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원진료비 상승요인 분석

        한혜경 ( Hye-kyung Han ),이필도 ( Pil-do Lee ),노인철 ( In-chul No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0 保健社會硏究 Vol.10 No.2

        입원진료비의 상승은 높은 약제비 비중, 병원의 높은 수술률, 종합병원 이상의 검사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면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입원진료비 결정요인은 입원일수, 전문의수, 의료장비수, 연령, 수술여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45세이상 연령층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입원진료비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약제비 및 검사비에 대한 대책,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병원기능의 전문화 등 입원진료비의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요구된다. The rapid increase in medical care costs have become a growing problems since health insurance was introduced. In particular, medical care costs for in-patients have tended to rise at a faster pace than those for out-patients. For example, while the out-patient costs in 1989 increased 3.32 times over those in 1983, the hospital care costs increased 3.75 times during the same period. Furthermore, the scale of hospital care costs continued to rise from about 33 percent in 1983 to 36 percent of the total expenditure in 1989. The principal cause of these increase was related to a considerable rise in medical care costs for out-patients less than 14 years old. Recently, however, the ratio of in-patient costs has risen markedly due to a sharp increase in the costs related to cancer and to chronic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for those over 45. Since this age group continues to increase, it is expected that this pattern will continue as a leading factor in the increase in medical care costs. The concern over rising costs and a search for ways to control these costs are now stimulat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examine factors giving rise to the cost escalation of hospital medical care and also to provide insight into the policy implications for containment of these costs. The data used here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the monthly insurance bills (13,532 cases) presented to the National Federation of Medical Insurance in February 1990. This group represented the employees and dependents of private companies as well as self-employed people. The main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 1. The importan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d the increase in the medical care costs for in-patients was revealed as a high medication ratio, more examinations, a longer stay, and a high frequency of surgical procedures in the hospitals. 2. The portion of medication and injection costs was found to be extremely high. Medications constituted 37 % of total hospital care costs in excess of 500,000 Won per case. These extraordinarily high expenditures are due to excessive consumption and high prices. One alternative to limit expenditures on drugs is to establish a list of essential drugs as chosen for cost-effectiveness (low price with equal efficacy). Thus drugs not on this list would not be cove-red by insurance. Also important is the control of pharmacists` mark-ups, drug prices, and advertising expenditures by pharmaceutical firms for sales promotion. 3. The ratio of examination costs was about 30% of the total medical care costs per in-patient case, which was observed to be correlated mainly with the length of stay and the number of examinations, and the quantity of medical equipment in hospitals, so that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excessive examinations has emerged particularly in both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The tertiary hospitals are prohibited from offering out-patient care. A committal order written by a physician in a clinic is required for a patient to receive hospital medical care. Both because of the poor flow of information between primary physicians and hospital physicians, and because outside physicians do not have access to superior hospital equipment, hospitals repeat many diagnostic examinations already performed by physicians prior to hospitalization. In fact, such duplication adds to the length of stay and ultimately to medical care costs. In addition, excess investments in such high- tech equipment as CT Scanner, MRI, and heart transplant equipment tend to result in new cost increases, so specialized central examination facilities with high-tech equipment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district level, both to share inforamtion and their use and to avoid duplication or excessive use of medical procedures and diagnostic tests. 4. The portion of medical procedure and operation costs in hospital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both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which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 frequency of surgical produres in hospitals. The costs of medications and examinations were, however, shown to be highest in general and tertiary hospitals. One interesting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urgical procedure costs and examination costs, suggesting that more examinations might reduce the frequency of surgery. 5. To cope with the soaring medical care costs, less expensive service facilities as are us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ought to be developed or introduced into the health care sector. For example, there are day care centers, geriatric day hospitals, hospice systems, ambulatory surgical centers, nursing home care and home health care, which can be substituted for expensive hospital services. In addition, surgery and hospital admission and discharge can be managed in a rational manner to curb long-term hospital stays. For example, admission and discharge adjudication committees, composed of doctors including physicians in charge, and nurses and other medical care personnel should be set up in each hospital to check the condition of in-patients periodically to decide on whether they can be discharged.

