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 bread의 품질 특성

        허창기,심기훈,Huh, Chang Ki,Shim, Ki Hoo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물 대신 첨가하여 제조한 sourdough의 제빵 특성과 식품첨가물로서의 계피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반죽의 무게는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식빵의 무게는 D 식빵에서 가장 높았다.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C 시료에서 가장 높았고, 굽기손실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분함량과 pH는 계피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적정산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색도에서 백색도는 계피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산균 배양액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식빵 시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식빵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액이 감소하고 계피추출물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증가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였다. ALH(Lactobacillus sakei subsp. ALI033)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 추출물을 첨가한 sourdough로 제조한 식빵은 대조구보다 부피와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피 추출물과 같은 부재료를 첨가하여도 식빵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ALH 유산균 배양액과 계피주정 추출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LCBC) and cinnamon extract (Control: water 700 mL, sample A: water 670 mL+LCBC 30 mL, sample B: water 670 mL+LCBC 22.5 mL+Cinnamon extract 7.5 mL, sample C: water 670 mL+LCBC 15 mL+Cinnamon extract 15 mL, sample D: water 670 mL+LCBC 7.5 mL+Cinnamon extract 22.5 mL and sample E: water 670 mL+Cinnamon extract 30 mL). The weight of dough was not significant between samples, and the weight of bread was highest in samples D. The volume and specific volume were the highest in sample C but the baking loss rate was highest in the control (p<0.05). The L valu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decreased as addition of cinnamon extract increased. However, a value, b valu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reversed. The sourdough bread produced by adding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improved the volume and texture. It was thought that it is helpful to add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olution and cinnamon extract for manufacturing a loaf of bread.

      • KCI등재

        젖산농도별 주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허창기 ( Chang Ki Huh ),이중원 ( Jung Won Lee ),김용두 ( Yong Doo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6

        막걸리 양조시 품질변화 방지를 목적으로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의 pH, 총산, ethanol 및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고,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별 막걸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평가 등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젖산농도에 따른 주모의 pH는 젖산 0.5% 이상 첨가 시료구가 pH 3.31~3.33으로 젖산 무첨가구와 0.3% 첨가 시료구의 pH 3.52, 3.56에 비해 낮았다. 총산 함량은 젖산 무첨가구와 젖산 0.3%첨가 주모가 0.56%와 0.54로 높게 나타났고, 0.5%첨가 주모는 0.5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Ethanol 함량은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와 젖산을 첨가한 주모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모의 미생물이 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세균 및 젖산균은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효모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해 0.3~0.5% 첨가구는 증가하였으나 0.7~1.0% 첨가구는 감소하였다.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로 담금한 막걸리의 pH 및 총산은 0.5% 이상 첨가구에서 발효기간 동안 안정된 값을 보여 주모의 안전 제조에 적합한 조건을 보였다. 유기산은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succin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및 acetic acid가 검출되었다. acetic acid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구의 경우 390.88 mg%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젖산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낮았으며, 1.0% 첨가 시료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시료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도, 관능평가 결과 젖산 0.5%이상 첨가구부터 향, 맛 및 종합기호도에서 선호도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에 비해 젖산을 첨가하여 주모를 제조할 경우 막걸리의 품질이 더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량은 주모 중량대비 0.5%첨가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seed mash and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The pH decreased along with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The total titratable acid content of the rice wine seed mash was lowest when 0.5% lactic acid was added, and the ethanol contents of the mash sample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microorganism number, C (cell numbers of the total bacteria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decreased along with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s of the mash samples. The yeast cell numbers of the rice wine seed mash samples according to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high (0.5, 0.3, 1.0, control, and 0.7%, respectively). The pH and total titratable acid level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were stable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lactic acid. The organic acids in the rice wines were highest in the lactic acid. The rice wines to which lactic acid had been added had lower acetic acid contents than the control. Also, the acetic acid contents decreased along with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s, except in the rice wine treated with 1.0% lactic acid. The ethanol contents of the tested rice wines were not significant. All in all,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rice wines treated with 0.5 and 0.7% lactic acid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 KCI등재

        쌀 품종에 따른 약주의 발효 및 품질 특성

        허창기 ( Chang Ki Huh ),이중원 ( Jung Won Lee ),김용두 ( Yong Doo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6

