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한 연구-교사 효능감과 협동적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한종화 ( Jong Hwa H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재직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서울, 경기, 강원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고, 자료처리는 spss 21.0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재,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행복감,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행복감,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2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협동적 조직문화보다 행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er efficacy and the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Subjects were 420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were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eacher efficacy, their happiness and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Third, teacher efficacy and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were predicting variab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In particular,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be a more influential variable than was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on their happiness.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 편견 및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선애(Kim, Sun-Ae),한종화(Han, J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을 만 5세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인종 편견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에 있는 두 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로 각 18명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문화, 다양성, 정체성, 평등, 반 편견, 협력의 다문화 교육 내용을 담은 스토리를 창작하고 스토리 감상하기, 스토리에 포함된 다문화 개념과 이야기 내용 이해하기, 갈등을 해결하는 문제해결하기, 연관활동하기의 4가지 교수-학습 단계에 따른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의 경우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를 기초로 다문화 관련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의 인종 편견의 감소와 다문화 인식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은 다문화 교육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storytelling and to examine 5-year old children’s racial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e 36 subject included in this study are 5-year 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 city.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storytelling, while the comparative group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nuri-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racial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storytel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reduce racial prejudice and to improve multi-cultural awareness in children.

      • KCI등재

        미술작품을 활용한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보라(Lee, Bo-Ra),한종화(Han, Jong-Hwa)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미술작품을 활용한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W시 B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17명을 실험집단으로, 같은 유치원 옆 반 만 5세 1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미술작품을 활용한 수학탐구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실험집단의 수학탐구활동과 동일한 수학적 개념을 경험할 수 있는 교구를 중심으로 한 수학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수학활동 전후에 유아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성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검사 결과는 사전검사 결과 보다 두 집단 모두 향상되었지만, 그 차이는 실험집단에서 크게 나타났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미술작품을 활용한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visual art on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and disposition.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irty-four 5-year-old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located in W Cit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ath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visual ar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mathematical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visual art, while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experienced mathematical activities using mathematical teaching materials. Moreover data were collected from a pre-and post-test on mathematical abilities and disposition,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4.0, a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After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overall scores and subcategory scores of th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h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visual artworks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Second, math exploration activitied using visual artworks positively affects on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김남희(Kim, Nam-Hee),한종화(Han, Jong-Hwa)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와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자료 수집하여,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 유아교사의 직무열의는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사의 직무열의,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와 유아교사의 직무열의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대한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 34%의 설명력이 나타났고, 이중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23% 설명하며, 여기에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첨가됨으로 11%의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대해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 순으로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ffect the job eng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45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Gangwon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job eng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job eng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proved to be predictive variables for the job eng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articular,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a more influential variables compared to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eng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진태(Jin Tae Kim),한종화(Jong Hwa H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강원도 W시의 어린이집 교사 28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 ANOVA 검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자율성이 가장 높았고, 전문성 신장, 자아효능감, 지위, 영향력,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연령, 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경력, 근속기간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중간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원아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학부모, 업무, 개인, 행정, 원장, 교직원, 경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근속기간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의미 있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empowerment and their cognitive levels of job stres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wo factors. The subjects consist of 282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study`s finding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empowerment recognized by teachers were a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average, and were in order; autonomy, professional growth, self-efficacy, status, impact, and decision making. Second, the levels of the teachers` job stress were shown to be a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the average, and were, in order; factors related to children, parents, affairs, individual problems, administrations, principal, teachers and staffs, and finance. Thir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gnition of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tress.

      • KCI등재

        만 4세 유아의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

        이상임(Lee, Sang-Im),한종화(Han, J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을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여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 4일부터 2018년 2월 23일까지 푸른반 유아 21명의 오전과 오후 실내자유 선택활동 시간 놀이를 관찰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경험은 ‘수학 개념을 구성하는 수학적 경험’과 ‘수학 과정 기술을 적용하는 수학적 경험’의 두 범주로 분석되었다. 유아는 놀이 속에서 만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숫자로 기록하고 표로 정리하고, 길이를 측정하며, 다음에 무엇이 올지 예측해 보고, 물감 놀이 속에서 대칭 개념을 찾아내었다. 이와 같이 놀이에서 발현되는 수학적 경험은 유아의 수학 개념을 구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하기, 연계하기, 표상하기의 수학 과정 기술을 적용하여 수학 개념과 사고를 확장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가 유아에게 의미 있는 수학적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따라서 유아수학교육을 위해 놀이의 가치가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4-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ir mathematical experience during their pla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morning and afternoon indoor free choice activity time of 21 four-year-old- children in Fuleunban from December 4, 2017 to February 23, 2018. The collected data suggest that four-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 was composed of ‘mathematical experience which constructs mathematical concept’ and ‘mathematical experience which applies mathematical processes skill’. Children recorded numbers, drew charts, measured lengths, predicted what would come next, and found the concept of symmetry with watercolor play to solve the problem encountered in their play. As shown above,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 encountered during their free choice activity time played a role of constructing their mathematical concept. Also, such experience helped to expand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and thinking by applying mathematical process skills, such as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and represent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play provides meaningful mathematical experience for children that the value of play must be treated more importantly for children’s mathematical education.

      • KCI등재

        모양 프로젝트 전개과정에 나타난 만 3세 유아의 수학적 경험

        문선영(Moon, Seon-young),김은심(Kim, Eun-shim),한종화(Han, J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모양 프로젝트 전개과정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수학적 의미 구성 과정과 수학적 과정 기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젝트 접근법을 교육과정으로 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만 3세 반 유아 12명을 중심으로 10주간 진행된 모양 프로젝트 전개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모양 프로젝트 전개과정에서 활발한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하여 다양한 수학적 의미를 구성하였고, 수학적 지식과 내용, 개념을 형성하였다. 또한 문제 해결하기와 추론 및 증명하기, 의사소통하기, 연계하기, 표상하기의 5가지 기본적인 수학적 과정 기술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수학교육이 유아의 일상을 바탕으로 한 수학적 경험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내며, 또한 유아가 가지고 있는 수에 대한 기술이나 지식을 적용해보는 수학적 과정 기술을 통해 수학적 개념과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eaning composition process and mathematical process skill by observing and analyzing mathematical experience of the 3-year-old children appearing in unfolding shape-projec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shape-project was conducted for 10 weeks on twelve 3-year-olds from the kindergarten taking project approach as curriculum. As results, children developed various mathematical meanings, knowledge, and concept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shape-project. They also demonstrated following five basic mathematical process skills: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proving, communication, connecting, and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athematical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mathematic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of children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children for them to form mathematical concept and significance through implementing their own mathematical process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