      • KCI등재

        웹툰 OSMU의 방향성과 전략 연구

        한혜경(Hye Kyung Ha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3

        웹툰의 OSMU(One Source Multi Use)는 최근 콘텐츠 산업에서 가장 각광받는 주제다. 최근 웹툰의 OSMU 경향은 주로 영화나 드라마, 공연 등의 스토리 소스 차원의 활용이 주를 이룬다. 플랫폼사와 대형 문화콘텐츠기업 등 많은 기업들이 이런 이유에서 웹툰의 OSMU에 관심이 높다. 하지만 단순히 소스차원에서 활용되는데 그치지 않고 웹툰의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방향성과 전략을 가지고 OSMU에 접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영화나 드라마, 공연 등으로 전환되는 스토리 중심의 서사형 장편 웹툰과 달리, 에피소드형 웹툰으로 출판만화, 어린이용 출판만화, 웹투니메이션, TV애니메이션, 게임(소셜게임, 모바일게임)으로의 전환과 캐릭터 비즈니스 모델까지 성공적으로 구축한 <와라! 편의점>은 웹툰의 OSMU의 방향성과 전략을 연구하기에 좋은 사례다. <와라! 편의점>은 배경공간인 ‘편의점’의 특성을 캐릭터와 결합해 OSMU를 진행했다. 캐릭터와 상호보완적 관계인 배경공간까지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상정하고 그 맥락을 고려한 장르 전환과 상품화를 꾸준히 진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원작의 브랜드 가치를 강화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탄탄하게 서사를 구축하는 것만큼이나 기획단계에서 캐릭터들이 활동하는 특별한 배경공간을 상정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은 중요하다. 배경공간의 특성을 살린 장르 전환이나 상품화가 적극적으로 진행될 경우, 서사나 캐릭터만으로 OSMU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한계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더 나은 웹툰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웹툰 OSMU에서 창출된 수익은 오롯이 웹툰 산업으로 귀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창작자 진영이 OSMU를 주도함이 바람직하다. <와라! 편의점>의 사례처럼, 각기 다른 영역의 전문가들과 컨소시움 형태의 제작시스템을 구축해 OSMU를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Osmu(One Source Multi Use) of Webtoon is recently a popular main topic of the current contents industry. Many Companies which offer platforms or Contents are interested in Webtoon"s OSMU hugely. They have managed webtoons for a level of the source of story with making movies and Drama.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make some money from purchasing webtoons’ contents, but it is still small. Therefore, for increasing webtoon artists, aka webtoonists,’ income, it is mandatory to consider how their works’ can bring the money onto them out of the second route of them. Generally, we have recreated lots of "story-centered" webtoons into movies, dramas, or performances so far. However, as for 〈Welcome to Convenience Store〉, it is a great example to show how they could lead the success by changing Webtoon to the published cartoons, published cartoons for kids, Webtoonimation, Animations on TV programs, Games(for social media and mobile phones) and its character business models. With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and then, forwardly it values to study for the result to develop the Webtoon OSMU industry in the future. 〈Welcome to Convenience Store〉proceeded it"s OSMU in combing the features of a background space(convenience Store) and its main characters. Through this way of OSMU(windowing, genre adap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Brand Value of webtoon is getting develop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genre and commercialization fitting to the context that the background has and when that kind of OSMU is ongoing, people will pay more attention. It will be very important not only to create the narrative well, but also to give the meaning of symbolization to the background. If using the specificity of background space in genre adap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risk can decrease. If you want to make the chance to precede OSMU, it is good to try to build the system as a consortium with experts from different areas, as if we saw the result from 〈Welcome to Convenience Store: The Animation〉. As the webtoon"s OSMU is the entry of the other genre’s business market, webtoon should be considered OSMU from the planning stage and have to develop some attractive components that would be a brand identity. Until now, if we have focused on establishing remarkable characters and building up the narrative, from now on, it is time to more study about some specific background, in my opinion.

