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눈물흘림 환자에서 눈물주머니조영술상 완전폐쇄와 부분폐쇄 간의 실리콘관 삽입술의 성공률 비교

        한지상,박인기,신재호,Ji Sang Han,In Ki Park,Jae Ho Shin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6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between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nd stenosis according to dacryocystographic findings. Methods: A total of 115 patients who suffered from epiphora were divided into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nd nasolacrimal duct stenosis according to dacryocystographic findings. Silicone tube intubation was performed on every patient. The success rate was estimated based on functional and anatomical success. Functional success was estimated by patient’s satisfaction with ‘good’ or ‘fair’ at the last visit, and anatomical success was estimated by decrease or normalization of tear meniscus height. Surgery success was defined when anatomical and functional successes were fulfilled. Results: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was 75.76% for patients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based on dacryocystography, and 86.59% for patients with nasolacrimal duct stenosis based on dacryocystography;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earson chi-square test, p = 0.693). Conclusions: Silicone tube intubation can be considered as a primary treatment option for management of epiphora in nasolacrimal duct stenosis and obstruction.

      • KCI등재

        후두엽뇌전증 환자 1예 보고 및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송 한(Han Song),이수빈(Su bin Lee),한현정(Hyun Jeong Han),한지상(Ji sang Han),김대희(Dae Hee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3

        목적: 후두엽뇌전증 환자에서 황반부 망막신경절세포층 손상이 확인되어 시각로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년간의 뇌전증 병력이 있는 25세 여자 환자가 양안 시력저하를 보인 후 이차적인 전신발작이 발생하여 내원하였다. 뇌자기 공명영상 검사에서는 좌측 두정엽 및 후두엽 부위에 애매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증상 발생 2일 후, 뇌전증이 호전된 상태에서 시행한 시력검사상 양안 0.5, 시야검사상 전시야맹 소견을 보였고,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양안 모두 심한 황반부 망막신경절세포층 결손과 경한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확인되었다. 증상 발생 1개월 후부터 양안 시력이 1.0으로 호전되고, 좌측 시야의 호전을 보였으나, 증상 발생 6개월까지도 우측 동측반맹과 양안 황반부 망막신경절세포층 결손은 유지되었다. 결론: 후두엽뇌전증으로 인한 손상이 뇌영상검사에서 명확하지 않은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 소견으로 객관적인 시각로손상을 확인 할 수 있었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후두엽뇌전증 환자에서 시각로손상의 객관적 예후지표로 빛간섭단층촬영이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In the present case report, visual pathway damage confirmed by retinal ganglion cell layer (GCL) damage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n occipital lobe epilepsy was described. Case summary: A 25-year-old female with 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developed visual blurring followed by a generalized seizure. O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very subtle changes of the cortex in the left parietooccipital lobe were observed. Two days after the attack, even after the disappearance of epileptiform wave on electroencephalogram (EEG), visual acuity in both eyes was 0.5 and a perimetry revealed nearly complete visual defect in both eyes. OCT showed severe thinning of GCL and mild thinning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No additional seizure attack occurred thereafter. One month after the attack, her visual acuity was recovered to 1.0 in both eyes and her left visual hemifield defect was recovered. However, even 6 months after the attack, her right visual hemifield defect and GCL damage persisted in both eyes. Conclusions: We reported a case in which the visual pathway damage caused by occipital lobe epilepsy was identified using OCT, despite very subtle changes in brain imaging. This case indicated GCL thinning is an objective and prognostic index for the irreversible visual field defect in occipital lobe epilepsy.

