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에 따른 한국 여성의 요골 말단 부위의 골밀도

        허성은 ( Sung Eun Hur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요골 말단 부위의 골밀도는 Colles` fracture를 예견하는데 도움이 되며, 다른 axial bone보다 변형이 덜 일어나고 axial bone과의 상관 관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부위이면서 손쉽게 측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에서 요골 말단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연령군의 골밀도 값과 연령에 따른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여성의 요골 말단부위의 골밀도는 40-49세 사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한국 여성의 요골 말단부위의 골밀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50세 까지는 골밀도가 약간 증가하거나 유지되는 정도으 기울기를 가지고 있고, 50세 이후부터는 현저히 감소되는 양상이 보인다. 3. 폐경 전의 요골 말단부위의 골밀도는 년간 0.75% 즉, 10년간 7.5%의 골밀도의 증가를 보여주었고, 폐경 후의 요골 말단부위의 골밀도는 10년간 15.9%의 감소를 보여주어 폐경 후 골밀도의 감소가 증가하였다. 4. 요골 말단 부위의 골밀도를 연령별과 더불어 신장과, 체중 그리고, 연령과 BMI와의 상관 관계를 다중회귀 분석 하였을 때 신장보다는 연령과 체중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골말단 부위의 골밀도는 폐경을 전후로 연령과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비교적 이동이 간편하며 측정이 용이하여 지역사회 폐경여성의 골다공증 유병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ge related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v(BMD) of distal forearm in Korean women. Method: Distal forearm BMD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women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tiy Mock-dong Hospital. The mean age,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of aged over 50 years old and group of aged under 50 years old.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distal forearm BMD is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age of around 50 years. For the persons of under 50 years of age, BMD slightly increased with age. In contrast, after the 50 years old, BMD steeply decreased with age. The mean age, height and weight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of aged over 50 years old and group of aged under 50 years old. Conclusion: The BMDs of over 50 years old age group were decreased with age compared to the group of age under the 50 years old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에서 Interleukin-6의 전사조절부위 SNP와 골밀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허성은 ( Sung Eun Hur ),문혜성 ( Hye Sung Moon ),김형래 ( Hyung Rae Kim ),김성례 ( Sung Rye Kim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1

