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양교사 (정규직)와 학교영양사 (비정규직)의 직무수행도 및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장일(Han, Jang-Il)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정규직 및 비정규직 학교급식 영양(교)사들의 근무환경, 급식환경 및 직무 수행도를 비교하고, 이들 근무환경 및 급식환경의 변수들이 정규직 및 비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전·충남 지역의 학교영양사 4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에서 정규직 영양교사는 223명, 비정규직 영양사는 192명이었으며, 정규직 영양교사의 60%는 36~40세, 비정규직 영양사는 25세 이하를 제외하고 전 연령층에 골고루 분포하였다. 정규직 영양사 모두 4년제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고, 비정규직 영양사의 석사이상 학력자는 정규직 영양교사보다 많았다. 2. 정규직 영양교사는 초등학교에서의 근무비율이 높았고, 비정규직 영양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근무비율이 비슷하였다. 정규직 영양교사는 비정규직 영양사보다 근무시간이 더 길었고, 11년 이상 장기근무자가 더 많았으며 연봉도 더 많았다. 3. 급식수가 400인 이하는 비정규직 영양사가 많았으나, 1,200인 이상은 정규직 영양사가 많았다. 정규직 영양교사는 비정규직 영양사 보다 급식년수가 10년 이상 된 학교에서 더 많이 근무하였다. 종업원 수가 5인 이하인 경우는 비정규직 영양사가 더 많았으나, 종업원 수 6~10인은 정규직 영양사가 더 많았다. 4. 급식생산 관련 5개 직무영역의 직무수행도에서 식단(영양)관리 영역에서는 5개 모든 세부직무가. 구매 및 저장관리에서는 2개 세부직무가, 생산 및 배식관리 영역에서는 4개 모든 세부직무가, 퇴식관리 영역에서는 1개 세부직무가, 급식시설 및 기기관리 영역에서는 1개 세부직무가 정규직 영양교사에서 비정규직 영양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5. 급식경영 영역의 3개 세부직무에서, 노무관리 영역에서는 1개 세부직무에서, 기타직무에서는 3개 세부직무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보다 높았다. 위생관리 영역은 정규직 및 비정규직 학교영양사 간에 직무수행도에 차이가 없었다. 6. 식생활지도 영역은 5개 모든 세부직무에서, 영양교육 영역은 5개 중 2개 세부직무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에서 보다 높았다. 영양상담 영역의 직무수행도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7. 학교영양사의 12개 직무영역의 평균 직무수행도 중 5개 직무영역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기타직무가 가장 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그 다음 식생활 지도, 식단관리, 급식경영관리, 생산 및 배식관리의 순이었다. 직무수행도가 가장 낮았던 직무는 두 군 모두 영양상담과 영양교육이었다. 8. 정규직 영양교사는 1일 급식횟수가 많을수록, 급식수가 많을수록, 종업원 수가 많을수록, 고등학교에서 근무할 수록 기타직무와 식생활지도 영역의 직무수행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구매 및 저장관리의 직무수행도가 높아졌으며, 연봉이 높을수록 식단관리의 직무수행도가 높은 편이었고, 반대로 노무관리의 직무수행도는 낮았다. 종업원의 수가 많을수록 특히 급식경영관리의 직무수행도가 높았다. 9. 비정규직 영양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근무년수가 짧을수록, 1일 급식횟수가 적을수록, 급식수가 적을수록, 종업원 수가 적을수록, 근무학교의 급식년수가 길수록, 초등학교일수록 기타직무의 수행도가 높았다. 비정규직 영양사의 퇴식관리의 직무수행도는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1일 급식횟수가 적을수록, 급식수가 적을수록 높아졌다. 위생관리의 직무수행도는 비정규직 영양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급식수가 많을수록, 종업원의 수가 많을수록 높아졌다. 구매 및 저장관리의 직무수행도는 특히 비정규직 영양사의 학력이 낮을수록 높아졌고, 식생활지도의 직무수행도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영양사에서 높았다. 영양상담직무의 수행도는 급식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규직 영양사의 일반사항, 근무 및 급식환?을 나타내는 14개 변수 모두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구직 영양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57개 세부직무들 중 1개 세부직무를 제회한 26개 세부직무에서, 12개 직무영역 중 5개 직무영역에서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가 비정규직 영양사의 경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일반사항, 근무 및 급식환경 변수들과 학교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와의 회귀분석에서도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규직 영양사의 직무수행도에 대한 영향변수와 상관성이 각기 다르게 분석되고 있었다. 현재 한국의 학교급식 영양사의 51%를 차지하는 비정규직 영양사의 직무수행도는 정규직 영양교사의 직무수행도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은 학교급식의 양적 질적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51%에 달하는 비정규직 영양사의 고용안정화 확대를 통한 처우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학교영양사들의 직무수행도의 향상을 통해 학교급식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이로써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향상이 이루어져 궁극적으로는 국민 전체의 건강증진과 복지국가 실현을 앞당길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performances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work performance of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cian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15 school dieticians from selec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rea. This survey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working and foodservice environment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measured using the χ<SUP>2</SUP>-test while analysis of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of 57 variables grouped according to 12 categories by mean ± SD was performed using student t-test.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working and foodservice) environment on work performances. Results: All 14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school dieticians. In 12 of 57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compared using average work performance, 5 dom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5 domains were other works (T = 6.050), dietary habit guide (T = 4.789), menu (nutrition) management (T = 3.524), foodservice administration and evaluation (T = 2.757), and production and service management (T = 2.588). Overall, the work performanc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comparably higher than those of school dietitians.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ccupational (working or foodservice) environments and work performanc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work performanc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students, meal frequency a day, annual salary, age, foodservice years of school, and school type. Conclusion: Meanwhile, the work performances of school dieticians we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employees, meal frequency a day, work hour, education level, age, school type, and service years as a dietitia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영양전공자의 영양지식, 식이 효능감, 식행동 변화간의 관련성

