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덕대왕 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려한 종각복원의 고찰

        한찬훈,Haan, Chan-Hoon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회유산인 성덕대왕 신종의 종각 복원을 위하여 신종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문헌을 통한 자료조사와 더불어 음향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전통적인 한국종과 신종의 음향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성덕대왕 신종을 위한 종각의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종각은 종의 아래 움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둘째, 종의 고유진동수가 64 Hz대와 168 Hz에 분포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저주파수대역의 흡음이 많은 판재보다는 기둥과 보와 같은 각재 및 선재로 종각의 구조가 이루어 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동시대의 종각구조를 감안할 때, 직달일광과 해풍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상방과 중방사이의 공간을 판재로 마감하는 형태도 제안되었으며 넷째, 종의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여 전통적으로 종각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3칸이나 5칸의 홀수칸으로 된 정사각형 형태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가 가장 원형에 근접하리라 판단된다.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e original form of the bell pavilion for the King Song-Dok bell which is one of the precious national treasure of Korea. In order to this, many literatures were reviewed including both historical and acoustical references. As the results, the model of the bell pavilion for the King Song-Dok bell is suggested as follows considering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King Song-Dok bell and the traditional Korean bells ; 1) The bell pavilion has the rumbling puddle beneath the bell on the ground floor for resonance of sound 2) Many lumbers are used for columns and beams rather than boards since natural frequencies of the bell are 64 Hz and 168 Hz so that the sound absorption of the low frequency sound may not be occurred. 3) Only some boards may be used for the area between upper and middle molding of lintel in order to prevent of direct sunlight and sea breeze since this type of structure were used for bell pavilion of the same age. 4) Square form with the odd number of 3 or 5 Kans is adopted for bell pavilion considering the weight and the size of the bell which had been used traditionally 5) Finally, half-hipped structure is used for the roof of the bell pavilion which was the predominant form of the age.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의 음향설계원리 및 성능분석

        한찬훈,Haan, Chan-Hoon 한국음향학회 2019 韓國音響學會誌 Vol.38 No.3

        공항의 여객터미널은 안내방송과 배경음악, 긴급안내등이 24시간 이루어지는 곳이기 때문에 명료한 음성의 전달이 매우 중요하다. 인천국제공항은 연 4천500만명 이상의 여객을 처리하는 가장 큰 공항으로서 2001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에는 제1여객터미널, 탑승동, 제2여객터미널 등 3개의 터미널이 있으며, 현재 제 2여객터미널의 확장공사가 2020년까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천국제공항내의 모든 여객터미널의 설계시 적용된 건축음향과 전기음향설계의 기본원칙을 설명하였다. 특히, 대규모 체적을 보유한 출발홀과 중앙홀, 교통센터등의 음향성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공항의 대형공간에 대한 음향설계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터미널 천정의 설계와 천정의 흡음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더불어서, 전기음향설계의 원칙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airport terminal, aur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24 hours a day including announcement, background music and emergency control. So, clear sound is mostly necessary to transmitted to the passengers in airports. IIA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one of the largest airports accommodating 45 million people a year which have been built since 2001. There are currently three passenger terminals including Terminal 1 & 2, and boarding concourse. The $2^{nd}$ passenger terminal is under construction to expand the spaces which will be finished in 2020. The present work aims to explain the design principles of both architectural acoustics and electo-acoustics which have been applied to all the terminal buildings in IIA including ticketing counter, great hall, departure concourse and transportation center. Also, the acoustical performances of those spaces were examined. As a result, acoustic standards for airport were suggested. Architectural concepts for designing ceiling spaces and sound absorption treatments were suggested. Also, electro-acoustic design principles were commented.

