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용(家庭用) 가스 보일러의 보증기간내(保證期間內) 수리율(修理率)에 관(關)한 실증적(實證的) 연구(硏究)(I)

        한재훈,김봉선,Han, Jae-Hoon,Kim, Bong-Sun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4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16 No.1

        As Crosby notes, the most companies spend 15 to 20% of their sales dollars on quality costs. Generally the most effective way to manage quality costs is to avoid having defects in the first place.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bout the repair(service) problem of domestic gas boiler within warranty period. We develop a system, which man could find the cause of the problem at an early stage and could devise a countermove to the problem under supposing that the service(repair) rate follows exponential distribution and the product is manufactured lot-for-lot continually. Using the developed early sensing system.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o save expenses of company and to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 system will be expended to incorporate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can detect the repair rate automatically.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의 건설기술 개발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ICT 기술 관련 건설특허를 중심으로 -

        한재훈,김한수,Han, Jae Hoon,Kim, Han 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5

        최근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설산업에서도 이를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현안이 되고 있다. 건설산업이 4차 산업혁명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을 건설기술과 접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건설기술에 접목시킨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지난 10년간의 ICT 건설기술 개발 트렌드를 분석하고 주요 특징을 도출하는데 있다. 트렌드 분석 결과, 총 11개의 트렌드가 도출되었으며 ICT 건설기술 개발이 예상만큼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간 건설기술 개발은 소프트웨어 기술 보다는 하드웨어 기술 개발에 치중되어 있던 것으로 나타나 향후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global interes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recently increased, it becomes critica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pro-actively cope with it. For effective actions, th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to make active us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based on the up-to-date understanding of the trends of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employ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key trends of ICT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over the last ten years based on Big Data Analytics. The study identifies eleven key trends and discusses that ICT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has not been as active as expected and software technologies have been less developed compared to hardware technologies.

      • KCI등재

        민간 CM사업 시공이전단계 CM성과 저해요인 분석

        한재훈,김한수,Han, Jae Hoon,Kim, Han 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4

        CM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은 CM성과에 대한 발주자의 수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는 CM성과 향상을 위한 CM기업의 역량과 노력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CM성과 향상을 저해하는 요인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기법을 활용하여 민간 CM사업의 시공이전단계를 중심으로 CM성과 저해요인을 발굴하여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CM성과 저해요인 해소를 통한 CM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발주자와 CM사업자의 개별적인 노력과 협력적인 노력이 함께 경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sustainable growth of Construction Management(CM) market depends on clients'acceptance from positive project outcomes of CM services. Achieving the positive outcomes requires CM firms'competency and efforts. Equall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and overcome barriers of CM performance, which cause inefficiencies and under-performance of CM servic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discuss the barriers of CM performance during pre-construction stages in private CM projects based on the FMEA technique. Major findings basically suggest that clients and CM firms have roles to play, individually and collaboratively, in order to improve CM performance by eliminating performance barriers.

      • KCI등재

        기업의 지배구조와 창의적 성과: 한국의 기술기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재훈(Jae Hoon Han),양오석(Oh Suk Ya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2

        본 연구는 활용 기반 및 탐색 기반으로 구분되는 기업의 창의적 성과를 결정하는 혁신활동 유형과 기업의 소유구조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기업의 혁신활동은 기업 내부적 연구개발 활동과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구분하였으며, 소유구조는 소유경영과 전문경영으로 구분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이 글은 국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중앙회가 조사하는 2013년 및 2015년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고찰 결과 기업의 지배구조는 성과를 결정하는 기업의 혁신활동 경로 및 전략에 영향을 미치며, 활용과 탐색 전략을 둘러싼 기업의 전략적 선택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유경영은 기업내부 연구개발 활동을 강조 한채 활용 기반 혁신전략을 선호하는 반면, 전문경영은 개방형 혁신 활동을 중요시하며 탐색 기반 혁신 전략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기업 경영에 있어서 소유경영과 전문경영의 장단점을 기업 실무에 반영하여 기술기반, 특히 활용보다는 탐색 기술기반의 중소기업이 보다 혁신적인 경영성과를 제고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government structure and innovation strategy which determines firm s creative performance. Firms’ creative performance is based on March’s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Corporate innovation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closed(or conventional) and open innovation. Government structure is divided into owner managemen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For empirical studies, this paper used data from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echnical Statistics Survey in 2013 and 2015』in Korea Federation of SMEs. As a result,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nfluences the innovation path and strategy of firms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and it determines the strategic choices based 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addition, owner management prefer closed and exploited R&D strategy, while and professional managers emphasize open innovation and focus explored R&D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s that SMEs based on exploration technology are more innovative than SMEs by reflect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wner managemen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in corporate practice.

