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자장전래(慈藏傳來) 불사리(佛舍利)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 검토

        한정호 ( Han Joung-ho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2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전래한 불사리는 우리나라에 전래된 석가의 진신사리 가운데 봉안처가 알려진 유일한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전래 이후 전세과정에 대한 문헌자료가 풍부하여 우리나라 불사리신앙과 불교미술의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자장전래 불사리 관련 『삼국유사』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내용의 일부는 후대에 윤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자장이 전래한 사리의 종류는 원래 100매의 진신사리가 중심이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佛頭骨과 佛牙 추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윤색의 배경으로는 9세기 중반부터 13세기에 걸쳐 佛頂骨과 佛牙 중심으로 재편되는 사리신앙의 변화가 작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통도사 계단에 봉안된 진신사리 친견과 관련된 여러 기록을 분석한 결과 통도사 계단의 蓋石은 원래 개폐가 용이한 구조였으며, 사리를 꺼내서 수계의식을 거행한 사례도 확인된다. 그리고 의식과 관련된 기록을 단서로 통도사 계단을 조사한 결과 원래 계단 위로 올라가기 위한 층계가 5곳에 배치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울산 태화사지 인근에서 발견된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은 일반 석종형 부도와 달리 구조적으로 사리공의 개폐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통도사 계단의 사리친견 사례로 본다면 태화사지 사리탑 또한 구조적으로 진신사리를 봉안했던 사리탑일 가능성이 있다. 끝으로 통도사 계단 石蓋의 형태는 13세기 후반까지 가마솥(釜, ?) 모양으로 묘사되다가 14세기 후반 이후에는 현재의 모습과 같은 石鍾으로 표현이 바뀐다. 이를 통해 통도사 계단은 14세기에 이르러 대대적인 중수가 있었으며, 중수 이전 개석의 형태는 감은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치와 유사한 형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형태의 근원과 명칭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감은사 사리기는 『계단도경』에 묘사된 계단의 형태를 사리기로 변용했음을 알 수 있다. Bulsari (Buddha’s sarira) that was introduced by Monk Jajang from Tang Dynasty is the only case known with its place of enshrinement from the sarira of Sakyamuni that is handed down to Korea. Furthermore, it is a valuable material that may display the trend of Bulsari faith and Buddhist art of Korea with its rich bibliographical data with respect to the process after its introdu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ord of 『Samkukyusa』 with respect to Bulsari introduced by Jajang, part of the contents is known to be embellished at a later time. In particular, types of sariras that brought in by Jajang was mainly the sarira of 100 pieces originally, but following the flow of time, the Buldugol (Buddha’s skull) and Bulah (Buddha’s tooth) were seemed to be added. And as for the background of such embellishment, it is presumed to be the change of sarira faith revised on the basis of the Buldugol (Buddha’s skull) and Bulah (Buddha’s tooth) from the mid-9th century to 13th century. As a result of analyzing a number of records related to the personal observation of the sarira where it is enshrined on Tongdosa stairs, the stone cover of Tongdosa stairs is in the structure with easier opening and closing and it is confirmed with the cases of carrying out the Sugye ceremony by taking out the sarira. And, as a result of surveying Tongdosa stairs with the cue for consciousness related record, it was able to disclose the fact to allocate the stairs to climb up the original steps in 5 places. And, < Taehwasaji Sipijisang Saritap > that was discovered around Taehwasaji in Ulsan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opening and closing of sarigong would be easy structurally that is different from the ordinary stone-bell shaped budo (pagoda where sarira or bones of priest is kept). Looking into the cases of Tongdosa stairs and personal observation of sarira, the Taehwasaji Saritap may have the possibility to be the saritap where the sarira is enshrined in its structure. Lastly, the type of Tongdosa stairs stone cover was depicted in the kettle (Boo, Hoek) shape until the later time of the 13th century and then the expression is changed as a stone-bell shape as it is shown for the present appearance in the later period of the 14th century. Through this effort, Tongdosa stairs had massive heavy repairing in the 14th century, and the shape of the stone cover prior to repairing could be assumed as similar shape with the sarira system discovered in the 3-story stone pagoda of Gameunsaji. And, the Gameunsa Sarigi that is continued with disputes on its origin and name displays to modify the type of stairs depicted in 『Gyedandogyeong』 into the sarigi.