      • KCI등재

        모형실험을 통한 식생형 방음벽의 소음저감 효과 분석

        한찬훈,홍성신,Haan, Chan-Hoon,Hong, Seong-Shin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3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 및 근린시설의 경계방음벽으로 제시한 식생형 방음벽을 설계하고 소음감쇠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식생형 방음벽은 일정한 형태의 유닛을 방음벽 형태의 구조물에 걸이식으로 적층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유닛내부에는 식재 및 토양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음벽의 음향적인 장점은 토양 및 식재를 이용한 흡음뿐만 아니라 확산형상의 방음벽에서 표면 확산으로 인해 음에너지가 분산되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1/10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 소음감쇠성능에 가장 적합한 방음벽 유닛의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설계된 도면에 따라 1/2축척의 식생형 방음벽을 실제높이 2 m, 길이 5 m로 제작하여 소음감쇠실험을 진행하였다. 식물을 담을 수 있는 총 1,137개의 식생블록은 약 $10{\times}10{\times}9cm$ 크기로 합성목재를 활용해 제작하였으며 이 블록들을 방음벽에 설치하여 자립형 구조를 가진 식생형 방음벽을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평면형 방음벽보다 블록식 방음벽이 약 7 dB 더 높은 삽입손실을 나타냈으며, 식생블록의 크기는 삽입손실효과가 큰 $20{\times}20cm$의 크기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Design of a vegetation type sound barrier was presented as a noise barrier on the boundary of neighborhood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and apartments. The suggested noise barrier is made of unit blocks that are to be formed by stacking over the wall structure containing the plant and soils in the blocks. The advantage of the vegetation noise barrier is to acquire not only sound absorptive effects of plants and soils, but also sound diffusive effect caused by the irregular surface of the barrier which could eventually mitigate the noise. First, the optimum size of the units to obtain the highest noise reduction was investigated using 1/10 scaled model experiment, and sound attenu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1/2 mock-up model which is 2 m high and 5 m long. Total 1,137 unit blocks were made of synthetic woods with the size of $10{\times}10{\times}9cm$. These unit blocks were installed on the both side of the 1/2 mock-up steel framed noise barrier.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block typed vegetation noise barrier has 7 dB higher insertion loss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lane noise barrier. Also,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 size of unit blocks is $20{\times}20cm$ which has large effect of sound insertion loss.

      • KCI등재

        청감실험에 의한 국악당의 음향설계조건 설정

        한찬훈,신직수,Haan, Chan-Hoon,Shin, Jic-Su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당의 설계에 있어서 기존의 서양음악을 기준한 실내음향설계의 한계를 벗어나서 국악기의 음향특성에 맞는 실내음향의 설계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악시재를 이용한 청감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국악합주를 무향실내에서 녹음하여 국악기의 지향음향특성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설계중인 국악공연장의 3차원 공간을 설정하여 국악음원을 방사시킨 후 실내에서 충격응답을 얻었으며 추출된 충격응답 시료를 가지고 무향실에서 녹음된 음원과 콘볼루션시켜 가청화(auralization)시재를 제작하였다. 가청화작업을 통하여 조사한 실내음향인자는 잔향시간(RT), 저주파 잔향비(BR), 고주파 초기감쇠시간비(Brilliance), 음의세기(G), 음악명료도(C80), 초기시간지연차(ITDG), 양이효과지표(IACC)등 총 7가지이며 무향녹음된 음원은 기악합주곡으로 구성하되 가청화 데이터를 각 지표안의 서로 다른 시료들과 짝을 지어 총 80쌍의 시료쌍을 제작하였다. 가청화 작업을 통하여 만든 시재를 국악연주자와 서양음악연주자를 대상으로 청감실험을 실시하였다. 청감실험결과 국악당에 대한 실내음향의 조건은 서양음악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잔향시간은 0.8-1.0초의 매우 낮고 명료한 소리를 선호하였으며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도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잔향특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악기의 소리특성을 인지하기 위한 고음의 명료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악당 및 국악음원을 사용하는 공간의 설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나타내었으며, 고농도로 갈수록 심화되었고 benzoic acid, salicylic acid, trans -cinnamic acid에서 매우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의 수와 균체의 량은 0.81 $\times$ $10^{8}$ cfu/$m\ell$와 12g-DCW/$\ell$, 항진균 활성은 8.6mm로 나타나 5$\ell$ jar fermenter 배양에 배해 균의 수는 1/10로 줄었으며 항진균 활성도 64%로 낮게 나타났다.다. 것으로 생각한다.후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3, 4군: 상온 심정지군). 결과: 저온 심근 보호액 군에서는 허혈전처치를 시행 후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군(제1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대조군(제2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관류량, 심박동수, 좌심실내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및 CPK, LDH의 비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NS). 상온 심정지 군에서는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허혈을 유지한 군(제3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허혈을 유지한 대조군(제4군)의 비교에서 허혈 전처치를 시행한 군이 좌심실 수축기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값, 좌심실 이완기압,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등이 허혈 전처치를 시행치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호전되었고 CPK, LDH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허혈 전처치가 심근의 기능적 회복 및 심근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p<0.05).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standard for acoustic criteri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could be used for th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s. In order to do this, subjective listening tests were undertaken to musicians using auralized sounds which were convolved with the impulse response of traditional instruments recorded in an anechoic chamber. 94 pairs of sound were made which have different value of acoustic parameters including RT, BR, Brilliance, G, C80, ITDG, IACC. A paired comparison method(PC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rom the subjective listening tes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 of acoustic criteria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far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music. As a result, specific range of acoustic criteria were suggested for the appropriate acoustic condi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lso, a guideline of the acoustic design of halls for perform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suggested which could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the future works.

