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Measurements of Plasma Cytokines in Radiation-induced Pneumonitis in Lung Cancer Patients

        허원주(Won Joo Hur),윤선민(Seon Min Youn),이형식(Hyung Sik Lee),양광모(Kwang Mo Yang),신건호(Geun Ho Sin),손춘희(Choon Hee Son),한진영(Jin Yeong Han),이기남(Ki Nam Lee),정민호(Min Ho Je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방사선폐렴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군을 사전에 예측해 보고자 혈장내 TGF-β1, TNF-α, IL-6의 농도를 측정하여 폐렴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1999년 7월까지 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비소세포암 11명, 소세포암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주 5회 매일 1.8 Gy씩 실시하였고 비소세포암과 소세포암에서 각각 평균 60 Gy와 54 Gy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전, 방사선치료 중 주 1회, 치료 후 추적관찰로 내원시마다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 TGF-β1, TNF-α 및 IL-6의 양을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단순흉부촬영(치료중 주1회, 치료 후 추적관찰 시마다 촬영) 및 방사선 폐렴과 연관된 증세를 관찰하여 방사선 폐렴의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HRCT)를 촬영하여 방사선 폐렴 발생여부를 확진하고자 하였다. 결 과: 17명의 환자 중 13명에서 방사선 폐렴과 연관된 증세가 발현되었고 단순 흉부 촬영과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 폐렴이 발생한 환자에서 측정한 TGF-β1의 경우 특징적인 수치 변화를 보여 치료 전 평균값은 38.45 ng/ml로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해 상승되어 나타났고(22.77 ng/ml) 방사선치료 중 13.66 ng/ml의 평균값을 보인 후 다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치료 2∼4주 후까지 평균 60.63 ng/ml로 상승되어 유지되었고 이 수치는 폐렴이 발생하지 않은 군과 비교할 때(12.77 ng/ml)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changes in plasma concentration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GF-β1),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and interleukin- 6 (IL- 6)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induced pneumonitis in the lung cancer patients. Methods and Materials : Seventeen patients with lung cancer (11 NSCLC, 6 SCLC) were enrolled in a prospective study designed to evaluate clinical and molecular biologic correlation of radiation- induced pneumonitis. The study began in May 1998 and completed in July 1999.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with curative intent : 1.8 Gy per day, 5 fractions per week. Serial measurements of plasma TGF-β1, TNF-α and IL- 6 were obtained in all patients before, weekly during radiotherapy and at each follow- up visits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These measurements were quantified using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ll patients were evaluated for signs and symptoms of pneumonitis at each follow- up visit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High resolution CT (HRCT) scans were obtained when signs and symptoms of pneumonitis were developed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Results :Thirteen patients eventually developed signs and symptoms of clinical pneumonitis while four patients did not. TGF-β1 levels were elevated in all 13 patients with pneumonitis, which showed characteristic pattern of elevation (38.45 ng/ml at pretreatment, 13.66 ng/ml during radiotherapy, then 60.63 ng/ml at 2- 4 weeks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The levels of TNF-α and IL- 6 were also elevate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developed pneumonitis but the pattern was not characteristic. Conclusions :Changes in plasma TGFβ- 1 levels before,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appears to be a useful means by which to identify patients at risk for the development of symptomatic pneumonitis. Other cytokines like TNF- α and IL- 6 shows no meaningful changes in association with radiation pneumonitis.

      • 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Patterns of Care Study of 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mong Three Countries

        Won Joo Hur(허원주),Youngmin Choi(최영민),Jeung Kee Kim(김정기),Hyung Sik Lee(이형식),Seok Reyol Choi(최석렬),Il Han Kim(김일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2