      • KCI등재후보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은 어떤 점에서 여성신학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한혜경 ( Hye Kyung Ha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4 No.-

        오늘날 신학은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어느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전인적인 구원을 선포해야 하는 시대적 도전에 당면하고 있다. 그러한 당면 과제 속에서 본 논문은 몰트만의 사회적-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은 여성들과 연대하며 그들에게 해방과 희망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이 목적을 위해 필자는 십자가에 대한 여성 신학자들의 다양한 이해를 살펴보며 그들이 추구하려고 한 것은 무엇이며 어떤 점에서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이 건전한 여성신학을 세우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전통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인 십자가를 하나님의 희생과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의 대속의 죽음을 통해 그들의 구원이 이루어졌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십자가를 그리스도의 수동적 희생으로 보며 결과적으로 여성들을 포함하여 사회적 약자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논리로 악용될 수 있다는 비판이 일부 여성신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즉, 십자가는 여성들에게 말없이 고통을 감내하는 상징으로 적용함으로써 가부장적 지배를 합리화해 왔다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여성주의자(womanist) 드로레스 윌리암스(Delores Williams)와 페미니스트 신학자 리타 나카시마 브롴(Rita Nakashima Brock)을 포함한 일부 여성신학자들은 하나님이 우리의 죄를 위해 그의 아들을 희생시켰다고 보는 전통적 구원론과 기독론은 “피에 굶주린 신처럼”(a blood-thirsty God) 아들을 죽도록 내버려 둔 하나님을 거부하고 여성과 남성 모두의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해석을 추구하며 십자가 사건 이전에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는 예수의 삶과 사역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독일 여성신학자 죌레(Dorothee Solle)는 그녀의 십자가에 대한 실존적 접근을 통해 오늘날 부당한 세상 속에서 정의를 실현하며 살아야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시사한다. 또한 카톨릭 예수회 신학자 엘리자베스 존슨 (Elizabeth A. Johson)은 그녀의 소피아 기독론의 십자가-부활 변증법 (the cross-resurrection dialectic)을 통해서 고통당하고 잃어버린 바 된 모든 사람들과 연대하시는 하나님의 헌신을 보여주었다. 이와같이 많은 여성신학자들이 던지는 시대적 도전은 소외된 자들과 힘없는 희생자들과 비인간화된 사람들을 포용하며 그들과 연대하며 함께 고통당하시는 하나님을 정당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들의 취약점인 예수의 대속의 죽음을 보강하는 십자가 신학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만약에 우리가 예수의 죽음에서 속죄의 측면을 제거한다면 우리는 쉽게 그리스도의 사역을 그리스도인의 삶을 위한 하나의 도덕적 예 또는 모델로 축소시키게 된다. 반면에 우리가 예수의 삶과 메시지로부터 동떨어진 죽음의 속죄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하나님은 예수의 죽음을 강요할 만큼 자신의 명예에 집착하는 독단적이며 질투하는 하나님으로 제시되는 신학적 오류에 빠지게된다. 그러므로 예수의 죽음은 반드시 그의 삶이나 부활로부터 분리되어 설명되어서는 안된다.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은 그의 변증법적 기독론(The dialectical Christology of Moltmann)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격리상태에 놓인 십자가로부터가 아니라 예수의 생애와 부활의 맥락에서 십자가를 이해할 때에 우리는 비로소 유죄판결을 받은 범죄자라든지 죄 없는 희생자로서의 죽음이 아닌 사랑 안에서 우리 모두의 구세주가 되신 예수의 죽음을 이해하게 된다. 몰트만에게 부활하신 예수의 죽음과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의 부활은 불가분리의 관계이다.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예수는 그의 죽음에서 하나님의 부재(godlessness)와 버려짐(godforsakenness)과 덧없음(transitoriness)과 같은 현실의 모든 부정적 요소들과 동일시 된다. 오시는 하나님의 영광으로 부활하신 예수가 십자가에서 믿음 없고, 버려진, 덧없는 인생들에게 부활의 새 생명을 가져다주기 위해 그들과 동일시되며 성육신하신 하나님이시다. 십자가에 달려 죽은 그리스도의 부활은 미래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자 소망을 깨우는 것이다.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를 일으키신 하나님은 역사 안에서 미래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기대를 만들어내심으로 변혁을 향한 희망의 원천이 되신다. 몰트만에 의하면 예수는 ‘삼위일체의 계시자’(the revealer of the Trinity)이기 때문에 우리는 삼위일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예수의 역사를 들여다보아야 한다. 예수의 출생, 생애, 죽음과 부활을 거친 예수의 역사는 삼위(the divine persons) 간의 역동적인 관계성을 독특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드러내 준다. 그것은 무한한 자기-내어줌(self-giving)과 상호간의 희생적 사랑(reciprocal sacrifice of love)으로 특징지워지는 삼위간의 교제를 드러낸다. 몰트만의 삼위일체적 해석학(trinitarian hermeneutics)은 세상을 향해 자신을 내어주는 삼위일체의 역사에 근거하고 있다. 예수의 출생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사건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무한히 자기를 내어주는 사랑과 너그러움과 같은 신적 본성(divine nature)을 입증해 주신다. 따라서 상호관계, 사랑, 공감, 그리고 상호기부(mutual giving)와 같은 용어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통해 계시되는 하나님의 본성을 묘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삼위일체론를 설명하는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개념을 미국의 여성 신학자인 캐런 킬비(Karen Kilby)는 몰트만이 그가 선호하는 사회적, 정치적 아젠다를 내재적 삼위일체의 삶에 투영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필자는 신학성서에 충실하고자하는 몰트만의 삼위일체해석학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맥두갈(McDougall)이 지적한 것처럼 킬비(Kilby)의 비판은 몰트만이 얼마나 자신의 방법론적 의도에 충실한지를 간과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몰트만은 신약성서의 증거에 따르면 아버지를 드러내는 분은 아들이시고(마 11:27), 아들을 드러내는 분은 아버지이라고 강조한다(갈 1:16). 