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중유럽 국가의 인허가 절차 비교

        김동욱(Kim Dong-Wook),강정호(Kang Jung-Ho),하동준(Ha Dong-Joon)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계획계)

        As Central Europe countries joined Europe Union in 2004, the investment of multi-national countries on these countries are growing and the construction of plants are increasing. For the effective construction of plants in these countries, a reasonable permission procedure should be necessary for making steady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permission procedures in Central Europe countries and introducing how to cope with different situation.

      • KCI등재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 후 단일 케이지 후방이동의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고영철(Young-Chul Ko),하동준(Dong-Jun Ha),박만준(Man-Jun Park),허정욱(Jung-Wook Huh),박준형(Joon-Hyung Park),이우명(Woo-My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목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 후 단일 케이지의 후방이동의 위험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에서 2017년 1월까지 경추간공 요추간 유합술 시행한 환자들 중 1년 추시 가능한 48명(60개 추간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케이지의 후방이동이 있는 16명(17개 추간판)을 1군, 후방이동이 없는 32명(43개 추간판)을 2군으로 분류하였고, 의무기록과 방사선적 평가를 통해 인구학적 특징, 추간판 모양, 케이지 삽입된 요추 병변, 술 후 추간판 높이 변화, 추간판 내 케이지 삽입 위치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인구학적 인자 및 케이지 삽입된 요추 병변에 따른 각 군(1군 16명, 2군 32명)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군에서 배(pear) 모양 추간판인 경우 9명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고, 술 전, 후 추간판 높이 변화는 1.8 mm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전후방 및 측면 사진상 케이지 위치가 각각 비 중앙(9명) 및 중앙(15명)인 경우 유의하게 더 많았다. 결론: 배모양 추간판, 적은 술 후 추간판 높이 변화, 전후방 및 측면 사진상 비중앙 부위 비전방 부위 케이지 삽입의 경우 후방이동의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이를 토대로 술기에 참고하면 케이지 후방이동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posterior migration of a single cage after transfor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on 48 patients (60 discs) who were followed-up for 1 year after TLIF from January 2015 to January 2017.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containing 16 patients (17 discs) with cage migration and group 2 containing 32 patients (43 discs) without it. Information related to cage migration, such as the demographic factors, shape of disc, level and location of the cage inserted, and disc height change, was acquired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 images, and the possibility for generating posterior migration of cage was evaluated statistically. Results: The demographic factors and cage-inserted level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16 patients in group 1, 32 patients in group 2). In the migration group, number of patients with a pear-type disc, 9 patients, was significantly larger; the disc height change, 1.8 mm, was significantly smaller; and the cage was located frequently on non-center in the anteriorposterior view and center in the lateral view in 9 and 15 out of 16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A pear-type disc shape, small disc height change, cage with non-center on the anteriorposterior view and non-anterior on the lateral view are the risk factors for posterior migration. These factors are important for preventing posterior migration of the cage.

      • 중유럽 장스팬 PC 구조의 설계 및 시공기술

        강정호(Kang Joung-ho),하동준(Ha Dong-Joon),조광수(Cho Kwang-Soo),고지영(Koh Ji-Yeong),정찬호(Jeong Chan-H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As Central Europe countries joined Europe Union in 2004, the investment of multi-national countries on these countries are growing and the construction of plants are increasing. For the effective construction of plants in these countries,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should be accumulated where long span precast concrete is widely applied to reduce construction duration, labor cost and assure quality requir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roducing and comparing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precast concrete in Central Europe.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심부 감염 예측을 위한 감시