        목 적: 식도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해 최초로 시행한 한국의 PCS의 결과를 토대로 미국, 일본에서 시행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특징, 진단 및 치료방침의 차이를 파악해 향후 범 국가적으로 활용할 시스템의 구축에 응용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의 21개 병원의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1998-1999년 동안 식도암으로 확진 된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총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결과를 미국 59개 병원에서 식도암 환자 414명을 연구한 PCS 결과 (Suntharalingam)와 비교 하였다. 또 일본의 76개 병원에서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았거나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를 함께 받은 수술 군 환자 220명(Gomi), 수술을 받지 않고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거나 방사선 치료와 항암제치 료를 함께 시행한 비 수술 군 환자 385명(Murakami)을 대상으로 시행한 PCS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일본의 비 수술 군이 가장 높았다(71세). 한국과 일본은 남성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았지만(9:1) 미국은 여성의 발생률이 23.1%였다. 한국과 일본은 편평상피세포암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한국 96.3%,일본 98%) 미국은 선암이 더 많은 양상을 보였다(49.6%).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는 식도 내시경,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 식도조영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미국과 일본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복부 초음파보다 더 자주 시행하였다. 치료방침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 단독치료의 비율은 한국이 23.2%, 일본이 39%인데 반해 미국은 9.5%에 불과하였다. 수술과 방사선 및 항암치료를 병용한 빈도는 미국(32.8%)과 일본 (49.5%)이 한국(11.8%)보다 높았다. 식도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치료는 미국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어졌고(8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도의 빈도도 미국이 가장 높았다(97%). 항암치료제는 3개국 모두에서 cisplatin과 5-FU를 가장 선호하였다. 방사선 조사량은 한국 55.8 Gy, 미국 50.4 Gy였고 일본은 수술 군(48 Gy)과 비 수술 군(60 Gy)이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한국, 미국, 일본에서 시행된 식도암 환자의 PCS 결과를 분석하여 환자 및 종양의 특징, 진단 및 치료 방침에 다소간의 상이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량과 조사야 수, 방사선치료 에너지의 종류 등 방사선 기술적인 부분은 3개국 모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For the first time, a nationwide survey of the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the various radiotherapy treatments of esophageal cancer was carried out in South Korea. In order to observe the different parameters, as well as offer a solid cooperative system, we compared the Korean results with those observed in the United States (US) and Japan.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s forty-six esophageal cancer patients from 21 institutions were enrolled in the South Korean study. The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hy (RT) from 1998 to 1999. In order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from the United States, a published study by Suntharalingam, which included 414 patients [treated by Radiotherapy (RT)] from 59 institutions between 1996 and 1999 was chosen. In order to compare the South Korean with the Japanese data, we choose two different studies. The results published by Gomi were selected as the surgery group, in which 220 esophageal cancer patients were analyzed from 76 facilities. The patients underwent surgery and received RT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between 1998 and 2001. The non-surgery group originated from a study by Murakami, in which 385 patients were treated either by RT alone or RT with chemotherapy, but no surgery, between 1999 and 2001. Results: The median age of enrolled patients was highest in the Japanese non-surgery group (71 years old). The gender ratio was approximately 9:1 (male:female) in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tudies, whereas females made up 23.1% of the study population in the US study. Adenocarcinoma outnumbere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US study, whereas squamous cell carcinoma was more prevalent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tudies (Korea 96.3%, Japan 98%). An esophagogram, endoscopy, and chest CT scan were the main modalities of diagnostic evaluation used in all three countries. The US and Japan used the abdominal CT scan more frequently than the abdominal ultrasonography. Radiotherapy alone treatment was most rarely used in the US study (9.5%), compared to the Korean (23.2%) and Japanese (39%) studies.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modalities (Surgery+RT+Chemotherapy) was performed least often in Korea (11.8%) compared to the Japanese (49.5%) and US (32.8%) studies. Chemotherapy (89%) and chemotherapy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97%)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US study. Fluorouracil (5-FU) and Cisplatin were the most preferred drug treatments used in all three countries.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50.4 Gy in the US study, as compared to 55.8 Gy in the Korean study regardless of whether an operation was performed. However, in Japan, different median doses were delivered for the surgery (48 Gy) and non-surgery groups (60 Gy). Conclusion: Although some aspects of the evaluation of esophageal cancer and its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were heterogeneous among the three countries surveyed, we found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RT dose or technique, which includes the number of portals and energy beams.

      • KCI등재

        식도암 방사선 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1998∼1999)의 예비적 결과 분석

        허원주(Won Joo Hur),최영민(Youngmin Choi),이형식(Hyung Sik Lee),김정기(Jeung Kee Kim),김일한(Il Han Kim),이호준(Ho Jun Lee),이규찬(Kyu Chan Lee),김정수(Jung Soo Kim),전미선(Mi Son Chun),김진희(Jin Hee Kim),안용찬(Yong Chan Ahn),김상기(S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2

