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릉수목원과 태화산 학술림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토양호흡

        허남준 ( Nam Jun Heo ),이명종 ( Myong Jong Yi ),권보람 ( Bo Ram Kwon ),신호용 ( Ho Yong Shi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광릉수목원의 활엽수림(GD)과 전나무림(GC) 및 서울대 태화산 학술림의 활엽수림(TD)과 잣나무림(TC)에서 트렌칭법을 적용하여 뿌리호흡과 미생물 호흡에 의한 토양호흡을 2013년 5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2주에 1회씩 측정했다. 측정기간 중 각 대조구와 처리구의 최대와 최소 호흡속도는 각각 8월과 12월에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처리구 간의 차이(%)는 하절기(8월) 보다 동절기 (12월)에 컸다. 트렌칭 후 안정화기간을 두고 8월부터 측정한 뿌리호흡비율(%)은 모든 조사지에서 온도가 제일 높은 8월보다는 10월에 가장 높았고 12월에 가장 낮았다. 총 토양호흡 중 뿌리호흡 비율(%)은 GD가 18, GC가 19, TD가 10 및 TC가 16 으로 태화산 조사지가 광릉 조사지 보다 높았으며, 광릉 지역에서는 임분간 차이가 없으나 태화산 지역에서는 활엽수림보다 잣나무림 에서 높았다. 대조구의 평균토양호흡속도 (mg CO2/m2/hr)는 GD, GC, TD 및 TC에서 각각 485, 469, 467 및 505이며, Q10 값은 각각 3.2, 3.4, 3.7 및 3.6 이었다. Q10 값은 모든 조사지에서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다. 향후 이들 결과에 미치는 토양의 이화학성(수분, pH와 양분 등), 미생물의 활성도, 낙엽분해 및 식생의 생물계절 등과 입지환경의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Autotrophic (AR) and heterotrophic respirations (HR) of the soil in deciduous stand (GD) and needle fir stand (GC) at Gwangneung Arboretum Forest, and deciduous stand (TD) and Korean pine stand (TC) at Taehwa Research Forest were estimated by trenching method.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every 2 weeks from May to December 2013. It was assumed that the soil disturbed by trenching was restored from the beginning of August. The respiration rate was highest in August and lowest in December, respectively, in both control and treated plots. Difference (%) in respiration rate between control and trenched plots was higher in December than in August. The ratio of AR to soil respiration (SR) (%) was highest in October rather than in August, of which air temperature was highest, and lowest in December. The AR/SR at the Gwangneung Arboretum Forest were higher (GD: 18%, GC: 19%) than at the Taehwa Research Forest (TD: 10%, TC: 16%). There was no difference in AR/SR between GD and GC, while T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D in its AR/SR. Mean soil respiration rates (mg CO2/m2/hr) in GD, GC, TD, and TC were 485, 469, 467, and 505, respectively. Q10 in GD, GC, TD, and TC were 3.2, 3.4, 3.7, and 3.6, and they were all higher in trenched plots than in control plots. Additional research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ater content, acidity, nutrient availability, and etc.), microbial activity and litter decomposition, are required to assess the causes for these variations in soil respiration.

      • KCI등재

        불변시장점유율모형과 BCG 매트릭스를 이용한 항만의 철강 수출변동 분석

        허남준 ( Heo Nam-jun ),이광배 ( Lee Kwang-bae ),모수원 ( Mo Soo-wo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20 해운물류연구 Vol.36 No.2

        본고는 철강 수출의 주요 항만인 광양항, 부산항, 인천항, 포항항, 평택(당진)항에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적용하여 수출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한다. 광양항의 철강 수출변동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 분석에서 2010-2014년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나, 2014-2018년에는 세계시장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포항항에서도 2010-2014년 경쟁력효과의 변동성이 세계시장효과보다 크나, 2014-2018년에는 세계시장효과의 변동성이 경쟁력효과보다 크다는 것을 보인다. 부산항의 경우 전기간에 걸쳐 세계시장효과의 변동성이 경쟁력효과의 변동성보다 크고, 인천항은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 요인이나 두 효과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과, 평택항에서는 경쟁력효과의 변동성이 세계시장효과의 변동성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밝힌다. The two factors used to explain the growth of five ports’ iron and steel exports are analysed through the use of the Constant Market Share model. These are the factors relating to the growth of the export market relative to the world export growth (world market effect) and improvements in competitiveness of the exporting port (competitive effect).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reveals that for Gwangyang Port and Pohang Port the world market effect plays a major role in the period 2014-2018, while the competitiveness effect is the principal component in the period 2010-2014. This study shows that the world market effect is stronger than the competitiveness effect not only over the 2010-2018 period for Busan Port, but the former is weaker than the latter over the same period for Incheon Port, but there i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effects. Pyeongtaek Port’s export growth is above world export growth, driven by competitive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임분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유목의 양분 이용 특성