      • KCI등재

        경주 천관사지 삼층석탑의 복원적 고찰

        한정호(Han, Joung 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5

        천관사지 삼층석탑은 방형의 이중기단에 팔각탑신석과 옥개석을 갖춘 이형석탑으로 신라석탑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된다. 특히 옥개석 하단을 층급받침대신 3단의 연화문으로 장식하여 석탑 장엄의 새로운 시도가 돋보이는 석탑이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조사 이후 절터에서 반출된 탑재의 소재를 파악하고, 현존하는 탑재와 기존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천관사지 석탑의 원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천관사지 조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제시된 3건의 석탑복원도와 현존하는 탑재를 비교 검토한 결과 몇 가지 중대한 오류가 파악되었다. 먼저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오가와 케이키치의 복원도에서는 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박물관 소장 팔각탑신석을 3층탑신석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8세기 신라석탑의 수치분석을 통해 도출된 비례치를 적용한 결과 3층이 아니라 2층탑신석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와 맞물려 오가와 케이키치가 정밀하게 조사하고도 복원도에 반영하지 않았던 현 경주시 교동 최씨고택 소재 팔각옥개석은 천관사지 석탑의 2층옥개석으로 재조정하였다. 이밖에 천관사지 발굴조사를 통해 수습된 1층탑신석 파편은 안쏠림을 근거로 현재 바닥에 놓여있는 면을 탑신석의 상단으로 판단했다. 그리고 현재 모든 복원도에서 오른쪽 모서리에서 결구되는 것으로 설정한 상층기단 엇물림 결구방식은 갑석 중대받침의 치석상태를 근거로 왼쪽 모서리에서 결구되는 방식으로 조정하였다. 끝으로 최근 천관사지 3층옥개석으로 지목되어 석탑 복원도에 반영된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팔각옥개석은 그 출처와 문양, 찰주공의 구조 등이 차이를 보여 천관사지 석탑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옥개석은 천관사지 석탑과 유사한 양식의 또 다른 석탑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되며, 이 팔각옥개석이 사용된 석탑은 천관사지 석탑 보다 규모가 크고, 시기적으로도 선행하는 팔각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3-story stone pagoda of Cheongwan-temple site a uniquely-shaped stone pagoda that is equipped with the octagonal body stone and roof stone on a double-layered stylobate for the square-shape as the data that demonstrates the diversity of stone-pagodas during the Silla Dynasty. In particular, the lower part of the roof stone is decorated with the 3-phase lotus pattern instead of the roof support to conspicuously displaying the magnificent stone pagoda. This thesis has presented the original shape of stone pagoda of Cheongwantemple site by finding out the location of pagoda material carried out from the temple sites after the surveying of the Japanese Imperial Ruling Period and analyzing the existing pagoda material and survey data.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mparison of three cases of stone pagoda reconstruction that has been presented beginning from the survey of Cheongwan-templ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ing Period to the present time with the existing pagoda material, a number of significant error have been detected Japanese Imperial Ruling Period. First of all, under the reconstruction of Ogawa Geikichi(小川敬吉) that was draft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ing Period, the octagonal body stone placed in Gyeongju Campus Museum of Dongguk University is considered as the 3-story body stone. However,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portional figure formulat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8th century Silla stone pagoda, it is shown to be more suitable for the 2-story body stone, not the 3-story. And, in conjunction with such a result, the octagonal roof stone located in the ancient residence of Choi Clan in Gyo-dong, Gyeongju City that was not reflected in the reconstruction even after Ogawa Geikichi engaged in close surveying has been re-adjusted with the 2-story roof stone of the stone pagoda of Cheongwan-temple site. Furthermore, the fragments on the 1-story body stone cleected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of the Cheongwan-temple site are presently considered as the upper part of the body stone with the surface laid on the floor based on the anssolim (skewing of column toward inside). And, the staggered head method on the a upper layer of the stylobate as set to be the head on the right edge from all current reconstructions has been adjusted by the method of the head from the left edge based on the cavity condition of the capstone support. Lastly, the octagonal roof stone placed in Gyeongju National Museum as it is reflected in the stone pagoda reconstruction after recently designated as the 3-story roof stone of Cheongwan-temple site is considered to be irrelevant to the stone pagoda of Cheongwan-temple site due to the difference in its place of origin, pattern, and structure of hole of iron rod which was used to secure the omaments of the finial on the very top of the pagoda. Therefore, this roof stone gains attention as the data that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re exists another stone pagoda with similar style from the stone pagoda of Cheongwan-temple site, and the stone pagoda used with the octagonal roof stone is assumed to have greater scale over the stone pagoda of Cheongwan-temple site and is the octagonal stone pagoda with earlier period in time.