      • KCI등재

        시신경을 침범한 밀러피셔증후군

        박인기,문상웅,한지상,신재호,In Ki Park,Sang Woong Moon,Ji Sang Han,Jae Ho Shin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12

        Purpose: To report an extremely rare case of optic nerve involvement in Miller-Fisher syndrome. Case Summary: A 74-year-old woman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Such symptoms started 1 month prior to her visit, after sudden onset of left-side motor power weakness and dysphasia. Following the initial symptoms, our patient consecutively experienced worsening dysphagia, ptosis, and lateral gaze limitation. We confirmed the diagnosis as Miller Fischer syndrome with a positive anti-GQ1b antibody serology. She received immunoglobulin treatment for 5 days in other departement. She visited our clinic due to continuing diplopia, decrease of visual acuity and gait disturbance. On initial examination, the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5 in both eyes. Ptosis of both eyelids, esodeviation, limitation in ocular movement was noted. The fundoscopic examinations revealed relatively pale optic disc. There was decrease in color vision in both eyes. The visual evoked potential test showed low amplitude and delayed latency in P100 wave in both eyes. Two months after her initial visit to our department her symptoms started to improve, and after 4 months all the initial problems resolved completely and her corrected visual acuity checked out to be 0.8 in both eyes and VEP abnormality was recovered. Conclusions: It is extremely uncommon for Miller Fisher syndrome to involve the optic nerve. We present such a case of a 74-year-old woman whose symptoms improved 4 months after its first attack with treat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2):1676-1680

      • KCI등재

        망막색소변성환자에서 외상 후 발생한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하는 지연 발현 푸르처망막병증 1예

        송 한(Han Song),한지상(Ji Sang Han),양지호(Ji Ho Yang),김도균(Do G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11

        적: 외상 이후 발생한 시력저하로 의뢰된 망막색소변성환자에게서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하는 푸르처망막병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6세 남자 환자가 교통사고로 흉부에 외상을 입은 이후 발생한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진료 의뢰되었다. 과거력상 망막색 소병증으로 개인 안과에서 경과관찰 중이었다. 교정시력은 우안 0.3, 좌안 0.6이었다. 전안부 검사상 특이소견은 없었다. 안저검사에서 양안에서 특징적인 망막색소변성 소견과 함께 우안 황반부에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고 투명한 장액성 융기로 의심되는 병변이 있었고 시신경 주변으로 삼출물로 의심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우안 장액 망막박리소견이 있었고, 형광안저혈관조영 에서 망막색소변성의 특징적인 소견을 볼 수 있었다. 외상 7일째 내원 시 우안 안저검사상 면화반 소견은 더 증가하고 현저해졌으며 망막출혈소견도 관찰되었다. 환자의 병력과 특징적인 안저소견을 바탕으로 푸르처망막병증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1개월 뒤 우안 장액 망막박리소견은 호전되었지만 우안 시력저하와 우안 전시야맹 소견이 남았다. 결론: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에게 푸르처망막병증이 동반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망막하액을 동반하고 전형적인 임상소견이 지연 발현된 점은 일반적인 푸르처망막병증의 임상양상과는 다르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urtscher’s retinopathy accompanied by serous retinal detachment in a patient with retinitis pigmentosa (RP) who was referred to us for treatment of post-traumatic visual discomfort. Case summary: A 36-year-old man with history of RP was referred to us with the chief complaint of bilateral visual discomfort after chest injury from a traffic accident. His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3 and 0.6 in the right and left eyes, respectively. Fundus examination revealed findings characteristic of RP in both eyes, along with a lesion in the right eye, which was suspected to be a serous elevation of the macula, as well as suspected exudates near the optic nerve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dicated serous retinal detachment in the right eye, and fluorescein angiography findings were characteristic of RP. Seven days later, the amount of cotton-wool exudate in the right eye had increased and was more distinct than at the initial examination, and retinal hemorrhage was observed. Based on the medical history and specific fundus finding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urtscher’s retinopathy. One month later, the serous retinal detachment in the right eye had improved, but the vision loss and total anopsia in the right eye persisted. Conclusions: The concomitant occurrence of RP and Purtscher’s retinopathy is very rare. Moreover, the presence of accompanying serous retinal detachment and delayed onset of typical clinical symptoms are not present in typical Purtscher’s retinopathy.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11):1289-1294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정승일(Seung Il Jung),한지상(Ji Sang Han),권지원(Ji Won Kwon),김도균(Do Gyun Kim),김대희(Dae Hee Kim),임현택(Hyun Taek L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9

