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육종에서 CTGF의 발현과 발암기전에서의 역할

        한일규,이미라,김한수,Han, Ilkyu,Lee, Mi Ra,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골육종에서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에서 수립한 23개의 골육종 세포주에서 CTGF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siRNA를 이용하여 CTGF의 발현을 억제한 후 세포침습과 세포 증식에서 CTGF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결과: 17명(74%)의 세포주에서 control 세포인 정상 골모세포보다 CTGF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CTGF의 발암기전에서의 역할을 관찰하기 위해 불멸화된 골육종 세포주 SaOS-2와 MG63에서 siRNA로 CTGF의 발현을 억제한 후 siRNA를 transfection한 세포에서 유의하게 세포침습이 억제되고 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골육종 세포주에서 CTGF의 발현이 높았고 세포침습,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바 CTGF가 골육종의 발암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CTGF) in osteosarcoma and to evaluate its role in osteosarcoma invasion and prolif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mRNA expression of CTGF from 23 patient-derived osteosarcoma cell lines was examined, and the role of CTGF in cell invasion and proliferation was examined using siRNA transfection. Results: The over-expression of CTGF mRNA was observed in 17 cell lines (74%). CTGF-specific siRNA transfection into SaOS-2 and MG63 cell lines resulted in efficient knockdown of CTGF expression on Western blot analysis. siRNA transfected cells showed decreased migration on Matrigel invasion assay and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on WST-1 assa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TGF express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osteosarcoma progression, and may be a therapeutic target of osteosarcoma.

      • KCI등재

        대형 관절에서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재발인자 분석

        한일규(Ilkyu Han),곽상호(Sang-Ho Kwak),김희중(Hee-Jung Kim),이명철(Myung-Chul Lee),이상훈(Sang-Hoon Lee),오주한(Joo-Han Oh),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관절의 활액낭이나 건막이나 점액낭의 활액막에 발생하는 증식성 질환이다.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의 소견을 보이나 임상적으로는 국소 재발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국소 재발과 관련된 임상적 및 조직학적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고 수지와 족지를 제외한 관절에 발생한 51예의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0예, 여자가 31예였으며 발병 부위는 슬관절 25예, 족근관절 11예, 고관절 7예, 족부 5예, 수근 관절 2예, 주관절 1예였다. 39예가 미만형(diffuse type)이었고 12예가 국소형(localized type)에 해당했다. 치료 방법에 있어서 수술적으로 완전히 절제된 경우가 39예(78%)였고 보조적인 방사건 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은 시행되지 않았다. 진단시 통증이 동반된 경우가 32예(64%)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1년(범위 1-25년)이었다. 결과: 국소 재발이 16예(31%)에서 발생하였으며 국소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24개월(범위 4-96개월)이었다. 국소 재발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인자들은 불완전한 수술적 절제(p<0.001)및 뼈침식(p=0.037)과 종양의 형태 (p=0.049)였다. 결론: 대형 관절에서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재발은 진단시 뼈침식이 있는 경우와 미만형인 경우 재발이 많았으며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완전한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proliferative disorder of the synovium, and this can affect the joints, tendon sheaths or bursae. PVNS is histologically benign, but it has a high propensity for local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local recurrence of PVN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with biopsy-proven PV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re were 20 men and 31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34 years (range: 12-73).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1 years (range: 1-25 years). All lesions were located in large joints (knee 25, ankle 11, hip 7, foot 5, wrist 2, elbow 1). Of the 51 lesions in the large joints, 39 were the diffuse type and 12 were the localized type. The initial clinical presentation was pain or a painful mass in 32 patients and a painless mass in 19 patients.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was performed in 39 cases, whereas incomplete excision was performed in 12. No adjuvant therapy was given in any cases. Results: Sixteen local recurrences (31%) developed at an average of 24 months (range, 4-96).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in the large joints were incomplete surgical removal (p < 0.001), diffuse type of the lesion (p=0.049) and the presence of bone erosion (p=0.037) Conclusion: In cases of PVNS in large joints,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local recurrence rate were incomplete surgical removal, diffuse type lesion and the presence of bone erosion.

