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벤토나이트의 일라이트화에 의한 세슘 수착 특성 변화 연구

        황정환,정성욱,한원식,윤원우,Hwang, Jeonghwan,Choung, Sungwook,Han, Weon Shik,Yoon, Wonw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neralogical properties of bentonite and illite and evaluated the Cs sorption at various concentrations (C<sub>w</sub>≈1-10<sup>5</sup> ㎍/L). Bentonite samples, collected from South Korea and USA, majorly consisted of Ca- and Na-montmorillonite, showed large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91.4 and 47.3 meq/100 g) and specific surface area (SSA, 46.1 and 39.7 m<sup>2</sup>/g). In contrast, illite sample (USA) had relatively low values for 14.4 meq/100g of CEC and 29.3 m<sup>2</sup>/g of SSA, respectively. Bentonite and illite had different non-linear sorption for Cs along with C<sub>w</sub>. At low C<sub>w</sub><10 ㎍/L, illite showed higher sorption capacity than bentonite despite low CEC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pecific sorption sites at the weathered mineral edge. However, as C<sub>w</sub> increased, bentonite represented high sorption capacity because the cation exchange between Cs and interlayer cations was effective at high C<sub>w</sub> conditions.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the Cs concentration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orption performance of bentonite and illite. Finally, the Cuadros' kinetic model for illitization using various K concentrations (2×10<sup>-5</sup> and 1.7×10<sup>-3</sup> mol/L) and temperature (100-200℃) showed that up to 50% of the montmorillonite in bentonite could be converted to illite, suggesting that the illitiz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 sorption performance of the bentonite in deep geological disposal repository.

      • KCI등재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분석을 이용한 지하수위 추세분석 및 장기예측 연구

        김효건,박은규,정진아,한원식,김구영,Kim, Hyo Geon,Park, Eungyu,Jeong, Jina,Han, Weon Shik,Kim, Kue-Young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6 지하수토양환경 Vol.21 No.4

        The amount of groundwater related data is drastically increasing domestically from various sources since 2000. To justify the more expansive continuation of the data acquisition and to derive valuable implications from the data, continued employments of sophisticated and state-of-the-arts statistical tools in the analyses and predictions are important issue. In the present study, we employed a well established machine learning technique of Gaussian Process Regression (GPR) model in the trend analyses of groundwater level for the long-term change. The major benefit of GPR model is that the model provide not only the future predictions but also the associated uncertainty. In the study, the long-term predictions of groundwater level from the stations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located within Han River Basin were exemplified as prediction cases based on the GPR model. In addition, a few types of groundwater change patterns were delineated (i.e., increasing, decreasing, and no trend)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s acquired from GPR analyses.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monitoring stations has decreasing trend while small portion shows increasing or no trend. To further analyze the causes of the trend, the corresponding precipitation data were jointly analyzed by the same method (i.e., GPR). Based on the analyses, the major cause of decreasing trend of groundwater level is attributed to reduction of precipitation rate whereas a few of the stations show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groundwater level changes and precipitation.

      • 양이온 교환 모델을 활용한 천연 일라이트의 세슘 흡착 특성 규명

        황정환 ( Hwang Jeonghwan ),한원식 ( Han Weon Shik ),정성욱 ( Choung Sungwook ),이재현 ( Lee Jaehyu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원자력 중대 사고 등으로 인하여 지표수 자원이 방사성 세슘(137Cs)에 노출되었을 경우, 천연 점토광물을 이용한 흡착 제염은 가장 효율적이고 신속한 초동 대응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점토광물을 제염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균질한 천연 시료가 가지는 복잡한 흡착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이온 교환 (CE) 모델은 점토광물의 흡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강력한 모델링 방법이다. CE 모델은 영구 음전하가 점토광물 표면의 서로 다른 흡착 용량 및 친화도를 가지는 세 종류의 흡착 지점 (Frayed edge sites, Type Ⅱ sites [높은 흡착 친화도 / 저용량] 및 Planar sites [낮은 흡착 친화도 / 고용량])에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세 종류의 흡착 지점은 복합적으로 흡착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이용하여 점토광물의 복잡한 흡착 특성을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E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 영동 지역에서 채취한 3개 천연 일라이트 시료의 세슘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XRD를 활용한 광물 동정에서 모든 시료는 약 70% 내외의 일라이트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양이온 교환능은 약 0.05-0.08 eq/kg으로 측정되었다. 흡착 실험은 3가지 유형의 배경 용액 (DIW, 10<sup>-3</sup>M, 10<sup>-1</sup>M KCl)을 사용하여 10<sup>-7</sup>-10<sup>-3</sup>M의 세슘 농도 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지화학 모델인 PHREEQC v.3 (USGS)을 사용하여 CE 모델을 구현하였다. 흡착 실험 결과, 배경 용액의 칼륨 농도 증가에 따라 일라이트 시료들의 세슘 흡착이 현저히 감소하여 칼륨과 세슘의 경쟁 이온 효과를 보여주었다. CE 모델은 일라이트 시료들의 서로 다른 흡착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했으며, 이들의 불균질한 흡착 특성은 흡착 지점의 상대적인 비율이 각기 다르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세슘의 농도가 낮을수록, 배경 양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Frayed edge sites의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수자원 환경 및 세슘 오염 정도에 따라서 주로 작용하는 흡착 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 연구는 CE 모델을 1D 반응 거동 모델에 적용하여 각 흡착 지점이 일라이트의 흡탈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 지중의 DNAPL 거동 예측을 위한 3D 연속체-암반균열망 결합 수치 모델링

