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위한 복부경락마사지의 효과

        한상숙,양윤희,Han, Sang-Sook,Yang, Yoon-Hee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ridian massage on constipation and stress in the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patients with stroke who were hospitalized at the K oriental medical center. They were determined by Rome II criteria and th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CA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meditation massage for 10minutes daily for 2 weeks. To evaluate the effect of meridian massage, the degree of constipation was measured using the frequency of defecation per week and the scores of CAS, and the degree of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Str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with the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increase of defecation frequency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decrease of CAS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3) In the score of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eridian massag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of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Person Wide Web 기술을 활용한 증강형 멀티미디어 상거래

        한상숙,김병호,은성배,Han, Sang-Sook,Kim, Byung-Ho,Eun, Seong-B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

        증강형 멀티미디어는 모바일 단말에 동영상이나 소리,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출력할 때 그 콘텐츠와 관련된 증강형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Person Wide Web(PWW)은 실세계의 객체나 공간에 부착된 링크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하고 링크에 연결된 지역 서버의 웹 문서를 모바일 단말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 동영상 광고를 할 때 PWW 기술을 활용하여 증강된 광고 정보를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증강형 멀티미디어 상거래 응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광고 동영상 출력 중 PWW 링크를 방송하고 스마트폰에서 이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Silverlight 플랫폼에서 구현하였고, 실험을 통해 PWW 기술이 증강형 멀티미디어 상거래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보였다. Augmented multimedia is a technology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s to mobile devices when multimedia contents like video, audio and images are being played. Person Wide Web, PWW, is a scheme for acquiring a link and browsing a corresponding web pages on mobile devices, in which the link is attached any object and space in real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ugmented multimedia E-commerce application system based on PWW scheme which can browse additional informations from video play on public spaces, and implemented on Microsoft Silverlight platform. We showe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support effectively the augmented multimedia E-commer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과 일본(日本) 전통(傳統) 꽃꽂이 양식(樣式)의 시대(時代) 비교(比較)

        한상숙 ( Sang Sook Han ),이부영 ( Bu Young Yi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0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1 No.-

        From historic documents and relics, Tatebana, Rikka, Seika, Bunjinbana, Nageirebana, Nageire, Chabana, Separate form, Bokhyung (Twins), Falling to pieces, Basket, Dome and Objet styl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atebana (Ssangyoungchong), Rikka (Crown Decoration), Shoka (Eleven faced Goddess of Mercy) styles were identified at Three kingdoms` era, Separate form (Chongja carved jar), Basket (Haeinsa wall painting) and Dome (Sooduksa wall painting) from Goryeo dynastry, Bokhyung (Book Shelves, Flower and tree), Bunjinbana (flower and vase), Nageirebana (Reunghaengdo), Objet (Scholar in cotton garment) were identified from relics of Josun dynasty. But Chabana, Moribana and Free Style were not identified from Korean relics from the materials studied in present study. From present study, following new findings were made: Complete picture of vase flower of Ssangyoungchong wall painting was evaluated. The Dome style flower arrangement of Sooduksa wall painting was popular as the dermatoglyphic pattern of stone coffin in Goryeo dynasty. Flower arrangement was started earlier by Korean, whose Paleolithic ancestors introduced flower into their life, and named as First flower people, than Japan and develop its unique culture but less studied historically due to the historical discontinuation. Japanese flower culture started later, however it develop several unique styles and systemized those and developed into represent Oriental Flower Arrangement thorough active worldwide dissemination. Establishment of tradition and history of Korean flower arrangement through historial evidence, will activate the study and eduction of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and develop flower arrangement and lead the flower industry.