      • KCI등재

        『상제례답문(喪祭禮答問)』 분석(分析)을 통한 퇴계(退溪)의 속례관(俗禮觀) 고찰(考察)

        한재훈 ( Jae Hoon Han ) 퇴계학연구원 2010 退溪學報 Vol.128 No.-

        본 논문은 退溪의 禮學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작업으로서 『退溪喪祭禮答問』을 분석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俗禮에 관한 退溪의 생각을 고찰하였다. 먼저 총 402건의 喪祭禮 관련 答問이 수록된 『退溪喪祭禮答問』을 여러 측면에서 수치화하여 분석함으로써 退溪의 禮學 수준과 현황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退溪의 俗禮觀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첫째, 退溪는 俗禮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문제의식을 견지하고 있었다. 둘째, 退溪는 厚한 俗禮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을 취하고 過한 俗禮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취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대체로 俗禮의 속성이 過로 흐르기 쉽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입장은 비판적이었다. 셋째, 退溪는 駭俗과 從俗을 다른 차원의 문제로서 엄격하게 구분하여 대응했다. 넷째, 退溪는 根據 없는 俗禮에 대해서는 免俗과 違俗을 요구하면서도, 사회개혁적 함의를 갖는 矯俗에 대해서는 대단히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This paper which is a step based on T`oegye`s lixue(禮學) is a study on Toegye`s viewpoint of conventional courtesy through analysis on Sang-Je-Rye-Dap-Mun(『退溪喪祭禮答問』). I could empirically prove T`oegye`s level of understanding lixue by charting the results presented in Sang-Je-Rye-Dap-Mun which has 402 questions and answers about funeral and ancestral ritual. Based upon this, I could also bring to a useful conclusion as follows. First of all, T`oegye had held fast to criticism on sokrye(俗禮-conventional courtesy). Secondly, nevertheless he had have an affirmative attitude on humane Sokrye but a negative attitude on excessive sokrye which have a tendency to flow generally into an excessive aspect. Thirdly, he had distinguished shocking secular(駭俗) from following secular(從俗) in each other`s differences. Finally, while he had demanded avoiding secular(免俗) or violating secular(違俗) on the groundless sokrye, he had have a prudent attitude on rectifying secular(矯俗) which has a meaning of social reform.

      • KCI등재후보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의료공급자들의 U-헬스케어시스템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재훈 ( Jae Hoon Han ),김헌성 ( Hun Sung Kim ),최윤형 ( Yoon Hyoung Choi ),윤건호 ( Kun Ho Yoon ),조재형 ( Jae Hyoung Cho )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12 의료경영학연구 Vol.6 No.2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people`s average life expectancy is lengthening. As a result, chronic diseases are increasing.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U-Healthcare is expected. But health care providers awareness about U-Healthcare is low.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this issue through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U-Health care and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8 factors. The result indicated that Output quality, Subjective norm and provider`s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perceiv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 means to understand which factors determine behavioral intention of healthcare providers to use U-Healthcare and how this may affect future use.