      • KCI등재

        신라 쌍탑가람의 출현과 신앙적 배경

        한정호 ( Joung Ho Ha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쌍탑가람의 출현은 신라 불교건축 역사상 가장 특징적인 변화이다. 지금까지 신라 쌍탑가람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법화경』의 「견보탑 품」 근거로 해석해 왔지만 반세기가 지나도록 이를 확증할만한 증거자료는 확보되지 않았다. 오히려 『법화경』과의 관련성을 뒷받침해주던 경주 불국사 쌍탑의 석가탑과 다보탑이 최근 공개된 석탑 중수문서를 통해 창건당시의 명칭이 아니라 후대에 변화된 명칭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법화경』과의 관련성은 더욱 희박해졌다. 형식의 변화라는 것은 변화된 의식을 반영한 결과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쌍탑가람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은 7세기 후반 신라 불교신앙의 변화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신라 쌍탑가람의 성립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인물은 사천왕사를 창건한 명랑법사와 불교미술의 새로운 양식을 선도했던 예술가 양지스님이다. 금광사(金光寺)와 사천왕사(四天王寺)의 창건을 통해 드러난 사명랑법사의 신앙은 『합부금광명경』에 바탕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합부금광명경』은 7세기 중엽이후 신라 호국불교를 주도했던 소의경전으로 시기적으로 쌍탑가람 성립기와 맞물리는 경전이다. 쌍탑가람의 출현과 관련하여 『합부금광명경』의 내용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三身分別品」과 「捨身品」이다. 쌍탑가람의 금당과 두 탑은 삼신(三身)을 상징하는 건축으로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실례로 7세기 중엽에 제작된 일본 호류지(法隆寺) 옥충주자(玉?廚子)에 그려진 영축산정토도는 「삼신분별품」에 근거한 도상으로 쌍탑가람을 회화로 표현한 것에 다름없다. 그리고 기존 『법화경』 관련설의 입장에서 명쾌하게 해석되지 않았던 다보불탑의 사리봉안 문제의 취약성과 비교하여 「사신품」은 석가의 사리를 봉안한 별도의 불탑이 공존할 수 있다는 교리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쌍탑가람의 출현과 맞물려 신라의 주요 가람배치 형식이었던 일탑삼금당가람이 소멸되고 사리기의 형식이 변화되는 현상을 통해 불탑이 여래의 묘처(墓處)라는 전통적인 관념에서 점차 여래의 주처(住處)의 개념으로 전환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It is the very enormous changes that the Buddhist temple with twin pagoda appear in Buddhist architecture, Silla. We have studied that the background of this based ``GyeonBotop section(見寶塔品)`` of Saddharmapu ar ka-s?tra(法華經), until. But not sure. Recently, Sukga pagoda and Bulguk pagoda, twin pagoda in Bulguk temple, to has supported this thesis turned out to be not the name of them founded at first time through the record on the repairing them. Becaruse the change of form is a reflection of the awareness changed, new form of the Buddhist temple with twin pagod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Buddhist faith, in the late 7th century, Silla. The appearance of Buddhist temple with twin pagoda, in Silla, has relation to Myeongnang Buddhist monk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founding of Sachunwang temple and YangJi taken the lead the new style of Buddhist Art. Especially, faith of Mueongnang, turned out the founding of Geumgwang temple and Sachunwang temple is based on Suvar aprabh sottamar ja-s?tra(合部金光明經) this S?tra led the Buddhism or defence of fatherland-religion since the mid-7th century in Silla and same time as The appearance of Buddhist temple with twin pagoda. it has relation to the ``Samsimbunbyel section(三身分別品)`` and the ``Sasin section(捨身品)`` of Suvar aprabh sottamar ja-s?tra(合部金光明經) the main hall of it and twin pagoda are able to have architectures symboliaing three body(Samsin, 三身) said on it. For example, YoungChuk Mt.``s Paradise painting Painted on Okchung-Juja(玉?廚子) at Horyuji temple(法隆寺) in Japan, the mid-7th century, is to express Buddhist temple with twin pagoda by paintings to based on the Samsimbunbyel section(三身分別品) of Suvar aprabh sottamar ja-s?tra(合部金光明經). and Single Pagoda- Tree image Halls, the main of Buddhist temple form in Silla, dissipated with the appearance of this. also, though the change of Sarira Reliquary form we guess that the meaning of Buddhist Pagoda change from the grave of Buddha to the house of Buddha.

