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서양 문화권에 따른 지각적 인상 형성 요소 : 3D 온라인 서비스 '세컨드 라이프'를 대상으로

        김자영(Jayoung Kim),박주연(Jooyeon Park),한미지(Miji Han),이미선(Misun Lee),박수이(Sue Park)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3D 기반의 SNS를 대상으로 동서양 문화권에 따른 지각적 인상 형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은 동양 문화권인 한국인, 일본인과 서양 문화권인 미국인, 캐나다인을 선정하였다. 각 문화권의 참가자들에게 지각하는 인상에 관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은 Ground theory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양 문화권의 참가자들이 서양 문화권의 참가자들에 비해 정황적 요소와 관계적 요소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factors of impression formation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n 3D virtual space, which has shown constant growth lately. We select participants from two different kinds of cultural backgrounds- in Eastern (Korea, Japan) and in Western (North America). We conduct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and then we analyz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 using Ground theory. As result of analysis, the more participants in Eastern perceived contextual factors and relational factors than in Western.

      •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 형성 요소 : 3D 온라인 서비스 '세컨드 라이프'를 대상으로

        김자영(Jayoung Kim),박주연(Jooyeon Park),한미지(Miji Han),이미선(Misun Lee),박수이(Sue Park)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factor of forming and impression in 3D virtual space, which has shown constant growth lately. To reach this goal, we conduct a user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n we identify 3D space features based on four e-impression dimension. We find that the Relational factor is great of the Amiable dimension, and the Representational factor represents a great share of the justifiable, Selfish, and Conservative dimension.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3D 기반의 SNS를 대상으로 인상 형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사전연구에서 도출한 4개의 인상차원에 따른 각각의 인상 형성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사전 연구에서 도출한 3D 가상공간에서의 인상차원을 바탕으로 의도하는 인상, 지각하는 인상에 관한 사전 설문을 시행하였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들은 근거 이론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MF1.상냥하다'차원에서는 관계적 요소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MF2.당당하다', 'MF3.이기적이다', 'MF4.보수적이다'차원에서는 대의적 요소의 비중이 높았다.

      • KCI등재

        온라인 공간에서의 목표인상차원과 문화의 관계 : 3D 온라인 서비스'세컨드 라이프'를 대상으로

        김자영(Kim Jayoung),이미선(Lee Misun),박주연(Park Jooyeon),한미지(Han Miji),박수이(Park Su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최근 온라인 공간에서의 대인관계가 활발해 짐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자신의 인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3D 기반의 대인관계가 형성되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가 지향하는 목표 인상차원과 개인 차원의 문화차원의 관계를 규명하고 문화차원에 따른 목표 인상 차원을 규명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 3D 공간에서의 인상차원을 추출하였고 2) 이를 바탕으로 목표 인상과 문화차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 또한 앞선 결과에서 유의미한 문화차원과 목표 인상 차원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3D 기반의 인상 차원을 추출하기 위하여 인상 어휘를 수집하고 이들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사용자설문과 전문가 집단을 통해 진행하여 인상 차원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문화 성향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한국 일본 미국의 3D 기반의 세컨드 라이프 사용자를 모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목표 인상 차원과 문화 차원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3D 기반의 인상차원은 16개 인상어휘로 구성된 4개 차원이 도출되었다: MF1.상냥하다 MF2.당당하다 MF3.이기적이다 MF4.보수적이다. 이들 4개 목표 인상차원과 홉스테드(Hofstede)의 5개의 문화차원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MF3.이기적이다 인상차원과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문화 차원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MF3.이기적이다 인상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active social relations users have recently focused more attention on the impression they make on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argeted e-impression and culture in order to clarify how differences in targeted e-impression dimensions rely on cultural dimensions. This study 1) extracted e-impression dimension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2)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impression dimensions and culture dimensions. Impression adjective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o extract e-impression dimensions in the three-dimensional online space. A user survey was then conducted focusing on e-impression and cultural dimensions. Four dimensions (consisting of 16 adjectives) were extracted: MF1. cheerful MF2. justifiable MF3. selfish and MF4. conservativ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impression dimensions and the four cultural dimensions MF3. selfish correlated with uncertainty avoidance. Thus users with higher uncertainty avoidance seek a more selfish e-impression dimension than those with lower uncertainty avo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