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창 동계올림픽 계기 남북 음악공연교류 분석

        하승희(Ha, Seung Hee)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이 글은 2018년 진행되었던 남북 음악공연교류를 분석하여 남북 음악교류의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평창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 계기로 진행된남북 음악공연 교류에서는 먼저 레퍼토리 측면에서 과거와 같이 통일노래 및계몽기가요의 주요 레퍼토리를 반복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한반도문제의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음악교류 또한 불안정하게 진행되었다. 음악공연교류는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급박하게 마련되었으며, 정치적 행사에 앞선 일회성 공연으로 지속성을 가지기 힘든 문제가 과거에이어 반복되었다. 북한체제 특성과 국가보안법의 존속에 따라 새로운 레퍼토리의대안이 어려운 점도 존재했다. 그럼에도 다양한 대중가요를 통해 남북관계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었다. 향후 남북 음악공연교류에서는 공연교류의 궁극적인목적과 방향성을 설정하고 변화한 통일의 인식과 의미에 따라 교류의 새로운포맷과 메시지, 그에 따른 레퍼토리의 발굴이 필요하다. 음악공연교류가 정례적인 행사로 진행될 수 있는 방안마련과 함께 공연교류방식 외에 음악을 통한 다양한 교류방법을 모색하고, 일회적 성격의 공연에서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가이드라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남북문화예술 교류센터와 같은 종합 공간은 과거 교류들과의 지속성과 함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거점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and seek for new possibilit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ignificant flow of the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as it has been progressed to the present time with the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recent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in 2018. Notwithstanding such fac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effort to re-iterate the South-North relationship by facilitating diverse popular music and selecting songs that may be construed under a broad spectrum for the implication of exchange. There is a need for new format and message as in the changed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its implication, as well as the discovery of ensuring repertoires. And preparation of an exchange center as the comprehensive space for the exchange of culture and art by South-North to implement various studies and education, such as South-North Culture and Art Exchange Center for preparing such a process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seek for possible development along with the continuity with the endeavors in the past exchange.

      • KCI등재

        부모교육을 통한 언어중재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구개열 영유아의 말-언어발달 비교 연구

        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言語治療硏究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a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through parental training for you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Twelve mother-children pairs between 12 and 30 months of ag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entire study and five pairs agreed to receive only two speech-language test sessions. After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parental training, they administrated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in the children's home for three months through regular monitoring and coaching. The children's speech-language characteristics from pre- and post-intervention tests and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mothers' interaction style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ix speech-language measu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only increases of language age of SELSI. All the measures of the pre-intervention tes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post-intervention test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and the use of gestures between the two groups. Responsiveness of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on children's communication act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on positive changes of children's speech-language development and parents' interaction styles.

      • 김정은 시기 북한 음악교육과 기술

        하승희 ( Ha Seung-hee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2 접경지역통일연구 Vol.6 No.1

        이 글은 북한의 주요 국가발전전략으로 교육과 과학기술이 연계되어 강조됨에 따라, 음악교육분야에서 나타나는 과학기술·정보화의 흐름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북한 내 교육의 과학기술·정보화의 발전 양상과 속도는 세계적 추세에 비추어보면 아직 미진하나, 세계적 표준과 발전추세를 주시하며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태도는 국제사회와 함께 발을 맞추겠다는 의지로 읽을 수 있다. 폐쇄적이고 주체성을 강조하는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보편화를 추구함에 따라 교류가 용이해지고 협력할 수 있는 가능성의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음악교육과 기술의 결합은 단순히 콘텐츠 전달 통로만 변화한 것이 아니고 기존 교육 형태 및 환경에서 파생되었던 문화에 영향을 끼쳐 변화를 추동한다. 북한 또한 점차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교육 분야 또한 새로운 문화를 양산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화와 다양한 특성들, 정립될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tren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formatization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as edu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were emphasized as major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n North Korea.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North Korea is still insufficient in light of global trends, but the attitude to actively accept global standards and development can be read as a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positive in that there is room for easy exchanges and cooperation as North Korea, which is closed and emphasizes subjectivity, pursues universaliz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mbination of music education and technology does not simply change through content delivery channels, but influences the culture derived from the existing educational form and environment to drive change. North Korea is also likely to mass-produce new cultures in the education sector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gradually accelerate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cultur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ways to be established in this new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북한의 당 창건 70주년 1만 명 대공연 〈위대한 당, 찬란한 조선〉 특성 연구