그는 예수역사의 해석을 일신론적 의미에서 한 신적 주체로 축약시키는 기독교적 일신론은 그리스도의 역사에서 볼 때 정당하지 않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성을 나타내는 상호성, 사랑, 공감, 동등함, 호혜성과 같은 용어는 몰트만이 선호하는 사회-정치적 이상들을 삼위일체에게 투영한 것이 아니라 성서들을 통해 증거되는 신적 삶(the divine life)에 대한 인격화된 묘사(anthropomorphic descriptions)로 간주해야 한다.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 십자가 신학은 과연 여성에게 자유와 생명을 주는 여성신학을 세우는데 공헌할 수 있는가? 필자는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은 예수의 십자가를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자유와 생명을 주는 기독교 신앙의 기본 상징으로 회복시킨다고 본다. 사회적 삼위일체적 십자가 신학은 여성신학이 추구하는 상호적 호혜적 관계성과 다름에 대한 존중과 성별간의 평등과 같은 인간관계에 필수적인 요건들을 페리코레시스 관계에 계신 심위일체하나님으로부터 유추한다. 그뿐만 아니라 십자가에 대한 사회적 삼위일체적 이해는 예수의 탄생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에서 소외되고 희생당하고 비인간화된 사람들과 연대하며 고통당하시는 열정적인 사랑의 하나님을 드러내준다. 십자가에 대한 이러한 사회적 삼위일체적 이해는 남성의 지배와 여성의 비인간화를 허락하는 일부 페미니스트의 십자가 이해를 교정해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자기존중(self-respect)과 자기가치(self-worth)를 증진시켜 준다. 그런 의미에서 십자가에 대한 사회적 삼위일체적 접근은 여성주의적 접근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oday, theology faces the challenge of not only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humanity but also proclaiming a holistic salvation that does not alienate anyone. In this essay I argue that Moltmann’s social-trinitarian theology of the cross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ound feminist theology which gives hope and liberation to the marginalized, the powerless, and the dehumanized by exposing the suffering God who stands in solidarity with them. For this purpose, I first examine various feminists’ understandings of the cross to find out what they attempt to pursue through their theological endeavor. Traditionally, Christians have regarded the cross as a symbol of God’s sacrifice and love. They believe that their salvation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atoning death of Jesus on the cross. However, criticism has been raised among feminist theologians. Some of them like the womanist Delores Williams contend that viewing the cross as a passive sacrifice of Christ can be used as a logic to oppress and exploit the socially weak including women. In other words, the cross has been rationalized for patriarchal domination by applying it to women as a symbol of silently enduring suffering. In pursuit of Christology and soteriology that can positively a ffect the lives of women, they focus on the l ife and work of Jesus which changed people’s lives. Dorothee Solle, a German feminist theologian suggests, through her existential approach to the cross, that Christians must do justice in today’s unjust world. Also, Elizabeth A. Johson, a Catholic Jesuit theologian, through the cross-resurrection dialectic of Sophia Christology, shows God’s commitment to solidarity with all the suffering and the lost. Through their theological works these feminist theologians try to embrace the marginalized, the powerless, and the dehumanized, and to stand in solidarity with them. I, therefore, investigate whether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theology of the cross can offer some answers to their challeng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holistic feminist theology and restore the atoning aspect of the death of Christ which they seem to ignore or dismiss i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cross. In so doing, I discuss in detail Moltmann’s dialectical Christology, which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death of the resurrected Jesus and the resurrection of crucified Christ on the cross are inseparable. He contrasts the death of the resurrected Jesus with the resurrection of the crucified Christ. Crucified Jesus in his death is identified with all the negative qualities of the present reality such as godlessness, godforsakenness, and transitoriness. However, this same Jesus is raised from the dead to affirm God’s promise of new creation for this godforsaken reality. The resurrection of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awakens God’s promise and hope for the future. The God who raised the crucified Christ becomes the source of hope for transformation by forging in history the anticipation of the future kingdom of God. Authentic Christian hope allows people to resist and work to redeem the brokenness of the world. Also, Moltmann argues that the history of Jesus, which was driven to death on the cross is itself a theological hi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God and idols. The crucified Christ frees humanity from slavery to the false idols of the law and from political and theistic