        골다공증은 특히 여성에게 더 중요한 질환으로 평생 이환될 위험이 40-50%가 된다. 골다공증에 관련된 유전자를 찾으려는 연구가 vitamin D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Collagen-I-α-1 유전자 및 골단백질, 호르몬, 사이토카인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다. Interleukin-6(IL-6)는 면역 반응과 조혈 작용에서뿐 아니라 골 흡수를 조절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인 사이토카인으로, IL-6의 전사조절부위(promoter)에서 -174 G→C polymorphism이 IL-6의 dysregulation 및 이에 의한 만성 질환과 연관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L-6의 전사조절부위 중 -57의 단일 염기 서열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과 골밀도를 조사하여 그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폐경 여성 274 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대상의 평균 나이는 52.7±9.2세, 평균 신장은 155.3±5.0㎝, 평균 체중은 56.7±7.6㎏, 평균 Body mass index (BMI)는 23.4±3.6㎏/m2이었으며 IL-6 유전자의 -572(G→C)의 SNP type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IL-6의 시발체의 -572의 SNP는 GG군이 153명(55.6%), GC군이 107(39.1%), CC군이 14명(5.3%)으로 나타났다. 3. IL-6 유전자 아형에 따른 대체요법 전의 요추의 골밀도는 L2-L4에서 GG군;1.026±0.17, GC군;1.038±0.18, CC군;1.003±0.17 g/㎠,. 요추 L2=L4의 T score는 GG군;-0.844±1.40, GC군;-0.701±1.46, CC군;-0.956±1.66 의 유전자 아형간의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는 GG군; 0.831±0.19, GC군; 0.850±0.19, CC군;0.758±0.09 g/㎠으로 유전자 아형 CC가 다른 유전자 아형에 비하여 낮은 골밀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대퇴골 경부의 T score는 GG군;-0.667±1.17, GC군;-0.347±1.34, CC군;-1.310±0.89로 CC 유전자 아형에서 GC 유전자 아형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T score를 보였다.(p < 0.05) 4. IL-6 유전자 아형에 따른, 호르몬 대체요법 1년 후의 요추의 골밀도는 L2-L4에서 GG군;1.005±0.16, GC군;1.084±0.12, CC군;1.012±0.20 g/㎠,, 요추 L2-L4의 T score는 GG군;-0.605±1.36, GC군;-0.369±1.00, CC군;-1.077±1.53의 유전자 아형간의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 경부의 결밀도는 GG군;0.839±0.13, GC군;0.893±0.13, CC군;0.833±0.13 g/㎠으로 유전자 아형 CC가 다른 유전가 아형에 비하여 낮은 골밀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대퇴골 경부의 T score는 GG군;-0.617±1.07, GC군;-0.164±1.07, CC군;-1.170±0.89로 CC 유전자 아형에서 GC 유전자 아형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T score를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폐경 여성의 IL-6 전사조절부위의 -572 다형성의 CC 동형접합인 경우 대퇴골의 골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IL-6 전사조절부위의 유전자 다형성이 전사를 조절함으로써 골 흡수에 관여하여 폐경 후 골다공증의 유전적 소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IL-6의 전사조절부위 SNP와 폐경 후 골다공증에 관한 연구는 아직 한국인 여성에서는 보고 된 바 없어 한국인 여성의 골다공증의 유전적 소인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of human IL-6 promoter -572 locus and BMD of Korean menopausal women. Method : We examined BMD of 274 postmenopausal Korean.women(byDEXA) and extracted DNAs from peripheral blood samples.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detect IL-6 gene polymorphism. Results : The mean age, height, weight and BMI of patients were respectively 52.7±9.2 years, 155.3±5.0㎝, 56.7±7.6㎏ and 23.4±3.6㎏/㎡.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The genotyp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GG genotype, 153(55.6%) women; GC genotype, 107(39.1%) women; CC genotype, 14(5.3%) women. BMDs of pretreatment status, of lumbar spine in genotype GG, GC, CC were 1.03±0.17 g/㎠, 1.04±0.18 g/㎠, 1.00±0.17 g/㎠, respectively.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BMDs of femur neck were -0.84±1.40 g/㎠, -0.70±1.43 g/㎠, -0.96±1.66 g/㎠,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MD in each genotypes(p> 0.05). After 1 year of HRT treatmen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MD in each genotypes.(p > 0.05) Among the BMD of each genotypes, T-score of femur ne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etreatment GC genotype than pretreatment CC genotype(p < 0.05) and higher in post-1-year HRT-GC genotype than CC genotype.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IL-6-572 SNP have a correlation with BMD of postmenopausal Korean women. The BMD of CC genotyp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MD of other genotypes. IL-6 promoter -572 SNP would be a genetic factor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ecause there was no report about correlation between I1-6-572 SNP an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Korea, this study will be a important data for further investigations.

      • KCI등재

        폐경 전 한국 여성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아형과 Bone Mineral Density 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허성은(Sung Eun Hur),류호선(Ho Sun Lyoo),박한뫼(Han Moie Park),윤은혜(Eun Hye Yoon),심성신(Sung Shin Shim),이홍수(Hong Soo Lee),김형래(Hyung Rae Kim),정혜원(Hye Won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9

        N/A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ak bone density and polymorphism of estrogen receptor gene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Method : We amplified Estrogen receptor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ts digestion pattern of Pvu II and Xba I was examined from the 172 women who were in premenopause. The genetic subtype was classified by its digestion pattern and its combination genotype, e.g. PP, Pp, pp, XX, Xx, xx, PPXX, PPXx, PPxx, PpXx, Ppxx, xxpp. Bone mineral density of each genetic subtype were compared. Results : The genotyp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PP; 16.3%, Pp; 45.9%, pp; 37.8%, XX; 1.2%, Xx; 25.0%, xx; 73.8%, PPXX; 1.1%, PPXx; 8.7%, PPxx; 6.4%, PpXx; 16.3%, Ppxx; 29.7%, ppxx; 37.8%. ER gene polymorphism wa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at forearm bone mineral density (p<0.05) with the xx genotype having the less BMD than Xx genotype. Conclusion : Xba I estrogen receptor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women. Estrogen receptor gene polymorphism may have a modulatory role in bone metabolism in premenopausal women. And it can be used as predictor of forearm peak bone density.

