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기를 이용한 신이식 후 체수분 분포의 변화

        허인경 ( In Kyong Hur ),이은영 ( Eun Young Lee ),조지형 ( Ji Hyung Cho ),최지영 ( Ji Young Choi ),서정주 ( Jung Joo Seo ),박선희 ( Sun Hee Park ),김찬덕 ( Chan Duck Kim ),김용림 ( Yong Lim Kim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 후 체수분 분포의 변화를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기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이와 관련 있는 임상적인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신이식을 시행한 45명의 신환자를 이식 전 투석 유무 및 투석 방법을 기준으로 혈액 투석을 받은 환자군 (혈액투석군, n=32), 복막 투석을 받은 환자군 (복막투석군, n=5), 투석을 시행하고 있지 않았던 환자군 (보존적치료군, n=8)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전과 이식 후 1, 3, 6개월에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기 (InBody720, Biospace, 서울, 한국)를 사용하여 총체수분 (%TBW), 세포외액 (%ECF), 세포내액 (%ICF) 및 부종 지수 (edema index)를 측정하여 이식 전후의 수분분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혈압, 혈청 크레아티닌, 24시간 뇨단백 등의 임상적 표지자들을 동시에 측정하여 체수분 분포 변화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신이식 전 세 군 간의 상기 체수분 분포 지수들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환자들은 신이식 후 이식전과 비교하여 %TBW과 %ICF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ECF는 이식 직후부터 의미 있게 감소되었으며 (이식 전 21.13±3.04 L/kg, 이식 후 1개월 20.03±2.37 L/kg, 이식 후 3개월 19.61±2.18 L/kg, 이식 후 6개월 18.32±5.02 L/kg: 각각 p=0.007, p<0.001, p=0.001) 부종 지수도 이식 후 1개월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식 후 1개월 0.354±0.014, 이식 후 3개월 0.352±0.011, 이식 후 6개월 0.348±0.014: 각각 p=0.016, p=0.012). 부종 지수는 이식 후 1개월과 3개월에 혈액 투석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다른 체수분 분포의 지표들은 이식 전 투석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임상적 표지자 중 혈청 크레아티닌과 24시간 뇨단백은 이식 후 1, 3개월의 %ECF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식 후 3개월의 %TBW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신이식 후 환자들은 이식 직후부터 ECF의 현저한 감소를 보이게 되며, 그 후 TBW 및 ICF의 변화가 서서히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체수분 분포의 정상화는 뇨단백량이 적고 혈청 크레아티닌이 낮을수록 빨리 일어나게 되며, 이식전 투석 유무나 투석 방법과는 무관하였다. 향후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ody fluid statu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KT) and to find out the associated factors. Methods: Forty-five patients who had received KT were classified into hemodialysis (n=32), peritoneal dialysis (n=5), and preemptive (n=8) groups by dialysis modality. %TBW, %ECF, %ICF, and edema index which were examin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s well as clinical parameters were prospectively measured before KT and 1st month, 3rd month, 6th month after KT. Results: Before K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parameters listed above among the three groups. Mean %TBW and %ICF were not different compared to those of before KT. In contrast, mean %ECF markedly decreased within 1st month (before KT 21.13±3.04 L/kg, 1st month 20.03 ±2.37 L/kg, 3rd month 19.61±2.18 L/kg, 6th month 18.32±5.02 L/kg: p=0.007, p<0.001, p=0.001, respectively). Edema index also decreased from 1st month (1st month 0.354±0.014, 3rd month 0.352±0.011, 6th month 0.348±0.014: p=0.016, p=0.012, respectively). Only edema index was higher at 1st and 3rd month in hemodialysis group. Serum creatinine and 24 hour urine total protei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CF at 1st and 3rd month, and with %TBW at 3rd month. Conclusion: The recovery of body water distribution after KT starts with reduction of ECF within the 1st month. Serum creatinine and proteinuria are related to the recov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alysis modality was found. Further study with larger sample size is necessary to confirm these findings.

      • KCI등재후보

        전신마취 수술 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 인자에 대한 재평가

        도윤정 ( Yun Joung Doh ),허인경 ( In Kyong Hur ),이준엽 ( Jun Yub Lee ),박정배 ( Jung Bae Park ),성낙일 ( Nak Il Sung ),이용국 ( Yong Guk Lee ),이중현 ( Joong Hyun Lee ),이영현 ( Young Hyun Lee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5