      • KCI등재

        간호사의 조직몰입 예측요인

        한상숙 ( Sang Sook Han ),박성원 ( Sung Wan Park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본 연구는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호사들의 조직몰입과 일반적 특성,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정도와 상관성 그리고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각 변수들의 정도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는 45점 중 33.06으로 평점(5점 척도) 3.67을 나타냈다. 다른 연구에서 나타난 임파워먼트의 정도를 살펴보면 남경희(2001)의 연구에서는 55.52(점수범위12-84), Lee(2001)의 연구에서는 49.56(점수범위 22-110)으로 나타났고 Kim(2001)은 3.40, Kim(1999)은 2.96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의 임파워먼트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서울 시내 3차 의료기관 3개를 임의로 선택하였으므로 이와 같은 임파워먼트의 차이는 근무하는 병원의 규모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병원조직이 아닌 일반 회사원이나 다른 직종과의 단순비교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45점 중 26.61로 평점(5점 척도) 3.04를 나타냈다. 이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관한 Park(2002)의 연구에서는 3.35,Cha(2002)의 3.09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Youn(2003)의 2.99와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Jung(2000)의 2.8보다는 약간 높은 결과를 보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타 직종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직무 자체에서 회사와 병원 조직을 비교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병원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병원 규모가 클수록 환자수가 많고 질병의 종류가 다양하며 중환자나 장기 환자가 많아지는 것이 사실이며, 병원의 위치나 대상자 직무의 전문성 정도 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병원의 간호사들이 다른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많은 대상자를 선정된 것이 아닌가 본다.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 정도는 45점 중 27.88로 평점(5점척도) 3.10을 보였다. 이는 Youn(2003)의 3.05와 리더십유형과 임파워먼트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Choi(2000)의 7점 중 3.26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조직몰입 정도는 5점 척도 중 3.51로 Park(2002)의 2.82, Cha(2002)의 3.33, Youn(2003)의 3.39, Choi(2000)의 4.51(7점 척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조직몰입 정도가 다른 연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도구를 만들 때 요인분석 (factor analysis)을 통해 문항을 축소시켰고 신뢰도와 타당도의 분석을 통하여 높은 점수를 보인 문항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문항수가 많았던 다른 연구들에 비해서 응답자의 성실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각 변수별 상관관계의 결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이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러 연구(Ko &Yom, 2003; Kim, 2002; Kim, 2001; Youn, 2003; Lee, 2000; Lee, 2000; Lee,, S. & L., 2001; Cha, 2002; Choi, 2000)와 동일한 결과이다. 또한 정해주(1998)의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부분적으로 순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하였으며, Cha(1996)의 연구에서도 임파워먼트를 4 개념, 직무만족을 3 개념으로 구분하였으며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부분적으로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한 것과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직무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수록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일치감이 증가하고 자신의 직무가 조직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직무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Nam(2001)의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조직몰입 측정 도구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문항수를 Nam(2001)의 연구에서보다 절반가까이 축소시켰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게다가 이 도구 모두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기 때문에 병원조직의 특성에 알맞은 표준화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조직몰입과 연령, 근무경력, 부서경력,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변수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변수 중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직무만족(β=.598), 임파워먼트(β=.178), 연령(β=.153), 부서경력(β=-.096) 순으로 나타났으며, 5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조직몰입 영향요인 중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과 부서경력은 여러 선행연구(Ko & Yom, 2003; Kim, 2002; Kim, 2001; Lee, 2000; Lee, 2001; Park, 2002)에서 연령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순상관관계를 나타낸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볼 때, 간호사의 연령이 높고 근무경력이 길수록 조직몰 입정도가 높다는 것은 근무하면서 생기는 경험이나 지식, 상황에 따른 판단력이나 순발력이 발달하여 자발적으로 직무에 대해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근속에 따른 조직에 대한 애착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근무경력이길수록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것 또한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승화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직몰입 영향요인 중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2001)의 연구에서도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가장 높은 요인(33%)이라고 하였고, Jung(1998)의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 관련 변수는 의미성(β=.283)만이 유의한 독립변수로 나타났다고 한 결과, Kim(2001)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대해 각각 7.6%,3.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고 하였고, Kim(1999)도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한 결과들과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조직몰입의 영향 요인이라는 측면에서는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Han(2001), Lee(2002), Kim(2002), Kim(2002)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임파워먼트를 제시한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상관관계는 있으나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게 인지하는 대상자일수록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한 점수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을 저하시킨다는 결과를 보인 여러 선행연구(Ko &Yom, 2003; Park, 2002; Lee, 2000; Jung, 2000; Cha, 2002; Selye, 1974; Newman, 1984)들과는 유사한 결과이나, 직무스트레스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언급한 선행연구들(고Ko & Yom, 2003; Youn, 2003; Cha, 2002)과는 상반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접근하는 대상자의 관점이, 스트레스를 직무만족, 조직몰입, 사기, 능률, 업무수행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신적·신체적 문제를 야기하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지하느냐, 아니면 적정수준의 자극으로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또 Lee 등(1997)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조직몰입이 높은 사람은 직무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개인적 긴장이 높더라도 이를 적절하게 해소함으로써 스트레스와 긴장에 대처한 다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는 사실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를 벗어나서 역으로 조직몰입의 높고 낮음의 여부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직무만족, 임파워먼트, 연령, 부서경력은 조직몰입의 중요한 예측인자임을 알 수 있으며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근무부서 경력이 많아질수록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반영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조직에 몰입된 조직구성원은 궁극적으로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신뢰하고 따르며 자발적으로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 속한 조직에 남으려는 의지를 가지게 되는 것이므로 조직몰입의 개념은 개인과 조직 모두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개인에게는 내적·외적 보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조직의 입장에서는 조직목표의 달성과 이직률 감소 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major factors that predi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Method: The subjects were 350 registered nurses from 3 hospitals in Seoul. The sample for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329 useable questionnaires (94% overall return rate) for 2 weeks. The Instrument tool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empowerment scale, job stress scale and job satisfaction scale and thoroughly modified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SPSS 11.0 program. Three outliers which were bigger than 3 in absolute value were found, so after taking them off,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further analysis, Result: The major factors that predi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were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age and unit experience, which explained 51.9%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gression equation model of this research may serve as a organizational commitment prediction factors in Registered Nurses.