        권선영(Kwon Seon-Young),한장일(Han Jang-Il),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6

        본 연구는 영양전공자들의 영양지식 수준, 식이 효능감과 식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식행동 변화에 영양지식이나 식이효능감이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초 · 중 · 고등학교의 급식 영양사 [(총 190명) 대전 84명 (44.2%), 충남 106명 (55.8%)]를 대상으로 영양지식 15문항, 식이효능감의 4개 하부 영역으로 구성한 총 18 문항, 식행동조사로 권장 식품과 비권장 식품 총 12종의 6개월 전과 비교한 섭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영양지식은 80.3%의 정답률을 보여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 분야에 대한 정답률은 낮았다. 조사대상 영양사들은 74.7%의 자아효능감을 보여주었으며 각 영역별 효능감은 식사습관 영역 72.2%, 음식 선택 영역 85.4%, 주위 환경의 자극 영역 69.7%, 정서 상태 영역 74.6%로 음식 선택 영역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주위 환경의 자극영역의 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에서 생선류와 채소류는 섭취량에 변화가 적은 식품류였고, 과일류와 콩류 및 된장 · 두부는 섭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식품류였으며, 우유 및 유제품류는 섭취량에 증가와 감소가 비슷한 식품류였고, 미역 · 김 · 다시마 · 버섯류는 섭취량에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감소한 식품류였다.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 조사에서 대부분의 비권장 식품류들에 대해 응답자의 약 50%는 섭취량에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지만 30% 이상은 섭취량에 감소가 나타났다고 응답하여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감소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조사 대상 급식 영양사들은 영양지식에 따라 식이효능감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식이효능감에 따라 영양지식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요인 간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식이효능감에 따른 권장 ·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에서 식이효능감에 따라 권장식품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p < 0.001)를 보여 식이효능감이 높을수록 권장하지 않는 식품에 대한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식이 효능감의 4개 하위 영역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식사습관 영역 (p < 0.001)과 정서상태 영역 (p < 0.001)이 권장 식품 섭취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비권장 식품 섭취량은 4개 영역 모두 (p < 0.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식사습관과 정서상태 영역의 효능감은 특히 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나 모든 4개 영역의 효능감은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었다. 이로써 식이효능감이 전문영양사들의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 있어서도 식이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강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behavior of nutritionist. Total 190 dietician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44.2%) and Chungnam area (55.8%)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The change of dietary intakes was used as an index of dietary behavioral change, and dietary self-efficacy are categorized into 4 sub groups of general dietary habit, choice of food, environmental stimulus and emotional conditions. Overall nutritionl knowledge of school dieticians was relatively high as 80.3 score, but specific and detail knowledge about food and nutrition yet have to be strengthened. Dietary selfefficacy of ‘choice of food’ was the highest with 85.4 and self-efficacy of ‘environmental stimulus’ was the lowest with 69.7 in the subjects. There was no influence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self-efficacy of school dietician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etary self-efficacy, the intake of desirable fo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intake of undesirable foods decreased as dietary self-efficacy increased (p < 0.001).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of change in intake of desirable and undesirable foods with nutrition knowledge and 4 different variables of dietary selfefficacy, a nutrition knowledge variable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While, total dietary selfefficacy or each 4 sub it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ake of undesirable foods. And all 4 sub items of dietary self-efficacy could be the principal factors to constrain the intake of undesirable foods, but 2 items of dietary habits and emotional condition of 4 sub items are the factors to increase the intake of desirable food.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dietary self-efficacy could be a powerful factor to induce the behavioral change of professional dieticians. (Korean J Nutr 2008; 41(6): 550 ~ 560)