        목적: 최근 고령 환자의 수술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PPC의 위험 또한 커지고 있다. PPC를 줄이기 위해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인자들에 대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합의된 지침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고령 인구로 구성된 경주지역 환자를 대상으로 PPC 발생에 관여되는 인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재분석하였다. 방법: 2004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신마취 하에 흉부, 복부, 두경부, 사지 수술을 받았던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예측인자의 선정에 있어서는 성별, 연령, 신장, 체중, 비만도, 흡연력, 기저질환, 호흡기질환 동반여부, 악성종양의 병력, 수술 전 흉부 진찰 소견, 입원시 혈액검사소견(혈색소, 알부민, 동맥혈 가스분석) 및 폐기능검사(1초간 강제 날숨량, 강제 폐활량), 마취시간, 수술부위에 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중증 PPC는 급성호흡부전, 폐혈전증이 새로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경증의 PPC는 수술 후 기침, 객담 또는 비정상 호흡음이 새로 발생한 경우, 정상 체온을 보이던 환자가 다른 부위의 발열의 원인이 없이 38℃이 상의 체온 상승을 보인 경우, 흉부 단순 촬영 소견상 술 전에 비하여 새로운 폐허탈이나 폐침윤이 발생한 경우 중 한 가지 이상 포함하고 있을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65.5세였다. 전신마취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PPC의 예측인자들을 분석한 결과, 기저질환의 동반 여부, 저알부민치(<3.5 g/dL), 수술부위(흉복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수였다. 기저질환의 여부 및 수술 부위는 기존의 연구에서도 예측인자로 밝혀져 있어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저알부민 수치는 기존 3.0 g/dL 이하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향후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술에서는 알부민 수치가 3.0~3.5 g/dL 사이인 경우도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야 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FEV1.0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고령인 환자에게 있어서도 PPC 예측인자로서 폐기능의 가치에 대하여는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결론: PPC 발생의 예측인자는 연령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고령의 수술 환자에 대하여, 이러한 예측인자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고위험군 선별에 적용해야 한다. 고위험군 환자에 대하여는 수술 전 영양상태의 개선, 기저질환의 교정 등을 통하여 PPC 발생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As our population in Korea ages, more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PPCs) have recently developed.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about the predictive factors for PPC, but any consensu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reappraised the predictive factors for PPC after general anesthesia in a population from Gyeong-ju, which was composed of elderly people.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predictive factors for PPC in 84 patients who underwent general anesthesia. We investigated gender, age, height, weight, BMI, smoking, underlying disease, underlying respiratory disease, malignancy, the laboratory findings (hemoglobin, albumin, arterial O2 saturation) and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of the patients. Results: 84 patients were initially enrolled into the study, and PPC developed in 31 (36%) patients. The mean age of the enrolled patients was 66.515.1 years old, so it shows the trend of an aging society. Three predictive factors were revealed that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PC: site of operation (OR, 8.3), underlying disease (OR, 9.9) and serum albumin (OR, 4.0). Conclusions: Among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predictive factors, underlying disease and operation site are well known from previous studies, but the albumin level < 3.5 g/dL is also meaningful, which is higher than the previous reference level. It implies that the patient with a albumin level 3.0~3.5 g/dL can be classified into the high risk group.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more strict reference levels in an aging population to reduce the incidence of PPC. (Korean J Med 72:501 510, 2007)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인 신이식 수혜자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이 만성 이식신 신병증과 이식신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조지형 ( Ji Hyung Cho ),류혜명 ( Hye Myung Ryu ),진미경 ( Mi Kyung Jin ),전주현 ( Joo Hyun Chun ),현승혜 ( Seung Hyea Hyun ),최지영 ( Ji Young Choi ),허인경 ( In Kyong Hur ),이은영 ( Eun Young Lee ),박선희 ( Sun Hee Park ),김용림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4

        목적: 염증반응과 섬유화에 관여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와 이식신에 대한 cytoprotection에 관여하는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만성 이식신 신병증 (CAN)의 발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신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과 이식신 생존율 및 CAN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신이식을 시행한 환자 중 유전자 분석에 동의한 221명과 건강한 대조군 148명을 대상으로 TGF-β1 유전자의 C-509T 및 T869C, VEGF 유전자에 있는 C-2578A, C405G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신이식 후 CAN이나 만성 calcineurin inhibitor 신독성으로 진단된 경우를 신병증군 (n=21)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정상 이식군 (n=200)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신이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확인된 TGF-β1 (C-509T, T869C) 및 VEGF 유전자의 SNP (C- 2578A, C405G)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Hardy-Weinberg 평형에 따른 기대빈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신이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 있어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의 유전자형과 대립형질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GF-β1의 C-509T와 T869C 및 VEGF의 C-2578A와 C405G는 강한 유전적 상관 관계를 보였고 (D`=0.78-0.98), 두 군 간 각각의 일배체형 간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전체 신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의 유전자형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식신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저농도 혹은 고농도의 cytokine 생산과 관련된 유전자형에 따른 이식신 생존율도 각 cytokine 모두 유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조사한 TGF-β1 및 VEGF 유전자 SNP은 한국인 신이식 수혜자에서 이식신 생존 또는 만성 이식신 신병증 발생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promotion of renal allograft interstitial fibrosis and thereby chronic allograft nephropathy (C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as been shown to contribute to cytoprotection of the graf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he TGF-β1 (C-509T and T869C) and the VEGF gene (C-2578A and C405G) on graft survival and the development of CAN. Methods: Genotyping was carried out using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hich was performed on the LightCycler480 in 221 Korea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and 148 healthy contro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AN or chronic calcineurin inhibitor nephrotoxicity, the recipients were separated into the CAN (n=21) and the No CAN (n=200) groups. Results: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SNP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The distributions of genotypes and alleles did not differ between recipients and contr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and allele frequencies between the CAN and the No CAN groups. The frequencies of haplotyp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TGF-β1 and VEGF gene polymorphisms on graft survival.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four selected SNPs of the TGF-β1 and the VEGF genes on the development of CAN and graft survival in Korea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 기관지 결핵과 동반된 기관기관지골 형성증 1예

