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의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유형과 우울

        한상윤(Sangyoon Han),남석인(Seok In Na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의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7차년도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502명의 만 65세 이상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년기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내 다양한 노인 관련 사회적 배제 지표를 반영하여 총 9개의 사회적 배제 지표 패턴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지표에서 다수의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의 배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배제형, 소득・직업배제형 및 다중배제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저배제형을 기준집단으로 사회적 배제 잠재계층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중배제형에 속할수록 우울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의 사회적 배제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이로 인한 우울 수준을 낮추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social exclusion of older widows. Older women in Korea have suffered from marginalization in the labor market caused by gender division of paid and unpaid labor; as a result, they are often not entitled to public pension, which is related to employment histories. Therefore, after the death of a spouse, older widows are likely to face poverty and discrimination due to difficulties regarding economic and social independenc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A total of 502 older widows(aged 65+)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classes of social exclusion were selected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low exclusion class, the income and job exclusion class and the multiple exclusion class. Examining depression by clas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come and job exclusion class and the low exclusion class, whereas the multiple exclusion class experienced significantly more severe depres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non-exclusion class among older widows in Korea. Older adults, who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social exclusion, may become even more vulnerable when they are women and when they have lost a spouse.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meliorating social ex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widows.

      • A REMEM-VR: 모션 추적 모듈을 이용한 가상 현실 경험 증강

        한상윤(Sangyoon Han),이호진(Hojin Lee),최승문(Seungmoon Choi)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논문에서는 차량 주행에 내재된 모션 자극을 바탕으로 이에 상응하는 시청각 자극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모듈형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은 모션 모듈로 차량의 모션 자극을 측정하고 모션 추적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를 복원해낸다. 복원된 주행 정보를 가상 환경 내의 가상차량의 주행과 동기화시킴으로써 승객은 실시간으로 가상 차량에 탑승해 있는 아바타의 시점에서 가상환경을 탐험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실험에서는 본 시스템의 효용성과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시스템이 가상 현실에서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유형화 연구

        한상윤 ( Han Sangyoon ),남석인 ( Nam Seok 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 장애인의 건강권 및 생존권 보장과 증진을 위하여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미충족 의료 해결에 필요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고, 나아가 커뮤니티케어의 기반 구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장애판정을 받은 고령 장애인 총 418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Gelberg-Andersen의 취약계층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선정하였으며,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도시건강형, 도시취약형, 도농건강형 및 농촌취약형의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별 차이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4개 유형이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농촌취약형에 비하여 도시건강형, 도농건강형, 도시취약형 순으로 미충족 의료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고려함으로써 미충족 의료의 발생이 노화와 장애의 이중적 위험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가 아닌, 환경과 사회적 결정요인에 의한 충분치 못한 의료보장의 결과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고령 장애인을 대상으로 집단 내 이질성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met healthcare needs to promote the right to health and survival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Furthermore,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building a foundation for community car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A total of 418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65+)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were selected based on Gelberg-Andersen’s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and the differences were considered by categorizing them using a latent class analysi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four classes deriv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on unmet healthcare need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cla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occurr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is not an inevitable result of the double risk of aging and disability, but the result of insufficient healthcare coverage due to environmental and social determinants. A follow-up study considering heterogeneity in th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required.

      • KCI등재

        노인의 삼킴장애와 자기방임의 관계에서 우울을 통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상윤(Sangyoon Han),김향희(HyangHee Kim),유희천(Heechon You),남석인(Seok In Nam)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5

        본 연구는 노인의 삼킴장애와 우울, 그리고 자기방임 간의 경로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기방임의 효과적 예방 방안 및 노년기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삶의 의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노인종합복지관 및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7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삼킴장애와 매개 변수인 우울, 그리고 종속변수인 자기방임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삼킴장애 정도는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우울은 자기방임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삼킴장애가 우울을 통해 자기방임에 미치는 영향은 삶의 의미의 인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삼킴장애에 대한 조기발견 및 적극적인 치료 방안 마련과 함께 삶의 의미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융합과 더불어 과학기술 적용을 통한 다학제적 접근으로 노인을 위한 헬스케어와 사회복지의 융합적 실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in life in the path between presbyphagia, depression, and self-neglect in older adult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 prevention plan of self-neglect and the role of the meaning in life in affecting the health level of old age. For this purpose, 787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use Multipurpose Senior Centers and daycare facilities nationwide were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byphagia as an independent variable, depression as a mediator variable, and self-neglec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in life was verified by bootstrap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resbyphagia in the older adults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Second, the depression in older adults significantly predicted self-neglect. Third, the effect of presbyphagia on self-neglect through depression depends on the level of the meaning in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an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meaning in life along with early detection of presbyphagia in older adults and preparation of active treatment plans was suggeste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onvergence of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of the older adults was proposed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왜 여전히 나는 소외되고 있는가?