      • KCI등재

        표준화된 정맥주사 관리 교육을 통한 의료질 향상(QI) 활동 평가

        한상숙 ( Sang Sook Han ),박선경 ( Sun Kyung Park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5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as one of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with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and to confirm the evaluation from th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also from nurses themselves. Method: The subject of this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was a control group of 239 patients and 176 nurses, a comparison group of 128 patients and 146 nurses. The tool consisted of hospitality (towards patients), explana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Windows 11.0 program for percentage, χ2- test and t-test. Result: 1) The nurses who were instructed in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received more satisfactory evaluation from the patients(t=-2.89, p=.004) than the nurses who were not. However, in the subdivisions, the explanation field was the only one to receive a more satisfactory evaluation(t=-1.14, p=.255). 2) The nurses who were instructed in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showed higher performances in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t=-4.21, p=.000) than the nurses who were not. In the subdivisions, hospitality, explana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all showed effectiveness (t=-2.35∼3.90, p=.020∼.000). Conclusion: From the results stat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standardised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instruction for nurses brought out better evaluation, i.e. satisfaction, from th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the nurses who received the instruction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intravenous injection control.

      • 뜸요법과 세라밴드운동이 퇴행성 골관절염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

        한상숙 ( Sang Sook Han ),김원옥 ( Won Oak Kim ),김연정 ( Yeon Jung Kim ),백용현 ( Yong Hyun Back ),이명희 ( Myung Hee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퇴행성 골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뜸요법과 세라 밴드 운동을 실시한 후 신체적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았다. 통증, 피로,우울은 뜸요법과 세라밴드운동 실시 후에 감소하였고, 유연성 측정으로 무릎각도, 족 배굴곡, 족저굴곡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뜸요법과 세라밴드 운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실제적으로 뜸자극이 통증을 감소시키는 기전이 명확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뜸요법은 지각신경(知覺神經)의항분(亢憤)에따라 지각이 과민하고 통증이 있는 경우나 자율신경(自律神經)의 항분에 의해 발생하는 해장기관의 이상 시에 억제회선(抑制回善)하는 억제(抑制), 제지(制止), 진통(鎭痛) 등의 작용이 있다 (Chiba, Nakamsimshi& chichibu, 1997;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1 2000). 뜸요법 후 자궁적 출술한 여성의 냉증과 통증이 감소하였고(Shin et al., 2001), 여대생의 생리통과 월경곤랑증이 감소(Kim&Cho,2001;Lee, 2004)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뜸요법의 작용인온경(溫經藥), 산한지통(散寒止痛),제습지양(除濕 止痒)의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뜸여법은 혈을 따뜻하게 하여 한사(寒邪)를 ,제거하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여 어혈을 풀고 진통을 감소시킨다. 뜸요범은 통각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피가 잘 돌게 하며 말초신경을 자극하여 아픈 자리의 유해물질을 없애기 때문에 아픔을 멈추게 하며(Choi, 1993), 국소적인 근육의 긴장과 혈관의 긴장을 풀어줌으로써 혈액의 혈액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피로불질이나 통증을 재는 물질을 분해시켜 버린다(Kim, 1996). Chun 등(2003)은 퇴행성 관절염 노인의 경우 나이, 동통, 일상생활의존도를 포함한 대상자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뜸요법과 세라밴드 운동은 퇴행성 골관절염 노인의 통증, 피로, 우울 점수를 감소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뜸요법은 상체에 약한 자극을 가하여 지각, 운동, 자율, 신경의 기능이 약화 되었을 때 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항분작용(亢奮作用)이 있으며, 면역작용(免疫作用)으로는 뜸요법 시 화상독(火傷毒) “히스토키신``이 발생하여 이정 단백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어 변역반응을 일으키며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항분(亢奮)시켜준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Yamashita, Ichiman, & Tanno, 2001). 퇴행선 골간절염 환자의 주증상인 무릎 관절의 변형과 부종은 관절가종범위가 감소되고 통증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Choi(2003)는 편마비가 동반된 상지부종의 감소와 함께 상지 운동능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퇴행성 골관절염 노인의 경우 뜸요법은 혈행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체액의 장애를 조절하여 무릎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면역기능과 관련하여 신경계와 면역계 사이의 상호교신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을 축으로 분비되는 에피네프린, 토르티솔 등과 같은 체액성 인자 의 분비에 의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신경면역조절(nuuroimmumodulation)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자율신경말단과 변역세포들은 직접 접촉하고 있으면서 신경전달물질과 싸이토카인의 매개에 의해 서로 교신하고 있음이 시사되고 있다(Rainer, Straub, Jurgen, & Werner, 1998). 