      • KCI등재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 비교 고찰

        한정호 ( Joung Ho Ha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8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은 신라 전형석탑의 시원형식으로 분류되는 중요한 석탑이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동시기에 비슷한 규모로 건립된 석탑으로 간주되고 있는 두 절터의 석탑을 비교분석하여 각 탑의 건립순서와 이에 따른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석탑건축에 사용된 석재의 수량과 그 실측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세 석탑의 석재 수량이 모두 동일하고, 각부의 크기가 오차범위에서 일치하여 두 절터의 석탑은 동일한 설계에 따라 건립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세 석탑이 동일 조탑집단에 의해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세 석탑의 결구방식과 내부구조를 분석한 결과 감은사지 동탑 건축에서 있었던 시행착오들이 감은사지 서탑과 고선사지 석탑에서 점차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각 석탑의 건립순서를 추정하는 단서가 되었다. 결구방식에서 주목한 부분은 상층기단 면석 짜임이다. 감은사지 동탑 상층기단의 불규칙한 석재로 구성된 면석짜임은 서탑과 고선사지 석탑에서 점차 규칙적인 짜임으로 발전한다. 감은사지 쌍탑 내부의 사리공은 찰주공과 연이어 굴착하는 방식으로 찰주의 고정과 사리기의 보존에 불합리한 구조이다. 이와 비교하여 고선사지 석탑은 찰주공과 사리공을 서로 분리하여 굴착함으로써 점차 합리적인 구조로 진전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사리기의 보존에 유리한 구조로 발전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변화는 감은사지 쌍탑 3층옥개석에서 보였던 배수시설이 고선사지 석탑에 이르러 생략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 석탑의 세부 구조와 의장의 변화양상은 감은사지 동탑이 먼저 건립된 이후 서탑이 건립되었고, 이후 감은사지 석탑의 설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고선사에 석탑이 건립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 석탑의 결구방식과 내부구조의 변화는 앞서 건립된 석탑의 불합리한 구조를 점차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win Pagodas in Gameun temple site and Three story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are very important stone pagodas classified the original form of a typical stone pagoda in Silla This paper say to the order of being made pagodas and its change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pagodas, assumed similar size and about the same time, in two temple site. First, They are same to the number of stone used to be made three pagodas, to the size stone with the margin of error. so three pagodas of two temple sites are identified as same plan. this fact says that three pagodas are able to be made by same group.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m are getting better on the list e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we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and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This paved the way for their building time. The stone system of the upper stylobate are a noteworthy part of the construction method. The upper stylobate of e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varies to the stone system. but it of w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and of pagoda in Gosun temple site are developed regularly. Second, the Sarira hole of twin pagoda in Gamuen temple site is side by side with the ChalJu hole. This is not good to fix the ChalJu and to preserve the Sarira reliquary. but the Sarira hole of the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made different position off ChalJu hole. this change mean an advanced model as preserve the Sarira reliquary also that three story roof stone of Twin pagoda in Gamuen temple site has water distribution system but not pagoda in Gosun temple site. As a result, through design and structure of Three stone pagodas, ea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is built first of them, next west stone pagoda in Gameun temple site since then stone pagoda in Gosun temple site is built to apply the plan of stone pagodas in Gameun temple site. and construction method and inner structure of them have changed directions to be remedy earlier stone pagoda`s shortcomings, irrational structure.

