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 : 朝鮮時代(조선시대)의 한국적 가치 연구

        한성구 ( Sung Gu Ha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9

        가치관이란 개인이 자신 및 타인, 사회와 세계, 자연과 우주와 끊임없이 교섭하면서 갖게 되는 태도나 관점을 말한다. 여기에는 주로 어떤 것이 옳은 것이고 바람직한 것이며, 어떤 것을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할지에 관한 생각들이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를 주요 시간적인 배경으로 삼아 한국인들이 어떤 부분에 큰 가치를 부여하며 살아왔고, 전통적 가치관이 시대적 환경에 따라 어떤 변용을 거쳤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근거로 현대 사회에서 계승하고 발현시켜야 할 가치 및 의미를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수많은 전통가치나 윤리는 왜곡되거나 파괴되어 기존의 사회문화와 전통문화 전체가 부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 결과로 드러난 가장 큰 문제는 자의건 타의건 간에 수백 년간 공동체를 이끌어주던 공통의 가치가 사라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공통 가치의 상실은 공동체의 분해와 상실을 초래하게 되었고, 그 결과 우리 민족은 각종 ‘분열’에 시달리며 개인의 영달과 입신양명, 생존에만 매달려 왔다. 역사·문화적 단절과 그로 인한 정신적 空洞化 현상을 겪은 우리에게 남겨진 것은 왜곡되거나 변용된 가치와 그것의 본뜻을 모른 채 그릇된 가치를 최선으로 여기고 그것을 향해 질주하는 경향이다. 전통적 가치가 가지고 있는 본래적 의미는 시대를 떠나 보편적인 의미를 던져주는 것이며, 목표를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다. 현대 한국인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고 추구함에 있어 역사를 반추해 우리 고유의 이상적인 가치의 의미를 자각하고 인식할 수 있다면 동양이냐 서양이냐, 전통이냐 근대냐 등의 해묵은 논의를 넘어서 의미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values refer to one`s attitudes or perspectives developed by negotiating with oneself, others, society, world, nature and universe, which include thoughts on what is right, desirable, and what is dos and do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lues which Korean people traditionally emphasized, and their changes by epochal situation focused on the Choson Era. Also, this study intended to assist in finding values and meaning which should be passed down and manifested in contemporary socie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 this context, I select some positive values in the background of the Joseon dynasty. As traditional values or ethics in Korea destroyed and distorted going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ll the existing social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denied, which resulted in vanishing common value which led community for several hundred years. The loss of common value caused community destruction and collapse, and made Korean people seek to survival, success and advancement in life as suffering from severe conflict of values. Experience of hollow state of mind caused by historical and cultural severance left distorted and degenerated values to Korea people, which made them pursue false values without realizing tru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s. The tru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s should be universal no matter how society changes, and could be milestone to contemporary people wandering aimlessly. Realizing and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s to found comtemporary values of Korean people by reflecting on history can produce significant results beyond age-old debate about East or West, and tradition or modernity.

      • KCI등재

        유학 교육사상과 민주적 시민성 함양 연구

        한성구 ( Han Sung-gu ),지준호 ( Chi Chun-h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5 No.-

        이 연구는 현대 교육이 중시하고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러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전통적 핵심 역량을 선별하여 현대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온고지신’이라는 교육 방식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현행 도덕과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인 ‘도덕적인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 가운데 정의로운 시민, 즉 민주적 시민성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해 어떤 전통적 덕목과 가치, 내용이 부각되고 활용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우선 방대하고 포괄적인 전통이 아니라 민주적 시민주체의 형성 등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와 방향성 속에서 전통문화의 가치와 내용, 소재를 선별 및 발굴하고 현대화하여 종합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전통문화, 전통사상, 전통예술, 전통놀이 등을 현대의 교육적 맥락에서 재해석해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will explore what competencies are important for modern education. And reconstructs the traditional core competencies that can be utilized to cultivate this capacity. We will also explore whether the education method ‘Wen-Gu-Zhi-Xin(溫故知新)’ can be applied to modern times. Current moral education aims to cultivate ‘moral humanity’ and ‘just citizen’. Among them, we survey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just citizens, democratic citizenship.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 tried to understand what virtues, values, and contents should be used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this study, we will help to creatively inherit our own precious educational heritage inherited from tradition and to prepare specific teaching plans that can be used in actu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전통교육 내용의 통섭과 현대적 재구성

        한성구 ( Han Sung Gu ),지준호 ( Chi Chun-ho ),임홍태 ( Lim Hong-tae ),신창호 ( Shin Chang 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4