        목적: 국내 5세에서 20세까지 소아의 굴절 이상의 정도와 분포, 연령대별 굴절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5세부터 20세까지의 대상자 7,695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절마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구면렌즈대응치를 구하였고, 얻어진 양안 굴절값의 평균을 이용하였다. 굴절값을 토대로 백분위수와 평균을 구하였고, 굴절 이상의 정도를 정시, 경도, 중등도, 고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체 대상자와 각 연령별 굴절 이상 정도와 분포를 확인하였고, 연령별 대상자의 굴절값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굴절값의 평균은 -1.82디옵터였으며, 5세인 대상자의 평균 굴절값 +0.04디옵터부터 20세 대상자의 평균 굴절값 -2.88디옵터까지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체 대상자의 66.2%가 근시를 보였으며, 5세 대상자 중 18.5%만이 근시였으나, 20세 대상자의 경우는 84.3%가 근시를 보였다. 5세에서 20세까지 근시 진행 속도는 연평균 -0.19디옵터였으나, 7-9세까지는 연평균 -0.46디옵터의 변화를 보여 근시 진행 속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가장 빨랐다. 16세까지는 근시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이후로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5세에서 20세까지의 국내 소아 대상자의 근시 비율은 높다. 근시 진행이 빠른 연령대는 7-9세경이었으며, 16세경 이후로는 근시 변화가 적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degree, distribution, and change in refractive error in the pediatric population 5 to 20 years of age.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7,695 subjects aged 5 to 2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to 2012. Non-cycloplegic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r. Mean spherical equivalent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refractive error data in both eyes was use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mild, moderate, or high refractive abnormality or emmetropia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The degree and distribution of refractive error in all subjects and age-matched subjects were analyzed. The change in refractive error was analyzed according to age. Results: Mean refractive error of the study subjects was -1.82 diopters. As subject age increased, myopia increased from +0.04 diopters at 5 years of age to -2.88 diopters at 20 years of age. Myopia was observed in 66.2% of subjects and accounted for only 18.5% of the 5-year-old subjects, but increased to 84.3% in the 20-year-old subjects. The rate among all study subjects was -0.19 diopters per year. The greatest myopic progression rate (-0.46 diopters per year) among all age groups was in subjects 7 to 9 years of age. Myopic progression continued until 16 years of age. Conclusions: The ratio of pediatric myopia subjects between 5 and 20 years of age was high in Korea. The rate of myopic progression was the fastest in subjects 7 to 9 years of age. After 16 years of age, myopic change paused.

      • KCI등재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정승일(Seung Il Jung),한지상(Ji Sang Han),김도균(Do G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2