        쌀 가공용 품종의 활용도 증진을 위해 일반계통3종, 가공용계통 2종 및 태국산쌀 1종을 선택하여 양조 적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주의 시료구별 pH는 일미벼와 한아름벼로 담금한 약주의 pH가 4.14와 4.07로 높았고, 총산 함량은 태국산쌀의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의 총산 함량이 0.56%로 가장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1,822.38mg%로 가장 높았고, 주요 유리당은 glucose이었다. 환원당 함량은 국내산 일반계통 품종과 가공용통 품종은 2.12~2.59%로 비슷하였으나, 태국산 인디카 품종은 3.59%로 다른 시료구에 비해 다소 높았다. ethanol 함량은 가공용 품종인 한아름벼를 이용해 담금한 약주가 19.14%로 가장 높았고,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는 13.97%로 가장 낮았다. 약주의 향기성분은 총 21종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고, 주요 향기 성분으로는 ethanol, acetic acid, l-methyl-l-propanol이었다. 품종에 따른 약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과 색은 가공용 품종인 한아름벼를 이용해 담금한 약주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고, 맛에 대한 평가에서 단맛과 신맛은 가공용 품종인 안다벼를 이용해 담금한 약주가6.0과 6.7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쓴맛은 시료구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 기호도는 가공용 품종인 한아름벼와 안다벼를 이용해 담금한 약주가 일반계 품종인 일미며 호평벼 및 호품벼로 담금한 약주 보다 높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quality of traditional Yakju and compares quality of Yakju according to different rice cultivars. The pHs of Ilmi Yakju and Hanarum Yakju showed 4.14 and 4.07, respectively and the other Yakju`s pHs were ranged from 3.92 to 3.98. The content of total acid of Yakju using Indica rice imported from Thailand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The major components of free sugar was glucose an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ree sugars was found in Indica Yakju.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s in Yakju using Indica rice was the higher than other samples. The ethanol content of Hanarum Yakju showed higher than those Yakju`s and the lowest ethanol content found for the indica Yakju. The volatile compounds from the rice Yakju were identified by GC-MS. Twenty-one volatile compounds were found in rice Yakju. And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ethanol, acetic acid, 1-methyl-1-propanol, 2-methyl-butane, 3-methyl-1-butanol, iso-amylalcohol and 1-hexanol from Yakju. As the result of sensory test, higher scores for smell and color were found for the Yakju used Hanarum Yakju. The highest score sweat and acid were found for the Anda rice Yakju in sensory test.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Hanarum Yakju and Anda Yakju were better than the other samples, and the value of bitterness was no significant in this test.

      • KCI등재

        쌀 품종별 약주의 유기산, fusel oil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허창기 ( Chang Ki Huh ),이중원 ( Jung Won Lee ),김용두 ( Yong Doo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3

        쌀을 원료로한 전통주의 우수성을 밝히고자 일반계통 3종, 통일계통 2종 및 태국산 인디카 품종 1종 등 총 6종에 대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DPPH radical소거활성 및 SOD 유사활성 등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쌀 품종에 따른 약주의 시료구별 pH는 일미벼와 한아름벼로 담금한 약주의 pH가 4.14와 4.07로 다른 시료구에 비해 높았고, 그 외 시료구는 3.92~3.98이었다. 총산 함량은 태국산 쌀의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의 총산 함량이 0.56%로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국내산 일반계통 품종과 통일계통 품종은 2.12~2.59%로 비슷하였으나. 태국산 인티카 품종은 3.59%로 다른 시료구에 비해 다소 높았다. Ethanol함량은 통일계 품종인 한아름벼를 이용해 담금한 약주가 19.4%로 가장 높았고,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는 13.97%로 가장 낮았다. 유기산 함량은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3,491.8mg%로 가장 높았으며,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쌀 품종에 따른 fusel oil총량을 보면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1,270.35mg/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Fusel oil 류 중 2-buty1 alcohol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시료별 DPPH free radical소거능은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에서 소거능이 높았고, 일미벼 및 한아름벼로 담금한 약주는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SOD유사활성 또한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60.10로 가장 높았으며, total polyphenol 함량 역시 태국산 인디카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가 국내산 품종으로 담금한 약주에 비해 약간 높았다. 쌀 품종에 따른 약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국내산 품종과 태국산 품종 모두에서 활성이 확인되었다. The organic acids, fuel oi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kju with the addition of rice varieties were investigated. The rice cultivar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were Ilmi rice, Hopyung rice, Hopum rice, Hanarum rice, Anda rice and Indica ri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H values of Ilmi Yakju and hanarum Yakju were 4.14 and 4.07,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other Yakjus, 3.92~3.98. The otal titratable acid content of the Yakju for which Indica rice was imported from Thailand was highest among the samples. The reducing sugars content of the Yakju for which Indica rice was us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amples. The ethanol content of the Hanarum Yakju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Yakjus, and the lowest ethanol content was found for the Indica Yakju. The major organic acid component of the Yakju was lactic acid.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Indica rice Yakju. The amounts of the following main fusel oils were highest, in the following order. 2-butyl alcohol, 2-pentanol, N-propyl alcohol, acetaldegyde, ethyl acetate, methyl alcohol and 2-methyl-1-propyl alcohol.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Indica rice Yakju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Ilmi rice Yakju and the Hanarum rice Yakju. Also, the SOD activity of the Indica rice Yakju was strongest among all the sampl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Indica rice Yakju was the highest among all the samples.