        권보람 ( Bo Ram Kwon ),허남준 ( Nam Jun Heo ),신호용 ( Ho Yong Shin ),김현석 ( Hyun Seok Kim ),박필선 ( Pil Sun Park ),이명종 ( Myong Jong Yi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3

        경기도 광릉의 국립수목원 내의 토양과 빛 환경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자원의 획득과 이용 및 분배를 이해하기 위하여, 잎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 변화와 재전류, 엽록소와 LMA를 조사하였다. 엽면적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낙엽활엽수림은 유입되는 광량이 많았고, 전반적인 토양 양분의 수준이 양호하였으나, 유효인산의 농도는 전나무림의 1/3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경우, 잎의 인 농도가 전나무림의 까치박달 보다 연중 낮았고, 재전류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 내 질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낙엽활엽 수림에서 높았으나, 계절별 잎의 질소농도와 질소의 재전류율은 임분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빛의 유입이 적은 전나무림에서는 까치박달의 LMA와 엽면 적당 질소 분배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엽록소 a/b율은 낮고, 총 엽록소 함량은 높여 질소에 대한 엽록소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분 조건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이 주어진 토양과 빛 환경에 순응하여 양분의 동태와 분배의 전략적 차이를 달리하여 생육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nutrient absorption, usage and allocation of Carpinus cordata in different soil and light environments. Seasonal changes of foliar nitrogen, phosphorous, chlorophyll contents, leaf mass per area (LMA) and nutrient retranslocation rates were investigated for C. cordata saplings growing in a 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an Manchurian fir (Abies holophylla) plantation in Gwangneung, Kyunggido. The deciduous forest had lower leaf area, higher light penetration, and better soil fertility than the Manchurian fir forest. However, available soil phosphorous content in the deciduous forest was only one third of that in the Manchurian fir forest, which caused lower foliar phosphorous content and higher P retranslocation rate of C. cordata in the deciduous forest than that in the Mancurian fir forest. Soil nitrogen contents in the deciduous forest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Manchurian fir forest, however, no differences in foliar nitrogen content and retranslocation rate in C. cordata between the two stands were found. C. cordata in the Manchurian fir forest with high LAI throughout a year, had lower LMA, foliar nitrogen content and chlorophyll a/b, while had higher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N than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These results implied C. cordata under different environments are using different strategies for nutrient use and allocations.

      • 자연섬유강화 폴리머 복합재료의 굽힘강도 특성

        임재규(Jae Kyoo Lim),이상용(Sang Yong Lee),송준희(Jun Hee Song),최준용(Jun Yong Choi),김효진(Hyo Jin Kim),김연직(Yon Jig Kim),국중하(Jung Wha Guk),허남준(Nam Jun Heo)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10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for the use of natural fibers in composite applications due to their low cost,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of bending strength on bamboo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The parameters of RTM process depend on the weight ratio of bamboo fiber and resin, the number of bamboo ply and amount of hardening agent. Besides the existence of pore in composites according to vacuum time investigated a effec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Test result shows that bending strength was a maximum(approximately 850kgf/㎠) value when composite thickness was 6mm and weight ratio of resin was 13%.

