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퇴 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 -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 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단순 방사선 소견 -

        하철원,성기선,박재철,Ha Chul-Won,Sung Ki-Sun,Park Jae-Chul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판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방사선 소견인 대퇴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 이의 진단적 의의를 특이도, 민감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관절경 시술로 확진 된 50예의 완전 원판형 연골군과 50예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unnel view에서 보이는 대퇴 외과와 내과의 내측부의 최장 길이를 측정하여 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원판형 연골군에서 대퇴 내과부 길이와 외과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0.716 이였으며, 정상 대조군에서는 0.902 이었다. 이를 T-test로 분석했을 때, t-value는 -11.13 (p<0.0001)로 두 군간에 매 우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경계값(cut point)을 0.8로 하여 chi-square test로 분석했을 때 통계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감도 $76\%$, 특이도 $100\%$였으며, 양성 예측도 $100\%$, 음성 예측도 $80.6\%$로 나타났다. 절삭 징후는 육안적으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진단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간접적인 소견이라고 생각한다. 결론 : 대퇴 외과 절삭 징후는 단순 방사선 검사의 Tunnel view에서 원판형 연골을 진단할 수 있는 좋은 방사선 소견이며, $100\%$의 특이도와 $100\%$의 양성 예측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진단소견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report the 'condylar cut-off sign', a new radiographic sign in knees with discoid lateral meniscus and to repor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the sign to elucidate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the sign for discoid meniscus.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knees with complete discoid lateral meniscus and fifty normal knees formed the basis of this study. All of them were arthroscopically confirmed fer the discoid or normal lateral meniscus. The authors developed a method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medial and lateral condylar were compare and analyzed. Results : Tile average ratio was 0.716 in the discoid meniscus group, and 0.902 in the normal group. The stastistical analysis by the T-test revealed the t-value -11.13(p<0.0001). Stastistical analysis by chi-square test using cut point 0.8,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76\%$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ositive predictive predictive value and $81\%$ negative predictive value. The 'condylar cut-off sign' was readily detectable in all cases of discoid lateral meniscus, suggesting that the cut off sign could serve as a simple and reliable radiographic sign fur the diagnosis of discoid meniscus. Conclusion : The condylar cut-off sign on the Tunnel view of simple radiography of the knee can serve as a good sign for the diagnosis of discoid lateral meniscus, with $100\%$ positive predictive value.

      • 전방십자인대의 전내측 다발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는 새로운 수술 수기

        하철원,어수익,Ha Chul-Won,Awe Soo-Ik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에 수술 수기가 크게 어려워지지 않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고 별도로 긴장시켜 고정할 수 있는 수술 수기를 고안하여 재건슬을 시행한 결과,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보다 정상에 가까운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의 긴장도를 갖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이 가능하였기에 그 수술 수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인 관절 내시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여 경골 및 대퇴골에 골터널을 만든다. 이때 경골부위의 골 터널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약간 타원형이 되면서 약 $5\~7$ mm 정도 앞뒤 족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이식을 위한 동종 아킬레스건을 다듬을 때, 대퇴골 터널 내에 들어갈 골 부위는 고식적인 경우와 같도록 하고, 경골부 터널에 들어갈 건 부위는 가능한 한 두껍게 준비하고, Y자로 두 개의 다발로 만들어 각각 봉합사를 이용하여 마무리, 준비한다. 두 개의 다발을 함께 준비용 수술용 탁자의 터널 내로 통과시켜보면서 두께를 확인하고 대퇴골 터널 내에 동종 아킬레스건의 골 부위를 관절경 시야에 삽입시킨 후 고정한 다음, 경골 터널의 원위부 바깥쪽에서 두 개의 다발을 봉합사와 함께 당기면서 슬관절을 굴곡-신전을 반복하여 신장시킨다. 슬관절을 약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전내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 후 다시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후외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후 2개의 다발사이로 끝이 둥근 유도핀을 삽입하여 관절경 시야에서 경골 터널 근위 입구에서 2개의 다발사이에 위치한 것을 최종 확인한 후, 흡수성 간섭나사를 이 핀을 따라 삽입하여 경골 터널 근위부 입구 직하부까지 전진시켜 좀더 견고한 고정을 얻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 측 다발을 더욱 해부학적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있는 골 미성숙 환자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하지부동이나 슬관절 정열이상이 없는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This article is to report a new technique for reconstruction of the an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bundl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by separate tensioning and fixation of the each bundle. Method : Tibial and femoral tunnels were made with conventional techniqu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ibial tunnel was enlarged $5\~7$ mm i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o make oval it in cross section. When preparing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bone plug portion was trimmed as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tendinous portion was trimmed as two separate bundles by dividing the tendinous portion longitudinally, so the graft is shaped like 'Y'. The bone plug portion of allograft was inserted into the femoral tunnel and fixed with absorbable cross pins. Two ligamentous portionss of the distal part of the grafts were tensioned separately at the external orifice. Anteromedial bundle was fastened under maximum tension with the knee flexed 90 degrees by post-tie method. The posterolateral bundle was fixed by the same technique with the knee in full extension. Then, an 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was inserted between the two bundles upto the upper end of the tibial tunnel, to get more initial rigidity of the reconstructed graft as well as to locate the two bundles in more anatomic posi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급성 심부 감염의 관절경적 치료

