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유자 과피 추출물에 의한 HL60 세포의 Apoptosis 유도

        현재석(Jae-Seok Hyon),강성명(Sung-Myung Kang),김아름다슬(Areum-Daseul Kim),오명철(Myung-Cheol Oh),오창경(Chang-Kyung Oh),김동우(Dong-Woo Kim),전유진(You-Jin Jeon),김수현(Soo-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당유자 과피(GGP) 80% 에탄올 추출물을 4종의 암세포에(피부암, 대장암, 유방암 및 혈액암) 처리하여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혈액암 HL60 세포에서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에 CGP 추출물이 HL60 세포에 대한 apoptosis 유도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Apoptosis 유도의 첫 단계인 막 투과성을 측정한 결과, confocal image와 flow cytometry에서 CGP를 처리하였을 때 탈분극 현상에 따른 막 투과성이 증가하였고 세포내 핵을 hoechst 33342를 이용하여 염색하였을 때 apoptosis가 일어났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형태의 apoptotic body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low cytometry를 통하여 세포 주기를 측정하였을 때 DNA-hypodiploid 형태의 sub-G1가 CGP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optosis 유도 기전을 western blot으로 측정한 결과를 보면, CGP 추출물을 혈액암 HL6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Bcl family의 anti-apoptotic Bcl-2 단백질의 감소와 pro-apoptotic Bax 단백질의 증가로 인하여 하위기전인 caspase-3가 활성화되었으며, 이 활성화로 인하여 apoptosis 유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ARP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면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당유자 과피는 항암과 관련되어진 기능성식품 및 소재 개발 원료로서 개발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on activity of Citrus grandis Osbeck peel (CGP) in HL60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It was found that 80% ethanol extract of CGP could inhibit the cell growth in a dose-dependent manner (250~1,000 ㎍/mL), which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and apoptotic cell death such as depolarized mitochondrial membrane,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increased populations of apoptotic sub-G1 phase. The results indicate that CGP extract inhibits the growth of HL60 cancer cells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may be mediated by its ability to change the Bcl family proteins and increase the activation of caspase-3 and PARP.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GP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a remarkable natural defense against the proliferation of HL60 cells.

      • KCI등재

        진귤 및 온주밀감 진피의 항산화 활성

        현재석(Jae-Seok Hyon),강성명(Sung-Myung Kang),마힌다(Mahinda Senevirathne),고원준(Won-Joon Koh),양태석(Tai-Suk Yang),오명철(Myung-Cheol Oh),오창경(Chang-Kyung Oh),전유진(You-Jin Jeon),김수현(Soo-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진귤 및 온주밀감 진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진귤 진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으며, 온주밀감의 진피는 최근의 것일수록 높았다. 진귤 진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으며, 온주밀감의 진피는 2007, 2008 및 2006년의 순서로 높았다. 진귤 진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2007, 2006(0.25㎎/mL는 예외), 2008년의 순서로 높았으나, 온주밀감은 뚜렷한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진귤(2008년 예외)과 온주밀감의 진피는 1.0 ㎎/mL에서 86% 이상의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진귤 진피의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으며(2007년 1.0 ㎎/mL 예외), 온주밀감 진피는 0.5 ㎎/mL 이하에서 최근에 건조된 것일수록 높았으나 1.0 ㎎/mL에서는 오래된 것일수록 높았다. 진귤 진피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2007년 2.5 ㎎/mL를 제외하고는 모두 오래된 것일수록 활성이 높았으나, 온주밀감은 최근에 건조된 것일수록 높았다. 특히 온주밀감 진피는 2.5 ㎎/mL에서 8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진귤진피의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1.0 ㎎/mL에서 49.9±2.2~63.5±0.9%의 범위로서 다른 활성산소 종들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리는 온주밀감 진피의 항산화 효과는 진귤의 진피의 그것과 비슷하거나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dried Citrus sunki and C. unshiu peels. The dried C. sunki peels displayed highe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for older dried peels. In contrast, the dried C. unshiu peels display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for more recently dried and displayed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by order of 2007, 2008 and 2006.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ried C. sunki peels were high by order of 2007 (0.25 ㎎/mL exception), 2006 and 2008, but C. unshiu peels could not confirm clear regularity. In particular, the dried C. sunki (2008, exception) and C. unshiu peels displayed very high activities of more than 86% in 1.0 ㎎/mL.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ried C. sunki peels were higher for older dried peels (2007, 1.0 ㎎/mL exception), and that of dried C. unshiu peels were higher for more recently dried in below 0.5 ㎎/mL but were higher for older peels in 1.0 ㎎/mL.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of dried C. sunki peels were higher for older peels (2007, 2.5 ㎎/mL exception), on the other hand, dried C. unshiu were higher for more recently dried. In particular, dried C. unshiu peels displayed high activities of more than 85% in 2.5 ㎎/mL.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ried C. sunki and C. unshiu peels displayed low activities compared to other reactive oxygen species as the range of 49.9±2.2~63.5±0.9% in 1.0 ㎎/mL.