        Purpose: For the first time, a nationwide survey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asic parameters for the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and to offer a solid cooperative system for the Korean Pattern of Care Study database.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1998∼1999, biopsy-confirmed 246 esophageal cancer patients that received radiotherapy were enrolled from 23 different institutions in South Korea. Random sampling was based on powerallocation method. Patient parameters and specific information regarding tumor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were collected and registered through the web based PCS system.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use of the Chi-squared test.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collected patients was 62 yea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about 91 to 9 with an absolute male predominance. The performance status ranged from ECOG 0 to 1 in 82.5% of the patients. Diagnostic procedures included an esophagogram (228 patients, 92.7%), endoscopy (226 patients, 91.9%), and a chest CT scan (238 patients, 96.7%). Squamous cell carcinoma was diagnosed in 96.3% of the patients; mid-thoracic esophageal cancer was most prevalent (110 patients, 44.7%) and 135 patients presented with clinical stage III disease. Fifty seven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lone and 37 patients received surgery with adjuva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Half of the patients (123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together with RT and 70 patients (56.9%) received it a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The most frequently used chemotherapeutic agent was a combination of cisplatin and 5-FU. Most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either with 6 MV (116 patients, 47.2%) or with 10 MV photons (87 patients, 35.4%). Radiotherapy was delivered through a conventional AP-PA field for 206 patients (83.7%) without using a CT plan and the median delivered dose was 3,600 cGy. The median total dos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5,040 cGy while for the non-operative patients the median total dose was 5,970 cGy. Thirty-four patients received intraluminal brachytherapy with high dose rate Iridium-192. Brachytherapy was delivered with a median dose of 300 cGy in each fraction and was typically delivered 3∼4 time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complication during the radiotherapy treatment was esophagitis in 155 patients (63.0%). Conclusion: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patients at radiation facilities in Korea,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and benchmark data for the solid cooperative systems of the Korean PCS. Although some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institutions,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 in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RT techniques. 목 적: 전국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식도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각 병원으로부터 입력 받아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여 범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치료방침을 분석하 여 향후 적절한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국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의 2년간에 걸쳐 식도암으로 확진된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간 400명 미만의 방사선치료 신환자 발생병원들을 A군, 400명 이상 900명 미만의 병원들을 B군, 그리고 900명 이상 신환자가 발생하는 병원을 C군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A군에서 12병원, B군에서 8개 병원,그리고 C군에서 3개의 병원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미 개발된 Web-based Korean PCS system을 통해 각 병원으로부터 직접 자료를 입력 받아 이를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였고 통계적 처리는 SPSS version 12.0.1을 사용하고 범주형 자료는 Chi-squared test를 사용하였고 연속변수는 ANOVA, Kruskal-Wallis test를 적용하였다. 결 과: 입력된 환자들의 성별 분포는 남자 224명(91.1%), 여자 22명(8.9%)이었고 연령별 중앙값은 62세 전후였다.진단 및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로는 식도 촬영술(228명, 92.7%), 식도내시경(226명, 91.9%) 및 흉부 식도 CT 스캔 (238명, 96.7%)을 주로 시행하였다. 편평상피암이 대종을 이루어 237명(96.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고 중흉부식도(mid-thoracic esophagus)에서 발생한 식도암이 가장 많았다(110명, 44.7%). 임상 병기는 III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135명, 54.9%). 방사선 치료만 받은 경우는 57명(23.2%), 방사선 치료와 수술을 병용한 경우는 전체의 15%인 37명, 항암약물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경우는 123명(50%)이었다.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경우 전례에서 수술을 먼저 시행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항암치료를 방사선치료와 병행한 경우 반수 이상에서 (70명, 56.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31명(25.2%)에서 항암치료 후 방사선치료를 또는 항암요법 단독치료 후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13명, 10.6%)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 (116명, 47.2%)와 10 MV (87명,35.4%)의 X-ray가 대종을 이루었다. 방사선 치료 시 조사야는 longitudinal margin의 경우 중앙값은 7.0 cm이었지만 각 군별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A군; 5.5 cm, B군; 8.0 cm, C군; 14.0 cm).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고식적인 AP/PA 조사야를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206명, 83.7%) 이 때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3,600 cGy이었다. 이후 추가 방사선 치료 시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2-oblique fields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87명(35.4%)이었는데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1,800 cGy이었다. 전 환자에서 1일 1회 180 cGy로 치료하였다. 전 환자에서 조사된 총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580 cGy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중앙값은 5,040 cGy이었고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중앙값은 5,940 cGy이었다. 근접조사 방사선 치료는 총 34명(13.8%)에서 시행되었고, 전 환자에서 high dose rate 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조사범위는 종양에서 longitudinal margin의 중앙값은 1 cm, prescribed isodose curve에서 axial length의 평균값은 8.25 cm, 폭은 2 cm, 그리고 전후 폭의 중앙값도 2 cm이었다. Fraction size의 중앙값은 300 cGy이었는데 B군의 경우는 500 cGy이었다. 총 분할 횟수는 3∼4회가 대부분이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 중 발생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이 가장 많았는데 전체 246명 환자 중 155명(63.0%)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전국 23개 병원의 식도암 환자 치료 Data를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병원에서 환자의 특징과 진단 및 병기결정 방법, 치료의 유형 등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신환 발생 수에 따른 병원 규모의 차이는 조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병원 규모가 클수록 10 MV 이상의 고에너지로 치료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3D CTPlan도 병원 규모가 클수록 활용도가 높았다. 조사 야의 면적도 병원 군별로 차이를 보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입력하여 생존율 분석까지 이루어지면 이 연구는 식도암 치료방침의 결정에 중요한 guideline을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과분할 방사선 치료의 성적