      • KCI등재

        장관골 골수강 내 연골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치료 방침에 대한 결정

        한일규(Ilkyu Han),강종열(Jong Yeal Kang),조환성(Hwan Seong Cho),이상훈(Sang Hoon Lee),오주한(Joo Han Oh),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목적: 장관골의 골수강 내에서 발생한 연골 종양은 내연골종과 1등급의 연골육종을 포함하는데, 이 중 연골육종은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들 종양은 임상적, 조직학적 소견상 서로 구분하기 어려운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진단과 치료에 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연골종 및 1등급의 연골육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이들 종양에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의 골간단 및 간부에 위치한 내연골종 혹은 1등급의 연골육종으로 치료받은 73예의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가 20명, 여자가 53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9세(18-80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상완골 근위부(34예), 대퇴골 원위부(24예), 대퇴골 근위부(6예), 경골 근위부(3예), 비골 근위부(2예), 상완골 간부(2예) 및 대퇴골 간부(2예)였다. 치료 방법은 동통의 유무, 종양의 길이 및 방사선 사진상 골내막 침식 등의 인자에 따라 결정하였다. 41예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32예에서는 단순 추시 관찰만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들의 평균 추시 기간은 3.2년(1.0-14.9년)이었으며, 32예 모두에서 마지막 추시 시점까지 종양의 진행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추시 기간은 4.3년(1.0-14.0년)이었으며, 41명 중 40명(98%)이 최종 추시까지 종양의 진행이 없었다. 결론: 동통의 유무, 종양의 길이 및 방사선학적인 골내막 침식 소견은 장관골 골수강 내 연골 형성 종양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자들로 생각된다.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환자의 선택이 이루어진다면, 이들 종양에서 불필요한 수술 없이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tramedullary cartilage forming tumors in the meta-diaphysis of the long bones can represent an enchondroma or a low-grade chondrosarcoma, with the latter requiring adequate surgical treatment. However, these two lesions have overlapping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and so they pose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dilem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and to determine the relevant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for deciding on the treatment for thes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3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enchondroma or low-grade chondrosarcoma that was located in the metaphysis or diaphysis of the bones. There were 20 men and 53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49 years (range: 18-80). The locations were the proximal humerus (n=34), distal femur (24), proximal femur (6), proximal tibia (3), proximal fibula (2), humerus shaft (2) and femur shaft (2). 41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and 32 patients were simply observed based on the following parameters at presentation; the presence of pain, the tumor length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endosteal erosion. Results: All of the 32 patients who were initially observed had no evidence of disease progression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3.2 years, range: 1.0-14.9). Forty (98%) of the surgically treated patients showed no recurrence at the the last follow-up (average: 4.3 years, range: 1.0-14.0). Conclusion: The presence of pain, tumor length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endosteal erosion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treatment for intramedullary cartilage forming tumors in the meta-diaphysis of the long bones. With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patients, these tumor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nonoperatively.

      • KCI등재

        사지 연부조직 육종 치료의 최신 지견

        한일규(Ilkyu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사지의 연부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은 드물지만 100개의 다른 아형이 포함되며 각 아형은 다양한 임상 행동을 보인다. 최근 들어 모든 아형을 동일하게 치료하는 방식에서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치료(histology-specific treatment)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지 연부조직 육종의 최신 치료 지견을 세 가지 주요 치료 방법인 수술,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및 화학요법(chemotherapy)에 대해 각각 검토하고, 연부조직 육종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가진 여러 과 전문의로 구성된 다학제적 진료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연부조직 육종의 희귀성과 이질성(heterogeneity)으로 인해 육종 전문 센터에서의 진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An extremity soft tissue sarcoma (STS) is rare and encompasses more than 100 heterogeneous histologic subtypes. Despite the rarity and heterogeneity of STS which complicates the advances in research, attempts are being made to shift from a universal treatment to a more subtype-specific treatment. This review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by focusing on the advances of three primary treatment modalities: surgery, radiation, and chemotherap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referral to a specialized sarcoma center is discussed.