religions. I also discuss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approach to the cross. According to Moltmann, the history of Jesus through his birth, life, death, and resurrection reveals in a unique and authentic wa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persons. It reveals the communion of the Trinity characterized by infinite self-giving and reciprocal sacrifice of love. Through the events of Jesus’ birth, life, death, and resurrection, the Triune God proves the divine nature of infinite self-giving love and generosity. Thus, terms such as reciprocity, love, empathy, and mutual giving describe the nature of God revealed through the event of Jesus Christ. However, Karen Kilby, an American female theologian, criticizes the concept of perichoresis as a projection of Moltmann’s preferred social and political agenda into the life of the immanent Trinity. Following McDougall, I argue that Kilby’s criticism overlooks how faithful Moltmann is to his methodological intent, norma normans. Moltmann emphasizes that according to the evidence of the New Testament, it is the Son who reveals the Father (Matt. 11:27), and the Father is the one who reveals the Son (Gal. 1:16). He believes that Christian monotheism, which reduces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Jesus to one divine subject in a monotheistic sense, is not justified by the history of Christ. In conclusion, terms such as reciprocity, love, empathy, equality, and reciprocity, which denote the nature of the Triune God, are not Moltmann’s preferred socio-political ideals projected onto the Trinity but should be considered anthropomorphic descriptions of the divine life as evidenced by the Bible. I conclude that Moltmann’s theology of the social Trinity of the cross restores the cross of Jesus as a basic symbol of the Christian faith that gives freedom and life to women as well as men. The social trinitarian theology of the cross infers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human relationships such as mutual reciproc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equality between genders pursued by feminism. Not only that, but also Moltmann through his social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cross reveals the passionate and loving God who suffers in solidarity with tho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sacrificed, and dehumanized.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cross, I argue, not only corrects some feminists’ understanding of the cross, which permits male domination and female dehumanization, but also promotes women’s self-respect and self-worth. In this sense, Moltmann’s social trinitarian approach to the cross definitely contributes to constructing a sound, biblically based feminist theology.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접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혜경(Han, Hye-ky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접근성과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서비스 활용과정의 네가지 장애, 즉 선별기준상의 장애, 서비스 및 급여의 가용성, 시설자원의 가용성, 재정적 장애 여부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네가지 차원의 분석결과를 통해 본 제도가 서비스의 접근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 즉 서비스의 저활용이나 과활용을 최소화하려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과활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에 중점을 두는 반면 저활용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는 비용 절감과 재정의 지속가능성이라는 단기적 이슈에 초점을 두고 당장의 비용을 줄이는 문제에 급급할 뿐 저활용으로부터 초래될 장차의 사회적 비용은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제도의 서비스 접근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paper analyzed four types of barriers, which exist in the service utilization process: barriers in eligibility criteria, availability of services and benefits, availability of facility resources, and financial barriers. Also discussed is whether the current system has tried to increase service accessibility by minimizing under-utilization or excessive over-utilization of servic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policies for preventing under-utilization of services, while it has emphasized policy efforts at minimizing over-utilization of servi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short- term issues of cost reduction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while ignoring long-term societal costs which will be incurred from under-utilization of services. It is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need to examine effective accessibility issues to esbablish a more efficient service delivery system.