      • KCI등재

        국악기의 음향방사특성에 따른 국악당의 음향성능조사

        한찬훈,이원구,정철호,Haan Chan-Hoon,Lee Wangu,Jeong Cheol-Ho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8

        현재 국악기의 음향특성에 대한 상세 정보가 매우 부족하여 국악당의 설계에 있어서 최적의 음향을 전달하는 공간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중적이고 대표적인 국악기의 음향특성을 측정하고 분류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1) 향후의 국악 및 국악기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2) 국악 전용 연주장의 설계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로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악기의 음향방사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제2단계의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1]에 새로운 국악기 8종을 추가하였다. 선정된 국악기는 현악기중에서 거문고와 해금, 관악기 중에서 피리와 태평소, 타악기 중 북과 꽹가리, 징 및 남성 창으로, 원거리 (far-field) 음향 방사특성을 조사하였다. 무향실에서 시행된 지향특성실험을 통하여 얻은 국악기의 음향특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국악기의 지향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 음원의 방사특성의 차이에 따른 실내음향성능의 변이를 조사하였다. 측정 결과, 국악기마다 주파수별 지향특성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무지향성 음원과 국악 음원을 사용하였을 때 음향 인자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데이터와 설계 방법론 등은 향후 국악원의 설계에 있어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There have been always some difficulties in target setting and conditioning of acoustic performances 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 due mainly to the lack of the information on the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sources. As the 2nd experiment succeeding the previous study[1],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eight typical Korean traditional musical sources were investigated if precision. The selected musical sources were Geomungo, Haegeum (string), Piri, Taepyeongso (woodwind), Buk, Kwaengguari, Jing (drum), and male Pansori Chang (voc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directivity pattern of each instrument is different and has their own directivity characteristics. Measured direction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ources were implemented into the computation of architectural acoustic measur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oustic measures at receiver posi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results in using the omni-directional source and the directional 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spatial variation four different shapes of halls were introduced including rectangular, fan. horse-shoe and geometrical shapes. Room acoustical parameters such as RT, SPL, C80, LF, STI were calculated at each type or hall.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ectangular hall has the most high clarity. lateral energy and STI values among low shapes of halls. It is thought that the suggested source data and design method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the future acoustic design of performance ha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 아동행동에 따른 중량바닥충격음 레벨 비교