        본 논문은 근대 지식인들의 `동도(東道)`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그들이 보전하고 계승하고자 한 전통교육 내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현대적으로 계승할 가치가 있는 전통교육 내용을 통섭적 입장에서 선별하고 현대적 분류법으로 범주화(categorization) 하여 그에 따른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현대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유학사상으로 대표되는 전통사상이 갖고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볼 것이다. 특히 근대 이후로 유학에 대한 지식인들의 긍정적·부정적 인식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전통교육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유의미한 것들과 지양해야 할 것들이 어떤 것들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통교육 내용의 현대적 재구성을 위한 원칙을 세우고, 전통교육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과 대체적인 내용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교육 내용에 기반을 둔 현대적 교육 내용의 구성이 포괄해야 할 세 가지 영역은 주체성교육, 도덕성 교육, 정치성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확장의 원리, 통합의 원리, 연계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contents that they have preserved and succeede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ongdo` by the modern intellectuals, and selects the contemporary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which are worthy of modern succession, It is aimed to categorize by classification an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I will try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odern edu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ditional ideas represented by Confucianism as a solution to solve and solve these problems.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intellectuals about studying abroad since the modern era, and examine what are the meaningful things to avoid and how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education in a modern way. Through this review, I will establish the principles for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finally discuss the part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alternative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인생관 논쟁과 후스(胡適)의 자유주의적 인생관

        한성구 ( Han Sung-gu ) 동양철학연구회 2018 東洋哲學硏究 Vol.96 No.-

        본 논문은 근대 시기 중국에서 인생관 논쟁이 광범위하게 발흥했던 원인을 살펴보고 논쟁의 결과로 수렴된 대표적 인생관 가운데 후스(胡適)의 자유주의적 인생관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후스는 중국 근대의 대표적인 자유주의자이지만 그 역시도 서구적 관점에서 보자면 자유주의자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는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적 인생관을 표방하며 전통 사상과 기존 권위에 대한 재평가를 주장했지만 궁극적으로 그의 사상적 지향과 표준은 “해방”과 “구국”에 있었다. 따라서 사상적 측면에서 보자면 후스의 자유주의는 “형태를 완전히 갖추지 못한” 것일 뿐만 아니라 “철두철미”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그가 지향한 인생관으로서의 자유주의는 풍전등화와 같은 국가의 위기를 마주한 일반 사람들에게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수 있는 현실적 세계관, 실제적 가치관을 제공해 주었다는 측면에서 시대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widespread debate on a view of life in China in the modern era,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Hu Shi’s liberal view of life. Hu Shi is a representative liberalist in modern China, but it also does not meet liberalism standards from a Western point of view. He asserted individualism and a liberal view of life and insisted on rethinking traditional ideas and existing authority, but ultimately his ideological orientation and standards were in “liberation” and “national salvation”. Therefore, from an ideological point of view, Hu Shi’s liberalism was not only “not fully formed”, but also “unexpected”. However, the liberalism as a view of life that he has aimed at has a meaning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a real world view and a practical value to live a new era for ordinary people who face the crisis of the nation such as a light before the wind.