      • KCI등재

        골육종의 발암 기전에서 CD74의 역할 및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와의 관계

        한일규(Ilkyu Han),안선희(Sun Hee Ahn),박종웅(Jong Woong Park),이용준(Yong Jun Lee),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CD74 (cluster of differentiation 74)는 골육종의 tumorigenesis와 연관된다고 알려진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와 결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D74와 MIF의 연관성과 골육종의 발암에서 CD74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CD74와 MIF의 연관성은 환자(n=45)에서 분리한 골육종 조직에 면역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환자 유래 골육종세포주(n=22)의 CD74 발현은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CD74와 골육종에서 cisplatin 항암작용의 내성과의 관계는 WST-1, colony forming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면역염색 결과 55.6%에서 MIF와 CD74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88.9%에서 MIF가 높게 발현되었다. CD74 mRNA 발현은 모든 골육종세포에서 정상세포에 비해 높았다. Cisplatin 처리 후 CD74 mRNA 발현이 높은 세포에서 세포 성장억제력과 colony formation 방해능력은 감소하였다. 결론: CD74의 발현은 MIF의 발현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CD74는 골육종의 cisplatin 내성작용에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CD74 (cluster of differentiation 74) is a type II transmembrane protein that associates with MHC-II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II) molecules and binds with the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which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umorigen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D74 with MIF and the role of CD74 in osteosarcoma tumorigenesis. Materials and Methods: A correlation between CD74 with MIF was examin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HC) of tissues from patients with osteosarcoma (n=45). The mRNA expression of CD74 from patient-derived primary cells of osteosarcoma (n=22) was examined by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role of CD74 and in cisplatin-resistance of osteosarcoma was examined using WST-1 and colony forming assay. Results: Of the 45 patients, 25 patients (55.6%) had a high level of expression in both CD74 and MIF by IHC. High level of MIF expression was observed in 40 patients (88.9%). We detected that mRNA expression of CD74 was higher in cells of all osteosarcoma patients (n=22) examined than in the control cells (hFOb 1.19). After cisplatin treatment,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suppression of colony formation were reduced in osteosarcoma cells expressing CD74. Interestingly, the effect of inhibiting anchorage independent growth was activated after cisplatin treatment in the cells with very high expression CD74 mRN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CD74 expression correlates with that of MIF expression. Moreover, CD74 might have a role in cisplatin resistance of osteosarcoma.

      • KCI등재

        골육종에서 RUNX3 CpG Island의 비정상적 과도 메틸화

        오주한(Joo Han Oh),한일규(Ilkyu Han),김준혁(June Hyuk Kim),강경훈(Gyeong Hoon Kang),조환성(Hwan Seong Cho),강승철(Seung Cheol Kang),이미라(Mi-Ra Lee),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목적: CpG island의 비정상적 메틸화에 의한 종양억제유전자의 발현억제는 여러 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육종에서 여러 종양억제유전자들의 메틸화 상태를 조사하고, 특히, RUNX3 유전자에 대한 demethylation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육종 조직에서 여러 종양억제유전자에 대해 메틸화-특이적 중합효소연쇄반응(Methylation-specific PCR, MSP)을 시행하였고, 골육종 세포주로 RUNX3에 대한 MSP과 RT-PCR을 시행하였다. 메틸화 상태의 환원을 확인하기 위해 SaOS-2세포에 demethylating agent인 5-aza-2’deoxycytidine를 처리하였다. 결과: 40예의 골육종 조직에서 여러 종양억제유전자 중 RUNX3의 메틸화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60%). 배양한 세포주 13예(43%)와, 불멸화 세포주 중 U-2OS와 SaOS-2에서 RUNX3의 메틸화를 나타냈다. SaOS-2에서 demethylating agent인 5-aza-2’ deoxycytidine에 의해 RUNX3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결론: 골육종에서 RUNX3 유전자의 메틸화에 대한 연구는 골육종의 발암기전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tumor suppressor genes by aberrant methylation of CpG islands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cancers. We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methylation status of several tumor suppressor genes in osteosarcom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UNX3 gene. Materials and Methods: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MSP) was performed for osteosarcoma tissues and their cell lines. MSP and RT-PCR for the RUNX3 gene were performed in the tumor-derived cell lines and the immortalized cell lines. The demethylating agent 5-aza-2' deoxycytidine was used in the SaOS-2 cell line to reverse the methylation status. Results: Hypermethylation of the RUNX3 gene was observed in 60% (24 of 40) of the osteosarcoma tissues, whereas other tumor suppressor genes showed very low methylation. Thirteen of 30 (43%) tumor-derived cell lines, and U-2OS and SaOS-2 showed hypermethylation of the RUNX3 gene on MSPCR. However, RUNX3 was expressed in the SaOS-2 cell line, as determined by RT-PCR, and the expression was augmented by treatment with 5-aza-2' deoxycytidine.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aberrant methylation is an important mechanism of RUNX3 down-regulation in osteosarcoma. This data may have potential significance in developing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osteosarcoma.