        김태훈(Taehoon Kim),한원식(Weon Shik Han),신제현(Jehyun Shin),윤선규(Seonkyoo Yoon),강경철(Peter Kang),박길택(Jize Piao)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중소수성 액체(Dense non-aqueous phase liquid DNAPL)의 지중 환경 내 거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한 차분법을 활용한 격자 기반 수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해당 모델은 경기도 와부읍 소재 테스트 베드에서 수행된 현장조사에서 얻어진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구현되었다. 현장 조사를 통해 약 100 m의 깊이로 시추된 5개의 관측공에서 측정된 시추 주상도, 깊이 별 공극률, 암반 균열 분포 자료를 습득하였다. 격자 기반 모델 생성을 위해, 해당 관측공들의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66×68×106 m³의 모델 도메인에 대해서 1×1×1 m³의 균일한 단위 격자셀을 지정하였다. 상부 충적층대과 하부 균열 암반대에서 결정되는 상이한 매질 내 유동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두 영역을 구분한 뒤 각각 다른 방법론을 차용하여 투수율의 분포모델을 생성하였다. 이 때, 두 영역의 분리는 5개의 공에서 얻어진 시추주상도를 기반으로 내삽한 경계면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부 충적층의 경우, 얻어진 중성자 검층 자료에 대해 지구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극률의 불균질성을 구현하였다. 또한, 층서적 구조에서 기인하는 불균질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시추 주상도에 기재된 지층의 토양 특성에 따라서 공극률-투수율 관계식을 다르게 적용하였다. 균열암반의 경우, 물리 검층 자료에서 얻어진 균열 자료(주향, 경사, 두께 등)를 활용하여 3차원 이산균열망(discrete fracture network, DFN)을 구현한 뒤,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tial method, FDM)기반 연속체 모델로 업스케일링 하였다. 마침내, 두 영역에서 생성된 투수율 모델을 통합한 3D 불균질 특성 결합 모델이 완성되었다. 완성된 결합 모델에서, DNAPL이 60년간 누출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두 지역에서 DNAPL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한 뒤 오염 물질의 분포 양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보다 비중이 큰 DNAPL은 지하수면을 통과하여 광범위한 지하수 영역에 도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균열암반과의 경계면에 가까워질수록 침체된 DNAPL의 일부는 경계면 위에 누적되었으며, 나머지는 높은 투수율의 균열대를 따라 균열암반 내부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어진 실측 자료로부터 지구통계학적으로 재현되는 다양한 추정치들에 대해 추가적으로 모델을 생성하여, 충적층과 균열암반에서 거동하는 DNAPL의 분포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비교할 것이다. 또한, 상대투수율에 따라 잔류 포획된 DNAPL의 분포 양상을 조사할 것이다. 이 연구는 현장 물리 검층 자료를 바탕으로 충적층 및 균열암반대를 모두 고려한 3D DNAPL 불균질 수치 거동 모델을 구현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한되었던 DNAPL의 균열 내 거동 특성을 밝히고, DNAPL의 오염경로에 대한 선진적인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양이온 교환 모델을 활용한 천연 일라이트의 세슘 흡착 특성 규명

        황정환 ( Hwang Jeonghwan ),한원식 ( Han Weon Shik ),정성욱 ( Choung Sungwook ),이재현 ( Lee Jaehyu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원자력 중대 사고 등으로 인하여 지표수 자원이 방사성 세슘(137Cs)에 노출되었을 경우, 천연 점토광물을 이용한 흡착 제염은 가장 효율적이고 신속한 초동 대응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점토광물을 제염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균질한 천연 시료가 가지는 복잡한 흡착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이온 교환 (CE) 모델은 점토광물의 흡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강력한 모델링 방법이다. CE 모델은 영구 음전하가 점토광물 표면의 서로 다른 흡착 용량 및 친화도를 가지는 세 종류의 흡착 지점 (Frayed edge sites, Type Ⅱ sites [높은 흡착 친화도 / 저용량] 및 Planar sites [낮은 흡착 친화도 / 고용량])에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세 종류의 흡착 지점은 복합적으로 흡착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이용하여 점토광물의 복잡한 흡착 특성을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E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 영동 지역에서 채취한 3개 천연 일라이트 시료의 세슘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XRD를 활용한 광물 동정에서 모든 시료는 약 70% 내외의 일라이트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양이온 교환능은 약 0.05-0.08 eq/kg으로 측정되었다. 흡착 실험은 3가지 유형의 배경 용액 (DIW, 10<sup>-3</sup>M, 10<sup>-1</sup>M KCl)을 사용하여 10<sup>-7</sup>-10<sup>-3</sup>M의 세슘 농도 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지화학 모델인 PHREEQC v.3 (USGS)을 사용하여 CE 모델을 구현하였다. 흡착 실험 결과, 배경 용액의 칼륨 농도 증가에 따라 일라이트 시료들의 세슘 흡착이 현저히 감소하여 칼륨과 세슘의 경쟁 이온 효과를 보여주었다. CE 모델은 일라이트 시료들의 서로 다른 흡착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했으며, 이들의 불균질한 흡착 특성은 흡착 지점의 상대적인 비율이 각기 다르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세슘의 농도가 낮을수록, 배경 양이온의 농도가 높을수록 Frayed edge sites의 영향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수자원 환경 및 세슘 오염 정도에 따라서 주로 작용하는 흡착 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 연구는 CE 모델을 1D 반응 거동 모델에 적용하여 각 흡착 지점이 일라이트의 흡탈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