        허인경,박정배,성낙일,이영실,이영현,박성동,구관민,이종임,김성자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1

        기관기관지골 형성증(Tracheobronchopathia Osteoplastica, TPO)은 기관과 기관지내로 돌출된 다발성 연골성 혹은 골성 점막하 소결절들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양성질환이다. 기관기관지골 형성증의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기관지 결핵과 동반된 기관기관지골 형성증으로 확진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67세 여자로 10일간의 마른 기침을 주소로 본원을 방문하였다. 발열이나 객담은 없었다. 흉부 단순 촬영 소견상 우중엽에 무기폐 소견을 보였으며 기관지 내시경 소견상 기관 전벽과 측벽에 다발성의 조약돌 모양의 소결절이 관찰되었고 생검을 시행한 결과 점막하에 성숙된 골조직이 관찰되었다. 기관지 세척물에서 나간 도말 검사상 항산성 염색 양성으로 확인되어 기관지결핵으로 진단하고 항결핵제 복용을 시작하였다. 치료후 기관지 결핵의 경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호전을 보였다. 상기 환자에서와 같이 기관지 결핵과 기관기관지골 형성증이 동반된 예를 드물게 볼 수 있으나 아직 그 인과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Tracheobronchopathia Osteoplastica (TPO) is a rare, benign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numerous osseous and cartilaginous submucosal nodules projecting into the lumen of the trachea and bronchi. The etiology of TPO remains unclear. We experienced a case of TPO associated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in a 67 year-old female. She had been complained of dry cough for 10 days without sputum and fever. She showed radiologically atelectasis in the right middle lung field. Fibrotic bronchoscopy revealed numerous cobble-stone appearance nodules on the anterior and lateral wall of trachea. Pathologic examination of this lesion showed matured bone in the submucosa of trachea. As bronchial aspiration study indicated positive AFB stain, she was diagnosed as endobronchial tuberculosis. Antituberculosis medication has been started and resulted in clinical and radiologic improvement. Although it is rare, TPO may be associated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as seen in this case. The relation may of cause and effect is, however, still unclear.

      • 위암 세포주에서 백화사설초의 세포자멸사 효과

        박정배,성낙일,이준엽,허인경,김승민,남지형,이용국,최재혁,백진호,장태정,이종임,박건욱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2