        하철원(Chul-Won Ha),유건식(Kun-Sik 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 성공적인 치료를 위한 지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으로 본원에서 치료를 받은 16예 중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을 받은 7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관절경적 치료의 적응증은 방사선 사진에서 안정된 치환물을 보이며 감염의 증상 발생기간이 만 72시간 이내로 정하였다. 일차 관절경적 치료 후 이학적 검사 및 정기적인 C-reactive protein (CRP)추시 검사로 이차 수술의 필요성 및 방법을 선택하였다. 최종 추시까지 감염의 재발이나 재수술이 없는 경우를 성공적인 치료로 판단하였다. 결과: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을 받은 7예 모두 치환물의 제거 없이 감염이 치료되었다. 7예 중 3예는 일차 관절경 수술만으로 감염이 치료되었으며, 일차 관절경 수술 후 감염이 치료되지 않은 4예 중 1예는 이차 관절경 수술로, 3예는 개방적 변연절제술로 감염이 치료되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심부 감염의 치료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은 감염의 증상 발생 72시간 내에 시행하는 경우 유효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일차 관절경적 치료 후 면밀하게 CRP 검사 결과를 추시하여 이를 지침으로 이차 수술의 필요성 및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an acutely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o determine the protocol for a successful arthroscop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Of 16 cases of acutely infected TKA treated at this institution, 7 cases treated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indication for arthroscopic debridement was patients with a radiographically stable prosthesis and within 72 hours of the onset of symptoms. The necessity and method of the secondary procedures were determined using a follow up of the C-reactive protein (CRP) test and physical examination after the primary arthroscopic debridment. Successful treatment was defined as no recurrence or no re-operation by the final follow-up. Results: All 7 cases were treated with a retention of the prosthesis. 3 case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primary arthroscopic debridement only. Three cases were treated with open debridement after primary arthroscopic debridement. One case was treated with repeated arthroscopic debridement after primary arthroscopic debridement. Conclusion: Arthroscopic debride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an acutely infected TKA within 72 hours of the onset of symptoms. A careful CRP follow up is suggested as the critical index to determine the secondary procedure for successful treatment of an acutely infected TKA by arthroscopic debridement.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 후 발생한 진구성 슬개건 파열에 대한 슬개건 봉합 및 동종 아킬레스건을 사용한 보강술식

        하철원(Chul-Won Ha),유건식(Kun-Sik 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슬관절 전치환술 후 슬개건 파열은 드물지만 심한 신전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은 몇 가지가 보고되어 있으나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으며 저자들이 검색한 바로는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으로 인해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 받은 70세 환자에서 술 후 5개월에 발생한 슬개건 파열을 슬개건 봉합 및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보강술로 치료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한다. The rupture of the patellar tend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s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resulting in a severe dysfunction in the extension mechanism. There are a few reports on the treatment of this condition. However, there is still some controversy regarding the choice of proper management. There is no report of the patellar tendon augmentation or reconstruction in this condition in the Korean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an old patellar tendon rupture in 70-year old patient that occurred at 5 months after a two stage revision for an infected TKA and was treated satisfactorily by delayed repair with augmentation using an Achilles allograft.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 시 감염군과 비감염군의 임상결과 비교