        목적: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로 인해 유발된 양안 당뇨유두병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9세 여자로 본원 내분비 내과에서 제1형(Type I) 당뇨병으로 진단 받았다. 최초 당뇨병 진단 시 당화혈색소 수치는 15.3%였고, 이때 시행한 안과적 검사에서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1.0, 좌안 1.0이었으며 시력저하, 시야결손 등의 자각 증상은 없었으나 안저검사에서 가벼운 비증식당뇨망막병증의 소견이 보여 정기적으로 경과관찰하기로 했다. 인슐린을 이용해 혈당을 조절하여 두 달 후 당화혈색소는 7.6%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최초 당뇨병 진단 3달 후 안과 정기검진에서 최대교정시력 및 자각 증상의 차이는 없었으나 안저검사에서 양안 유두부종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유두부종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시행한 시신경기능검사, 망막의 형태 및 혈류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아 양안 당뇨유두병증으로 진단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관찰하는 도중 양안 유두부종은 거의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증례는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가 양안 당뇨유두병증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급격한 혈당조절이 양안 당뇨유두병증의 위험인자일 것이라는 이전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증례라 생각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related to rapid hemoglobin A1c (HbA1c) decrease in a type I diabetic patient. Case summary: A 39-year-old female who was diagnosed with type I diabetes mellitus for the first time at this hospital was presented to our clinic for evaluation of diabetic retinopathy. There were no subjective symptoms, including blurred vision or visual defect.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 both eyes was 1.0, but her fundus resembled mild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hen diagnosed with type I diabetes mellitus, her HbA1c was 15.3%. She used insulin to control her blood glucose and her HbA1c reached 7.3% two months after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Three months after her diabetic diagnosi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bjective symptoms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Fundus examination showed optic disc swelling in both eyes. To evaluate for the etiology of optic disc swelling, we did the examinations of the optic disc, fundus,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No specific signs were observed. We diagnosed diabetic papillopathy and observed the patient without any treatments. Her optic disc swelling showed gradual improvement. Conclusions: This case shows that the rapid HbA1c decrease in type I diabetes mellitus i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This supports previous studies that estimated that the rapid HbA1c decrease in type I diabetes mellitus in response to insulin treatment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bilateral diabetic papillopathy.

      • KCI등재

        내인폐렴막대균안내염의 드문 임상경과 1예

        정승일(Seung Il Jung),한지상(Ji Sang Han):양지호(Ji Ho Yang),김도균(Do G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11

        목적: 안내염 환자에게서 유리체절제술 이후에 전방염증이 호전과 악화를 수차례 반복하는 드문 경험을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간농양으로 본원 소화기내과에 입원 중인 54세 남자 환자가 2일 전 발생하여 1일 전 심해진 좌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진료 의뢰되었다. 전안부 및 초음파 검사를 통한 안저검사에서 좌안 내인성 안내염이 의심되어 초진 당일 유리체절제술 시행 후 topical vancomycin (2.5%)과 ceftazidime (5%)을 점안하며 경과 관찰하였다. 소화기내과에서 혈액배양검사 및 간농양 배양검사 직후 바로 전신적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던 환자로 유리체절제술 시에 채취한 전방수 및 유리체 배양검사에는 폐렴막대균이 동정되지 않았지만 혈액배양검사와 간농양 배양검사 모두 폐렴막대균이 동정되어 폐렴막대균에 의한 내인성 안내염으로 확진할 수 있었다. 수술 후 환자는 호전양상을 보이다 수술 후 20일째, 40일째 각각 뿌옇게 보이는 증상과 함께 전방 염증 및 축농이 다시 관찰되어 전방내 항생제 주사치료 및 전방세척술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현재까지 추가적인 염증소견 없이 경과관찰 중이다. 결론: 안내염 환자에게서 유리체절제술 이후에 3차례의 전방축농 및 전방염증이 악화되는 소견이 있었으나 전방내 항생제 주사치료및 전방세척술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염증조절을 할 수 있었다. Purpose: To report an unusual case of endogenous endophthalmitis in a patient with Klebsiella pneumoniae primary liver abscess. Case summary: A-54-year-old man with diabetes mellitus and liver abscess was referred to us for consultation of visual loss in his left eye for 2 days. On the first examination, the patient’s left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and the left intraocular pressure was 13 mmHg. Vitreous opacity and inflammatory membrane were detected with increased echogenicity using ultrasonography. Vitectomy and intravitreous antibiotic injection were performed under the impression of endogenous endophthalmitis caused by liver abscess on the day of the first visit. Culture revealed Klebsiella pneumoniae from blood and liver abscess. After vitrectomy,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However, on the 20th and 40th postoperative days, the patient complained of blurred vision, and inflammation and hypopyon were observed in the anterior chamber. An intracameral antibiotic injection and anterior chamber washing were performed. The patient has not complained of any other symptoms to date. Conclusions: In this patient with endophthalmitis, inflammation and hypopyon in the anterior chamber were evident three times after vitrectomy. Ultimately, the inflammation was effectively controlled by intracameral antibiotic injection and anterior chamber wash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11):1301-1306