      • KCI등재
      • KCI등재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현재석(Jae-Seok Hyon),강성명(Sung-Myung Kang),한상원(Sang-Won Han),강민철(Min-Cheol Kang),오명철(Myung-Cheol Oh),오창경(Chang-Kyung Oh),김동우(Dong-Woo Kim),전유진(You-Jin Jeon),김수현(Soo-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당유자 과피를 식품미생물인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발효 전과 후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LC/MS를 통한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발효 후 추출물에서 neo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hesperidin과 일부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3',4',5',5,7-pentamethoxyflavone은 발효 후에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친수성 unknown 화합물들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LC/MS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모를 통한 발효과정 중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른 형태로 전환되었으며, 이렇게 전환되어진 성분들을 함유한 FCGP는 CGP보다 DPPH, hydroxyl, alky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등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효모를 이용하여 당유자 과피를 발효시킴으로써 생리활성 성분의 일부를 전환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향후 당유자 과피의 발효에 의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by fermentation of Citrus grandis Osbeck peel (CGP) using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35053), comparing to unfermented CGP.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FCGP) was 3,768 g/100 g sample and higher than that of CGP.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CGP was determined by DPPH, hydroxyl, alkyl radicals,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s. FCGP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CGP in all scavenging assays. The IC50 values of FCGP were 261.3 ㎍/mL for DPPH; 1,474 ㎍/mL for hydroxyl; 90.9 ㎍/mL for alkyl and 1,195 ㎍/mL for H₂O₂ in respective scavenging assays. Flavonoid compositions of both samples were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In the spectrum FCGP was similar to CGP in the contents of neohesperidin, naringin and an unknown No. 7 compound, but some unknown compounds (No. 1, 2, 4, 5, 6) were higher than CGP in each flavonoid contents. Therefore, the fermentation of CGP could increase the contents of unknown compound and improved antioxidant activities.

      • SCOPUSKCI등재

        멸치젓 첨가 김치 숙성 중 제 2급, 제 3급 아민 및 제 4급 암모늄 화합물의 함량변화와 N - Nitrosamine의 생성

        김수현(Soo-Hyun Kim),현재석(Jae-Seok Hyon),오창경(Chang-Kyung Oh),오명철(Myung-Cheol Oh),박제석(Che-Seok Park),강순배(Soon-Rae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4

        멸치젓 첨가 김치 숙성 중 제 2급 및 제 3급, 제 4급 암모늄 화합물의 함량변화 및 N-nitrosamine 생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산염 질소는 발효 숙성 중 대조구와 멸치젓 첨가구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아질산염을 경출한계 미만이었다. 제 2급 아민은 발효숙성 중 계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숙성 60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TMA-N는 발효 중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TMAO-N는 약간 감소하였다. Betaine-N는 숙성 초기에 상당히 증가한 반면 숙성 60일 이후 감소하였다. Choline-N는 숙성 초기에 감소하다가 중기에는 증가하였으며, 숙성 말기에는 다시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Creatinine-N는 발효 숙성 중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N-Nitrosailline은 숙성 초기에 수 ㎍/㎏에서 숙성 말기에 45㎍/㎏ 까지 검출되었다. The changes of secondary and tertiary amines, an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with anchovy was investigated. Nitrate-N de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while nitrite-N was in the lower level of detection limit. Secondary amine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sharply after 60 days of fermentation. TMA-N show a tiny change during fermentation, while TMAO-N slightly decreased. Betaine-N increased remarkably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after 60 days. However, choline-N decreased at the beginning, and then increased after middle stage of fermentation. Creatinine-N show a tiny change during fermentation. N-nitrosamine was detected from a few at the beginning to 45㎎/㎏ at the end of fermentation.