      • SCOPUSKCI등재

        일반 쌀과 다수확 쌀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허창기(Chang Ki Huh),심기훈(Ki Hoon Shim),김용두(Young Doo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다수확 품종 쌀의 가공 이용성 증진을 위해 식미가 좋은 일반계통과 식미는 다소 떨어지지만 다수확 품종인 통일계통을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 영양성분 비교 분석 및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쌀 품종별 수분함량은 6.23-6.91%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안다벼가 8.13%로 높았으며, 조회분 함량은 일미벼, 한아름 및 안다벼가 0.52-0.55%로 높았다. 조지방 함량은 일미벼가 1.24%로 가장 높았다. amylose 함량은 안다벼가 24.67%로 가장 높았고, 일미벼는 16.61%로 가장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호품벼가 656.51 mg%로 가장 높았고, 아미노산은 안다벼가 7,295,64 mg%로 시료구 중 가장 높았다. 품종별 vitamin B1 함량은 한아름벼 품종이 0.51 mg%로 가장 높았고, vitamin B2 는 호품벼와 일미벼 품종에서만 소량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쌀가루의 수분흡수지수는 일미벼와 인디카벼가 1.73으로 가장 높았고, 호품벼는 1.22로 가장 낮았다. 수분용해지수는 일미벼가 6.03%으로 가장 높았고, 호품벼는 3.26%로 가장 낮았다. 쌀가루의 팽윤력은 일미벼, 호평벼, 호품벼, 한아름벼 및 안다벼는 80℃와 85℃ 사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디카벼는 70℃와 75℃ 사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해도는 75℃와 80℃ 사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일미벼의 용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mylograph에 의한 호화 특성조사 결과 인디카벼가 387.00 BU로 가장 높았고, 한아름벼는 201.67 BU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인디카벼가 가장 노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아름벼는 쌀가루 페이스트의 노화가 가장 지연되는 품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수확 품종인 안다벼와 한아름벼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아 제빵 적성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미노산과 vitamin B1 함량이 높았고, 노화특성에서 한아름벼가 페이스트의 노화가 지연 되는 품종으로 확인되어 가공용으로의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s from conventional and high-yielding rice varieties in order to enhance usability processing of high-yielding rice varieties. Moisture content was not remarkably different among rice flours by cultivar.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ree sugars was detected in Hopum rice. Apparent amylose content of Anda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rice varieties. The total amount of amino acids was highest in Anda rice among the rice cultivars. Contents of vitamin B1 in Hanarum were highest among the rice cultivars. Initial pasting temperature was lowest in Anda rice (60.10oC). Hanarum rice showed the lowest setback values among the rice flours. Therefore, Anda and Hanarum rice cultivars wer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processed rice food sour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채취시기에 따른 고들빼기의 성분 조성과 산화방지활성

        황태연,허창기,Hwang, Tae Yean,Huh, Chang Ki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 No.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서 활용범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고들빼기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화학 성분과 기호성에 관계되는 특수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10월(A)과 12월(B) 2회에 걸쳐 채취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고들빼기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분석하여 가공식품으로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고들빼기의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잎과 뿌리에서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수분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공통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질, 단백질, 가용성무질소물 및 회분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기질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의 Mg과 Na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Vit. C와 Niacin은 채취 시기가 경과할수록 잎과 뿌리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Vit. $B_1$, $B_2$는 소량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들빼기 잎과 뿌리의 주된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및 주석산이 검출되었고, 시기별로 성분함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isoleucine과 leucine이었고,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고들빼기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등 4개의 당이 확인되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채취 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Phenol화합물은 arbutin, catechin,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등 4개의 성분이 확인 되었으며, 잎보다 뿌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 항산화력은 잎보다 뿌리의 항산화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늦을 수 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evels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 depending on collection time.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in leaf and root decreased, while crude fiber,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ash increased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mineral elements tended to increase in each sample with increases in collection time. The content of vitamin B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Vitamin C content was approximately five times higher in the leaves than that in the roots. Total amino acids in leaf and root increased considerably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roo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leaf and these content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of Godulbaegi was higher in the root than in the leaf and in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새싹인삼 분말 열수추출물의 유식품 적용 연구

        신기주 ( Gi-ju Shin ),허창기 ( Chang Ki Huh ),오임경 ( Imkyung Oh ),김정실 ( Jungsil Kim ),하호경 ( Ho-kyung Ha ) 한국낙농식품응용생물학회 2021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수용해도가 낮은 새싹인삼 분말을 열수 추출하여 식품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열수추출 온도와 시간 조절을 통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닌 새싹인삼 분말 열수추출물 제조 조건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새싹인삼 분말 열수추출물은 유식품 제조 및 저장 조건에서 항산화 활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우유 및 요구르트 적용 시 pH 및 유산균 생균 수와 같은 유제품의 주요 특성에도 큰 변화가 없어 높은 유식품 적용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조된 수용성 새싹인삼 분말 추출물은 뛰어난 유식품 적용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식품 저장 및 제조 공정 중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Panax ginseng sprout powder an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is extract for use in dairy products. Water-soluble fractions of commercial Panax ginseng sprout powder were obtained by hot water extraction at 25, 60, or 80℃ for 0.5, 2, 12, or 24 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extra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extraction temperature from 25 to 80℃. At 80℃, increasing the extraction time from 0.5 to 2 h led to increases in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us, the extract obtained under 2 h at 80℃ was selected for addition to milk and yogurt. After 16 days of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H of the milk 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With regard to yogurt fermentation, adding the extract did not affect the pH or the number of viable lactic acid bacteria. In conclusion, hot water extract from Panax ginseng sprout powder can be added to dairy products to enhance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