      • KCI등재

        전통의 현대화 원칙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전통 재조명

        한성구 ( Han Sung Gu ),지준호 ( Chi Chun-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우리는 근대의 본질과 수용의 타당성에 대해 성찰하기 전에 이미 일본이라는 타자에 의해 이식된 근대 속에 던져졌으며, 이로 인해 근대에 대한 가치 판단은 유보되거나 정서상 회피, 또는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구한말 전통 문화와 사상의 무기력함으로 인해 야기된 망국의 상황도 사람들이 근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근대란 연속되는 역사 시간 속에서 전통과 현대라는 상대적 개념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규정받는다. 따라서 회피하거나 망각하고 싶은 근대라 할지라도 현대를 이해하고 그 원류가 된 전통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근대에 대한 정면적인 직시가 필요하다. 근대의 실패는 전통 계승의 실패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통 계승 실패의 원인을 분석해 가다보면 우리가 근대를 실패한 시기로 인식하는 원인의 일부를 알 수 있지 않을까? 과거와의 단절을 꾀하는 반전통주의는 서구 교육의 전래와 깊은 연관이 있다. 신교육은 반전통주의를 서구화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였다. 서구문화를 추종하는 개화론자들은 조선이 뒤처지게 된 원인을 전통교육에서 찾았다. 따라서 조선이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전통과의 단절, 그리고 급격한 서구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전통주의는 근대교육으로의 진전이라기보다는 서구교육에 대한 일방적인 예속이라고 볼 수 있다. 신교육의 일각에서 나타나는 극단적인 반전통적 입장은 기존의 교육 체제를 철저히 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 년간 계승되어 내려온 교육 내용과 형식마저도 도외시함으로써 문화적 주체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서구 교육의 수용이 지닌 양면성을 고려할 때, 전통교육을 부정하는 모든 신교육을 곧 근대교육으로 파악하는 단선적 이해 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한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의 전통 교육 계승 관련 글들을 중심으로 근대 지식인들이 전통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 단절 원인과 그것의 결과로 야기된 교육적 병폐의 양상을 논함으로써 오늘날 새롭게 조명해야 할 전통적 요소를 찾아 교육적 참고로 삼고자 한다. We were already thrown into the modern by the Japanese before reflecting the relevance of modernization and acceptance, and the value of the modern was postponed. The late period of Chosun, people sank into a state of torpor and traditional culture and ideology has caused people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modern times.Modern times, however, are defined in the relative concept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e history of modern tim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dern era and its origin, it is necessary to look squarely at the face of modernity. Failure of modern times is a failure of traditional succession.So, if we analyz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the traditional heritage, why can`t we see some of the reasons why we perceive it as a failure? In this thesis, it seeks to understand the diverse views of the traditional elites of the journal and the newspaper, which are published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the journal, and are looking at a variety of views. Moreover, we should seek to explor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new tradition by discussing the aspects of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cause of the accidental break and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its results.

      • KCI등재

        우쯔후이(吳稚暉)의 과학주의 사상과 인생관

        한성구 ( Sung Gu Ha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7

        우쯔후이(吳稚暉)는 청조의 붕괴와 열강의 침략, 전통사상과 서양사상의 첨예한 대립 가운데 중국 전통 도덕을 비판하고 서양 과학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을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인생관을 제시함으로써 과학만이 중국이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는 신문화운동이 단순히 서양의 과학을 받아들이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서양의 도덕을 배움으로써 형식적인 복고주의와 전통주의에 대항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를 위해 그는 통속적인 언어로 전통 철학을 비판하고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힘썼을 뿐만 아니라, 과학으로 인생관과 세계관, 우주관을 관통하는 사상을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5.4시기 사상사를 다루는 저작들 가운데 그를 중요하게 언급하거나 그의 사상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저작은 거의 없으며, 설령 있다 하더라도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다. 이렇게 된 이유는 아마도 장제스(蔣介石)의 편에서 반공이념을 견지한 그의 정치적 입장에 기인할 것이다. 그러나 5.4시기를 거치며 과학이념이 대중화, 보편화되고 유과학주의(唯科學主義)가 득세하게 되는 데있어 그의 역할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쯔후이 사상의 유래와 과학에 대한 견해를 우주관과 인생관, 그리고 이상사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현대 중국철학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쯔후이가 강조한 “과학”의 핵심 정신은 근대과학의 특성 중 하나인이성주의와 진보에 대한 신앙이다. 아울러 그가 생각하는 과학의 본질은 기계적 유물론과 진화론이다. “과학만능”에 대한 과도한 숭배와 국고(國故)에 대한 가차 없는 배척은 현대화 과정에서 중국의 전통 사상과 학술이 미친 영향을 지나치게 폄훼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그러나 우쯔후이에게 있어서 과학은 무정부주의 대동 사회를 실현하는 수단일 뿐만아니라 진보와 문명, 구국의 화신이며 공업화, 부강, 진보의 대표로 여겨졌으며, 시대적 흐름 및 사회발전 추세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당시 중국의 사회와 정치 현실을 개조할 수 있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생각되어 이후 중국에서 과학파가 득세하고 과학주의가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자리 잡게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Wu Zhihui is a Qing dynasty collapsed and the powers of aggression, traditional ideas and criticized the sharp opposition of traditional Chinese morality on Western history, and not only claim to be actively accept Western science and culture, but science by presenting the scientific outlook on life China is one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is a radical thinker of modern China. He thought we should fight the formal reactionism by learning moral traditionalism and Western geuchineun deseo is not simply accept the New Culture Movement of Western science. To this end, he not only criticized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vulgar language and wrote force for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view of life and worldview to science, he presented the idea to penetrate the universe. In the group of modern intellectuals, Wu Zhihui has strong personalities and mind of wide scope which paid us a chance to look over his past experiences and study out the community to which Wu belonged from deveopment to retrocession. For long, historical circles think little of Wu because of a variety of factors. The article puts Wu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democratic revolution from many angels, not simply from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and uses a number of facts appropriately to let people know him clearl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