      • 골육종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치료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

        최은석,한일규,조환성,김한수,Choi, Eun-Seok,Han, Ilkyu,Cho, Hwan Seong,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목적: 본 연구는 수술 전 항암 약물 치료가 전이가 없는 골육종 환자의 생존율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사지에 발생한, 전이가 없는 원발성 골육종으로 수술적 절제술과 수술 후 항암 약물 치료를 시행한 30세 미만의 환자 225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14.4세, 평균 추시기간은 9.1년이었다. 수술 후에만 항암 약물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 전, 후 약물 치료를 시행했던 두군의 임상적 특성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225예 중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은 32예, 수술 전후 약물 치료 군은 193예였다.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은 절단 수술과(p<0.001), 전이의 빈도가 유의하게(p=0.004) 높았으며, 전이 발생시기도 빨랐다. 수술 후 약물 치료 군에서는 5년 생존율 51%로 수술 전후 약물 치료 군의 84%보다 낮았다(p=0.001). 국소재발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사지에 발생한 골육종 환자에서 수술 전 항암 약물 치료는 전이의 억제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Purpos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of surgical resection and chemotherapy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non-metastatic osteosarcomas.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225 young (<30 years old) and non-metastatic osteosarcoma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84 and July 2010. Mean age was 14.4 years old (ranged: 4-29 years old)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9.1 years (2-28 year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metastasis-free survival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Results: All of 225 patients,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193 patients were perform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rate of amputation (p<0.001). Metastasis was occurred in 101 patients.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indicated significant higher rate of metastasis (69% vs 41%, p=0.004) and early development of metastasis (mean: 11.5 vs 20.3 months, p=0.045)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Fifty-seven patients were died of osteosarcoma.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revealed significant lower rate of 5-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than pre-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group (51% vs 84%, p=0.001). Adult (>15 years) and large sized tumor (>8 cm) were meaningful risk factors of metastasis and disease-specific survival. Although, local recurrences were occurred in 13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eoadjuvant chemotherapy offers better disease-specific survival and metastasis-free survival.

      • KCI등재

        슬관절 주위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마디 간 동종골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최은석(Eun-Seok Choi),한일규(Ilkyu Han),조환성(Hwan Seong Cho),강현귀(Hyun Guy Kang),김준혁(June Hyuk Kim),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1

        목적: 슬관절 주위의 악성 골종양 절제술 후 재건에 사용되는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합병증의 특성과 치료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 골종양으로 인해 마디 간 절제술과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21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 추시기간은 46.4개월이었다. 원발 종양으로는 골육종이 12예로 가장 많았다. 대퇴골이 12예, 경골이 9예였으며, 골수내정(3예), 금속판(12예), 골수내정과 금속판(6예)을 사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까지 21예의 이식골 모두 제거 없이 유지되었다. 이식골의 평균 길이는 16.7 cm였으며, 골유합은 평균 10.9개월에 이뤄졌다. 불유합은 6예(골간부: 3예, 골간단부: 3예)에서 발생하였는데, 1예에서는 자가골 이식술, 4예에서 자가해면골 이식술과 고정 방법 변화를 통해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고정방법 변화없이 금속판을 추가한 1예에서는 추가 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슬관절 주위의 재건술에서 마디 간 동종골 이식술은 지속성과 기능면에서 좋았다. 자가골 이식술과 고정 방법의 변화를 이용하면 이식골의 제거 없이도 불유합을 해결할 수 있었다. Purpose: We aimed to assess the treatment outcomes and factors affecting bone union of intercalary allograft reconstruction after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resection around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ho underwent intercalary allograft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a malignant tumor of femur or tibi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6.4 months. Location of the tumor was as follows: femur in 12 cases and tibia in 9. Osteosarcoma was the most common tumor (12 cases). Intercalary allograft was internally fixed with an intramedullary (IM) nail in 3 cases, with a plate in 12 cases and with an IM nail combined with a plate in 6 cases. The survival of the grafts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Factors affecting bone union an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Results: All allografts survived without removal. The average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functional score was 27. The mean length of the allograft was 16.7 cm and bony union took 10.9 months, in average. Nonunion occurred in 6 cases: at the diaphyseal side in 3, and the remaining 3 at the metaphyseal side. The graft length was shorter than average in all the diaphyseal side nonunion cases and longer than average in all the metaphyseal side nonunion cases. All cases of nonunion obtained bone union after additional operations (autologous bone graft alone: 1, bone graft with hardware change: 5). Conclusion: Survival and functional outcomes of intercalary allograft were satisfactory. Long allograft showed a tendency of fracture or nonunion at the metaphyseal side. Nonunion could be managed with additional operation without allograft removal.