        하승희(Ha, Se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8 No.-

        이 연구는 북한 조선로동당 창건 70주년 경축 1만 명 대공연 〈위대한 당, 찬란한 조선〉의 특징을 분석하여 공연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대한 당, 찬란한 조선〉에서는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 번째, 〈추억의 노래〉의 성공적 공연을 재현하기 위해 공연의 특징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수정보완 및 확대 개편한 것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공연의 구성에서 원로예술가들을 배치했다. 세 번째, 공연 사이에 원로예술가들의 인터뷰를 진행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선전선동을 이끌어 냈다. 네 번째, 무대 뒤 배경영상을 활용하여 출연자들의 소개와 과거 활동모습을 보여주었다. 다섯 번째, 공연레퍼토리에서 북한의 역사를 집약한 작품들과 북한 예술사를 대표할 수 있는 작품들을 시대 순으로 구성했다. 이러한 특징들을 비추어 봤을 때, 이번 당 창건 70주년 경축공연에서 원로배우들의 총출동은 이전의 당 창건 기념공연에서는 볼 수 없었던 형식으로, 과거 활동한 고령의 원로예술인 추모 및 추대 공연의 성격을 지닌다. 또한 지난 예술작품과 예술인들의 총 결산 무대로써, 과거에 활동한 원로예술가와 음악을 통해 과거에 대한 회상을 불러일으킨다. 김정일의 3년 탈상이후 광명성절을 맞는 첫 해라는 시기적 의미에 따라 이번 공연은 북한주체음악예술의 중심에 있었던 김정일의 주요한 예술적 성과와 업적을 기리기 위한 회고행사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김정은 이전 시대에 쌓아온 예술의 업적과 당의 역사를 집약적으로 총망라하며 김일성과 김정일의 위업을 높이 칭송하고, 당과 수령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시키면서 김정은 정권에서도 이전시대의 당 창건 역사와 예술적 위업을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도록 한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Party, Shining Korea〉, the 10,000 people’s grand performance, celebrating the 70th founding anniversary of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and draw the meaning of it. 〈The Great Party, Shining Korea〉 is equipped with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 Great Party, Shining Korea〉 shows the modified, supplemented and enlarged performances of 〈The Songs of Memory〉 focusing on their features on order to recreate its successful performances. Second, about the composition of it, old artists were arranged. Third, the interview to old artists led to propaganda and agitation, and fourth, the background screen on the stage was used to introduce the creators and show the past activities. Lastly, the repertoire of the performance consisted of works containing the history of art in North Korea and its history chronologic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t, the performance to celebrate the 70th founding anniversary of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by mobilizing old actors exclusively took the form that had never been used before. It is characterized as a performance commemorating old artists who worked actively in the part. Also, as a stage collecting old works of art and artists, it let the audience recall their past memories with the old artists and their music. This can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it intended to praise the achievements of Kim Il-seong and Kim Jong-il highly and raise the people’s loyalty to the party and the Great Leader and then connect it naturally to Kim Jong-Un’s government, too, by including the achievements of art that had been accumulated before Kim Jong-Un’s reign and the history of the party intensively. With regard to the temporal meaning of it as it was the first year to celebrate Gwangmyeongseong-jeol after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for Kim Jong-il, this performance can be seen as a retrospective event to commemorate Kim Jong-il’s major achievements of art and previous achievements of Juche art that had been in the center of North Korea’s Juche music and art.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하승희(Seung-Hee Ha),이민규(Min-Kyu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본 연구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을 대상으로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시절에 나타난 북한주민들의 생활관련 신문 보도 프레임과 정보원을 분석하여 북한보도의 실태를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1, 2차 프레임 분석에서는 일명 ‘진보신문’과 ‘보수신문’으로 대변되는 4개 신문들의 보도행태가 신문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프레임을 보여주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또한 정권시기별로 분석한 1, 2차 프레임은 신문의 이념과 관계없이 각 정권의 대북정책 기조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정보원 분석에서는 진보지에 비해 보수지가 익명의 정보원을 많이 활용하여 보도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국제사회와 북한과의 관계가 냉전으로 지속되는 상황에서 북한생활과 관련해 익명 정보원을 활용한 부정적 논조의 보도는 남한 국민들에게 북한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국내 신문의 보도태도가 전반적인 국내 언론의 북한보도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nalys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hosen Ilbo,’ ‘Donga Ilbo,’ ‘Hankyoreh’ and ‘Kyunghyang Newspaper’ on news reporting frame and sources regarding the North Korean population’s living and status of their respective conditions throughout South Korean administrations of Kim Dae-jung, Roh Mu-hyuen, and Lee Myung-Bak. Resulting first and second frame analyses showed that the four newspapers showed clear distinctions in their execution and attitude in their reports in accordance to the philosophies of each ‘progressive/left-wing newspapers’ and ‘conservative/right-wing newspapers’. Moreover, the first and second analyses showed that the reports mimicked each individual presidential administration and their political policy regardless of the newspaper’s political voice. In terms of the usage of ‘anonymous sources,’ conservative newspapers were found to use them more frequently than their counterpart, the liberal newspapers. In conclusion to the overall analyses, with the continued tens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orth Korea, the reports of North Korean inhabitant activities are inevitably portrayed in a negative tone in effort to plant a distorted view to the South Korean citizens. Furthermore, this manipulation of the press may affect the credibility of South Korean press in terms of the topic of North Korean culture.