      • KCI등재

        충렬서원에서의 포은 정몽주 숭모활동

        한재훈(Han, Jae-Hoon)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20 No.-

        고려왕조의 충절이자 동방 이학의 비조로 숭앙되어 온 포은 정몽주의 묘 정 근역에 건립된 충렬서원은 1576년(선조 9) 죽전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1592년)의 전란으로 인해 완전히 소실되었다. 그러던 것이 월사 이정구의 열성적이고 헌신적인 주선으로 1608년(선조 41) 중건될 수 있었고, 1609년(광해군 1)에는 비로소 ‘충렬서원’으로 사액되었다. 처음 죽전서원으로 창건될 때는 정암 조광조를 배향하였으나, 중건되는과정에서 정암 조광조는 심곡서원으로 옮겨 모시게 됨으로써 충렬서원에서는 더 이상 배향하지 않게 되었다. 그 뒤 1791년(정조 15)에 이르러 포은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배향되었다. ‘그 할아버지에 그 손자’라는 명성에 부합하는 절의정신을 실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정조로부터 ‘죽지 않은 사육신’이라는 평가를 받은 설곡 정보를 충렬서원에 배향한 것 역시 포은정몽주에 대한 숭모 활동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후에 추가 배향된 죽창(竹窓) 이시직(李時稷)과 추담(秋潭) 오달제(吳達濟) 역시 뛰어난 절의정신을 발휘한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포은 정몽주의 충절을 더욱 빛나게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포은 정몽주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은전은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었다. 고려시대에 이미 ‘입각도형’의 은전을 입어 화상이 제작되었고, 조선시대에는 폭넓은 방식의 은전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조선은 그에게 최고의 관작을 추증하였으나 위패에는 이를 기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의 충절을 숭모하는 예우를 다했다. 또한 그에게 바치는 제문에도 이름을 쓰지 못하게 하는 존경심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후손들에게는 지속적 으로 음사를 제공함으로써 생활을 보장해주고자 했다. 심지어 그의 화상에까지도 숭모하는 예우가 행해졌다는 것은 그에 대한 조선왕조의 숭모의 정이 어떠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은전은 포은의 묘역에 위치하고 포은의 진본 화상이 봉안된 충렬서원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이어졌다. Choongryul Seowon that enshrine Poeun(Jeong, Mong-Ju) who was revered as the last loyalty in Goryeo dynasty and the founder in Korean Neo-Confucianism had builded under the name Jukjeon Seowon in 1576. But it was completely destroyed due to the wa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It was in 1608 that it could be rebuilt with enthusiastic and dedicated arrangements of Wolsa Lee Jung-gu and in 1609, it was approved as Choongryul Seowon . When it was first established as Jukjeon Seowon ,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wo persons, Poeun(Jeong, Mong-Ju) and Jeongam(Jo, Gwang-jo). In the process, however, Jeongam(Jo, Gwang-jo) was no longer bound by Choongryul Seowon , who moved to the Simgok Seowon . Then, in 1791, Seolgok(Jeong Bo) who is Poeun(Jeong, Mong-Ju) s grandson was granted permission to perform ancestral rites together his grandfather in Choongryul Seowon by King Jeong-jo. King Jeong-jo praised praised his loyalty, referring to him as a Six loyalties that did not die. It is understandable that King Jeong-jo enshrined Seolgok(Jeong Bo) at Choongryul Seowon as a memorial to Poeun(Jeong, Mong-Ju). Later on, the loyalty of Jukchang(Lee, Si-Jik) and Chudam(Oh, Dal-Je),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encirclement of it, also made the Poeun(Jeong, Mong-Ju) loyalty brighter. A national privilege of Poeun(Jeong, Mong-Ju) was conduc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obligation to paint portraits in the Goryeo Dynasty, a special favor continued to be provided in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Joseon Dynasty dedicated him with the highest government office after death. However, the Joseon Dynasty did honors his loyalty to him by preventing Joseon government s office from entering his mortuary tablet and him from writing his real name to the memorial service dedicated to him.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tried to guarantee his descendants s life by providing permanent posts. Even respecting respectful tributes to his portraits demonstrates how much respect the Joseon Dynasty respected him.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중엽 조선 성리학의 변화추이와 송당학파의 대응 : 박운・김취문을 중심으로