        남석인(Seok In Nam),한상윤(Sangyoon Han),김태현(Tae Hyun Kim),박유빈(Yu Bin Park)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3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기술 사용 경험 전반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동시에 노인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주목하였다. 특히, 노인을 동일 범주로 압축하여 보는 데서 간과하는 집단 내 이질성과 노인 집단 안에서도 소외된 노인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당사자인 노인이 겪은 장기간의 현상과 경험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65세 이상의 디지털기기 활용 경험이 있는 노인 12명이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54개의 개념과 26개의 하위범주 및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디지털 세상 속 미로(迷路)에 서다’이며, ‘안 도와주거나 못 도와주거나’,‘정작 학습자인 노인이 사라진 교육’,‘용기가 부족한걸까 경험이 부족할 걸까’라는 인과적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노인이 마주친 디지털 환경’과‘연령차별의늪에 빠지다’이며, 중재적 조건은‘일상을 담은 교육의 친근함’과‘마음 편히 요청할 수 있는 비공식적 도움’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받는 전략으로는‘두렵지만 맞서기’,‘도움 기다리기’,‘회피할수록 느끼는 소외감과 무력감’으로, 이로 인해‘디지털 세상 속에서 행복을찾는 나’,‘경계에 멈춰 불안해하는 나’그리고 ‘디지털 속도를 놓치고 멈춰있는 나’의 3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전반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 그리고 그 안에 개별화된 특성과 욕구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 집단 내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시니어 디지털 플라자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세대를 아우르는 디지털 포용 사회를 위한 정책 및 실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for older adults, while also paying attention to the digital gap within the older adult group. In particula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long-term phenomenon and experience of older adults were analyzed. During the analysis, we developed a discussion on intra-group heterogeneity that could be overlooked in treating older adults as a group.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d experience using digital dev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54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found. The core phenomenon of ‘standing in the maze of the digital world’ was discovered, and the surrounding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tion conditions,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and outcomes were presented as a paradigm model.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s for digital inclusion policies and interventions, including building a senior digital plaz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heterogeneity of the older population and reflects the needs, desires, and limitations of each group.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은진(Eunjin Lee),한상윤(Sangyoon Ha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4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1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중고령 부모의 돌봄부담 및 삶의 만족도에 주목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으로 검증하고 규명함으로써 이들의 삶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한편 사회적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조사한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40세 미만의 성인 발달장애 자녀와 동거하는 부모 1,518명이다. 분석은 SPSS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다중매개효과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 정도와 돌봄시간은 정적(+), 자녀의 자립 의지는 부적(-)으로 부모의 돌봄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인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 정도, 돌봄시간 및 자립의지는 부모의 돌봄부담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제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지원 및 교육의 강화와 주간활동서비스의 실효성 있는 구체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 및 특성을 고려한 평생설계의 지원과 발달장애 자녀 가구에 대한 서비스 개입 확대를 통한 부모의 돌봄부담 및 삶의 만족도 제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caring for young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utilized data from the‘2020 Survey on Work and Life Surve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study targets 1,518 parents cohabitati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aged 19 to under 40.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the PROCESS macro, focusing on multiple mediation effects and bootstrapping for validation. The study'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s of challenging behavior and increased caregiving hours for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ositively impacted the parents' caregiving burden, whereas a greater desire for independence among these young adults negatively impacted it. Secondly, these factors (challenging behavior, caregiving hours, and desire for independence) significantly influence life satisfac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caregiving burden, confirming the presence of partial mediation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enhancing support and education to address challenging behaviors in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veloping effective, concrete strategies for daytime activity services.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ways to improve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for parents through life planning support considering the life cycl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panding service interventions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 효과적인 태권도 지도 계획 작성 및 활용방안