      • KCI등재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권진영(Jin Young Kwon),한지상(Ji Sang Han)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2

        Purpose: Paraffinoma is a granulomatous reaction to paraffin or oily substances. We report delayed diagnosis of paraffinoma that was misdiagnosed as chalazion. Case summary: A 49-year-old male presented with masses, swelling, and erythema in the right lower eyelid, masses and swelling in the right upper eyelid, and intermittent conjunctival injection that had appeared 3 months ago. The patient admitted having received paraffin injection to the right lateral canthal area and nasal bridge for cosmetic purposes by non-medical personnel 17 years prior to presentation. The mass showed partial response to intralesional triamcinolone injection but did not respond to systemic steroid. Conclusions: Paraffinoma can present diagnostic confusion given its protracted latency period and discordance of injection area and mass location. Detailed history taking is required and the possibility of paraffinoma should be considered for mass lesions of the eyelid. 목적: 파라핀종은 신체부위에 삽입된 파라핀이나 기름성분의 이물에 대한 육아종성 조직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콩다래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어진 파라핀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7년 전에 눈가 주름을 없애고 콧등을 높이기 위해 비의료인에게 우측 외안각 부위와 콧등에 파라핀 주입술을 시행 받은 49세 남자 환자가 3달 전부터 생긴 우안 아래눈꺼풀의 종괴, 부종, 발적 및 우안 위눈꺼풀의 종괴와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상 파라핀종으로 진단되었다. 스테로이드 국소주사로 병변은 일부 호전되었고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에는 반응하지 않았다. 결론: 눈꺼풀테에 생긴 파라핀종은 다래끼로 오인될 수 있으며, 주사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발생할 수 있고 주사부위에서 이동하여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병력청취가 요구된다.

      • KCI등재

        다양한 단면 두께의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와용적 비교

        김혜지(Hye Jee Kim),한지상(Ji Sang Han),박인기(In Ki Park),최삼진(Sam Jin Choi),신재호(Jae Ho Shi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다양한 단면 두께로 촬영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을 반자동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 mm, 2.5 mm, 3 mm의 두께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30대 성인 남성 50명에 대하여, 안와 용적의 측정이 가능한 반자동화 프로그램(MATLAB 2009aⓇ)을 이용하여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의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 모두 안와 단면적을 각각 측정하였고, 측정 단면적을 누적하여 안와 용적을 계산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2 mm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14 ± 2.37 cm3, 좌측 34.32 ± 2.60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5.54 ± 3.58 cm3, 좌측34.96 ± 4.05 cm3로 측정되었고, 2.5 mm 간격으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28 ± 3.35 cm3, 좌측 33.73 ± 4.10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5.24 ± 3.98 cm3, 좌측 35.10 ± 3.93 cm3로 측정되었다. 3.0 mm 간격으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23 ± 2.70 cm3,좌측 33.39 ± 2.69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3.20 ± 3.64 cm3, 좌측 32.95 ± 3.45 cm3로 측정되었다. 2 mm 두께로 측정한 축영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다섯 군에서 우측과 좌측의 안구 용적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단면 두께에 따른 측정값의 평균은 2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73 ± 2.51 cm3, 관상영상에서 35.25 ± 3.76 cm3, 2.5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50 ±3.67 cm3, 관상영상에서 35.17 ± 3.88 cm3, 3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31 ± 2.65 cm3, 관상영상에서 33.08 ± 3.48 cm3로 측정되어 촬영 간격이 3 mm인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으로부터 각각 측정한 안와 용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3mm=0.62). 결론: 본 연구에서는 단면 두께와 관계 없이 축영상으로 측정한 안와 용적이 비슷하게 측정되어 축영상을 이용한 측정법이 안와 용적측정에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넓은 단면(3 mm)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사진이 좁은 단면(2 mm, 2.5 mm)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사진보다 안구 용적 측정 시 높은 재현성을 보여 저자들이 고안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할 때는 3 mm 간격의 넓은 간격의 전산화단층촬영이 적절할 것이라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671-1677〉 Purpose: To compare the orbital volume calculated from various slice thickness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ethods: Axial and coronal scans of 2, 2.5, 3 mm slice thickness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were used to measure the orbital volume. The cross-sectional area was determined from each slice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ATLAB 2009a??, MathWorks, Inc., Natick, MA, USA), and then the volume was calculated from serial reconstruction of the cross sections. Results: The measured value in the 2 mm images was 33.14 ± 2.37 cm3 in the right orbit and 34.32 ± 2.60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5.54 ± 3.58 cm3 in the right orbit and 34.96 ± 4.05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2.5 mm images, the values were 33.28 ± 3.35 cm3 in the right orbit and 33.73 ± 4.10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5.24 ± 3.98 cm3 in the right orbit and 35.10 ± 3.93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3 mm images, the values were 33.23 ± 2.70 cm3 in the right orbit and 33.39 ± 2.69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3.20 ± 3.64 cm3 in the right orbit and 32.95 ± 3.45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3 mm imag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lculated volume between the axial and coronal scans (p3m m = 0.62). Conclusions: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orbital volumetric measurements between three other slice thicknesses in the axial scan, using axial scan images with a computer program that semi-automatically calculates orbital volume is useful. In addition, the volume measured by thick slice images has more reproducibility than the volume measured by thin slice im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671-1677