        한재훈(Han, Jae-hoon)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8 No.-

        16세기 중엽 조선 성리학은 道學이라는 실천적 운동에서 理學이라는 세련된 이론화 과정으로 진입하고 있었다. 당시 『朱子書節要』와 『宋季元明理學通錄』 등을 내놓은 이황과 그의 학파는 이러한 흐름을 선도하고 있었는데, 이는 의도치 않게 송당학파 외부에 강력한 원심력으로 작용하면서 송당학파의 쇠퇴를 촉발시켰다. 이와 같은 상황에 직면한 송당학파에서 보인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변화하는 학계의 조류를 자발적으로 수용하면서 이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학문 방법을 전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상사적 변화에 동의는 하지만 그와 별도로 학파의 정통성을 부식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반응 가운데 전자를 대표하는 인물이 朴雲이다. 그는 당시 조선 성리학의 발전 방향에서 보면 송당학파 내에서 가장 진보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 『소학』과 『대학』・『중용』의 단계에 머물러 있던 학파 내부의 분위기와 달리 그는 주자학의 핵심적 이론에 관하여 관심을 가졌던 것은 물론이고 이를 『擊蒙編』과 『紫陽心學至論』 등의 결과물로 산출해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이 작품들은 박운의 저서는 아니고, 박운이 성리학의 핵심에 관한 공부를 하면서 주목한 언설을 선별하여 모아놓은 편찬서이다. 더구나 성리학의 핵심 이론이나 개념에 대한 관심과 의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의 구성은 완성도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았다. 박운으로부터 이 작품들에 대한 질정을 요청받고 준열한 비판을 가했던 이황은 송당학파의 학문 수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비해 후자를 대표하는 인물은 金就文이다. 그는 名義에 투철했던 관료였을 뿐 아니라, 화려한 文章보다 학문으로서 義理를 중시한 학자였다. 그의 학문은 四書에 주목하는 단계를 넘어 朱子書를 중심으로 하는 주자 성리학 일반으로 확장되어가는 당시의 흐름에 동참하고 있었다. 하지만 김취문의 학문과 사상을 이른바 道學에서 理學으로 진전되어 가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醇正性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순도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즉, 그는 정통 도학의 후예이자 송당학파의 핵심 인물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활동했다. 그가 金烏書院을 건립하고 김종직・정붕・박영을 합향하는 등 조선시대 도학의 계보를 확립하기 위해 보여준 일련의 시도가 이를 증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가 道學에서 理學으로 변화해 가는 조선시대 성리학의 추이를 거스를 수는 없었다. In the mid-16th century, Joseon Neo-Confucianism was entering a sophisticated theoretical process called Lihak(理學) from a practical movement called Dohak(道學). Yi Hwang and his School led this trend, which unintentionally acted as a strong centrifugal force outside the Songdang School, triggering the decline of the school. The reaction shown by the Songdang School in the face of such a situation can be summarized in two main ways. One is to voluntarily embrace changing academic currents and shift the academic method to respond to them, and the other is to agree with ideological and historical changes, but strive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school separately. Among these two responses, Park Woon represents the former. He was the most progressive figure in the Songdang School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Unlike the atmosphere within the school, which was still in the stages of Sohak(小學), Daehak(大學), and Joongyong(中庸), he was interested in the core theories of Zhu Xi s Neo-Confucianism and produced them as a result of Gyeokmongpyeon(擊蒙編) and Jayangsimhakjiron(紫陽心學至論). In a strict sense, however, these works were not written by Park Woon, but merely excerpts of sentences that he thought were important while studying Neo-Confucianism. Moreover, the contents of these books lacked a lot in terms of completeness. Yi Hwang, who was asked by Park Woon to review and revise the works, also questioned the academic level of the Songdang School. Among the responses of the Songdang School, Kim Chuimun represents the latter. He was not only a bureaucrat who was committed to principles and justifications, but also a scholar who valued philosophy as an academic rather than brilliant writing skills. Furthermore, he was involved in the academic trend of the time, exploring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centered on Zhu Xi s work. However, if we look at Kim s studies and ideas in terms of purity required in the process of advancing from Dohak to Lihak, it is true that he lacks purity. In other words, he worked with the identity of a descendant of orthodox Dohak and a key figure in Songdang School. A series of attempts he made to establish the pedigree of Dohak,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Geumoseowon and having Kim Jong-jik, Jeong Boong, and Park Young perform ancestral rites here. However, these attempts could not resist the trend of Joseon Neo-Confucianism, which was changing from Dohak to Lihak.

      • KCI등재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예학 논의

        한재훈(Han, Jae Ho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퇴계와 고봉 사이에 있었던 예학 관련 논의를 왕실과 사가의 종법질서에 관한 사안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왕실의 종법질서를 두고 퇴계와 고봉은 진지한 논의를 주고받았다. 먼저, 선조는 본생부모인 덕흥군과 하동정씨에 대한 호칭으로 ‘황(皇)’자를 사용했는데, 퇴계와 고봉은 이것이 타당한지 여부를 두고 논의를 개진했다. 다음으로는, 선조가 덕흥군 사가에 사당을 세우고 치제(致祭)를 하면서 제물도 관에서 공급하고 헌관도 관리를 파견하고자 한 사안에 대해서도 퇴계와 고봉은 논의했다. 사가(사대부가)의 종법질서 문제를 두고도 퇴계와 고봉은 논의를 주고받았다. 사당에서 체천이 시행될 때 친진한 신주를 빼내는 이른바 ‘조천’을 하는 과정에서 할머니와 어머니의 생존 상황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그리고 이 문제와 연동되어 제기된 ‘총부주재(冢婦主祭)’ 문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퇴계와 고봉은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퇴계와 고봉은 각자의 예학적 입장을 세련되게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16세기 조선의 예학적 수준을 제고하는 토대를 구축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s on Yehak(禮學), which are ritual studies, between Yi Hwang and Ki Dae-seung. Yi Hwang and Ki Dae-seung debated about clan rules of the royal family. First, Yi Hwang and Ki Dae-seung discussed if it was appropriate for King Seonjo(宣祖) to use the word “Hwang (皇)” to address his natural father Deog-heung gun(德興君) and natural mother Mrs. Cheong. Next, Yi Hwang and Ki Dae-seung questioned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for King Seonjo to set up a shrine in his private residence, provide food for the memorial service, and dispatch officials to the ancestral shrine. Yi Hwang and Ki Dae-seung also exchanged views regarding the clan rules of the nobility family. They discussed two subjects: 1) How to reflect the survival of the grandmother or mother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ncestral tablet (神主) in the shrine and 2) how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the first son"s wife holding a memorial service. Yi Hwang and Ki Dae-seung not only developed their respective positions of Yehak through this process, but also raised the level of Yehak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