실제적으로 뜸요법을 받은 대다수의 최행성 관절염 노인들은 통증과 부종이 감소하였고, 걷을 때 훨씬 응직이기가 수월해졌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기전으로 통증과 부종이 감소되는지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세라밴드는 가볍고 휴대하기에도 편리하며 모든 방향에서의부하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본 연구에서 무릎각도, 족배굴곡, 족저굴곡이 증가하여 유연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라밴드 운동이 퇴행성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어서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국내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등장성 근력에 효과가 있으며(Ham, 2000) 관절가동범위와 유연성을 증가시켜(Page, 2000) 일상생활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증을 경감시키는 효과(Bang & Deyle, 2000)가 있는 것으로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뜸요법과 세라밴드 운동 중 어느것이 더 그 효과를 나타내는지는 알 수 없어 각각의 중재를 한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뜸요법 시행시 화상으로 인한 상처와 연기가 많이나서 눈이 따가운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Kwon과 Park (2005)의 연구에서 실험에서 탈락한 대상자들은 뜸요법 시에‘배에뜸을 뜬 후 뜸뜬 자리가 몹시 가렵고 피부발진이 있었다’,‘ 연기가 많이 나서 눈이 따가웠다’,‘ 뜸이 탈 때 너무 뜨거워 참기 힘들었다’,‘ 뜸의 진액이 옷에 잘 묻고 냄새가 오래가며, 간간이뜸 연기 때문에 눈이 따가웠다’고 하였다는 보고는 본 연구의 실험처치에서도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뜸요법의 효율성이 입증되고 더욱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편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퇴행성 골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뜸요법과 세라밴드 운동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보며, 뜸요법과 세라밴드 운동이 퇴행성 골관절염 노인의 신체적으로 통증, 피로를 감소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며, 심리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서 일반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nursing intervention including moxibustion and theraband exercise on pain, fatigue, flexibility, and depression in aged patients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Methods: This study had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irty people over 60 yr-of-age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were recruited from a community health center from November 1, 2005 to June 14,2006. The 6 week treatment intervention included twice weekly 60 min sessions of of theraband exercise (30 min) and moxibution (30min). Data was analyzed by SPSS Ver. 12.0. Results: Intervention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ecreases in pain (t=8.28, p<.001) and fatigue (t=5.19, p<.001), and significant increases inknee flexibility (t=-3.54, p=.001), dorsal flexibility (t=-9.05, p<.001), and plantar flexibility (t=-4.09, p<.001).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t=-4.09, p<.001). Conclusions: Moxibustion and theraband exercise sh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aged with degenerative oateoarthritis.

      • KCI등재

        일 대학병원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상숙 ( Sang Sook Han ),손인순 ( In Soon Sohn ),이명해 ( Myung Hai Lee ),최경순 ( Kyoung Soon Choi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8 No.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into the image of nurses, and attempted to help to advance the profession of nurs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image of nurs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group of 380 persons from a K Medical Centre in Seoul, including the hospital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s well as the doctors, assistants and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10th to the 30th of May, 2003. We have developed a research tool of 40 question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using a tool developed by Kim, H.J and KIm, H.O.(2001) verifying its construc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Cronbache`α .97, and by categories, Cronbach`s α=.86 for service image, Cronbach`s α=.96 for professional image and Cronbache`s α=.90 for social image.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SPSS WIN 11.0 for real number, percentage, factors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x2 - t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 of nurses by job series of the subjects; from patients and guardians for 4.01 to doctors 3.62, assistants 3.54 and staff members 3.41 (F=36.14, p=.000). As we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vice, professional and social imag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s (F=20.36∼42.35, p=.000). 2)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on formation the nurse`s imaging came by direct experiences with nurses at hospitals for 81.3%, by looking at the every life of the nurses that the subjects personally know for 15.5%, by mass media for 1.6% and by the accounts from the others for 1.6%. 3) 78.4% of the subjects considered that the image of nurses on mass media is described better than for real, 8.2% believed that the image is described worse than for real, and only 13.2% of the subjects perceived that the image of nurses on mass media corresponds the image of nurses in actual life. 4) 74.5%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got a better image of nurses after their hospitalization while 2% got a worse one and 23.5% said to have had no changes, and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had no relevance to the image of nurses (χ2=5.04, P=.489). However, while 16.8% of the subjects who spent less than one week in hospital said that they got a better image of nurses, 27.5% of those who spent longer than four weeks got a better image of nurses.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image points of nurses by th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ccording to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4.14 for 1 to 2 weeks, 4.07 for 2 to 4 weeks, 4.02 for 4 weeks and longer and 3.80 for less than a week (F=3.40, P=.019). Upon the results stated above, I should like to propose as below: 1) An investigative enquiry is needed to improve the image of nurses as though being a nurse is very hard and difficult. 2) A continuous monitoring in mass media is needed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nurses.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궁중 행사도의 꽃꽂이 양식