      • KCI등재후보

        東(동)아시아 古代佛殿(고대불전)의 規模(규모)와 佛像(불상)의 相關性硏究(상관성연구)

        한정호 ( Joung Ho Ha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3 文物硏究 Vol.- No.24

        불전은 불상을 봉안하기 위한 건축이기 때문에 불상의 규모와 형식은 불전내부의 공간설정의 전제조건이다. 이 논문은 불상의 규모가 고대 동아시아 불전내부의 공간설정에 어떠한 영향일 미쳤는지 고찰하였다. 먼저 불상의 크기와 관련된 경전과 고대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보편적으로 불전의 본존상으로 봉안되는 최소 규모의 불상은 등신불상이며,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장육불상 규모 이상의 불상을 금당에 봉안할 경우 금당의 건축에 앞서 불상이 안치되는 사례가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등신불은 인체규모의 불상이라는 의미 보다는 특정 인물의 신체와 동일하게 조성된 불상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불상의 규모와 봉안되는 공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석굴암을 분석한 결과 석굴암 주실의 공간설정은 본존상 크기에 맞춰 계획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석굴암 주실의 입면은 대좌를 기점으로 본존좌상의 높이의 2배로 설정되었으며,평면의 너비 또한 이에 저촉되지 않는 규모이다. 이는 인간의 주거공간이 최소한 사람이 일어설 수 있는 높이와 누울 수 있는 평면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처럼불전 내부의 공간설정도 불상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전제조건이 적용되었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석굴암 분석을 통해 파악된 불상봉안 원칙이 동아시아 고대 불전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대 불전의 내진부를 주목하였다. 불전의 내진부는 예불공간과 구별되는 순수 불상봉안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 현존하는 동아시아 고대 불전 내진부의 평면과 본존상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불상높이의 2배 또는 대좌를 포함한 불신 높이가 내진부 측면 폭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치하지 않더라도 초과되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내진부입면의 높이는 본존이 좌상일 경우를 기준으로 불신 높이의 2배가 불전 종도리높이를 벗어나는 예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원칙은 불신 높이가 16m에 달하는 일본 東大寺대불전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고대 불전건축의 전제조건으로 적용되었음을 뒷받침 해 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파악된 고대 불전 내진부의 공간과 불상 규모와의 상관성은 고대인들의 불상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불상이 부처를 대체하는 조각품이 아니라 생명력을 갖는 神像으로서 그 신격을 유지하기위한 공간적 배려로 이해된다. A Buddhist temple is a structure to enshrine Buddhist statues, so the scale and form of the Buddhist statue are the preconditions to set up the space inside the Buddhist temple. This article considers how the scale of the Buddhist statue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the space inside an ancient Buddhist temple in East Asia.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scriptures and ancient literatures about the size of Buddhist statues, generally the Buddhist statue with the smallest scale enshrined as the main statue of a Buddhist temple is Deungsinbul(等身佛). And it may differ by what material is used, but when the Buddhist statue bigger than the scale of Jangyuk(丈六) Buddhist statue is to be enshrined in main hall, in many of the cases, the Buddhist statue is enshrined before building main hall. And Deungsinbul has greater meaning as a Buddhist statue constructed identically as the body of a certain figure rather than its meaning as a Buddhist statue in the scale of the human body.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 Buddhist statue`s scale and the space where it is enshrined, the study analyzes Seokgulam(石窟 庵). According to the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space of the main room in Seokgulam was planned and built correspondingly to the size of the main statue. The facade of the main room in Seokgulam was set up as being twice as high as the main seated statue with the pedestal as the starting point. The width of the plane does not violate it, either. As a human being`s residential space should secure the smallest height higher than a person`s height and the plane where a person can lie down, we can analyze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Buddhist temple is to be set up applying the same precondi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ddhist statue. In order to verify the possibility that the princip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 figured out by the analysis on Seokgulam may have been generally applied to ancient Buddhist temples in East Asia, the study focuses on the sacrarium part in ancient Buddhist temples. The sacrarium part of a Buddhist temple is the space built purely for Buddhist statue enshrinement,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space for Buddhist servi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lane of the sacrarium part in the existing ancient Buddhist temples of East Asia and the size of the main statue, twice of the Buddhist statue`s height or the Buddhist statue`s height including the pedestal tend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side of the sacrarium part, and even if it does not correspond, it never exceeds it. And about the height of the facade in the sacrarium part, when the main statue is a seated one, twice of the Buddhist statue`s height never deviates from the height of ridge beam of the Buddhist temple. Also, it has been found that this principle is also applied to the Buddhist temples in the era of T?dai-ji in Japan whose Buddhist statue`s height is up to 16 meters. This supports that it was applied as the precondition for building ancient Buddhist templ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ce of the sacrarium part in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the scale of Buddhist statues which has been figured out through above consideration reflects ancient people`s consciousness of Buddhist statues. We can understand that the Buddhist statues were not mere sculptures replacing Buddha but demanded spatial consideration to maintain their divinity as a divine statue with life.