      • Zenobia's Disillusionment: Hawthorne's Tragic Vision in The Blithedale Romance

        한혜경(Hye-kyung Ha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硏究 Vol.18 No.-

        페미니즘과 여성성은 지나치게 구사하면 경직되어 못마땅한 것이 되고 만다. 왜냐하면 이 두 주장은 똑같이 여성의 전체적인 잠재력을 실제로 경시하기 때문이다. 『블라이드데일 로맨스』에서 호손은 이 두 가지 입장이 각각 중대한 결함을 갖고 있다고 보고 그 둘을 모두 비난한다. 이 로맨스소설은 억지춘향 격의 도덕적 교훈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여주인공 제노비아의 과감하고 자유로운 성격창조 때문에 호손의 작품 가운데 단연 돋보인다. 성적으로 성숙하고 지적으로 대담한 여성인 제노비아는 자연과 자아의 창조적 에너지를 대변한다. 적합하게 형성된 개성을 소유한 유일한 작중인물인 제노비아가 끝내 자살을 감행하는 것은 이 소설이 갖는 비통함을 잘 나타내준다. 블라이드데일 이야기의 종말은 제노비아의 죽음 주위를 맴돈다. 스토리텔러인 커버데일은 우리에게 제노비아를 버림받은 여인의 전형으로 보게 하여 그녀에 관한 보다 기본적인 진실을 놓치게 한다. 그렇지만 실제로 제노비아가 자살을 한 것은 단순히 마음의 상처를 받아서만은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페미니즘 신조에 반하는 행동을 그녀 스스로 조장해옴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한 증오심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결국 제노비아가 호손의 동정심을 끌고 진정한 비극적 여주인공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명약관화한 일이다. Feminism and femininity, if in excess, are unsatisfactory in their rigidity, since both positions similarly ignore the total actuality of potential of women. In The Blithedale Romance, Hawthorne condemns both models, recognizing that each has grave deficiencies. Despite its mechanically enforced moral lessons, this romancenovel stands out among Hawthorne's works particularly for its bold and free characterization of Zenobia. An abundantly sexual and intellectually daring woman, Zenobia represents the creative energy of both nature and the self. It is a measure of the bitterness of this novel that Zenobia, the only character who possesses an adequately established identity commits suicide. The end of the Blithedale tale revolves completely around the death of Zenobia. Coverdale, the storyteller would have us view Zenobia as a typically jilted woman and miss a more fundamental truth about her. Yet in actuality, Zenobia drowns herself not simply from a broken heart but due to her hatred toward herself, just because she has acted against her own feminist beliefs. After all, it is obvious that Zenobia attracts Hawthorne's sympathies, and approaches the status of a true tragic heroine.

      • KCI등재후보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에 대한 이해

        한혜경 ( Hye Kyung Heo (ha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1 神學과 宣敎 Vol.60 No.-