      • 낙엽 수집에 의한 낙엽활엽수림의 엽면적지수 측정

        권보람 ( Bo Ram Kwon ),이명종 ( Myong Jong Yi ),허남준 ( Nam Jun Heo ),신호용 ( Ho Yong Shi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엽면적 지수(LAI)의 추정 방법에는 크게 직접추정법과 간접추정법이 있는데, 직접 추정법 중에서 널리 적용되는 리터트랩법에 의한 LAI측정은, 간접측정법을 평가를 위한 참고자료로서도 유효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3년 가을철 낙엽기에 서울대 태화산 학술림과 광릉수목원에서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에서 리터트랩으로 낙엽을 수집하여 SLA 와 건중을 측정하여 LAI를 추정하였다. 동일 기간에 어안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최대 엽면적지수는 광릉시험림과 태화산 연습림에서 각각 약 4.0과 3.5로 9월초에 나타났고 이후 감소했다(박필선 미발표자료). 따라서 수관이 가장 울폐된 9월 초 이후의 낙엽생산량 (kg/ha)과 SLA(cm2/g)의 관계로서 LAI를 산정하였다. 졸참나무 낙엽의 SLA (cm2/g)는 광릉수목원과 태화산 학술림 에서 각각 101.6-217.0과 82.9-209.9로, 변이폭이 광릉시험에서 다소 컸는데 임내의 광환경이나 입지환경의 차이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광릉수목원의 LAI(m2/m2)는 DOY 240, 270, 300, 330에 각각 4.80, 4.29, 3.52, 0.00이며, 태화산 학술림은 각각4.11, 3.86, 3.09, 0.00으로 추정되어 조사지간 차이가 있었다. 향후 리터트랩을 증설하여 다양한 수종의 LAI를 추정하고 임내의 광환경을 조사하여 임분의 종조성과 LAI의 관계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Leaf area index (LAI) is usually estimated by direct and indirect methods. Among various methods, the littertrap method can estimated LAI directly in a non-destructive way, and also can be used to test validity of other indirect methods. In this study, LAI of deciduous stands dominated by Quercus serrata loca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 at Mt. Taehwa (TH) and Gwangneung Arboretum (GA) were estimated by collecting leaf-litter collected in littertraps and measuring specific leaf area (SLA) and dry weight of them in 2013 fall. In a previous study, maximum LAI estimated by using fisheye light sensor in early September at GA and TH were 4.0 and 3.5, respectively (P.S. Park, unpublished). Thus we chose to use early September data for litter production (kg/ha) and SLA (cm2/g) to estimate LAI. The SLA (cm2/g) at GA and TH ranged 101.6-217.0 and 82.9-209.9, respectively. We propose that wide range of these values can be attributable to the variation of light and other conditions. LAI (m2/m2) on DOY 240, 270, 300, and 330 were 4.80, 4.29, 3.52, and 0.00 at GA, respectively, and 4.11, 3.86, 3.09, and 0.00 at TH, respectively. Additional researches, such as estimation of LAI of various tree species by installing larger numbers of littertraps and examination of light conditions in stand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species composition and LAI.

      • 전나무림과 낙엽수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 유목의 잎 양분(질소와 인)의 동태와 양분이용효율

        이명종 ( Myong Jong Yi ),권보람 ( Bo Ram Kwon ),허남준 ( Nam Jun Heo ),신호용 ( Ho Yong Shi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광릉 국립수목원의 토양의 화학성과 생육기간이 다른 두 임분 (전나무림과 낙엽수림) 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 유목의 잎 양분 (질소와 인)의 계절변화와 양분이용효율을 조사하였다. 두 임분 모두 까치박달 잎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변화는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잎의 질소와 인의 농도는 생육초기에 높았는데, 그 후 감소하여 6월 중순부터 10월 까지는 큰 변화가 없이 일정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낙엽기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잎 질소의 계절변화는 두 임분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인은 전 생육기간 동안 낙엽수림보다 전나무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질소와 인의 재전류율은 전나무림과 낙엽수림에서 각각 31%과 29% 로 임분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인은 전나 무림(48%)보다 낙엽수림(52%)에서 높았다. 양분이용효율 역시 질소는 두 임분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전무림: 0.65, 낙엽수림 0.62), 인은 낙엽수림(9.7) 이 전나무림(6.8)에 비해 높았다. 표토의 pH는 두 임분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전나무림과 낙엽수림의 표토의 질소 농도는 각각 0.26%와 0.32%로 차이가 없었으나, 유효태 인의 농도는 활엽수림(3 mg/kg)이 전나무림(19 mg/kg)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나무림에 비해 비옥도(유효태 인)가 낮은 낙엽수림 내의 까치박달은 비교적 높은 인의 이용효율을 유지하며 생육하고 있음을 사사한다.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of nitrogen (N) and phosphorous (P) concentrations in foliage, and nutrient use efficiency (NUE) of Carpinus cordata saplings growing in two different stands (needle fir stand and deciduous stand) as an understory vegeta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These stands were different in their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ing seasons of overstory vegetati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foliar N and P concentrations of C. cordata were similar in two stands. The foliar N and P concentrations were highest at the beginning of growing season and decreased until mid-June. These concentrations were constant from mid-June to October and lowest at the end of growing seas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liar N concentration between two stands, however, foliar P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edle fir stand through the growing season (p<0.05). Retranslocation rates of N were 31% and 29% in needle fir and broadleaf stands,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retranslocation rate of 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roadleaf stand (52%) than in needle fir stand (48%, p<0.05). Similarly, NUEs for 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stands (0.65 for needle fir stand and 0.62 for deciduous stand), while NUE for P was higher in broadleaf stand (9.7) than in needle fir stand (6.8). The difference of topsoil pH between two stands was not significant.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 of topsoil were 0.26% and 0.32% in needle fir and broadleaf stands,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available P of topsoil was significantly lower in deciduous stand (3 mg/kg) than in needle fir stand (19 mg/k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 cordata growing in relatively infertile broadleaf stand tended to increase NUE for P compared to the C. cordata growing in needle fir st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