      • KCI등재

        백제(百濟)절터 출토(出土) 벽화편(壁畵片)과 법륭사옥충주자(法隆寺玉蟲廚子)

        한정호 ( Joung Ho Ha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60

        삼국시대 사찰의 벽화와 관련된 실물자료는 백제 절터에서 출토된 20여 점의 벽화편에 불과하다. 그 가운데 벽화의 내용을 추정할 수 있는 작품은 부여 부소산성 절터에서 출토된 새 그림이 유일하다. 그동안 무슨 새인지 알려지지 않았던 벽화편의 새는 분석 결과 비둘기를 묘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비둘기가 백제 사찰벽화에 그려질 수 있었던 근거로는 석가의 전생 이야기 가운데 하나인 시비왕본생담 도상의 일부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백제 절터에서 출토된 20여 점의 벽화편을 분석한 결과 백제 불전 내부의 벽화는 내용 면에서 불보살상 중심의 설법도형식의 벽화보다는 불전도나 본생도와 같은 불교설화도형식의 그림이 주로 그려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단편적인 자료에 불과하지만 백제불전의 벽화가 사신(捨身)을 주제로 한 설화도형식의 그림이 그려졌다는 사실은 주제 면에서 일본 호류지(法隆寺) 다마무시노즈시(玉蟲廚子)의 회화와 비교가 가능하다. 그동안 다마무시노즈시와 백제와의 연관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다만 회화의 내용은 북량(北凉)의 담무참(曇無讖)에 의해 한역된 경전들을 소의경전으로 그려졌다고 파악하여 중국 북조(北朝) 불교 교리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다마무시노즈시 회화의 도상을 분석한 결과 각 장면마다 별개의 경전을 근거로 도해된 것이 아니라 모두 『經律異相『을 전거(典據)로 그려진 것으로 밝혀졌다.『경율이상『은 516년에 남조의 양나라 무제(武帝)의 명에 따라 여러 불전에 등장하는 비유나 전생담 등 신비한 고사를 발췌하여 편찬한 책이다. 주지하다시피 백제는 양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선진 불교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따라서 당시 양나라에서 편찬된 『경율이 상『도 당연히 백제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이를 바탕으로 부소산성 절터 벽화편을 통해 확인된 시비왕본생도(尸毗王本生圖)와 같은 벽화가 제작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활발했던 백제와 일본의 교류를 감안한다면 다마무시노즈시(玉蟲廚子) 회화의 도상은 남조의 불교문화를 수용하며 발전시켰던 백제 불교미술의 영향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Real tangible materials related to temple murals from Three Kingdom period are merely about 20 mural pieces from Baekje temple sites. Among them, the only work piece that the content of the mural can be assumed is new painting from the temple site of Buso mountain fortress of Buyeo. A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the species of the bird illustrated on the mural pieces that were not known before was revealed to be a dove.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basis in which the dove could have been illustrated on Baekje Temple murals is that it is a part of the icon of the King Sivi``s Jataka which is one of the stories about previous life of Buddha. Based on such facts, as a result of analysis on about 20 mural pieces from Baekje temple sites, it was found out that in terms of their contents, the paintings in form of narrative Buddhist paintings such as the art of the Buddha`s life and Jataka paintings were mainly drawn rather than murals in the form of preaching Buddha paintings that are Buddha & Bodhisattva Statues centered. Although it is only a fragmentary data, the fact that the murals in Baekje temples were drawn in the form of narrative paintings with sacrifice as its main theme makes comparison possible with them and the paintings of Tamamushizushi in Horyuji, Japan. Until today 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Baekje and Tamamushizushi. However, it was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of the paintings reflected the Buddhist doctrine of Northern Dynasties in China since it was understood that the scriptures translated in Chinese by Dharmaksema of Northern Liang were drawn as Suo-yi Sutra. Howev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icon of the Tamamushizushi paintings, it was found out that all of them were drawn based on 『Kyung Yul Ei Sang『, not based on individual sutra for each scene. 『Kyung Yul Ei Sang『is a book that was compiled in 516 A.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Emperor Wu of Liang in Southern dynasties, by excerpting mysterious stories such as metaphors and tales of transmigration that appear in various Buddhist sutra. As it has been said before, Baekje actively adapted the advanced Buddhist culture through exchange with the Liang Dynasty. Therefore, 『Kyung Yul Ei Sang『that was complied in Liang Dynasty at that time is assumed to be introduced to Baekje, and murals, such as the Jataka paintings of King Bi that was confirmed through the mural pieces from temple sites in Buso mountain fortress, were produced. And considering active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at that time, the icon of the Tamamushizushi paintings reflect the influence of Baekje Buddhist art that was developed by embracing Buddhist culture of Southern dynasties.