      • KCI등재

        진료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성 골종양

        조환성(Hwan Seong Cho),박영균(Yeong Kyoon Park),오주한(Joo Han Oh),한일규(Ilkyu Han),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양성 골종양이 발견되는 임상적인 상황은 1) 증상 없이 건강 검진 시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이나 교통사고 후 촬영한 영상 등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 2) 관절염 등의 다른 정형외과적 문제로 촬영한 방사선 사진에서 발견되는 경우, 3) 종양에 의한 통증으로 영상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 등이 있다. 양성 골종양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고 그 질환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겠다. 또한 이 종양이 어떤 종류의 양성 골종양인지 혹은 어떤 치료가 필요할지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악성 골종양의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해서도 반드시 한 번 숙고할 필요가 있겠다. 영상 검사에서 양성 골종양이 의심된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어떤 진단명을 찾아낼 수 없는 경우에는 추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골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여야 하겠다. 본 종설에서는 진료실에서 흔히 볼 수 있고 그 임상적 중요성이 높은 10종류의 양성 골종양에 대해 임상적 특징과 단순 방사선 사진을 위주로 한 영상의학적 소견 그리고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Benign bone tumors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clinical situations: 1) incidental findings on chest radiograph for health screening without symptoms or radiographs after traffic accident; 2) radiographs for other orthopedic problems, such as osteoarthritis; and 3) pain caused by the tumor. Knowledge of various diseases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diagnosis of benign bone tumors. In addition, one should consider carefully whether or not the les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nign bone tumor or possibility of malignancy so that proper treatment can be decided. In case the diagnosis cannot be confirmed, even though benign bone tumor is suspected on radiography, follow-up radiographs should be taken to rule-out malignant bone tumors.

      • KCI등재

        항법장치를 이용한 골종양 수술

        조환성(Hwan Seong Cho),양석훈(Seok Hoon Yang),박해봉(Hae Bong Park),한일규(Ilkyu Han),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정형외과 영역에서 수술용 항법장치는 인공관절 치환술, 척추경 나사 삽입술, 십자인대 재건술 등에서 그 효용성이 인정되어 왔으나 최근 골종양의 절제와 종양 절제 후 발생한 골결손 재건술에 대해 적용된 사례가 보고되면서 점차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다. 특히 악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에서 종양의 경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양의 안전한 절제를 돕고 정상조직의 불필요한 절제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수술 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고 종양 절제 후 결손 부위와 모양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사전 주문형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골격재건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항법장치를 골종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방법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정확성 뒤에 숨어 있는 오차에 대하여 숙지해야 한다. The usefulness and accuracy of computer-assisted surgery have been evaluated clinically in many orthopedic fields, including joint replacement arthroplasty, pedicle screw placement, and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f the knee joint. Since several preliminary reports on application of navigation to bone tumor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surgery have recently been issued, navigation-assisted surgery for bone tumors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with regard to its usefulness. In particular, navigation can be helpful during surgery for musculoskeletal tumors, because it can maximize the accuracy of resection and minimize the unnecessary sacrifice of normal tissue by providing precise intraoperative three-dimensional radiologic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helpful in prosthetic reconstruction, because preoperative virtual simulation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size and location of bone defect to be left after tumor resection. Surgeons should recognize that use of navigation systems in bone tumor surgery has some hidden pitfalls. Here, based on our clinical results, we describe the surgical techniques that we have used and include some cautionary no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