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품공급업체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실증 연구

        허대식(Dae Sik Hur),황선일(Sun Il Hwang),김길선(Kil Sun Kim),최정욱(Jeong-Wook Choi),Thomas Y. Choi 한국생산관리학회 2009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0 No.1

        이 논문에서는 제조 기업이 부품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자원을 제품개발에 활용하기 위해서, 부품업체를 신제품 개발 과정에 참여시킨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지식기반관점에서 부품업체 참여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제조기업의 신제품 개발 시간경쟁, 모듈 디자인 전략, 부품업체 파트너십 전략을 제안하였다. 즉, 제조 기업이 신속한 제품개발을 통한 시장선점을 노리는 경우, 필요한 지식자원을 직접 획득, 학습하기 보다는 부품업체와의 제휴를 선호한다고 예상하였다. 그리고 모듈화의 표준화 된 인터페이스는 제조 기업과 부품업체와의 통합, 조정을 원활하게 하고, 제조기업의 부품업체 파트너십 전략은 두 기업 간의 지식교류를 촉진시키고 상호 공유되는 지식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효과적으로 신제품을 공동 개발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 준다고 예상하였다. 그리하여 제조 기업은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획득 시간을 단축하며, 오류 및 실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비용절감을 설계 단계에서 실현하게 되어, 신제품의 시장경쟁력(품질, 원가, 출시/납기)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 5개국에서 수집된 총 159개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모형을 검증하였다. From a Knowledge Based View, we conceptualize supplier involvement in a buyer’s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ject as the buying firm’s efforts to gain access to the supplier’s knowledge resources. This study proposes three antecedents to supplier involvement: the buying firm’s time-based new product development competition strategy, modular design strategy, and partnership with suppliers. All three antecedents were expected to result in greater supplier involvement in NPD projects. Data were analyzed from the High Performance Manufacturing Round III, which comprises the joint data collection efforts of Korea, Japan, the U.S., Austria, Germany, Italy, Sweden, and Finland. By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empirically substantiat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of supplier involvement. Implications for academics and practicing managers areal so presented

      • KCI등재

        구매기업의 공급기업 통합이 시장대응성에 미치는 효과 : 내부통합과 가치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대식(Dae sik Hur),김효진(Hyo jin Kim) 韓國生産管理學會 2015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6 No.4