      • KCI등재

        영남지역 조선후기 사찰벽화의 배치에 대한 고찰

        한정호 ( Joung-ho Ha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29

        사찰벽화는 원래 그려진 장소와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건립당시 해당 불전 의 장엄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현존하는 작품사례가 많은 영남지역 불전을 중심으로 벽화의 배치를 분석한 결과 벽화의 배치방식은 건축의 수직구조와 수평구조, 그리고 건물의 향방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먼저 건물의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은 상하 수직적인 불교 존상의 위계를 표출 하는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양산 신흥사 대광전 서측벽 묘사 된 아미타설법도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벽면을 삼단으로 구분하여 밑에서부터 신중도, 보살도, 삼존도를 차례로 배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차별화된 존상의 위 계를 표출하였다. 그리고 포벽화로 그려진 여래도나 보살도는 여백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존상의 위계에 따른 상하 수직관계와 불전의 성격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포벽과 내목도리 상벽에 고승도, 보살도, 여래도 등을 함께 배치할 경우 하단에 해당하는 포벽에는 고승도, 보살도 등을 배치하고 상단인 내목도리 상벽에는 여래도를 배치하여 위계를 구분하는 현상을 보인다. 불전의 수직구조에 따른 벽화의 배치가 존상이 갖는 위계를 중심으로 전개된 다면 수평구조는 동등한 위계를 갖는 존상 또는 서사적 성격의 여러 장면으로 구성된 불화의 배치와 연관된다. 수평으로 형성된 벽면에 그려진 벽화의 배치방 식은 그 주제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역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개되기도 하고, 유교의 소목식(昭穆式) 배치법이 적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흥미로운 점은 통도사 영산전의 벽화의 경우 석가모니불의 행적을 그린 벽화와 전법제자들의 행적을 그린 벽화의 전개순서가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좌우배열의 변화를 통해 존상의 위계를 구분하는 방식이 존재했음을 보여 준다. 불전의 향방에 따라 형성된 벽면의 방향은 약사불, 아미타불, 사천왕 등 방위 의 성격을 띠는 존상배치의 변화를 보여준다. 동향 건물인 통도사 약사전과 범어 사 대웅전의 약사설법도와 아미타설법도는 벽면의 한계로 인해 각각 남벽과 북 벽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방위 색을 띠는 불교의 존상이 정방이 아닌 간방으로 이동하여 배치될 때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규칙과 일치 한다. 이를 통해 특이한 사천왕 배치로 주목되어온 홍천 수타사 봉황문과 문경 대승사 명부전의 사천왕 배치가 서향한 불전에 맞춰서 배치된 결과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Because Buddhist temple mural paintings maintain the location of the works and their production, they serve as crucial data that can accurately provide vyuha (decorative, 莊嚴) intentions of the corresponding Buddhist sanctum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lacement of murals centering on Buddhist temples in Gyeongsang Province where most abundant works have been preserved to this da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mural placements changed according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struction of the architecture and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First, the wall built vertically in the building was utilized as a way to express the vertical ranks of sacred Buddhist images. The representative of this style is the Buddhist painting by Amitabha (阿彌陀說法圖) found in the west wall of the Daegwangjeon in the Sinheungsa temple in Yang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painting divides the long vertical wall into three parts and featured, from bottom and up, the painting of Multiple Deities (Sinjungdo, 神衆圖), the painting of Bodhisattva (Bosaldo, 菩薩道) and the painting of Buddha Triad (Samjondo, 三尊圖) as they naturally expressed the differentiated rank of the sacred images. And, the painting of Buddha(如來圖) or the painting of Bodhisattava painted as bracket-wall paintings(包壁畵) were not used to merely decorate the margin but functioned as an important element to reflect the vertical ranks of sacred images and the nature of the Buddhist temple. If the placement of wall paintings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Buddhist temple connoted the ranks of sacred images, the horizontal structure was related to sacred images of equal status or the arrangement of Buddhist paintings consisting of various epic-style scenes. The arrangement of murals painted along the horizontal wall spaces were, depending on the theme, showed various styles, as it went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or at times it followed the Somoksik(昭 穆式) style, or the arrangement used in Confucian rituals. What’s interesting was: in case of the mural painting in the Yeongsanjeon in the Tongdosa temple, the order of storytelling in the wall painting depicting Sakyamuni Buddha’s whereabouts and the wall painting depicting Disciples’ whereabouts was reversed. Through such a change of left and right in the arrangement, it showed that a method of differentiating the ranks of sacred images did exist. The direction of wall spac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uddhist temple also showed changes in the placement of sacred deities related to defense, such as Medicine Buddha (藥師佛), Amitabha(阿彌陀佛) or Four Buddhist Guardians(四天王). The painting of Medicine Buddha and the painting of Amitabha in the east-facing Yaksajeon in the Tondosa temple and Daeungjeon in the Beomeosa temple were placed i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wall respectively due to limited wall space. This phenomenon coincided with the rule in which when defense-related sacred images were moved from right directions to in-between directions, they were moved counterclockwise. Conclusively, the two paintings that have gained special attention due to their peculiar placement of Four Buddhist Guardians - the Bonghwangmun (鳳凰門) gate in the Sutasa temple in Hongcheon and the painting of Four Buddhist Guardians in Myeongbujeon in the Daeseungsa temple in Mungyeong - were the result of them being in the west-facing Buddhist temples.