      • KCI등재

        양안 눈물언덕에서 동시에 발생한 단발 피지낭종 및 피지샘증식증 1예

        정준규(Junkyu Chung),최신명(Shin-Myeong Choi),한지상(Ji Sang Han),신재호(Jae-Ho Shin),김태기(Tae Gi Kim)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9

        목적: 양안 눈물언덕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안구 주변에는 드물게 발생하는 단발 피지낭종과 피지샘증식증이 양안 동시에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2세 여자 환자가 수개월 전 발생한 양안 눈물언덕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양안 눈물언덕 부위의 무통성의 부드럽고 둥근 모양의 종괴가 관찰되었고 다른 안과적 특이 소견은 없었다. 국소마취하 양안 눈물언덕의 종괴에 대해 완전절제를 시행하였고 각각 조직병리검사상 피지샘이 포함된 중층 편평상피로 둘러싸인 낭성 종괴와 과증식된 피지샘 및 확장된 피지샘관이 관찰되어 피지 낭종과 피지샘증식증으로 진단되었다. 수술 후 재발이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눈물언덕에서 발생하는 피지낭종과 피지샘증식증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완전절제를 통해서 확진 및 치료할수 있다. 눈물언덕에서 발생하는 종괴의 감별진단으로 피지낭종 및 피지샘증식증을 고려해야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9):871-875> Purpose: A case of bilateral lacrimal caruncle steatocystoma simplex and sebaceous gland hyperplasia, which rarely occurs in the periocular area, is reported. Case summary: A 42-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bilateral caruncular mass, which had been growing for a few months. A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soft, non-tender, rounded masses and no other ophthalmic findings. Under local anesthesia, the masses were completely excised. In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 cystic mass containing a sebaceous gland in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cyst wall was found. A hyperplastic sebaceous gland and a dilated sebaceous gland duct were also found. Steatocystoma simplex and sebaceous gland hyperplasia, respectively, were diagnosed. There was no recurrence or complication after excision. Conclusions: Steatocystoma simplex and sebaceous gland hyperplasia are benign tumors that rarely occur in the lacrimal caruncle. They can be diagnosed and treated by complete excision. Steatocystoma simplex and sebaceous gland hyperplasia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as differential diagnoses of a lacrimal caruncle mass.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9):871-87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