      • KCI등재

        대전,충남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왕미(Wang Mi Shin),한장일(Jang Il Han),김성애(Seong Ai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9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4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by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from selected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area. This survey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status of their job, job satisfaction, work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found current stat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ir job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and the level of work satisfaction,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OVA and Duncan-test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searching for tendency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their job. Pearson`s correla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lso, factors, which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were drawn. We describe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irregular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as well. Besides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dietitians` (nutrition teachers`) work environment to raise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6): 798~806, 2009)

      • KCI등재후보

        대전지역 남자 초등학생의 음식기호도와 체격과의 관련성

        정영진(Young-Jin Chung),한장일(Jang-Il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2

        대전시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체격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체중군에서 밥을 선호하는 비율은 63.3%로서 저체중군(34.9%)과 과체중군(33.3%)에 비해 거의 2배 가량 높았다(p<0.001). 2) 조리방법중 튀김에 대한 선호율은 저체중군이 58.1%로 가장 높았고 과체중군이 48.6%로 정상군의 46.0%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나, 이상적 체형의 인지나 비만에 대한 사회적 불명예 같은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식품기호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매운맛의 다섯가지 기본미에 대한 선호도가 체격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전체 조사대상자에서는 단맛(33.2%)보다 매운맛(56.5%)에 대한 선호비율이 높았으며, 과체중군은 정상군에 비해 단맛 선호비율이 높고 짠맛 선호율은 낮았다. 4) 17개 음식군들의 기호도 점수 비교분석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내는것은 없었으나 가장 높은 기호도점수를 보인 음식군은 과체중군에서는 11개 음식군(음료류, 빵류, 우유류, 과자류, 구이류, 튀김류ㆍ전류, 찜류, 볶음류, 김치류, 무침ㆍ나물류, 장아찌류), 정상군은 6개 음식군(국수류, 떡류, 찜류(과체중군과 동일), 밥류, 탕ㆍ국ㆍ찌개류, 조림류), 저체중군은 유일하게 과일류가 각기 세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군은 과체중군은 2개군(떡류, 조림류)에서, 정상군은 3개군(과일류, 과자류, 구이류)에서, 저체중군은 그 나머지인 12개군(음료류, 빵류, 우유류, 튀김ㆍ전류, 국수류, 찜류, 곡류, 볶음류, 탕ㆍ국ㆍ찌개류, 김치류, 무침ㆍ나물류, 장아찌류)에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과체중군의 경우 단음식, 고지방ㆍ고단백등의 고열량 음식뿐 아니라, 저열량음식 등 다양한 식품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저체중군은 과체중군과 정반대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전반적으로 낮았다. 5) 전체조사대상 음식들의 기호도를 비만도에 따라 선호음식 10위, 싫어하는 음식 10위를 조사한 결과 선호음식의 경우 저체중군과 정상군의 경우 순위는 달랐지만 10위에 선별된 음식들이 주로 과일(수박, 귤, 딸기, 복숭아, 바나나, 포도, 사과)과 음료수(사이다, 환타) 등 열량밀도가 낮고 수분함량이 높은 식품인 반면 과체중군은 햄버거, 돈까스, 튀김만두, 샌드위치, 쇠고기 및 돼지고기 구이 등이 선호음식 10위내에 포함되어 정상군이나 저체중군보다 고지방ㆍ고단백 음식들의 기호도가 과체중군에서 높음을 확인하였다. 