      • SCOPUSKCI등재

        아미오다론 투여 후 동시에 발병된 간염과 갑상선 기능저하증

        조영심 ( Young Shim Cho ),한정호 ( Joung Ho Han ),채희복 ( Hee Bok Chae ),김재수 ( Jae Su Kim ),강기만 ( Ky Man Kang ),박상민 ( Sang Min Park ),임준철 ( Jun Cheol Lim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1

        Amiodarone is a di-iodated benzofuran derivative that is commonly used to treat patients with various cardiac arrhythmias. It is associated with side effects that involve the liver, thyroid, and other organs. Approximately 1-3% of patients treated with amiodarone suffer from symptomatic liver disease. Thyroid dysfunction occurs in 10% of patients treated with amiodarone. A 65-year-old woman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nd atrial fibrillation was administered with amiodarone. She developed nausea, vomiting, dyspepsia, and sweating within 9 months of amiodarone administration (200 mg orally once a day). Results of the laboratory finding showed increased hepatic enzymes, and low thyroid hormone levels. A liver biopsy showed irregular arrangement of hepatocytes and diffuse micro- and macrovesicular fatty changes. Electron microscopy findings showed pleomorphic mitochondria with crystalloid inclusions and membrane-bound lysosomal structures. The liver and thyroid functions returned to normal, after the amiodarone was stopped. We describe an unusual case in which amiodarone induced hepatitis and hypothyroidism simultaneously. Physicians should take a close look to the adverse event when using amiodarone which can cause adverse effects in multiple organs. (Korean J Gastroenterol 2013; 62:59-6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