        허원주(Won Joo Hur),이형식(Hyung Sik Lee),김정기(Jeong Ki Kim),최영민(Young Min Choi),이호준(Ho Jun Lee),윤선민(Seon Min Youn),김재석(Jae seok Kim),김효진(Hyo Jin Kim),우종수(Jong Soo Woo),최필조(Pill Jo Choi),이기남(Ki Nam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병기 IIIA, IIIB 비소세포 폐암에서 과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 10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병기결정과 병리조직 검사상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 중 전신상태가 양호한 (ECOG score 2 이하) 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확진 후 2주내 시행하였으며 15 MV x-ray를 이용하여 일일 2회 (매 치료당 120cGy) 주 5회 치료하였으며 방사선 총량은 6400-7080 cGy (중앙값 6934 cGy)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결 과 : 치료후 종양의 완전관해 (CR)는 전체 61명 중 22명이었고 부분관해 (PR)가 32명에서 관찰되었으며 무반응 (NR)의 경우도 7명에서 관찰되었다. 완전관해의 경우 중앙 생존기간이 19.5개월로 부분관해의 11.7개월, 무반응의 6.3개월에 비해 높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p=0.0003), 1년 및 2년 생존율도 완전 관해군에서 70.0%, 22.7%로 부분관해의 46.8% 및 3.3%보다 높았다. 전체 61명 환자 중 IIIA군이 29명 IIIB군이 32명이었고 완전 관해는 IIIA군에서 11명, IIIB군에서도 11명이었다. 각 병기에 따른 1년 및 2년 생존율은 IIIA군이 각각 63.3%, 16.8%이고 IIIB군이 43.3%, 3.6% 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p=0.043), 중앙 생존기간은 IIIA가 16.7개월, IIIB가 11.4개월이었다. 국소 치료 실패율은 양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관찰되었으나 (IIIA 74.4%, IIIB 75%), 원격전이는 IIIB 환자가 높게 나타났다 (IIIA 24.1%, IIIB 43.8%). 조직학적으로도 편평상피암과 선암의 경우 국소치료 실패율은 비슷하였으나 (편평상 피암 74.5%, 선암 71.4%), 원격전이는 선암이 많았다 (편평상피암 29.8%, 선암 50.0%). 과분할 방사선 치료에 대한 합병증은 전체 61명 환자 중 43명에서 Grade I- II의 방사선 식도염이 관찰되었고 치료 종결 후 2개월 내에 2명의 환자에서 급성 방사선 폐렴이 나타났고, 만성 방사선 폐렴은 1명에서 나타났으며 13개월만에 만성 방사선 폐렴에서 폐 섬유화가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결 론 :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수술 불가능한 비소세포성 폐암중 특히 IIIA의 경우 치료에 대한 독성을 감안하더라도 과분할 방사선 치료를 시도하여 완전 관해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존율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The effect of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on locally advanced non-small lung cancer was studied by a retrospective analysis. Materials & Methods:We analyzed sixty one patients of biopsy -confirmed, IIIA and IIIB non-small cell lung cancer. Using the ECOG performance scale, all the patients were scored less than 2. They were treated by curative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alone from Oct. 1992 to Oct. 1995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All the patients received 120cGy b.i.d with more than 6 hours interval between each fraction. The total dose of radiation was reached up to 6400-7080 cGy with a mean dose of 6934 cGy. The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53.1% in 1 year, 9.9% in 2 years with a median survival time (MST) of 13.9 months. The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rate was 37.0% in 1 year, 8.9% in 2 years. Twenty two patients were classified as complete responders to this treatment and their MST was 19.5 months. When this was compared with that of partial responders (MST: 11.7month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3). Twenty nine patients of stage IIIA showed a better overall survival rate (1yr 63.3%, 2yr 16.8%) than IIIB patients (1yr 43.3%, 2yr 3.6%),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cant (p=0.003).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showed a better survival rate (1yr 64.3%, 2yr 21.4%) than that of squamous cell counterpart (1yr 49.4%, 2yr 7.4%), although thi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p=0.61). Two patients developed fatal radiation-induced pneumonia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reatment which progressed rapidly and they all died within 2 months. One patient developed radiation- induced fibrosis after 13 months. He refused further treatment and died soon after the development of fibrosis. Conclusion : Among locally advanced NSCLC,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was effective on stage IIIA patients by increasing MST with acceptable toxicities. Acute radiation-induced pneumonia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and must be avoided during or after this treatment.

      • SCOPUSKCI등재

        HMA 세포내 산도증가가 온열과 항암화학 치료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효과

        허원주(Won Joo Hur),송창원(Chang Won S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2

        Purpose : The enhanced cytotoxic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hyperthermia and chemotherapy by increasing intracellular acidity with HMA was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 FSall tumor cells were injected on the hindlegs of female C₃H mice. When the tumor volume reached about 200mm³,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e groups classified as follows : Group Ⅰ : Control. Group Ⅱ : Melphalan alone (2.5mg/kg, 5mg/kg, 10mg/kg, 15mg/kg). Group Ⅲ : Heat alone (42.5°C for 1 hour). Group Ⅳ : Mephalan + Heat (42.5°C for 1 hour). Group Ⅴ : HMA(10mg/kg) + Melphalan(5.0mg/kg) + Heat(42.5°C for 1 hour). Each group included 8-12 mice on each experiment. HMA (3-amino-6-chloro-5-(1-homopiperidyl)-N-(diaminomethylene)-c-pyrazinecarboxamide). an analog of amiloride which increases intracellular pH(pHi)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ide (DMS) and injected tnto the tumor-bearing mice through the tail vein. 10mg/kg of HMA and each dose of mephalan were injected into peritoneum of the tumor-bearing mice 30 minutes before heating. Tumor growth delay was calculated when the tumor volme reached at 1500mm³. Excision assay was performed on each group and repeated 2-4 times. Results : Tumor growth delay of each experimental group at 1500mm³ were 9, 10, 13 and 19 days respectively. In vivo-in vitro excision assay using FSall tumor cells, the mytotoxicity of each experimental groups was 1.2X10⁷, 1X10⁷, 6X10⁶, 1.7X10⁶ and 1X10⁵ clonogenic cells/gm respectively. When HMA was added to the combined treatment of heat and chemotherapy, the tumor growth was delayed more than combined treatment without HMA i.e., 6 days tumor growth delay at 1500mm³ of tumor volume. conclusion : The combined effect of cytotoxicity by heat and chemotherapy can be much more enhanced by HMA.