        공급망의 시장대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구매기업들은 주요 공급업체와의 전략적 혹은 운영적 프로세스 통합을 실시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구매기업이 이러한 공급기업 통합을 통해 시장대응성, 납기, 품질, 유연성 등의 성과향상을 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단의 선행 연구들은 공급기업 통합 활동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항상 일관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구매기업의 내적 준비 요건을 공급기업 통합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 상정하고, 이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조직정보처리이론과 가치일치이론을 기반으로, 구매기업의 내부통합과 주요 공급업체와의 가치일치성 정도에 따라 공급기업 통합이 구매기업의 시장대응성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진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구매기업의 공급기업 통합과 내부통합은 상호보완적이며, 두 기업 간 정보 처리 영역을 더욱 확장시켜서 구매기업이 시장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제안한다. 또한, 두 기업 간 가치일치성은 공급기업과의 정보 공유에 있어 인식의 장애를 해소하여, 구매기업의 시장대응성을 더욱 증대시키며(2차 상호작용 효과), 공급기업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내부 정보와 통합하여 활용하기에 유리한 조직환경을 제공하여 공급기업 통합 활동의 효과를 더욱 상승시킨다(3차 상호작용). 본 연구는 중국(홍콩 포함), 한국, 대만, 미국의 1,229개 제조기업으로부터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조절효과를 고려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구매기업의 공급기업통합, 내부통합, 가치일치성의 3차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에 따라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 buyer firm attempts to integrate strategic and operational processes with its key suppliers to improve overall supply chain responsiveness. Prior research confirms that supplier integration enables buying firms to improve its responsiveness, cost, quality, delivery, and flexibility. Yet some researchers have reported inconsistent performance effects of supplier integration activities, and explored potential moderators such as environmental uncertainties. This study examines the buyer’s internal readiness as moderating factors that could moderate the effect of supplier integration on the buyer’s responsiveness. Specifically, basing upon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the value congruence theory, we propose that the effect of supplier integration on the buyer’s responsiveness depend upon the buyer’s internal process integration and value congruence with the key supplier. This study posits that the buyer’s supplier integration and internal integration complement each other and extend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the buyer and the supplier, creating continuous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nd generating synergistic performance effects. Moreover, the value congruence between the two firms will improve efficiency and reduce ambiguities in information sharing(two-way interaction), and provides a favorable cultural context in which the buyer firm assimilate and apply information attained through supplier integration(3-way interaction). Data are collected from over 1,229 manufacturing firms in China, Korea,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proposed hypotheses are tested using moderated regression methodology.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three way interaction effect among supplier integration, internal integration, and value congruence on the buyer’s market responsivenes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R&D의 내부통합과 기능 간 협업이 신제품 혁신성 및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허대식(Dae sik Hur),김효진(Hyo jin Kim),최종철(Jong cheul Choi) 한국생산관리학회 2016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7 No.1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역량은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제품혁신 역량을 결정하는 R&D 역량으로 R&D 집약도를 핵심요인으로 주목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식기반이론에 근거하여 중소기업의 R&D 역량으로 지식통합 역량을 제안한다. 즉, 신제품 개발은 여러 기능부서에 보유하고 있는 전문화된 지식을 결합하여 활용하는 과정이며, R&D 부서는 내부의 지식을 통합하고, 구매, 생산, 품질, 마케팅 등의 기능부서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지식을 교환, 흡수하여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우리나라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인 이노비즈(innobiz) 인증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총 124개 기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R&D 부서의 내부지식 통합과 기능 간 협업을 통한 지식교환은 신제품개발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 부서의 내부 지식통합은 신제품 혁신성에 유의한 효과를 주었으나 기능 간 협업은 신제품혁신성에 유의한 효과를 끼치지 못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R&D의 내부지식 통합과 기능 간 협업은 신제품 혁신성과 신제품 개발성과에 부(-)의 상호작용 효과를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R&D 부서에서 지나치게 관련부서의 지식을 흡수·통합하려고 하면 R&D 내부의 지식 통합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o compete in ever-changing global markets,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should develop their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Prior studies have considered R&D intensity as a key determinant of R&D capability. This study, however, suggests R&D’s ability to integrate technical and functional knowledge as a key factor for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Based upon the knowledge based view of the firm, this study presumes that new product development is a process of exchange, absorption, and integration of specialized knowledge embedded in individuals or organizational practices. In this process, R&D should combine technical knowledge within the R&D department as well as attain functional knowledge from other departments such as purchasing, production, quality, marketing, etc. Data was collected from 124 Innobiz-certified SMEs in Korea, and moderated regression methodology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R&D’s internal integration improves product innovativeness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whereas its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only affects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urprisingly, a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R&D’s internal and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ctivities was observed.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제조기업의 고객기업 통합과 공급기업 통합이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허대식 ( Dae Sik Hur ),김효진 ( Hyojin Kim ),이은지 ( Eun Ji Lee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4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고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면서 기업들은 내부자원에 의존한 경쟁의 한계를 체감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망에 공존하는 파트너 기업들과 긴밀한 정보공유 및 공동의사결정을 통해서 최종소비자 시장에서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강조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고객기업과의 긴밀한 정보 공유 및 주요 의사결정의 조율이 제조기업의 성과 향상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원부자재를 공급하는 협력기업들과의 전략적 통합도 제조기업의 물류 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긍정적인 평가이외에도 공급망 통합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고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하면 제조기업이 공급망의 양방향으로 광범위하게 통합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 과연 그 기업의 물류성과 개선에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정보처리이론(organiza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에 근거하여 공급망의 하류통합(고객사 통합)과 상류통합(공급기업 통합)은 제조기업이 당면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물류성과 향상에 기대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고객기업 통합과 공급기업 통합은 상호보완적 상호작용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환언하면, 기업은 조직 내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 공급망 외부 파트너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흡수하고 이를 활용하려고 한다. 이때 공급기업 정보와 고객기업 정보는 제조기업의 비용, 납기, 유연성 등의 물류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각각 상호보완적 성격을 가진다고 본 연구는 주장한다. 본 연구는 아시아와 북미 등 5개 지역에서 1229개 제조기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절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기업의 고객기업 통합과 공급기업 통합 활동의 정(正)의 상호작용은 제조기업의 납기, 유연성, 재고비용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ver-decreasing product life cycles and intensifying global market competition have forced firms to rethink a traditional framework of firm-to-firm competition. Following this trend, firms seek their competitive advantage by building partnership with supply chain partners. Prior studies reported that information sharing and coordinated decision with key customers or suppliers help manufacturing firms to improve their logistics performance. Interestingly, other studies also reported that close integration with supply chain partners may not be always beneficial, sometimes even harmful. Therefore, it is an interesting research question to examine whether pursuing customer integration and supplier integration is indeed desirable. Basing upon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e posit that customer integration and supplier integration improve a manufacturing firm’s logistics performance respectively, because such integration activities engender external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for the firm and in turn reduce uncertainties. And this study predicts that customer integration and supplier integration are mutually complementary so that their interaction will further improve logistics performance. To test the research model of the study, we collect data from 1229 manufacturing firms in Korea, China, Hong Kong, Taiwan, and the U.S. Moderated regression i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of the analysis is present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 TPL)를 통한 물류 아웃소싱 혁신 사례 연구: 한솔 CSN을 중심으로