        한상숙 ( Sang Sook Han ),이부영 ( Bu Young Yi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orm (shape) of a flower arrangement in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oyal event picture(宮中行事圖). In the royal event picture, there are several forms (shapes): Junhwa(樽花), Sanghwa(床花), Hwaga(花架), Jamhwa(簪花). In Hwaseong Neunghaeng picture(華城陵幸圖屛), there were various flower arrangement styles: the space decoration fit to modern use and the cane decorated with flowers. Form of Junhwa had three kinds of shape: linear shape, circular shape and elliptical shape. The linear shape is the initial shape. Hwaga was found to appear after the year 1868.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many royal events and many flowers were used to decorate the venue. Depending on the season, not only artificial flower but also real flower was used, too.

      • KCI등재

        사찰 문화에서 보는 전통 꽃꽂이 양식

        한상숙 ( Sang Sook Han ),이부영 ( Bu Young Yi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5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3 No.-

        사찰문화에 나타난 꽃 사료를 통해 전통 꽃꽂이 양식을 찾아보고자 화병이나 수반에 꽂혀있는 꽃이 묘사된 꽃 문, 불단, 벽화, 회화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사찰의 유물과 유적에서 화병꽂이, 수반꽂이, 삼존양식, 꽃바구니와 꽃다발 등이 확인되었다. 화병꽂이는 다시 아래로 흐르는 형, 위로 올라가는 형, 수평을 이루는 형과 삼존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아래로 흐르는 형은 꽃 문, 벽화, 불단 등에서, 수평을 이루는 형은 불단에서, 삼존 양식은 불상에서, 위로 올라가는 수직형 양식은 천장화와 감로탱화 등에서 확인되었다. 감로탱화에서는 수목(樹木)양식에 가까운 꽃이 달린 나무가 세워져있었으며, 연꽃이 선적으로 꽂혀 있었다. 수반꽂이의 반구형은 벽화와 수월관음도에서, 화만(華만)양식은 수월관음도에서 확인되었다. 동양에서 수반꽂이는 일본에서 서양식 건축이 도입된 후 만들어진 모리바나(盛花)를 많이 드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운문사 불단에서 발견되어 그보다 앞서서 시행되었던 것 같다. 꽃바구니는 해인사 대적광전 불단, 꽃다발은 대흥사 대명광전 천장화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w traditional Korean flower arrangement style which presented in the form of flower arrangement from available historical record and relics from Buddhist temple such as floral doors, Buddhist altar, mural and painting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emple culture related to flower arrangement,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style were identified as bottle holders, water tray, tree-shaped form, baskets, and bouquet. Bottle holders (甁花) could be reclassified as vertical, sewage type, horizontal and tree-shaped form. Sewage type found from floral doors, mural, Buddhist altar, horizontal type from Buddhist altar, tree-shaped form from statue of Buddha, temple, vertical type from painting on the ceiling and altar portrait(甘露幀畵). From altar portrait, tree styled flowered tree was appeared and lotus flower were arranged in linearly. Hemispherical type was flower arranged in pot similar to the basket without handle, and identified from Sudeoksa murals, stone comb of Goryeo era, and Water Moon Guanyin picture(水月觀音圖). Generally, Moribana was considered as the first oriental water tray flower arrangement while we found it from Buddhist altar of Unmunsa temple(雲門寺) which remodeled earlier in Joseon era. Flower basket style was found from altar of Haeinsa Daejeokgwangjeon, flower bouquet was found from painting of ceiling from Daeheungsa Daemyeonggwangjeon(大興寺 大明曠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