사춘기에 접어드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은 체격에 따라 식품기호도에 차이를 나타내어 정상군이나 저체중군의 아동들이 열량밀도가 낮은 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반면, 과체중 아동들은 달고 기름기 많은 음식과 튀김 및 육류 등의 고지방ㆍ고단백 음식들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선호하는 조리법에서는 이와는 달리 저체중군에서 과체중군보다 튀김조리법에 대한 선호가 월등 높았고 찜또는 조림에 대한 선호율이 낮았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식품섭취조사를 병행하여 남학생들의 체격별로 나누어 기호도와 섭취량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설문지 조사로 나타난 선호도가 실제 식품의 섭취와 다르게 나타나는데 관련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과체중 아동들의 비만방지뿐 아니라 과체중 못지않게 많은 수를 차지하는 저체중 학생들을 위한 영양대책 마련과 함께 식습관의 무리한 교정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학동들이 좋아하는 건강식품을 선정하여 어디서나 쉽게 접할수 있고 먹기 편리한 저지방ㆍ저열량의 패스트 푸드 형태로 개발하여 제공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body size of elementary school boys in Daejeon city. In order to measure the food preference, the degree of liking by means of a 5-point Hedonic scale was asked to 198 boys of 5th grade from six schools throughout Daejeon for 144 food items in 17 food groups composed of main dish, side dish and dessert : cooked rice, noodles or breads, as main dish, kimchi, tangㆍgukㆍzzigae, gui, zzim, bokeum, friedㆍpan-fried, jorim, muchimㆍnamul or jangachi, as side dish, fruits, beverage, milk, rice cake or snacks, as dessert and for best preferred taste among five basic.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1997 by questionnaires. Overall food preference of the subject was inclined to be higher in most of dessert food : fruits, beverage, milk or snacks, but to be lower in side dishes of Korean conventional food : jangachi, muchim, namul, jorim, kimchi and tangㆍgukㆍzzigae. The percentage of boys preferring cooked rice to noodle or bread as main dish was as much almost double in overweight boys as those of underweight or normal weight boys. None of the food group among 17 grou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ood preference by body size of the subjects. However, food preference score of overweight group showed a trend to be higher in 11 food groups except less calorie-dense food groups such as fruits, noodles, rice cake, cooked rice, soup and stew and braised food (jorim) than normal or underweight group, and they seemed to prefer especially high-protein and high-fat foods. Being based on 3 points of preference score as the criterion for comparison, underweight group showed higher preference only in fruits group but showed lower preferences in 12 food groups among 17 groups than other groups. Normal weight group showed a trend to have higher preferences in 6 food groups mainly composed of carbohydrate foods without using extra fat and lower preferences in 3 groups among 17 food groups than other groups. In conclusion, overweight boys overally showed a tendency to have higher food preference score in various kinds of food, especially in sweetened food, high-fat foods and high-protein and high-fat foods such as hamburger, gui and fried food, while underweight boys lower score in most food groups and higher score in less calorie-dense food such as fruits and beverages.