        나는 이 논문을 통해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의 의미와 도전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몰트만은 십자가는 “모든 신학의 내적 규범” (inner criterion of all theology) 이라고 주장하며 그리스도인들의 믿음, 교회와 신학은 반드시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에 의해 그 진정성이 밝혀지고 입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로 몰트만에게 하나님은 “항의하는 하나님”이다. 몰트만은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라고 십자가에서 외치는 예수의 부르짖음에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는 고통을 당하는 모든 이들을 대변하며 항의하는 하나님을 본다. 예수님의 외침은 하나님이 없는 자들과 무고한 고통을 당하는 자들과 동일시하시는 자의적 사랑으로 부르짖는 외침이다. 따라서 고통에 대한 항의는 십자가에 의해 억제되지 않으며 오히려 지속되어진다고 본다. 이러한 십자가에 대한 견해는 예수를 따르는 자들이 사랑의 연대를 실천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강조점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은 고통당하는 자들과 연대하심으로 고통을 폐지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 가운데 고통인 사랑의 결핍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셋째로 하나님은 고통당하시는 하나님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들과 똑같은 방법으로 고통당하지 않으신다. 그분의 존재 안에 어떤 결핌으로 고통당하시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창조하신 피조물들과의 관계로 인해 사랑하기 때문에 고통당하신다. 마지막으로 몰트만에 의하면 십자가에서 하나님의 아들 (성자) 예수만 고통당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 (성부)도 아들의 아버지로서 고통당하신다. 아버지와 아들의 상호 복종의 행위를 몰트만은 “내어준다” (deliver up)의 의미를 가진 헬라어 “paradidonai”를 통해 설명한다. 몰트만은 그리스도의 죽음을 삼위일체적 의미에서 해석해 준다. “아들의 아버지 없음” (the Sonlessness of the Father)은 “아버지의 아들 없음” (the Sonlessness of the Father)과 분리될 수 없다. 각자 다른 모양으로이지만 삼위일체의 각 지체 (each person o f t h e T rinity)는 십자가의 고통에 참여한 것이다. 이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은 또한 “passio activa” (능동적 고난)이다. 아버지께서 아들을 버리셨을 뿐만 아니라 아들도 자기를 내어 주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서로를 내어주고 복종하는 행위를 가능케 한 분은 성령이다. 몰트만에 의하면 성령은 십자가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분리됨 속에 그들 사이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또한 성령은 하나님이 없는 자들과 무고한 고통을 당하는 자들을 살리기 위한 아버지의 고통과 아들의 자기 복종으로 비롯된 창조적 사랑이다. 삼위일체적 사건으로 본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은 성령론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나 <십자가에 달린 하나님>이후로 쓰여진 많은 몰트만의 저서들 특히 The Spirit of Life: A universal Affirmation에서 그의 성령론이 완성되어 졌음을 알 수 있다. 결론으로 십자가 사건은 삼위일체 사건이며 삼위일체 하나님은 사랑의 관계 속에 존재한다. 십자가 사건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고통당하는 자들과 연대하시는 하나님임을 알 수 있다. 그리스도인이라면 누구나 사랑의 상호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내어주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을 이 땅에서 실천해야 할 것이다. In t h is essay, I will look into what is involved in Moltmann’s theology of the cross and the challenges it gives to the Christians today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of all, Moltmann insists that the cross of Christ is the “inner criterion of all theology.” Therefore, the Christian faith, church, and theology, which dare to call themselves by the name of the crucified Christ, must demonstrate what they really believe about the crucified Christ and what practical consequences they wish to draw from their belief. Secondly, for Moltmann, God is “a protesting God.” In Jesus’ cry of dereliction, “Eloi, Eloi, Lama Sabachthani?” Moltmann sees the crucified Christ who is protesting on behalf of all innocent sufferers. On the cross Jesus does not cry in fatalistic acceptance of suffering, but in his voluntary, loving identification with the godless and the god-forsaken. Thus, protest against suffering is not suppressed but sustained by the cross and becomes an essential element for Jesus’ followers to practice in loving solidarity. What needs to be noted here is that the crucified God’s solidarity does not abolish suffering, but it does overcome “suffering in suffering,” which Moltmann claims, is the lack of love. Thirdly, God is “a suffering God”. However, God does not suffer in the same way humans suffer. God suffers not because of any deficiency in God’s being but because of love. God can go toward suffering and accept it because God is interested in God’s creation and people. Finally, according to Moltmann, it is not only the Son of God who suffers on the cross, but the Father also suffers. He explains the mutual act of surrendering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by looking into the use of the Greek word, “paradidonai,” which means “deliver up.” Moltmann interprets the death of Christ in the Trinitarian perspective: “The Sonlessness of the Father” is matched by “the Sonlessness of the Father.” Each person of the Trinity suffers, although in different manners. Moltamnn insists that though they are most deeply separated in forsakenness, they are most inwardly one in surrendering. The suffering and death of Jesus on the cross is a passio activa. It is not only that the Father gives up Jesus, but the Son also gives Himself. This mutual act of surrendering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Moltmann insist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Holy Spirit. The offering of the Son takes place through the Spirit who is the link joining the bond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in their separation at the cross. In h is The Crucified God, Moltmann describes the Spirit as “creative love” proceeding out of the Father’s pain and the Son’s self-surrender to justify the ungodly, rescue the forsaken, and raise the dead. Motmann’s theology of the cross as a Trinitarian event has been criticized as a binitarian lacking the Holy Spirit. However, his pneumatology has been fully developed after the Crucified God t h rough h is consecutive books including The Spirit of Life: A Universal Affirmation in which Moltmann argues that “the operations of God’s life-giving and life-affirming sprit are universal and can be recognized in everything which ministers to life and resists its destruction.” In conclusion, the event of the cross is a Trinitarian event, and the Trinitarian God exists in the loving relationship. Through the event of the Cross, the Triune God is affirmed as a God who suffers in solidarity with the suffering and a self-giving God in a mutual, reciprocal relationship within Godself. The suffering love of the Triune God which culminates on the Cross in solidarity with the godless and the god-forsaken challenges the Christians today to copy this nature of God and practice it in our relationships with God’s creation and others.