      • KCI등재

        한국인 여성에서 중증 자궁내막증의 발생 위험도와 CYP17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허성은 ( Sung Eun Hur ),김미경 ( Mi Kyoung Kim ),이사라 ( Sa Ra Lee ),이지영 ( Ji Young Lee ),문혜성 ( Hye Sung Moon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8 No.3

        목적: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의 10-15%를 차지하는 흔한 부인과적 질환이지만 원인과 병태생리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여러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다유전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어 원인 유전자를 찾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여성에서 CYP17의 유전자 다형성이 자궁내막증의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자는 병리조직학적으로 자 Objective: To investigate whether polymorphism of CYP17 gen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dvanced endometriosis in Korean women. Methods: The 194 endometriosis patients and 209 controls were enroll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94 patients with

      • KCI등재후보

        중증 자궁내막증 환자의 내막에서 thrombospondin-1과 -2의 mRNA의 발현에 관한 연구

        허성은,이지영,문혜성,정혜원,Hur, Sung Eun,Lee, Ji Young,Moon, Hye-Sung,Chung, Hye Won 대한생식의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3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TSP-1 and -2 in eutopic endometrium of advanced endometriosis and control patients. Methods: The 33 endometriosis patients and 32 controls were enrolled. Endometri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65 premenopausal women aged 29-44 years, undergoing laparoscopic surgery or hysterectomy for non-malignant lesions. Suffici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3 patients with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and 32 controls without endometriosis confirmed by laparoscopic surgery. The mRNA expression from eutopic endometrium for TSP-1 and -2 were analyzed by RT-QC PCR. Results: The mRNAs of TSP-1 and -2 were expressed in eutopic endometrium from endometriosis and normal controls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TSP-1 and TSP-2 in eutopic endometrium between controls and endometriosis patient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SP-1 and -2 had no crucial role compared to other molecules in the regulation of angiogenesis. These findings also suggest that dysregulation of other angiogenic regulators would be concerned in pathophysiologic role in endometriosis development.

      • SCOPUSKCI등재

        중증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과 정상인 자궁내막에서 uPA, uPAR mRNA 발현의 차이에 관한 연구

        허성은,이지영,이운정,문혜성,정혜원,Hur, Sung Eun,Lee, Ji Young,Lee, Woon Jung,Chung, Hye-Sung,Chung, Hye Won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자궁내막증에서 그 병태생리를 연구함에 있어서 fibrinolytic system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증이 아닌 대조군의 자궁내막에서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u-PA)와 urokinase 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u-PAR)의 mRNA의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한국인 여성 중 수술을 통해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은 33명의 환자와 난소 낭종 등의 양성 질환으로 개복술이나 골반경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자궁내막증이 없음을 확인한 여성 3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각각의 대상으로부터 얻은 자궁내막 조직에서 RNA를 추출하여 RT-QC PCR을 시행하여 얻고자 하는 대상의 mPNA 양을 정량화하여 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생리주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 과: u-PA와 u-PAR의 mPNA는 자궁내막증 환자 및 대조군에서 모두 발현하였으며, 자궁내막증 환자에서의 u-PA mPNA는 증식기 자궁내막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됨을 관찰하였다. u-PAR mPNA는 두 군 사이에서 생리주기 전반에 걸쳐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자궁내막증의 병태생리와 관련하여 u-PA와 u-PAR의 mPNA 발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u-PA mPNA가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었고 이것은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의 성격이 좀 더 침습적이고, 이로써 복막에의 침습에도 더 유리한 역할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자궁내막증에 대한 기본적인 병태생리로 볼 때, 자궁내막 자체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보며, 이를 단백질 분해능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때, u-PA 발현의 dysregulation이 자궁내막의 침습에 중요한 병태생리라고 생각된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uPA and uPAR in eutopic endometrium of advanced stage endometriosis and control patients. Methods: The 33 endometriosis patients and 32 controls were enrolled. Endometri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65 premenopausal women aged 29-44 years, undergoing laparoscopic surgery or hysterectomy for non-malignant lesions. Suffici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3 patients with endometriosis stage Ill and IV and 32 controls without endometriosis confirmed by laparoscopic surgery. The mRNA expression of uPA and uPAR from eutopic endometrium were analyzed by RT-QC PCR. Results: The mRNAs of uPA and uPAR were expressed in eutopic endometrium from endometriosis and normal controls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Uterine endometrium from women with endometriosis expresses significantly (p<0.05) higher levels of u-PA mRNA than endometrium from normal women without endometriosis in the proliferative pha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uPAR in eutopic endometrium between controls and endometriosis pati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utopic endometrium from endometriosis patients may be more invasive and prone to peritoneal implantation because of greater u-PA mRNA expression than endometrium from women without endometriosis. Thus, increased proteolytic activity may be one etiology for the invasive properties of the endometrium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