        백화사설초는 한국과 중국에서 항암제로 이용되어온 약초이다. 이러한 백화사설초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항암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위암세포주인 SNU-719, 601, 668 각각에 백화사설초 메탄올 추출물로써 실험을 시행 하였다. 위암세포주 각각에 메탄올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와 다양한 시간에 따라 실험 처치하여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세포자멸사를 증명하기 위해 유세포분석을 통하여 subG1에 속하는 세포의 수를 계수하였고 Western blot 검사를 통해 caspase-3 enzyme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SNU-719, 601 세포주에서는 메탄올추출물의 항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SNU-668 세포주에서 항암효과가 나타났는데 메탄올 추출물 200과 400 ㎍/ml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생존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0 ㎍/ml : 94.3土0.9%, 1 ㎍/ml : 95.8土0.8%, 5 ㎍/ml : 93.5土1.6%, 25 ㎍/ml : 95.3土2.0%, 50 ㎍/ml : 93.3土2.5%, 100 ㎍/ml : 93.5士3.8%, 200 ㎍/ml : 83.9土4.3%, 400 ㎍/ml : 72.8土8.4%). 100과 200 ㎍/ml, 200과 400 ㎍/ml 사이의 p-value는 각각 0.013, 0.005이었다. 그리고 메탄올 추출물 400 ㎍/ml을 SNU-668 세포주에 처리한 후 시간에 따른 세포 생존도를 조사한 결과 역시 시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0 hr. : 98.8土1.1%, 6 hr. ; 83.2土8.6%, 24 hr. : 37.6土8.3%, 48 hr. : 22.2土11.2%, p=0.019). 유세포분석상 subG1에 속하는 세포의 수는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Western blot 검사상 caspase-3 proenzyme의 발현도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본 연구로 백화사설초의 메탄올 추출물이 위암세포주 SNU-668 세포자멸사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향후 백화사설초 메탄올 추출물의 성분분석과 세포자멸사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위암에 대한 새로운 항암물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Hedyotis diffusa has been used for cancer treatment in Korea and China. For the evaluation of anti-tumor activity through apoptosis, our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methanol extracts of Hedyotis diffusa on gastric cancer cell lines such as SNU-719, 601, 668. The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and periods of methanol extracts. Then,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trypan blue dye exclusion test. For the evaluation of apoptosis, we calculated the population of subG1 cells by the flow cytometry method, and examined the expression of caspase-3 by Western blot analysis. In SNU-719 and 601 cell lines, the anti-tumor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were not shown. However in SNU-668 cell lines, the anti-tumor activity was detected. The cell viability of SNU-668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200 and 400 ㎍/ml of methanol extracts (0 ㎍/ml : 94.3±0.9%, 1 ㎍/ml : 95.8±0.8%, 5 ㎍/ml : 93.5±1.6%, 25 ㎍/ml : 95.3±2.0%, 50 ㎍/ml : 93.3±2.5%, 100 ㎍/ml : 93.5±3.8%, 200 ㎍/ml : 83.9±4.3%, 400 ㎍/ml : 72.8±8.4%). The p-values were 0.013 and 0.005 in between 100 ㎍/ml and 200 ㎍/ml, and 200 ㎍/ml and 400 ㎍/ml, respectively. The cell viability of SNU-668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as well (0 hr. : 98.8±1.1%, 6 hr. 83.2±8.6%, 24 hr. : 37.6±8.3%, 48 hr. : 22.2±11.2%, p=0.019). In the flow cytometry, the number of cells of subG1 population were increased in both dose-and time-dependent manners.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caspase-3 proenzyme levels were decreased in both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methanol extracts of Hedyotis diffusa are effective on the apoptosis of SNU-668 gastric cancer cells.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components and the study of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of methanol extracts of Hedyotis diffusa, we could make a new drugs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위배출시간에 대한 연구

        박윤선,김준형,도윤정,이준엽,허인경,박정배,성낙일,서정일,양찬헌,이재욱,백승덕,김남일,이창우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5 東國醫學 Vol.12 No.1

        간경변증 환자들은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위내시경 검사상 울혈성 위염이 자주 관찰되어 왔으며 이러한 위장관 증상이 간문맥압 상승으로 인한 위장관 운동기능장애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울혈성 위염을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위배출시간을 측정하고 간경변증간자의 위배출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3년 10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울혈성 위염을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 6명, 울혈성 위염을 동반하지 않은 간경변증 환자 4명, 2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위배출시간을 검사하였다. 울혈성 위염이 있는 간경변증 환자군의 위배출 시간이 정상 대조군의 위배출 시간보다 길었으나(331.67±317.39분, 66.55±31.39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72).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울혈성 위염을 가진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위배출시간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자료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위배출시간 지연의 병태생리에 울현성 위염이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frequently complain gastrointestinal symptoms. Endoscopic feature of patients with cirrhosis often included congestive gastropathy. Little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the possible effect of portal hypertension on the motor func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gastric emptying time in cirrhotic patients with congestive gastropathy and the factors causing the delay of gastric emptying time in patients with cirrhosis. Between October 2003 and May 2004, 6 Cirrhotic patients with congestive gastropathy, 4 Cirrhotic patients without congestive gastropathy, and 20 control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astric emptying time was longer in cirrhotic patients with congestive gastropathy than in controls (331.67±317.39 vs 66.55±31.39 minut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72). Although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gastric emptying time was more delayed in cirrhotic patients who had congestive gastropathy than normal controls. These data suggest a possibility that congestive gastropathy may contribute to pathogenesis of delayed gastric emptying in cirrhosis.

      • 미란을 동반한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 포켓의 피부 외 노출 및 감염 치료 2예

        성낙일,박정배,이준엽,허인경,김강,김준섭,배준호,오정철,이종문,나득영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2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의 감염은 드물지만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 감염이 발생했을 경우 감염된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적출술 후 합병증 및 기술적인 문제로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본 저자들은 감염과 미란을 동반한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의 피부 외 노출 2예를 인공 심장 박동 조율기를 제거하지 않고 표면 절제술 및 국소 피판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The pacemaker infection is rare, serious complication. Although we agree that removal of the entire pacemaker system is the best approach to pacemaker infection, there is difficult to remove because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surgical technique. We managed successfully for patients with infected pacemaker by wound debridement and local flap coverage without entire pacemaker system remo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