      • SCOPUSKCI등재

        성문상부 상피세포암에서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김원택(Won Taek Kim),김동원(Dong Won Kim),권병현(Byung Hyun Kwon),남지호(Ji Ho Nam),허원주(Won Joo Hur)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4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성적과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성문상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의 효율성과 역할, 그리고 앞으로의 치료방침의 결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알아보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8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32예를 후향적 분석을 통해 최소 29개월간 추적관찰 하였다. 6MV 광자선을 이용하여 조사영역 축소치료법과 통상적 분할조사 방법으로 원발부위와 주위 경부림프절을 평균 70.2 Gy로 치료하였고, 이 중 13예는 cisplatin과 5- FU로 유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병기별로는 1기가 5명(15.6%), 2기가 10명(31.3%), 3기가 8명(25%), 4기가 9명(28.1%)이었다. 결 과 : 연구 결과 5년 전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 성문보존율은 각각 51.7%, 65.2%, 65.6%였고, 병기별로의 생존율은, 1기, 2기, 3기, 4기 각각 80%, 66.7%, 42.9%, 25.0%였고, 국소제어율은 각각 100%, 60.0%, 62.5%, 44.4%였으며, 성문보존율은 각각 100%, 70%, 62.5%, 44.4%였다. 유도 화학요법을 실시한 군과 방사선 단독 군에서 생존율, 국소제어율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치료실패를 보인환자 중 7예에서 구제적 수술을 시행했고 이 중 3예에서 성공하였다. 치료 중 화학요법을 병용한 1예에서 중성구감소증으로 입원하였으며, 그 외에는 grade 3 이상의 급성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치료 후 2예에서 심한 후두부종으로 기관절개술을 받았다. 원격전이는 4예에서 보였고(폐 3예, 뇌 1예), 2예에서 이차성 원발암이 발견되었다. T병기와 N병기, 총방사선량, 그리고 종양의 육안적 소견 등이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결 론 :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조기 성문상부암인 경우 방사선치료와 보존적 수술이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에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후두기능 보존의 효과가 좋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하겠으며,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서는 방사선 단독 치료가 수술과의 병합치료보다 예후가 월등히 좋지 않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합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좋겠으나, 방사선치료를 해야만 하는 경우에서는 성문보존율과 국소제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 특히 동시 화학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그리고 방사선 민감제 등을 이용한 보다 더 폭 넓은 연구와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 First of al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sult of curative radiotherapy and to evaluate different possible prognostic factors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lottic larynx treated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was by comparing our data with those of other study groups, to determine the better treatment policy of supraglottic cancer in future. Methods and Materials :Thirty- two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upraglottic larynx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5 to December 1996.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9 months. Twenty- seven patients (84.4%) were followed up over 5 years. Radiotherapy was delivered with 6 MV photons to the primary laryngeal tumor and regional lymphatics with shrinking field technique. All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under conventional fractionated schedule (once a day). Median total tumor dose was 70.2 Gy (range, 55.8 to 75.6 Gy) on prima ry or gross tumor lesion. Thirteen patients had induction chemotherapy with cisplatin and 5- fluorouracil (1- 3 cycles). Patien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ges, were as follows: stage I, 5/32 (15.6%); stage II, 10/32 (31.3%); stage III, 8/32 (25%); stage IV, 9/32 (28.1%). Results :The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of the whole series (32 patients) was 51.7%. The overall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80% in stage I, 66.7% in stage II, 42.9% in stage III, 25% in stage IV (p=0.0958). The 5-year local control rates after radiotherapy were as follows: stage I, 100%; stage II, 60%; stage III, 62.5%; stage IV, 44.4% (p=0.233). Overall vocal preservation rates was 65.6%, 100% in stage I, 70% in stage II, 62.5% in stage III, 44.4% in stage IV (p=0.210).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urvival and local control rate between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otherapy group and radiotherapy alone group. Severe laryngeal edema was found in 2 cases after radiotherapy, emergent tracheostomy was done. Four patients were died from distant metastsis, : three in lung, one in brain. Double primary tumor was found in 2 cases, one in lung (metachronous), another in thyroid (synchronous). Ulcerative lesions were revealed as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 (p=0.0215), and radiation dose (more or less than 70.2 Gy) was an important factor on survival (p=0.0302). Conclusions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supraglottic carcinoma is to improve the survival and to preserve the la ryngeal function. Based on our data and other studies, ea rly and moderately advanced supraglottic carcinomas could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either conservative surgery or radiotherapy alone. Both modalities showed similar results in survival and vocal preservation. For the advanced cases, radiotherapy alone is inadequate for curative aim and surgery combined with radiotherapy should be done in operable patients. When patients refuse operation or want to preserve vocal function, or for the patients with inoperable medical conditions, combined chemoradiotherapy (concurrent) or altered 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radiosensitiz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uture.