      • KCI등재

        농촌 지역의 중년이후 성인의 염분 민감도에 따른 짠 음식 섭취 관련 식행동

        김미경(Kim Mi-Kyoung),한장일(Han Jang-Il),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유병율이 높고 소금이 다량 함유된 김치, 장아찌, 장류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농촌 성인의 고혈압 및 만성 퇴행성 질병의 유병율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농촌의 중년기 이후 성인의 식습관 및 건강습관과 식염섭취 행동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 행동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충북 옥천군의 옥천읍과 8개면 성인 주민을 대상으로 비례추출에 의해 402가구를 선정하고 가구당 1인씩 총 402인을 유의 추출하였다. 1% 소금물에 대한 짠맛 민감도를 조사하여 민감군, 보통군, 둔감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의 식행동과 주변인의 영향과 지원을 분석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는 남자 133명 (33.1%), 여자 269명 (66.9%), 총 402명으로 평균 연령은 58.9 ± 9.4세로 남녀 모두 61~70세(40.0%)가 가장 많았다. 2) 조사대상자의 평균 체질량 지수 (kg/m2)는 남자 23.6 ± 3.5, 여자 24.6 ± 3.3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과체중의 경향이 컸다. 허리-엉덩이 둘레비 (WHR)도 남자 0.90 ± 0.12, 여자 0.92 ± 0.49로 여자가 높았고, 연령별로는 모두 50~64세 (남 0.92 ± 0.13, 여 0.98 ± 0.74)에서 가장 높았다가 65세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남 0.89 ± 0.09, 여 0.90 ± 0.05). 3) 평소 먹는 음식의 간에 대한 응답에서 보통으로 먹는다 38.1%, 짜지 않게 먹는다 35.1%, 짜게 먹는다 26.9%의 순서로 많았는데, 65세 이상의 최고령층에서 짜게 먹는다는 응답이34.6%로 가장 많았다. 음식 간에 대해 자녀보다 더 짜게 먹는다는 응답도 65세 이상의 최고령층에서 가장 높았다 (p < 0.01). 1% 소금물에 대해 50.3%는 짜다, 41%는 보통이다, 8.7%는 싱겁다고 응답하였다. 4) 식염섭취 관련 식습관 및 식행동 조사에서 짠맛 둔감군은 보통군이나 민감군에 비해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비율이 낮은데 반해, 과식비율, 10분 이내의 식사속도, 편식, 튀김선호 비율이 세 군 중 가장 높았다. 5) 식염섭취에 대한 견해 및 행동에서 짠맛 둔감군이 짠 음식을 습관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짠 음식 섭취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 짜게 먹는 습관을 바꾸겠다는 의지나 실천도도 가장 낮았다. 6) 식염섭취 감소를 위한 지원이나 영향력이 가장 큰 사람은 배우자 등 가족보다 의료 및 영양 전문가들 (각각 58.4%, 56.8%)이었다. 7) 식염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 조사에서 식염 섭취 조절이 어렵다고 답한 경우는 매끼니 (46.3%), 배우자가 짠 음식을 좋아할 때 (45.2%), 외식 할 때 (36.3%)의 순으로 높았다. 특히 민감군은 매 끼니, 외식시, 배우자가 짠 음식을 좋아하는 경우 모두에서 식염조절 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8) 식품군별 섭취빈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식품군은 채소류, 과일류, 매운 음식류로서, 민감군에서 채소류와 과일류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둔감군은 매운 음식류에 대한섭취빈도가 높았다. 농촌의 중년기 이후 성인의 식습관 및 건강습관과 식염섭취 행동을 조사한 결과, 짠 음식 섭취가 습관화된 행태를 보이며 식염 섭취와 인식정도에 비해 식염 저감을 위한 실천정도는 낮아 주민들이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저염섭취를 위한 식생활 실천방안의 제시가 요구된다. 또한 의료 및 영양전문가들을 통한 영양교육과 배우자 등 가족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고 산업체에서의 저염식품 개발 등을 유도하여 염분섭취 감소를 위한 식생활 환경 구축과 실천 가능한 범국민적 저염식 영양교육 지원책이 정부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수립되어 야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alty food intake according to saline sensitivity of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Anthropometry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salt intake-related dietary behavior was surveyed by questionnaires through interviews with 402 subjects aged ≥ 40 years in Chungcheongbuk-Do, Korea. The percentages of overweight and obese among the subjects were 37.8% and 3.8% respectively. Mean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as in the normal range, but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who were normotensive, high normal, and hypertensive was 48.7%, 17.7%, and 33.6% respectively. Approximately 27% of all subjects habitually consumed salty food, which was the smallest group, followed by 38.1% normal and 35.1% not-salty food. However, 34.6% of the eldest group of ≥ 65 years consumed salty food. The saline insensitive group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irregular meals, overeating, speed-eating, an unbalanced diet, a preference for fried food, and habitual intake of salty foods. These subjects recognized the risk for eating salty food, but they lacked the will to reduce their salty food intake. Compared to spouses and family members, experts such as doctors, nurses, and dieticians were the most influential for reducing the salty food intake of subjects. Saline sensitive group had relatively better control over salty food intake at every meal, eating out, and even when eating salty food that the spouse preferred. The saline sensitive group ate more frequently vegetables and fruits, whereas the saline insensitive group ate more frequently hot spicy food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atmosphere toward reducing salt intake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 and food industry and to set action plans to be available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salt intake nationwide. (Korean J Nutr 2011; 44(6): 537~550)