        하철원(Chul-Won Ha),문정석(Jeung-Seok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1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시 감염군과 비감염군의 임상결과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받았던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감염군 12예, 비감염군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감염군은 가동성 시멘트 삽입물을 이용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슬관절 운동 범위, 미국 슬관절 학회 점수, WOMAC 점수를, 그리고 방사선학적 평가는 미국 슬관절 학회 평가지침을 이용하였다. 결과: 술 전 관절운동 범위 미국 슬관절 학회 점수, WOMAC 점수 및 슬관절 정렬각은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종 추시상 술 후 관절 운동 범위는 감염군이 102.5도, 비감염군이 114.5도로 차이가 없었으며 (p=0.070), 술 후 미국 슬관절 학회 점수, WOMAC 점수 및 슬관절 정렬각에서도 양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양군에서 재재치환술을 시행한 예나 방사선학적 해리가 발생한 예는 없었다. 추시 중 감염군 1예에서 슬개건 파열이 발생하였다. 결론: 슬관절 재치환술시 감염군에서도 가동성 시멘트 삽입물을 이용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 비감염군의 술 후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기능회복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septic and aseptic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12 septic and 10 aseptic revisions. All septic revisions were treated with two-stage reimplantation using an articulating cement spacer. The range of motion, Knee Society score, WOMAC score, and radiographic results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were assessed. Results: The preoperative data, which included the average range of motion, Knee Society score, WOMAC score and femoro-tibial angle, were similar in both groups. At the final follow-up,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102.5° in the septic revisions, and 114.5° in the aseptic revisions (p=0.070). In addition, the Knee Society score, WOMAC score and femoro-tibial angle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ere was no loosening or failure of either component observed in any case. A patellar tendon rupture was observed in one septic revision after surgery. Conclusion: Two-stage reimplantation using an articulating cement spacer in septic revisions could achieve functional results that are compatible to aseptic revision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내측 불안정성에 대한 내측 측부인대 재건술

        하철원(Chul-Won Ha),황찬하(Chan-Ha Hwang),임경섭(Kyung-Sub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에 발생한 내측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로써 구속형 인공 슬관절을 사용한 재치환술이 일반적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속형 인공 슬관절을 사용한 재치환술은 골 소실이 많아지고, 삽입물-시멘트 사이, 시멘트-골 사이의 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조기 실패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내측 불안정성으로 내원한 40대 환자에게 동종 아킬레스 건을 사용하여 내측 측부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n absence or compromis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that occurs after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is a challenging reconstructive problem. Treatment usually requires unlinked-con-strained total knee arthroplasty. Revision with unlinked-constrained prostheses often causes more bone loss and transmits increased stress to the bone-cement and prosthesis-cement interfaces, which can increase the risk of aseptic loosening. However, there are no treatment options other than constrained prostheses. We present a 47-year-old female who suffered from medial instability that occurred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by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의 치료

        하철원 ( Chul Won Ha ),나상은 ( Sang Eun Na ),이성훈 ( Sung Hun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Deep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represents a significant treatment challenge with the possibility of disastrous consequences. The rate of deep infection rate after TKA was reported to be 1.3∼2.9% in the past. With the improvements of the operation environment and operative technique and the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and antibiotic-mixed bone cement, the rate of deep infection was recently reported to be 0.5∼1%. The goal of treatment of a periprosthetic TKA infection is the restoration of a painless, well-functioning joint, with eradication of the infection. Yet the outcome is not always favorable, and the end result could be an arthrodesis, amputation or a pseudoarthrodesis. In some instance, the only realistic option is to suppress the infection with continued oral antibiotics while simultaneously retaining the prosthesis. Two-stage resection arthroplasty remains the standard treatment for chronic periprosthetic infection. Early deep infection may be treated with aggressive debridement and intravenous antibiotics without removal of the implant. Two-stage reimplantation after removal of the implant is most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e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