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10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제주 재래 감귤 중 홍귤, 편귤 품종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용매별 분획물이 보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홍귤, 편귤 모두 부탄올 분획물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각각 534.4 mg/g, 342.9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그리고 물 분획물 순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있어서도 부탄올 분획물에서 홍귤 431.8 mg/g, 편귤 41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부탄올 분획물 1 mg/ml 에서 홍귤(89.2%), 편귤(64.2%) 모두 가장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 있어서도 두 품종 모두 부탄올 분획물에서 낮은 농도에서도 매우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그 뒤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물 분획물 순이었다. 항염증 효과 측정에서 홍귤, 편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NO, IL-6, iNOS 및 COX-2 단백질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홍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μg/ml 농도에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unripe fruit peel solvent fractions of the native jeju citrus ‘Hongkyool’ (Citrus tachibana Tanaka) and ‘Pyunkyool’ (C. tangerina Hort. ex Tanak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highest in the butanol fraction of both ‘Hongkyool’ (534.4 mg/g, 431.8 mg/g) and ‘Pyunkyool’ (342.9 mg/g, 415.7 mg/g). In both cultivars, the butanol fraction showe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by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of the butanol fraction from ‘Hongkyool’ and ‘Pyunkyool’ was 89% and 64%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of the butanol fraction from ‘Hongkyool’ and ‘Pyunkyool‘ was 94% and 85%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Hongkyool’ and ‘Pyunkyool’ on LPS-induced NO production, IL-6,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μg/ml of the ‘Hongkyool’ ethyl acetate fracti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excell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from ‘Hongkyool’ and ‘Pyunkyool’ could be useful functional materials, with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 KCI등재후보

        선분 운동 착시를 통해 본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

        현주석(Joo-seok Hyun),정상철(Sang Chul Chong),정찬섭(Chan Sup Chung) 한국인지과학회 1998 인지과학 Vol.9 No.4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이 점진적 감소 모형이 규정하는 것과 같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의 유도점과 선분간 거리의 함수로써 선분 운동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조사하였다. 주의는 십자형 자극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도되었다. 두 개의 선분이 주의 유도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에는 주의 유도점과 가까운 선분의 운동 착시가 더 현저한 것으로 보고됨으로써 점진적 감소 모형이 지지되었다. 주의가 공간적으로 떨어진 두 점에 유도되었을 때는 이심률에 따라 두 점 사이에 제시된 선분의 운동 착시 방향이 달리 지각되었다. 두 점의 이심률이 4.5도 이내 일 때는 그 두 점 사이에 제시된 선분이 주의가 유도된 쪽으로 부터 반대편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지각되었다. 반면에 4.5˚ 이상일 때는 주의가 유도된 쪽을 향해 선분이 운동하는 것으로 지각됨으로써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이 중심-흥분 주변부-억제적 구조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spatial profile of visual atten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gradient model. change in the magnitude of line-motion illusion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a locus of attention and a taget line. Attention was induced by rotating a cross-shaped stimulus. When two lines locat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locus of attention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line-motion illusion of the nearer one was reported more vivid. which is an evidence supporting the gradient model. When attention was simultaneously induced to two spatially separated spots, the direction of line-motion illusion appeared to change depending on the eccentricity of the spots. While their eccentricity fell within 4.5˚ v.a., a line presented inbetween them was perceived as moving from the attention-induced side. However, it was perceived as moving towards the attention-induced side when the eccentricity fell beyond 4.5˚ , suggesting that the spatial profile of visual attention may have an excitatory-center and inhibitory-surround structure.

      • KCI등재

        무선재추출법에 기초한 사건관련전위 자료분석에 대한 탐색적 고찰

        현주석 ( Joo-seok Hyun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2

        가설검증 과정에서 자료 분석 결과 산출된 통계치에 대한 해석은 몇 가지 통계학적 이론을 토대로 분석 결과 산출된 관련 통계치의 이론적 확률 분포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어 실험 조건 간 측정치의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은 대개 전집 특성에 대한 몇 가지 이론적 가정에 기초해 구성된 해당 평균 차이값의 확률 분포(예: Student`s t)에 기초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통계치의 분포가 아닌 실측정 자료의 무선 재구성을 통해 얻어진 경험적통계치의 분포에 기초해 가설 검증을 시도하는 무선재추출법의 기본 논리와 장점을 살펴보고 사건관련전위 분석 상황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더 나아가 무선 추출 원리에 기초한 무선치환법이 적용된 구체적 사례를 소개하고 ERP 자료 분석에 있어서 경험적 통계 분석 적용에 앞서 유의할 점을 살펴봄으로써 뇌파 연구자들의 무선재추출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In hypothesis testing, the interpretation of a statistic obtained from the data analysis relies on a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 constructed according to several statistical theories. For insta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 mean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conditions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the mean differences (e.g., Student`s t) constructed under several theoretical assumptions for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logic and advantages of random-resampling approach for analyz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here a hypothesis is tes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empirical statistics that is constructed based on randomly resampled dataset of real measures rather than a theoretical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s. To motivate ERP researchers` understanding of the random-resampling approach, the present study further introduced a specific example of data analyses where a random-permutation procedure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andom-resampling principle, as well as discussing several cautions ahead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to ERP data analy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