        황선일 ( Sun Il Hwang ),허대식 ( Dae Sik Hur ),김태현 ( Tae Hyun Kim ),김인후 ( In Hoo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09 로지스틱스연구 Vol.17 No.1

        21세기는 아웃소싱의 시대라고 말해도 과언은 아니다. 기업경쟁의 세계화로 인해서 기업들은 아웃소싱을 통해서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동시에 핵심역량의 강화에 나머지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선택과 집중이 경쟁의 원칙이 되고 있다. 물류전문업체의 등장과 함께 많은 기업들이 자사물류에서 3자 물류로 전환하고 있지만, 3자 물류회사들에게 통합물류 서비스를 위탁하는 예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3자 물류회사인 한솔 CSN의 사례를 통해서, 화주기업의 통합물류 아웃소싱의 배경, 장애요인, 3자 물류회사의 역할에 대해서 심도 있는 분석을 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We live in the era of outsourcing. As the world market becomes more integrated and competition has intensified, more and more firms prefer to be `asset-light` while outsourcing non-core operations to outside specialists. In particular, logistics is the most often outsourced business processes. Yet, 3rd party logistics service firms have not been penetrated to the integrated logistics market, and many firms are still reluctant to increase their reliance on 3rd 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ers. In this study, we reported a case study of Hansol CSN to shed a light on this issue, and suggested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 KCI우수등재

        구매기업과의 신제품 공동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로젝트 모호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황선일(Sun Il Hwang),허대식(Dae Sik Hur) 한국경영학회 2011 經營學硏究 Vol.40 No.4

        Buying firms often involve suppliers in their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to reduce development cost and lead time and improve manufacturability of the new product. To be successful, a supplier organization needs to understand clearly i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expected by the buyer organization. Yet the supplier often complains about insufficient and unclear data, and suffers from ambiguous interpretations that contradict buyer`s expectation. We conceptualized project ambiguity as perceived uncertainty arising from insufficient information, unclear definitions, conflicting interpretations, and misunderstandings of facts in carrying out relevant tasks. Although both organizations may face project ambigu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supplier side. Hence, we explore the antecedents to supplier-perceived project ambiguity, and its effect upon the supplier`s project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Underpinned in the knowledge based view of the firm, we suggested the following four antecedents: product innovativeness, buyer`s protectiveness of core knowledge, supplier absorptive capacity, and degree of buyer-supplier routine communication. A total of 103 joint new product development projects were sampled from the automotive, electronics, and defense industries in Korea to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es. Empirical analyses revealed that product innovativeness and buyer`s protectiveness of core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ambiguity perceived by the supplier, and in turn, that the greater ambiguity negatively affected the project performance and supplier`s business performance measures.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규제자지향성과 고객지향성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민순홍(Soon hong Min),이수민(Soo min Lee),김경순(Kyoung soon Kim),허대식(Dae sik Hur) 한국생산관리학회 2015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6 No.4

        친환경 경영의 동인을 기업 외부에서 찾으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외부 동인의 실증결과가 상호 일치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친환경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외부 이해관계자가 존재한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해관계자의 친환경 요구를 적극 수용하고자 하는 기업 내부의 요인이 없다면 친환경 경영이 성공할 수 없음도 주장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업의 친환경 경영의 본질을 친환경 제품혁신역량(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으로 보고, 그 역량 개발의 기업 내부 동인으로써 규제기관과 고객의 요구에 각각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문화인 규제자지향성(regulator orientation)과 고객지향성(customer orientation)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규제자 및 고객지향성, 친환경 제품혁신역량, 재무 및 환경적 성과 간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검증 결과, 규제자지 향성은 친환경 제품혁신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친환경 제품혁신역량은 기업의 재무적, 환경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친환경 제품혁신역량은 규제자지향성과 기업 성과 간 관계를 완전 매개(재무적 성과)혹은 부분 매개(환경적 성과)함을 확인하였다. An increasing interest in sustainable management both in academia and practices prompted research on green management. Particularl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studying potential, external drivers of green management adoption, producing inconsistent empirical results about the effects of external drivers. Such inconsistent findings triggered the current study. As a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this study follows existing literature that suggests that there exist outside forces(e.g. environmental stakeholders) that drive firm to implement green management practices. Then, this study argues that those external drivers per se cannot guarantee successful green management. Instead it is firm’s strategic orientation toward green management that encourages the entire to obtain, disseminate, and analyze information from environmental stakeholders to proactively respond to that inform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posits that firm’s regulator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re two major internal drivers of implementing green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reflects firm’s sustainable green management. Subsequently, this study tests causal relationships among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regulator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financial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hypothesis test shows: (1) firm’s regulator orientatio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at, in turn, improves firm’s financial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2)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ulator orient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full mediation), and between regulator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partial mediation).