      • KCI등재

        북한매체의 노래 전파과정 연구 -김정일,김정은 집권 시기를 중심으로-

        하승희 ( Seung Hee Ha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5 통일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북한의 주요 매체인 『로동신문』, 『민주조선』, 조선중앙방송 외 신문2종과 잡지5종을 대상으로 노래악보가 게재·방송된 시점에 주요 노래들이 전파되는 매체경로와 특징들을 김정일·김정은 집권시기별로 분석하였다. 두 시기 모두 같은 노래가 매체에 실리는 순서는 『로동신문』, 『민주조선』, 조선중앙방송 순이었다. 주요하게 게재된 노래의 창작시기를 분석한 결과, 김정일시기에는 새로 창작된 곡과 기존에 창작된 곡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김정은시기 게재된 노래는 게재되는 시점에서 모두 새로 창작된 곡이었다. 주요 매체 1면에 게재된 곡들은 악단의 공연을 통해 주요 레퍼토리로 소개되는데, 로동신문에 노래가 선 게재 된 이후에 악단의 공연레퍼토리로 활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김정일 집권시기에는 주로 『로동신문』에 선 게재한 이후 『민주조선』에 노래를 게재하는 시간차 전략을 사용했다면, 김정은 집권시기에는 기존 매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려는 새로운 매체활용체계 도입의 경향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시간차를 두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동시다발적으로 활용해 노래를 보급하고 자 한 ‘새로운 노래보급 전략’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김정일의 음악을 통한 통치방식인 ‘음악정치’와 같이 김정은 또한 그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지만 노래를 적극적으로 창작하고 보급하는 데에서 김정일 못지않은 음악의 적극적인 활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북한 매체를 통한 노래전파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의도성을 가진 노래의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북한 지도자의 매체활용체계를 구체화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looked into media paths, through which major songs were disseminated when their scores were published in two major newspapers and five magazines, including Rodong Shinmun, Minju Joseon, and Joseon Central Broadcast, and their characteristics to find out the song dissemination process in North Korean media during the reigns of both Kim Jong-il and Kim Jong-un. It has been identified that North Korea adopted a time lag strategy of publishing songs in Rodong Shinmun first, followed by in Minju Joseon during the reigns of Kim Jong-il while making attempts of utilizing existing media in a variety of manners during the reigns of Kim Jong-un. Put it more concretely, the Kim Jong-un regime has adopted a new strategy of disseminating songs in various media simultaneously without posing a time difference. Much like ‘Music Politics’, a unique governance of Kim Jong-il through the use of music, Kim Jong-un is also shown to take active approach to creating and distributing regime-friendly songs although it takes different forms and styles.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intended songs by analyzing the song dissemination paths through North Korean media and to examining the media utilization system and strategy of North Korean leaderships in a concrete manner.

