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련해독탕 추출액의 각막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김인수,서진종,김광곤,하동룡,신민구,김의수,전상윤,Kim, In-Soo,Seo, Jin-Jong,Kim, Kwang-Gon,Ha, Dong-Ryong,Shin, Min-Koo,Kim, Eui-Su,Jeon, Sang-Yu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5 No.3

        Objectives: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measure th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of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and its constituents. All of the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the final product were prepared using high-pressure sterilization for use as medicinal eye drops. The varying forms of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were used to trea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Enterococcus faecalis which are found in keratitis. Methods: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measured by obser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timicrobial activity when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Hwangryunhaedok-tang extract.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dosage of $70{\mu}l$ dosages of 100%, 50%, 10% and 1% the extracted solution by the minimum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 measurement.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dosage strength and bacterial activity from $70{\mu}l$ to $10{\mu}l$ at the same concentration. Results: 1.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Phellodendri Cortex, and gardenia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S. epidermidis, or E. faecalis. 2. Barberry root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S. epidermidis depending on the levels of concentration but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E. faecalis. 3. Skullcap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S. epidermidis when a dosage of 100% extract $70{\mu}l$ was used. However, did no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t all against E. faecalis. Conclusions: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and its constituents such as barberry root, phellodendri cortex, skullcap, and gardenia,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medicinal eye drops to treat keratitis. However, further research on effective uses of and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re needed.

      • KCI등재

        2000년-2009년 광주 광역시 지역의 급성설사환자의 분변에서 분리한 살모넬라 균주에서의 항생제 내성률 조사

        김태순,김민지,김선희,서진종,기혜영,정재근,김은선,문용운,하동룡,김민경,임숙경,남향미,Kim, Tae Sun,Kim, Min Ji,Kim, Sun Hee,Seo, Jin-Jong,Kee, Hye Young,Chung, Jae Keun,Kim, Eun Sun,Moon, Yong Woon,Ha, Dong Ryong,Kim, Min Kyeong,Lim, Suk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2

        지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광주광역시 지역의 급성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총 596개의 살모넬라균주에 대하여 총 16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내성빈도가 가장 높았던 약제는 ampicillin (43%), tetracycline (35.9%), nalidixic acid (31.5%), 그리고 chloramphenicol (26.2%) 순으로 나타났다. 혈청형 간에 항생제 내성률에 차이가 있었는데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이 각각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인 약제는 ampicillin (51.1%)과 tetracycline (77.9%)이었다. 총 89가지 내성패턴이 관찰되었으며, 26% (155/596)의 살모넬라 분리주는 검사한 16가지 약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약 21% (127/596) 및 15% (87/596)의 분리주는 각각 한 개 및 두 개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냈다. 그 외의 살모넬라 분리주(227/596, 38%)는 세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냈다(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혈청형은 S. Paratyphi B (76.5%), S. Typhimurium (58.2%), 그리고 S. Enteritidis (40.2%)의 순이었다. 가장 흔한 다제내성패턴은 ampicillin-chloramphenicol-nalidixic acid-ticarcillin (36/227, 15.8%)이었으며 이러한 패턴을 보였던 다제내성균의 대부분(35/36, 97.2%)이 S. Enteritidis이었다. Antibiotic susceptibility was examined for 596 Salmonella isolates from patients with acute gastroenteritis during 2000-2009 in Gwangju area in South Korea. Of 16 antibiotics tested, ampicillin resistance (43%) was the most commonly observed resistance among the 596 Salmonella sp. isolates, followed by tetracycline (35.9%), nalidixic acid (31.5%), and chloramphenicol (26.2%). Antibiotic resistance varied among serotypes: The highest resistance of S.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was to ampicillin (51.1%) and tetracycline (77.9%), respectively. A total of 89 resistance patterns were observed, and 26% (155/596) of Salmonella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all antibiotics tested in this study. About 21% (127/596) and 15% (87/596)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one and two antibiotics, respectively. The rest of Salmonella isolates (227/596, 38%) were resistant to three or more antibiotic agents. The highest multi-drug resistance (MDR) was observed in serotype S. Paratyphi B (76.5%), followed by S. Typhimurium (58.2%), and S. Enteritidis (40.2%). The most common resistance pattern of MDR isolates was ampicillin-chloramphenicol-nalidixic acid-ticarcillin (36/227, 15.8%), most of which (35/36, 97.2%) were S. Enteritidis.