      • SCOPUSKCI등재

        초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늑막하 병변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예비 보고

        이호준,이형식,허원주,이기남,최필조,Lee, Ho-Jun,Lee, Hyung-Sik,Hur, Won-Joo,Lee, Ki-Nam,Choi, Pill-J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Purpose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impact of subpleural lesions of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on the patterns of failure to support selection of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 The study included 9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Dec 1990 to Sep 1996. Twenty five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postoperative mortality (four patients, 4.4$\%$) and stage III (21 patients). Of 66 patients, 22 patients were subpleural lesions (15 patients in stage I, and seven patients in stage II).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was given to seven patients with T2Nl disease.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9.5 months (range; 8-84 months).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69.5$\%$ at 3 years. For all patients who presented with (22 patients) and without (44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5.5$\%$ and 84.6$\%$, respectively (p=0.0017). For stage 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5 patients) and without (29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3.1$\%$ and 92.3$\%$, respectively (p=0.001). For stage I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7 patients) and without (15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53.3$\%$ and 45.7$\%$, respectively (p=0.911). For patients with T2N0 disease (34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1 patients) and without (23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27.3$\%$ and 90.3$\%$, respectively (p=0.009). Conclusion :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subpleural les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rognostic factor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Especially for T2N0 disease, patients with subpleural les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out that. 목적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치료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 치료후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료방침의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2월부터 1996년 9월까지 동아대학병원에서 절제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 91명중 제 I병기와 제 II병기환자 6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66명중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22명이었으며, 제 I병기(T1N0, T2N0)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15명/44명(34.1$\%$)이었으며, 제 II병기(T1N1, T2Nl, T3No)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7명/22명(31.8$\%$)이었다. 수술후 보조요법으로서 전신 항암요법은 시행되지 않았고, 방사선치료는 7명에서 시행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8개월이며 최대추적관찰기간은 84개월이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3.2개월(중앙값; 29.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분석하였고, 서로간의 성적비교는 log-l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69.5$\%$였다. 전체환자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5.5$\%$와 84.6$\%$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7). 제 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3.1$\%$와 92.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제 I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3$\%$와 45.7$\%$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p=0.911). 제 I병기환자 44명중 원발종양의 크기가 3cm이상인 경우(T2, 34명)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27.3$\%$와 90.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9). 국소재발은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2명/15명(13.3$\%$), 제 II병기에서 2명/7명(28.6$\%$)에서 재발하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4명/29명(13.8$\%$), 제 II병기에서 2명/14명(14.3$\%$)에서 국소재발을 보였다. 원격전이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5명/15명(33.3$\%$), 제 II병기에서 2명/7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1병기에서 2명/29명(6.9$\%$), 제 II병기에서 4명/14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결론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예후에 있어서 늑막하병변의 유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임파선 전이가 없는 72병기의 경우 늑막하병변이 있으면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생존율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SCOPUSKCI등재

        방사선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세포고사에 대한 Cysteamine의 효과

        최영민,박창교,조흥래,이형식,허원주,Choi, Young-Min,Park, Chang-Gyo,Cho, Heung-Lae,Lee, Hyung-Sik,Hur, Won-J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적 :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의 경로와 방사선보호제의 일종인 cysteamine (${\beta}$-mercaptoethylamine)이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HL-60 세포주를 대상으로 대조군, 방사선조사군, cysteamine 전처치군(1 mM, 10 mM) 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하였다. 방사선은 6 MV로 10 Gy 일회 조사하였고, cysteamine은 방사선조사 1시간 전에 처치하였다. 세포고사의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과 방사선조사군에서 Caspase딕의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세포고사에 대한 cysteamin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사선조사 후 1.5, 3, 6, 24시간에서 각 실험군의 생존 세포 수, caspase-3 의 발현과 활성도, poly (ADP-rlbose) polymerase (PAHP)의 발현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세포사망수용체에 의한 세포고사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Caspase겨의 귿성도는 방사선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생존 세포 수는 방사선조사 6시간 후부터 감소되었는데(p>0.05), 1 mM cysteamine 전처치군에서는 감소되지 않고 대조군과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세포고사의 실행 단계라고 알려진 Caspase-3의 발현은 각 실험군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도는 방사선조사 후에 증가되었고(P>0.05) 1 mM cysteamlne 전처치에 의해 증가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Caspase-3의 활성에 의해 발생되는 PARP 분해산물(24 kD)의 발현이 방사선조사 후에 관찰 되었는데, 1 mM cysteamine 전처치군에서는 발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에 의한 세포고사는 세포사망수용체에 의한 세포고사와는 다른 경로를 거치고, 1 mM cysteamine 전 처치는 방사선조사에 의한 세포고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athways of radiation induced apoptosls and the effect of cysteamine (${\beta}$-mercaptoethyiamine), as a radioprotector, on it. Materials and Methods : HL-50 ceils were assigned to control, irradiated, and cysteamlne (1 mM, 10mM) pretreated groups. Irradiation was given In a single fraction of 10 Gy (6 MV x-ray) and cysteamine was administered 1 hour before irradiation. The activities of caspase-8 were measured in control and irradiated group to evaluate its relation to the radiation Induced apoptosis. To evaluate the role of cysteamine In radiation Induced apoptosis, the number of viable cells,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caspase-3, and the expression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were measured and compared after irradiating the HL-60 celis with cysteamine pretreatment or not. Results : The intraceliular caspase-8 activity, known to be related to the death receptor induced apoptosis, was not affected by irradiation(p>0.05). The number of viable cells began to decrease from 6 hours after irradiation (p>0.05), but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1 mM cysteamine pretreated group was not decreased after irradiation and was similar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aspase-3 analyses, known as apoptosis executioner, its expression was not different but its activity was Increased by irradiation(p>0.05). However, this Increase of activity was suppressed by the pretreatment of 1 mM cysteamine. The cleavage of PARP, thought to be resulted from caspase-3 activation, occurred after irradiation which was attenuated by the pretreatment of 1 mM cysteamin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radiation induced apoptotic process is somewhat different from death receptor induced one and the pretreatment of 1 mM cysteamine has a tendency to decrease the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HL-60 cells.