      • KCI등재

        Parallels and Antitheses: The Structure of Faulkner`s The Wild Palms

        한혜경 ( Hye Kyung Han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0 美國學論集 Vol.42 No.1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의 『야생의 종려』(The Wild Palms)는 별개의 두 이야기가 교대로 전개되는 아주 기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 형식이 너무 특이해서 `두 겹 소설`이라고 밖에는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을듯하다. 하지만 이 용어 또한 작품의 성격을 적절하게 지칭하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주로 병렬과 대조의 관계를 통해서 명백히 다른 두 개의 이야기가 서로 긴밀한 관련을 맺게 된다. 『야생의 종려』("Wild Palms")와 「노인」("Old Man") 사이에는 유사점과 대비점이 적지 않다. 사랑 이야기에서 젊은 해리 윌본(Harry Wilbourne)은 "공허"보다는 "비통"을 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50년 형을 선고받고 회한의 자유를 누리고자 한다. 강 이야기에서 작은 보트를 타고 홍수로 불어난 강을 표류하는 키 큰 죄수 역시 이 커플과 마찬가지로 통제할 수 없는 자연의 힘 속에 내맡겨져 있다. 그러나 그들과는 달리 죄수는 자신의 의지를 거스른 채 그곳에 방치되어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병렬과 대조는 플롯, 이미지, 세팅, 그리고 음조 상에서 주로 축어적이라기보다는 테마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병렬과 대조가 미묘한 수준으로 사용된 두 이야기 가운데 비교적 단조로운 플롯을 갖고 있는 「노인」은 지나치게 고통스럽고 괴로운 「야생의 종려」에 대한 일종의 `희극적 위안` 역할을 하며 보완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이 두 이야기로부터 최종적으로 놀라운 역설이 생겨난다. 즉 아무리 사회가 잔인하고 불공평할지라도, 또 아무리 자연이 가혹할지라도 인간의 삶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그런 것들과의 투쟁을 회피하려 하지 않을 때에야 비로소 참된 인간으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야생의 종려』는 병렬과 대조를 바탕으로 한 두 겹 소설이라는 구조적 실험작이기 때문에 각각의 이야기를 개별적으로가 아니라 또 다른 이야기와 연관해서 읽을 때에 비로소 그 의미가 충분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삶기에 의한 국수호박의 영양성분 함량 변화

        한혜경 ( Hye Kyung Han ),강민승 ( Min Seung Kang ),나종민 ( Jong Min Na ),윤현녀 ( Hyun Nye Yoon ),김수연 ( Su Yeon Kim ),김세나 ( Se Na Kim ),김정봉 ( Jung Bong Kim ),박홍주 ( Hong Ju Park ),조영숙 ( Young Suk Jo ),김소영 ( So Yo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7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nge of major nutrient components of spaghetti squash by boiling. The moisture, crude protein, fat,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fresh squash were 94.2%, 0.6%, 0.1%, 0.7% and 4.4% respectively as against 95.1%, 0.5%, 0.1%, 0.5% and 3.8% in boiled squash. The decrease in protein and ash contents of the boiled sampl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ajor component of the minerals were potassium and the fresh and boiled squash had the contents of 330 mg and 256 mg,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dietary fiber between the fresh and boiled squash. Beta-carotene contents of the fresh and boiled spaghetti squash were 0.69 ㎍ and 2.22 ㎍,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copherol were decreased as like 4.3 mg and 2.0 mg. A total of 17 kinds of amino acids were isolated from squash and they were decreased by boiling and the high content of amino acids in order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lysine, and leucine in raw squash. Particularly, total amino acid of fresh squash were 6,739.5 mg per 100 g edible portion and higher than that of boiled squash(4,820.3 mg). Total polyphenolic compound of the fresh squash from 297.3 ㎍/mg was slightly decreased to 253.3 ㎍/mg by boi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