      • KCI등재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 결정 요인: 시장지향성을 중심으로

        이수민 ( Su Min Lee ),김경순 ( Kyung Sun Kim ),민순홍 ( Soon Hong Min ),허대식 ( Dae Sik Hur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5 로지스틱스연구 Vol.23 No.4

        환경문제에 대하여 사회 전반의 우려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친환경 상품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점차 강화되는 환경 관련 규제는 공급망 활동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들의 규제 준수 관련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높아지는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점차 강화되는 환경관련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이에 수반되는 비용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의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높은 품질, 적정한 가격을 모두 갖춘 혁신적 친환경 상품(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체)의 개발이 시급하다. 공급망 전체의 경쟁력이 개별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현 시대 (Gilmore 2006)에 공급망 차원의 친환경 상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개발이 우선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시대에 공급망 관리에 참여하는 개별 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을 개발하여야 하며, 이러한 역량은 기업의 시장 지향적 문화를 바탕으로 개발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을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기능 간 조정의 세 가지 차원성으로 구분한 후,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이 기능 간 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능 간 조정은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한다. 또한 기능 간 조정은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과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 역량 간 관계를 매개함을 제안한다. 총 93개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한 가설 검증 결과, 기능 간 조정은 기업의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은 물론, 고객 및 경쟁자 지향성과 친환경 상품 혁신역량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공급망 내의 전통적 주요 이해관계자인 고객 및 경쟁자로부터 적극적으로 시장 정보를 획득하여 대처하는 기업의 노력이 친환경 맥락에서도 핵심 성공요인임을 새삼 일깨워준다. 또한 공급망 내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획득한 시장정보는 기업 내 이해관계자인 관련부서 간 의견교환을 통해서만 기업의 역량으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공급망 전체의 친환경 상품 개발은 결국 공급업체의 역량에 의존함을 감안하여 공급업체 선정 시 그 업체의 친환경 상품혁신 개발 역량을 평가함은 물론 그 선행 조건으로써의 시장지향성 정도를 평가하여야 함을 보여준다. As environmental issues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concern, consumers have increasingly demanded eco-friendly or green products at reasonable price. In addition, ever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push up firm’s costs for environmental conformance. To cope with ever-increasing consumer’s complex needs and cut conformance costs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maintaining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supply chain partner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the age of supply chain vs. supply chain competition, it is ideal to develop supply-chain-wide capability for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reality, however, a supply chain as a whole cannot do so without accumulating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of each partner. Therefore, we focus on theorizing and empirically testing potenti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individual supply chain partner’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specific, we suggest a firm’s market orientation as a critical prerequisite for it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development. Specifically, we propose that the firm’s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should precede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that is a critical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to absorb green product innovation information. In turn,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is a key contributing process for the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is one of the seminal studies that examines the role of market orientation in developing a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This study empirically proves the three dimensions of market orientation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the firm’s green product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market orientation, and empirically validated that customer orientation and competitor orientation should be followed by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 KCI등재

        육군 군수 조직의 혁신성 제고를 위한 지휘관들의 역할: 탐색적 연구

        김동희 ( Dong Hee Kim ),이한근 ( Han Geun Lee ),민순홍 ( Soon Hong Min ),허대식 ( Dae Sik Hur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4 로지스틱스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의 맥락에서 인적자원, 혁신역량,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수 분야에서 최고경영자인 창장의 혁신지향성(innovation orientation)과 예하 부대 지휘관인 단장의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군 조직 특유의 인적자원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군 조직 특유의 인적자원이 예하 부대가 변화하는 안보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혁신역량(innovative capability)의 개발을 촉진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각 예하 부대에서 개발된 혁신역량은 그 부대의 조직성과를 높이고, 단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창장의 혁신지향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제안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최고경영자인 창장의 혁신지향성은 예하부대를 책임지는 중간관리자인 단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각 단의 혁신역량 개발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단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단의 혁신역량 개발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혁신 역량은 궁극적으로 각 단의 성과를 높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창장의 혁신지향성과 조직성과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계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실무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testing the relationships among an sustainable human resources, innovative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n military organiz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s the innovation orientation of the commanders of the logistics command (i.e., top managers)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commanding officers of the subordinate units (middle managers) as unique human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ROK Army). This study posits such uniquehuman resources of the ROK Army drives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ve capability, which is much needed to respond in a proactive manner in the every-changing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innovative capability developed within the subordinate unit of the logistics command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commanding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er`s innovation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ach subordinate unit. The statistical test results show that the commander`s innovation orientation facilitates the commanding officer`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he innovative capability. The statistics also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drives the innovative capability that, in turn, helps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ach logistics unit. Regarding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commanding officers, it is found to partially, but not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er`s innovation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re search agen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