      • SCOPUSKCI등재

        SCK 선암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미치는 암유전자의 발현

        이헝식,박홍규,문창우,윤선민,허원주,정수진,정민호,이상화,Lee Hyung Sik,Park Hong Kyu,Moon Chang Woo,Yoon Seon Min,Hur Won Joo,Jeong Su Jin,Jeong Min Ho,Lee Sang Hwa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목적 : 연구자들은 배양 배지의 산성환경이 SCK 선암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과 산성환경이 SCK 선암 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를 억제시킨다고 관찰하고 apoptosis 관련 유전자들인 p53, p21/WAF/CIP, Bcl-2 및 Bax 들의 발현과 배양 배지 pH 환경과의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 SCK 선암 세포주를 체외 방사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방사선 120Gy 조사 후 규정된 시간에 DNA fragmentation을 전기 영동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조작으로 apoptosis가 유발된 세포군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세포주기 분석을 위하여 FACScan을 이용하였다. Apoptosis 관련 유전자들인 p53, P21/WAF/CIP, Bcl-2 및 Bax 들의 발현은 western blot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SCK 선암 세포주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는 산성환경(pH 6.6)에서는 apoptosis의 유발이 억제 된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주기 분석에서는 방사선조사 후 apoptosis가 뚜렷히 관찰된 pH 7.5 배양 배지 조건에 비하여 pH 6.6 배양 배지 조건에서 현저한 G2/M arrest가 관찰 되었다. apoptosis 관련 유전단백 분석에서는 Bcl-2 유전단백은 두 군 공히 발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고, p53 및 p21은 pH 7.5 배양 배지 환경에서 뚜렷한 발현의 증가를 관찰하였고, p21은 pH 6.6 배양 배지 환경에서는 발현을 관찰할 수 없었다. Bax는 pH 7.5 배양 배지 환경에서 pH 6.6 환경에 비해 경미한 발현의 증가 및 지속성을 관찰하였다. 결론 . 저자들은 SCK 선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방사선조사 후 상이한 pH 7.5 와 6.6의 배양 배지 조건에 따른 apoptosis의 관찰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에서 Bcl-2 family의 발현에 비해 세포주기 관련 유전단백들인 p53 발현과 이에 따른 p21의 발현차이가 확연한 p53-dependent apoptotic pathway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pH 6.6의 배양 배지 조건에서의 apoptosis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던 이유는 pH 6.6의 경우 50-60$\%$의 세포가 G2/M arrest에서 세포주기를 순환하지 못함을 확인하였기에 G2/M arrest의 해지와 더불어 순환되는 세포주기의 결과에 따른 post-mitotic apoptosis 현상의 장애로 추론하였다. Purpose : The expression of p53, P211WAF/CIP, Bcl-2, and Bax underlying the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different pH environments using SCK mammary adenocarcinoma cell line was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Mammary adenocarcinoma cells of hi) mice (SCK cells) in exponential growth phase were irradiated with a linear accelerator at room temperature. The cells were irradiated with 12 Gy and one hour later, the media was replaced with fresh media at a different pHs. After Incubation at 37Microbioiogy, College of Medicine Dong A University for 0$\~$48 h, the extort of apoptosis was determined us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flow cytometry. The progression of cells through the cell cycle after irradiation in different pHs was also determined with flow cytometry. Western blot analysis was used to monitor p53, p211WAFfCIP, Bcl-2, and Bu protein levels. Results : The induction of apoptosis by irradiation in pH 6.6 medium was markedly less than that in pH 7.5 medium. The radiation-induced G2IM arrest in pH 6.6 medium lasted markedly longer than that in pH 7.5 medium. Considerable amounts of p53 and p21 proteins already existed at pH 7.5 and increased the level of p53 and p21 significantly after 12 Gy X-irradiation. An incubation at pH 6.6 after 12 Gy X-irradiation did not change the level of p53 and p21 protein levels significantly. Bcl-2 protein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radiation and showed no correlation with cell susceptibility to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different pHs. An exposure to 12 Gy of X-rays increased the level of Bax protein at pH 7.5 but at pH 6.6, it was slight. Conclusions :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dinerent pH environments using SCK mammary adenocarcinoma cell line was dependent of the expression p53 and P211YVAF/CIP proteins. We may propose following hypothesis that an acidic stress augments the radiation-induced G2iM arrest, which inhibiting the irradiated cells undergo post-mitotic apoptosis.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cidity on anti-apoptotic and pro-apoptotic function of Bcl-2 family was unclear in SCK mammary adenocarcinoma cell line.