      • KCI등재

        24-36개월 아동의 조음 변이성 연구

        김희윤(Hee Yun Kim),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2

        배경 및 목적: 24-36개월 아동의 단어 변이성과 음소 변이성을 자발화 상황에서 측정하여, 아동의 월령 집단 간 차이 비교를 통해 초기 음운 발달과정 중에 나타나는 조음 변이성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4-30개월과 31-36개월 일반아동 각 11명씩 총 22명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단어 변이성, 음소 변이성, 자음정확도, 자음목록수를 구하였다. 자발화 수준에서 단어 변이성은 어절 단위로 분석하였고, 정조음과 조음오류를 모두 포함하여 단어 및 음소 변이성을 측정하였다. 두 월령 집단 간에 단어 변이성, 음소 변이성에서 차이가 유의한지 분석하였고, 단어 변이성 및 음소 변이성과 자음정확도 및 자음목록수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30분간 아동이 산출한 발화를 기준으로 단어 변이성을 살펴보면 2세 전반에는 2회 이상 산출한 어절 중 51.55%가 다양한 형태로 산출되다가 2세 후반에는 36.45%로 단어 변이성이 감소하였다. 음소 변이성을 살펴보면 2세 전반에는 아동의 자음목록 중 69%의 음소가 다양한 형태로 산출되다가 2세 후반에는 52.45%로 음소 변이성이 감소하였다. 단어 변이성과 음소 변이성은 모두 자음정확도와 자음목록수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2세에 음운습득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이고 일관된 조음 패턴을 나타낸다는 조음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말소리 발달지연 아동이나 비일관적인 음운 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조음 변이성 정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ticulatory variability of word and phoneme production on spontaneous utterance sample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24 to 36 months. Method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 children age 24 to 30 months and 11 children age 31 to 36 months. Word variability, phoneme variability,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and consonant inventory were measured. Eojeol was a basic unit for analysis of word variability. Both correct articulations and error productions were in-cluded for the variability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ord and phoneme variability measur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and if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articulatory variability measures and PCC and conso-nant inventory. Results: For the children age 24 to 30 months, 51.55% of Eojeols which were produced more than twice showed variable productions and 69% of consonants in the consonant inventory showed variability. For children age 31 to 36 months, word vari-ability and phoneme variability were 36.45% and 52.45%, respectively. Both variability measure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CC and consonant inventor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2-year-old children show progressively stable and consistent articulation patterns along with phonological acqui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articulatory variability in children who have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s or childhood apraxia of speech.

      • KCI등재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을 이용한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정 시의 변인 연구

        김선희(Seon Hee Kim),심현섭(Hyun Sub Sim),하승희(Seung 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1

        배경 및 목적: 구개열 화자의 과다비성 평가에서 청자의 청지각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공통된 기준이나 적절한 평가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평가자의 개별 경험에 의존하여 과다비성을 청지각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다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청지각적 판단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과다비성이 주된 말 문제인 5-13세 구개열 아동들을 대상으로 과다비성의 심각도에 따라 정상, 경한, 중간, 심한 과다비성의 말 샘플을 각각 4개씩 선정하여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 구개열 화자의 청지각적 평가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와 경험이 없는 대학원생에게 말 샘플을 들려주고, 과다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HNPP)의 각 변인을 평정하게 하였다. HNPP는 '전반적인 인상' 외에 '음소의 종류', '일관성', '지속성', '사회적 수용도', '말 명료도'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회귀분석 결과 청지각적 판단에 주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수용도'와 '음소의 종류'이며, '사회적 수용도'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HNPP를 사용함으로써 평가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수용도'를 공통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HNPP의 임상적 적용을 통해 과다비성의 평가 신뢰도 향상과 임상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이며, 구개열 팀 간 과다비성 평가에 대한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것으로 본다. Objectives: The ultimate goal of speech therap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this goal to be achieved, an accurate assessment is crucial in designing appropriate therapy. However, the assessment of hypernasalit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has relied on evaluators' intrinsic and subjective judgment as opposed to external and objective criter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erceptual judgment of hypernasality. Methods: Twelve speech-language therapists (SLPs) and twenty-nine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teen children with cleft palate from 5 to 13 years old were selected for voice samples. All of them had major hypernasality problems. They were asked to read words and sentences as well as to retell a story. Their sixteen audio files were used as perceptual assessment data.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sixteen audio samples and to answer the questions of the 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HNPP). The HNPP consists of the following six factors: general impression, type of phoneme, consistency, frequency, social acceptance, and understandability. A second assessment was performed a week after the first. Results: Regression analysis shows social acceptance and type of phoneme as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the general impression of hypernasality. The social acceptance factor was reveale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LPs tend to rely on social acceptance in the perceptual evaluation of hypernasality rather than their own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