        한찬훈 ( Haan Chan-hoon ),김건수 ( Kim Geon-su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23 建設技術論文集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층간소음 원인인 아동의 행동에 따른 바닥충격음을 조사하는 것이다. 현재 뱅머신과 고무공충격원dl 바닥충굑음의 중량표준바닥충격음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아동의 행동에 따른 실제바닥충격음과 표준바닥충격음원으로 측정된 소음레벨과 비교함으로서, 보다 현실적이고 정확한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A시의 E단지내 2가구를 선정한 후 7세 24Kg 이상인 남자아이를 대상으로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KS F2810-1과 KS F2810-2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장측정 방법에 따라서 수행되었다. 현장 층간소음 실험시 아동행동유형은 뛸 때, 걸을 때, 뛰어 내릴 때, 뒹굴 때 등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 분류한 행동유형을 세부적으로 속도별, 걸음의 유형별, 높이별, 지속시간별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중량충격음과 비교했을 때 뛸 때와 뒹굴 때는 저주파수에서 5dB이상 차이나는 반면, 뛰어내릴 때는 5dB이하 차이나는 것을 통해 뛰어 내릴 때는 표준중량충격원과 비슷하지만 나머지 행동유형은 더 낮은 저주파수대역의 충격음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아이의 행동을 세밀하게 분석한 뒤 더 폭넓은 중량충격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al floor impact noises caused by children’s various actions inside the apartment housing. Currently, bang machine and impact ball are used as the standard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sources, to evaluate the floor impact noises. So, measured floor impact noise data obtained by both children and reference sound sources could be very important for the more accurate and reliable evaluation of the current floor impact noises. In order to this, two vertically connected households were selected for the field acoustic experiments and a child of 7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s as a subject. All the acoustic field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ollowing the standards (KS F2810-1 and KS F2810-2). Four typical behaviors of children were acted in a living room including walking, running, jumping and rolling on the floo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d noise levels by child’s behaviors are different from the noise levels from standard floor impact sound sources from 1dB up to 5dB when child ran and rolled. Also, it was revealed that standard floor impact sound sources make lower sound levels than the noise levels by child’s jumping at 64Hz where, the critical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frequency.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re reliable floor impact sound sources should be considered which can represent the real condition of floor impact noises occurrence in current apartments

      • 차종별 속도가 도심 소음도에 미치는 영향

        한찬훈 ( Haan Chan Hoon ),채세원 ( Chae Se-won ),권도인 ( Kwon Do-in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22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Vol.41 No.2

        최근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도로교통소음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인자 중 도로교통소음을 유발하는 가장 큰 인자는 교통량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도로교통소음 측정을 통해 도심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야간을 포함한 3개 시간대 동안 도시 지역의 약 90개 지점에서 소음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소음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도시 도로의 교통량, 차량의 종류 및 주행속도 등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모든 차량은 승용차, 버스, 트럭, 오토바이크의 4개 종류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차량의 속도뿐만 아니라 승용차 외의 특정 차종의 유입이 소음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심소음도는 교통량보다 차량의 주행속도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특정 차종인 오토바이크, 버스, 트럭의 주행속도가 도심 소음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Road traffic noise has been raised due to the increasing traffic volumes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traffic volume is the largest factor that causes road traffic noise among various factor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everal factors which affect urban noises by measurement of road traffic noises in various ways. In order to do this, noise levels were measured at 90 points in urban area during three time zones including day and night. Also, noise levels, traffic volume and the speed of moving vehicles were measured on the urban roads and recorded for the analysis of noise factors. All the vehicle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such as car, bus, truck and auto-bik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oise leve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not only the speed of vehicles but also influx of the specific vehicle types except cars. Therefore, it could be discussed that the urban noise level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vehicle speed than the traffic volume. Also, especially, it is concluded the speed of specific vehicle types including auto-bikes, buses, and truck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the urban noise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