        이세환(Lee SeHwan),한상윤(Han SangYoon),노순명(Noh SoonMyung)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효과적인 태권도 지도 계획 작성방법 및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성공적인 도장 운영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Martens(2004)가 "Sucsessful coaching"에서 제시하고 있는 효과적인 지도 계획 6단계를 태권도에 적용하여 각 단계별로 계획을 세울 때 작성방법과 이 때 활용할 수 있는 측정 검사지들을 소개하였으며, IZOF(Individual Zone of Optimal Functioning : 개인 적정 기능역) 모형을 응용하여 태권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지도계획서 작성방법을 제시하였다. 계획은 조직의 목표를 선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경영의 핵심적인 과정이다. 효과적인 태권도 지도 계획은 다음의 과정을 거쳐 작성할 수 있다. 1단계는 태권도장 관원이 필요한 기술을 파악하는 것이다. 태권도장에서 관원들에게 가르쳐야 할 기술로는 태권도 기술(Technical Skills) 신체적인 기술(Physical Skills), 인성(Character), 정신 기술 (Mental Skills), 스포츠 작전(Tactical Skills)의 영역들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2단계는 관원에 대해서 아는 것이다. 다양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관원들의 파악이 가능하며 MBTI성격유형검사, 성격5요인 검사, KPRC(한국 아동인성 평정척도), PAPS(맞춤형 학생건갱체력 평가), PSDQ(자기신체평가)는 태권도장에서 짧은 시간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다. 3단계는 상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4단계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이때 IZOF(개인 적점 기능역) 모형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태권도 지도계획의 작성을 통해 우선순위 및 훈련요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5단계는 기술을 어떠한 방법으로 가르치고 연습할 것인가의 지도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6단계는 실제로 연습(수련)을 계획하는 단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specific Taekwondo Instructional plans that will be effective in this age of change so as to help Taekwondo halls operate successfully. To do so, I applied the 6 effective coaching methods as laid out by Martens(2004) in "Sucsessful coaching" to Taekwondo to demonstrate how to plan each stage of coaching. I also introduced various evaluation sheets that may be used at that stage and applied the IZOF(Individual Zone of Optimal Functioning) model so as to propose ways to establish personalized coaching plans in Taekwondo halls. Planning is the core stage of operations in which you select the goals of your organization and determine what it is you have to do to meet those goals. An effective Taekwondo coaching plan can be established by following several stages. The 1st step is to determine what skills are required by the students. Skills that should taught to students at Taekwondo halls must include Technical Skills, Physical Skills, Character, Mental Skills, and Tactical Skills. The 2nd step is to learn about the students. Various evaluation tools may be used to understand the students and the MBTI personality type test, the 5 factor personality test, the KPRC(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PSDQ(Physical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 are tools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in Taekwondo halls. The 3rd step is to analyze the situation. Step 4 is to decide on your priorities. This is the step where you can utilize the IZOF(Individual Zone of Optimal Functioning) model to establish personalized Taekwondo training programs and determine the priorities and demands regarding training. Step 5 is choosing the method of coaching, more specifically how to teach and train the students to help them embody the skills mentioned above. Step 6 is to actually plan the training.

      • 4D 영화관 의자의 모션 및 햅틱 효과 분류

        정동영(Dong Yeong Jeong),한성호(Sung H. Han),최승문(Seungmoon Choi),이민규(Mingyu Lee),강해우(Haewoo Kang),한상윤(Sangyoon Han),이효승(Hyo Seung Lee),윤겨레(Gyeore Yun),이지완(Jiwan Lee),이다진(Dajin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information that motion and haptic effects of 4D cinema seat describe. 4D technology can add physical effects such as motion, vibration, and wind to audiovisual contents, enabling users to have more realistic and immersive experiences. Specifically, it is known that motion and haptic effects can improve an audience’s immersion. The information that motion and haptic effects describe should be explored to systematically design audience-friendly effects. Eight graduate students in the field of user experience or haptic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observed what motion and haptic effects of a 4D cinema seat describe and wrote them in a note while watching five 4D films. After watching each 4D film, they had a discussion and classified the effect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effects describe. The motion and haptic eff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bject movement, camera viewpoint, sound, and circumstances. The classification would be useful to plan systematically user experience studies of 4D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also help to provide design insights to the 4D effect desig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