      • KCI등재

        고등학생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1일 영양소 및 간식 섭취

        송영미,한장일,김성애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8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smoking o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snacks in the Chungnam and Daejeon high school students. Up to date scientific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in the regular school system is needed for a professional nutrition education teach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nutrition education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nd Daejeon areas. 381 out of 4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 12.0K.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9.8% male, 50.1% female and 40.9%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59.1%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and smokers 43.1%, non-smokers 56.9%. 43.4% of smokers had been smoking since middle school. On analysis of daily nutrient intakes, 16 out of 19 nutrients except animal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C were much more consumed by the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non-significantly. Especially vegetable fat and Vitamin E were higher in the smoking group than the non-smoking group (p < 0.05). The intake ratio of carbohydrates: protein: fat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smoking group 55 : 15 : 29, nonsmoking group 56 : 15 : 28). Intakes of Vitamin B1 and potassium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KDRI) were under 50% in both groups. However, sodium was taken over 200% compared to KDRI in both groups. Intakes of Vitamin C in the smoking group were as low as 76.5% in comparison to KDRI. Smokers need to increase the intakes of Vitamin C considering that smokers need to intake Vitamin C two times than non-smokers. Nutrient intakes from snacks in the smoking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smoking group. Nutrients that originated from snacks which took over 20% among daily nutrient intakes were 12 nutrients (energy, fat, carbohydrate, calcium, P, Fe, K,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in the smoking group compared to 7 nutrients (energy, vegetable protein, fat, carbohydrate, calcium, Vitamin B, Vitamin C) in the non-smoking group. The smoking group was significantly paying more money for snacks each month than the non-smoking group was (p < 0.01). Periods of consumption were irregular in the smoking group (p < 0.05) and the smoking group was used to taking snacks in the morning compared to the non-smoking group. The smoking group preferred sweets and high calorie food over other snacks in comparison of the non-smoking group. The nonsmoking group had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smoking group.

      • KCI등재

        초등학교 급식유형에 따른 영양사의 직무 만족도

        김성애,박명순,한장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4 No.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foodservic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by the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type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 1) Foodservice types of the subjects were urban 49(23.2%), country 141(66.8%) and island 21(10.0%). 79.6% of the urban type were operated by the conventional, independent management system, where 38.3% of the country and 52.4% of the island type were operated by conventional, joint management system. 2) Urban type dietitia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on their salary & promotion(1.5) compare to country & island types(p<0.05). Island type dietitia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on the student's health improving(2.4) compare to country & urban types(p<0.05). 3) Dietitians of urban type were dissatisfied more 'personnel management(3.2)' than dietitians of other two types. Dietitians of country type and island type were dissatisfied more 'extra work load(2.6)' than dietitians of urban type. 4) Work load was lots orderly island, country and urban types. Working attitudes were the most positive at dietitians of urban type and the most negative at dietitians of island type. 5)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dietitians were correlated with number of meals, number of school transfer, cook license, additional job and school foodservice location type.

      • KCI등재

        좋은 식단제를 위한 대전지역 요식업소 경영주들의 의식구조 조사

        김성애,박명순,한장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anitation status and food waste state from 220 restaurant owners in Taejon area by questionnaires. As a result, the restaurant owners had proper knowledges on the purposes of the good menu system which is to prove public sanitation and to reduce food waste by changing present food service style. According to the restaurant management characteristics study, the subjects recognized highly for the importance of cleanliness(4.6), taste(4.5) where diversity of portion size(3.9), attractiveness(4.0) were low. 86.3% of the subjects mentioned great reductions in food waste after practicing good menu system. Also the subject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es on this field. After practicing good menu system in restaurant, their food waste was re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