        김기용(Key Yong Kim),서승석(Seung Suk Seo),나채오(Chae Oh Na),하동준(Dong Joon Ha),김진석(Jin Se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수술 중 시행한 활액의 배양 검사 결과와 수술 후 흡입 배액관 첨부 배양 검사 결과를 통해 수술 후 합병증인 심부 감염과의 관련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386명 중 수술 후 2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224명(324예)을 대상으로 관찰하였다. 수술 중 시행한 활액의 배양 검사 결과와 수술 후 시행한 흡입 배액관 첨부의 배양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수술 후 심부감염의 발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활액 및 흡입 배액관 첨부 배양검사의 양성률을 퇴행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 편측 및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경우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심부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320예 중에서 수술 중 활액 배양 검사 결과 양성 소견을 보인 경우가 14예, 음성을 보인 경우가 306예였으며 흡입 배액관 첨부 배양 검사 결과 양성을 보인 경우는 9예, 음성을 보인 경우가 311예였다. 합병증으로 감염이 발생한 경우는 4예로 흡입 배액관 첨부 배양 검사 결과 양성을 보인 경우가 1예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 동정되었다. 활액 배양 검사의 경우 특이도가 95.6% 및 음성 예측도 98.7%였으며 흡입 배액관 첨부 배양 검사의 경우 특이도 97%, 민감도 25% 및 양성 예측도 10%, 음성 예측도 99%였다. 활액 배양 검사 및 흡입 배액관 첨부 배양 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 각 진단명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각각 p=0.47, p=0.66). 편측과 양측 슬관절에 수술을 시행한 경우 활액 배양 검사 양성률은 각각 3.2%와 6.31%, 흡입 배액관 첨부의 배양 검사 양성률은 각각 4.0%와 9.47%로 약 두배의 차이를 보이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각각 p=0.31, p=0.10).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활액 및 흡입 배액관 첨부의 배양 검사상 양성 소견을 보이더라도 수술 후 심부 감염의 발생과는 관련성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병원균이 분리 동정되는 경우에는 감염 발생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intra-operative synovial fluid culture and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culture as a method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 deep infection after primary TK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1998 and July 2002, 324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procedures were performed and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l cultures for intra-operative synovial fluid and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culture of intra-operative synovial fluid and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of total 324 primary TKA cases were analyz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redictive value were calculated. positive culture rate for osteoarthritis was compared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the results of a single TKA was compared with both simultaneous TKA. Results: 14 out of 324 knees showed a positive intra-operative synovial fluid culture and 10 cases showed a positive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culture. Only 1 case out of the 4 deep infection cases showed a positive on suction drainage tip culture with 5. aureus being isolated. The specificity of the intra-operative synovial culture was 95.6%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8.7%. The sensitivity of the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culture was 25%, the specificity was 97%,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10%.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9%. The positive culture rate was similar in the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cases (respectively p=0.4717, p=0.6550). However, the culture positive rate between single and both simultaneous TKA was numerically different, approximately 2 times (3.2% vs 6.31% for intra-operative synovial culture and 4.0% vs 9.47% for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cultur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p=0.311, p=0.1 051). Conclusion: In primary TKA, a culture of intra-operative synovial fluid and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ip cannot predict a postoperative deep wound infection. It is recommended that careful observation for other signs of a deep infection be examined when a clinically significant true pathogen isisolated.

      • KCI등재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후 대퇴신경 차단술의 Ropivacaine 농도 변화에 따른 결과 비교

        허정욱(Jung-Wook Huh),박만준(Man-Jun Park),고영철(Young-Chul Ko),하동준(Dong-Jun Ha),박숙현(Sook-Hyun Park),박태홍(Tae-Hong Park),박준형(Joon-Hy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을 줄이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그 중 말초신경 차단술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Ropivacaine을 사용한 대퇴신경 차단술(femoral nerve block, FNB)은 효과적으로 통증을 감소시키나 대퇴사두근력을 약화시켜 낙상 등의 위험성을 높인다. 본 연구는 FNB 시 ropivacaine 농도의 변화에 따라 통증 및 대퇴사두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1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NB의 ropivacaine 농도에 따라 환자들을 세 군으로 나누었다(1군: 0.125% ropivacaine 6 ml FNB, 2군: 0.2% ropivacaine 6 ml FNB, 3군: normal saline 6 ml FNB). 모든 환자는 술 후 3시간째 1% lidocaine 10 ml와 0.75% ropivacaine 10 ml로 FNB를 시행받고 수술 다음날 6시간 간격으로 총 4회에 걸쳐 0.2% ropivacaine, 0.125% ropivacaine, normal saline 6 ml를 도관을 통해 각각 주입하였다.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로 통증 정도를 측정하였고,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grade와 슬관절의 신전 가능 정도를 측정하여 대퇴사두근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술 후 1일 18시와 술 후 2일 6시에 측정한 VAS 점수는 3군이 나머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통증 점수가 높았고, MRC grade는 2군이 나머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으며 슬관절 신전 운동 정도는 2군이 나머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각도가 작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0.125% ropivacaine으로 FNB를 시행하여 대퇴사두근력의 약화 없이 통증 조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eripheral nerve block is one of the many options available to reduce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mong the various kinds of peripheral nerve block procedure, femoral nerve block (FNB) using ropivacaine is a very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pain. However, it has been known to cause weakness in the quadriceps femoris, resulting in an increased risk of fall during ambulation after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FNB on pain and muscle strength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opivacaine.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was performed on 120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who had undergone total knee arthroplasty between January 2016 and December 2016. Patients were divided to 3 group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ropivacaine: Group 1 received 0.125% ropivacaine 6 ml FNB; group 2 received 0.2% ropivacaine 6 ml FNB; group 3 received normal saline 6 ml FNB. FNB with 1% lidocaine 10 ml and 0.75% ropivacaine 10 ml was performed to all groups at 3 hours after surgery. From the day after surgery, each group of patients were injected 4 times with FNB on their own designated concentration of ropivacaine with an interval of 6 hours. The severity of pain was estimat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he strength of quadriceps femoris was measured using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grade and knee extension angle. Results: VAS score in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MRC grade in group 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grades, and knee extension angle in group 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ther groups at 6 pm on the day of and at 6 am on the day after surgery. VAS score, MRC grade, and extension angle of al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t other times. Conclusion: FNB with 0.125% ropivacain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shows effective reduction of pain without inducing quadriceps femoris weakness.