      • KCI등재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직장암 환자들에서 Cyclooxygenase-2 발현의 임상적 의미

        이형식(Hyung-Sik Lee),최영민(Youngmin Choi),허원주(Won-Joo Hur),김수진(Su-Jin Kim),김대철(Dae-Cheol Kim),노미숙(Mee Sook Roh),홍영습(Young-Seoub Hong),박기재(Ki-Jae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4

        목 적: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직장암 환자들에서 cyclooxygenase-2 (COX-2) 발현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직장암으로 동아대병원에서 근치적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에서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경우를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하였다. 86명 중에서 수술 후 조직을 찾을 수 없는 3명, 악성 흑색종 1명, 진단 전후 2년 내에 위암과 폐암이 발생한 각 1명, 진단 시에 간 전이가 있었던 1명, 720cGy 후 방사선치료를 거부한 1명 등을 제외한 7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COX-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은 자동면역염색기로 하였고, 스캔한 후,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Kaplan-Meier 생존율 분석을 하였고, Logrank 검사로 유의성을 조사하였다.결 과: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COX-2 양성이 62명(79.5%), 음성이 16명(20.5%)이었고, 양성도가 1, 2, 3인 환자들이 각각 6명(7.7%), 15명(19.2%), 41명(52.6%)이었다. 환자의 나이(60세 미만, 이상), 성별, 수술 방법(복회음절제술, 하위전방절제술), 세포의 분화도, 종양의 크기(5 cm 미만, 5 cm 이상), T병기, N병기, 병기(IIIa, IIIb, IIc), 등에 따른 COX-2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57.0%, 51.6%였다. COX-2 음성과 양성인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이 72.9%와 53.0% (p=0.146), 5년 무병생존율이 72.7%와 46.3% (p=0.118)였다. COX-2 양성도가 0, 1, 2, 3인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2.9, 50.0 51.3, 53.1%였고(p=0.495),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72.7, 50.0, 46.7, 45.1%였다(p=0.451). 5년 생존율은 악성종양 세포의 분화도, N병기, 병기, 등에 따라서, 5년 무병생존율은 N병기, 병기, 등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직장암 환자에서 COX-2의 발현 여부와 정도는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향후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COX-2 발현이 직장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influence of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a combination of rectal cancer and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by radical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t the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1998 to 2004.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a subset of patients that also had lymph node metastasis. After excluding eight of 86 patients, due to missing tissue samples in three, malignant melanoma in on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around one year before diagnosis in one, detection of lung cancer after one year of diagnosis in one, liver metastasis in one, and refusal of radiotherapy after 720 cGy in one, 78 patients were analyzed. The immunohistochemistry for COX-2 was conducted with an autostainer (BenchMark; Ventana, Tucson, AZ, USA). An image analyzer (TissueMine; Bioimagene, Cupertino, CA, USA) was used for analysis after scanning (ScanScope; Aperio, Vista, CA, USA). A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aplan Meier method and significance was evaluated using the log rank test. Results: COX-2 was stained positively in 62 patients (79.5%) and negatively in 16 (20.5%). A total of 6 (7.7%), 15 (19.2%), and 41 (52.6%) patients were of grades 1, 2, and 3, respectively for COX-2 expression.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eing positive of COX-2 patient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age (<60-year old vs. ≥60), sex, operation methods (abdominoperineal resection vs. lower anterior resection), degrees of differentiation, tumor size (<5 cm vs. ≥5 cm), T stages, N stages, and stages (IIIa, IIIb, IIIc). The 5-year overall and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for the entire patient population were 57.0% and 51.6%, respectively.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for the COX-2 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were 53.0% and 72.9%, respectively (p=0.146). Further, the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for the COX-2 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were 46.3% and 72.7%, respectively (p=0.118).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or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N stage, and stage, whereas the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 for N stage and stage. Conclusion: Being positive for and the degree of COX-2 ex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rectal cancer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However, N stage and stage di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ateof survival. Further analysis of a greater sample size is necessar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COX-2 expression on the survival of rectal cancer patients with lymph node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