      • SCOPUSKCI등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에 의한 아질산염 소모(Ⅰ)

        오창경(Chang-Kyung Oh),오명철(Myung-Cheol Oh),현재석(Jae-Seok Hyon),최우정(Woo-Jung Choi),이신호(Sin-Ho Lee),김수현(Soo-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4

        김치로 부터 20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여 이들 중 6종은 Lactobacillus sake, 10종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4종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에 의하여 MRS 액체배지에 최종 농도가 250㎍/ml가 되도록 첨가한 아질산염을 소모시키는 능력을 시험한 결과 아질산염 소모율은 시험된 모든 온도 조건에서 L. plantarum, L. sake, L. mesenteroides 순서로, 성장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았다. 특히 공시 L. plantarum은 시험된 모든 온도 조건에서 성장하는 중에 대부분의 아질산염을 소모시켰다. 그러나 온도에 대한 적응성에 기인하여 L. plantarum은 15와 20℃에서 2일과 1일의 유도기간을 요하였으며, L. sake는 15℃와 20℃에서 모두 1일의 유도기간을 요하였다. 반면 L. mesenteroides는 시험된 모든 온도 영역에서 유도기간을 요구하지 않았다. Twenty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Six specie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ke, ten species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four species as Lactobacillus plantarom. The ability of these isolates to deplete nitrite during growth at 15, 20, 25 and 30℃ in MRS broth containing 250㎍/ml of nitrite was examined. Depletion of nitrite was high as the order of L. plantarum, L. sake and L. mesenteroides at all temperature tested, and the depletion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growth temperatures. Especially, almost all of nitrites were utilized by L. plantarum during growth at all temperature ranges tested. L. plantarum and L. sake required induction periods for adapting to nitrite, but L. plantarum was remarkably depleted nitrite after two days of growth at 15℃ and one day at 20℃, L. sake after one day of growth at both temperatures. Whereas, L. mesenteroides did not require those periods at all temperature ranges tested.

      • KCI등재

        적포도주 숙성 양념돈육의 품질특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Kyung-Suk Park(박경숙),Kyung-Soo Lee(이경수),Hyun-Sook Park(박현숙),Young-Jun Choi(최영준),Se-Ju Kang(강세주),Jong-Beom Yang(양종범),Jae-Seok Hyon(현재석),In-Chul Jung(정인철),Yoon-Hee Moon(문윤희)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적포도주의 첨가가 양념돈육의 품질특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양념 돈육은 물을 25% 첨가한 것(대조구, T0), 물 20%와 적포도주 5%를 첨가한 것(T1), 물 15%와 적포도주 10%를 첨가한 것(T2), 그리고 물 10%와 적포도주 15%를 첨가한 것(T3) 등 네 종류의 양념돈육을 제조하고, 일반성분, 표면색깔, 기계적 조직감, pH, VBN함량, TBARS값, 지방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SUP>*</SUP> 및 b<SUP>*</SUP> 값은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a<SUP>*</SUP> 값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계적 조직감, pH, VBN함량,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BARS값은 적포도주를 첨가하지 않은 T0가 가장 높았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적포도주를 10% 및 15% 첨가한 T2 및 T3가 T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red win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seasoned pork meat. Seasoned pork meat was prepared using three variation: pork meat containing 25% water (T0), pork meat containing a combination of 20% water and 5% red wine (T1), pork meat containing a combination of 15% water and 10% red wine (T2), and pork meat containing a combination of 10% water and 15% red wine (T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SUP>*</SUP> value, rheological properties, pH, VBN content, saturated fatty acid or unsaturated fatty acid among T0, T1, T2 and T3. The L<SUP>*</SUP> and b<SUP>*</SUP> value of seasoned pork meat was higher in T2 and T3 than in T0 and T1 (p<0.05). The TBARS value was highest in T0 (p<0.05).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2 and T3 than in T0 (p<0.05).

      • 천연항균성 물질을 이용한 미생물의 살균 및 억제효과

        梁成鎬,孫東和,權五陳,玄載晳 대구산업정보대학 1996 논문집 Vol.10 No.2

        In order to develop a natural food preservative and antimicrobial agent, the bamboo leaves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fractionated it with 4 solvents which have a different polarity. 70% ethanol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bacter aerogenes, and it was higher than that of 0.5% and 1.0% sorbic acid. Among the each fractions, petroleum ether fraction ha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bacter aerogenes. Each fraction extracted from the bamboo leaves showed effective inhibitory action towards Aspergillus flavus and Penicillium islandicum, but it was not so good on the fungicide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