      • KCI등재

        골다공증성 불안정 대퇴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김영창(Young Chang Kim),안기찬(Ki Chan An),김기용(Key Yong Kim),최장석(Jang Suk Choi),정경칠(Kyung Chil Chung),나채오(Chae Oh Na),하동준(Dong Joon Ha),김창완(Chang Wa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고령의 대퇴골 전자부의 불안정 골절 및 분쇄 골절시 활강 압박 고 나사에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TSP)을 추가하여 고정한 경우와 활강 압박 고 나사만으로 치료한 예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 추가사용의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부 불안정 골절로 수술 받은 환자 중 65세 이상이며 T-score-3.0 이하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으며, 6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70예에 대해 활강 압박 고 나사만으로 치료한 군(l군, 38예)과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추가하여 치료한 군(2군, 32예)으로 나누어, 이 두 군을 임상적 그리고 방사선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수술 후 지연 나사의 활강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활강의 정도는 양군 간 8.8 ㎜의 차이를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대전자부의 외측이동 역시 양군 간 6.0㎜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진찰 소견상하지 길이에는 두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수술 후 고관절 기능의 소실은 안정화 금속판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수술 후 정복실패 및 재 고정 수술의 빈도는 활강 압박 고 나사만으로 치료한 군에서 2예로 안정화 금속판 사용군의 1예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TSP)의 추가적 사용은 비교적 간단한 술식이지만, 근위 골편에 대한 지지 효과(buttress effect) 와 추가적인 전자부 고정이 가능하여, 지나친 지연 나사의 활강을 줄이고, 전자부 골편의 외측 전위를 방지하며, 수술 후 기능적 소실을 줄일 수 있어 고령의 골다공증이 동반된 불안정한 전자부 골절 및 전자부 분쇄골절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with a dynamic hip screw, with using a dynamic hip screw only in the treatment of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4, 70 patient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evaluated. The patient's age were above 65 years and the T-score <-3.0 and they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6 months. The pati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treated with DHS only (Group 1, 38 cases),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DHS and TSP (Group 2, 32 case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lag screw sliding.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sliding between the two groups, (an average of 8.8 mm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extent of lateralization of the great trochanter, (An average of 6.0 ㎜ p<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g length between two groups (p>0.05), but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loss of the hip joi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2 (p<0.05), who required additional surgery due to reduction loss or metal failure. Conclusion: Although it is a relatively simple technique, the use of DHS with TSP is more effective for the buttress effect on proximal fragment and additional fixation of great trochanter than just DHS only. It decreases the excessive slippage of the lag screw, lateral displacement of the greater trochanter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loss of the hip joint. Therefore, it may be a useful treatment for unstable or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 무시멘트 확장형 압박고정 비구컵을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

        하동준,전진욱,김영창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4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sult of total hip arthroplasty(THA) with CLS expansion acetabular cup using press-fit technique. Methods and Materials : One hundred primary THA in 85 patient with a CLS expansion cup by press-fit technique were performed consecutively. Eighty-two hips were evaluated for clinical analysis by Harris hip score(HHS), and seventy-one hips were evaluated for radiographic analysis, including stability(cup migration and change of position), remodeling(change of polar gap and trabecular pattern), and early wear of polyethylene after a mean follow up of 4 years and 5 months. Result : Mean HHS was improved from 50.1 points preoperatively to 91.5 points at the most recent follow up. Initial adequate contact fit was found in 64 hips(90%). Radiolographically, optimal stabilities of acetabular cup at the most recent follow up were found in all hips. Polar gap in 31(88%) of 35 hips at postoperative radiographs disappeared at the most recent follow up. Periacetabular trabecular patterns were maintained or improved in all cases. Conclusion : CLS expansion acetabular cup fixation by press-fit technique guaranteed excellent implant stability and acetabular remod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