      • SCOPUSKCI등재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김종필(Jong-Pil Kim),이향희(Hyang-Hee Lee),문제학(Jae-Hak Moon),하동룡(Dong-Ryong Ha),김은선(Eun-Sun Kim),김진환(Jin-Hwan Kim),서계원(Kye-Won Seo*)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극성차를 이용한 용매분획을 행하여 n-hexane층, CHCl3층, EtOAc층, butanol층, 그리고 H2O층을 얻었다. 그중 활성이 가장 높은 EtOAc층을 대상으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행하여 4종의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고, 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4는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methyl gallate, 화합물 1), 3,4,5-tr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 화합물 2), 1,6-di-O-galloyl β-Dglucopyranoside (화합물 3), 그리고 1,4,6-tri-O-galloyl β-D-glucopyranoside (화합물 4)로 각각 동정되었다. 그리고 분리 화합물들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은 화합물 4>화합물 3>화합물 2>화합물 1 순으로 평가되었다. 또 분리된 양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화합물 1과 2는 작두콩 중에 다른 화합물들에 비해 다량으로 존재해있을 것으로 시사되었으며, 이들 화합물이 작두콩의 항산화 활성에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화합물 4는 본 연구를 통해 작두콩으로부터는 처음 분리·동정되었다. The ethyl acetate (EtOAc) layer of Canavalia gladiata (sword bean) methanol extracts showed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layers. Four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layer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prep-HPLC using a guided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methyl gallate (1), gallic acid (2), 1,6-di-O-galloyl β-D-glucopyranoside (3), and 1,4,6-tri-O-galloyl β-D-glucopyranoside (4) based on MS and NMR analyses. Among the four compounds, no. 4 was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Thei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based on SC50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4 (6.9 μM)>3 (8.3 μM)>2 (10.0 μM)>1 (10.3 μM).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유통 중인 즉석·편의식품류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산생 Toxin 및 분자유전학적 특성 조사

        김태순(Tae Sun Kim),김민지(Min Ji Km),강유미(Yu Mi Kang),오그네(Geune Oh),최수연(Su Yeon Choi),오무술(Mu Sul Oh),양용식(Yong Shik Yang),서정미(Jung-Mi Seo),류미금(Mi-Geum Ryu),김은선(Eun-Sun Kim),하동룡(Dong-Ryong Ha),조배식(Bae Sik Cho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3

        즉석섭취·편의식품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직접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B. cereu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여 대부분의 식품에 쉽게 오염되어 식중독을 유발 시킬 수 있는 독소형 식중독균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통 판매중인 즉석섭취·편의식품류 및 식중독이 발생하여 의뢰된 보존식에서 B. cereus의 분리율 및 독소 종류의 분포형태를 파악하였다. 식품 총 619건 중 263건(42.5%)의 B. cereus를 분리하였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 즉석섭취·편의식품류에 대한 B. cereus에 대한 규격기준이 1,000 CFU/g 이하로, 본 실험에서는 규정 범위를 초과한 식품은 없었다. B. cereus 총 263개 분리균주에 대한 9종류의 장내독소 및 1종류의 구토독소를 분석한 결과, NHE complex (nheA, nheB, nheC)중 3개의 nhe 유전자를 모두 보유한 B. cereus는 236개 균주(89.7%), 1개만의 독소를 가지고 있는 균주는 2개(0.8%)뿐이었다. 또한, HBL complex (hblA, hblB, hblD) 중 3개의 hbl 유전자를 보유한 균주는 175개 균주(66.5%), 그리고 한개 혹은 두 개의 hbl 유전자를 가진 균주는 59개 균주(21.7%), 3개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지 않은 균주는 29개 분리균주(11.0%)로 나타났다. NHE complex 유전자의 빈도가 HBL complex 유전자 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내독소 entFM, cytK2, bceT 유전자의 보유율은 각각 100, 100, 43.0% 순으로 확인되었다. B. cereus의 구토 독소인 CER 유전자는 평균 50.2%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식품유형에 따라 식중독 보존식, 즉석섭취 식품, 편의식품에서 각각 100, 59.4, 35.6% 순으로 나타났다. 식품 중 분리한 B. cereus가 산생하는 구토독소를 가지고 있는 B. cereus 균주 중 29.4%에서 8개의 장내독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균주들도 대부분 5-8개의 장내독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식품에서 분리한 B. cereus는 대부분의 균주가 설사형 및 구토형 독소를 보유하고 있어, 즉석섭취·편의식품의 미생물 오염 요인들은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업체의 생산단계부터 저장 및 운반을 포함한 유통단계 등에서 식중독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염원들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철저한 개인 및 환경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xin-producing Bacillus cereus is the causative agent of two different types of food poisoning: the emetic and the diarrheal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genes in 263 B. cereus isolated from 619 different ready-to-eat food items. Hemolytic enterotoxins hblA, hblC, and hblD were detected in 85.6, 41.1, and 76.8%, respectively, of the B. cereus isolates. About 67.0% (175/263) of the isolates presented all of three genes. Non-hemolytic enterotoxins nheA, nheB, and nheC were detected in 100, 97.0, and 68.4% of the isolates, respectively. Approximately 90.0% (236/263) of the isolates presented all of these three non-hemolytic enterotoxin genes. Emetic toxin gene, CER, was detected in 132 of 263 (50.2%) isolates. Computer-assisted cluster analysis of Rep-PCR profiles showed a high genetic diversity among the isolates. All B. cereus isolates from food samples tested in this study carried at least 6 of 10 toxin genes.

      • KCI등재

        1999년 광주지역 식품매개감염증의 유행적 발생에서 분리된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 균주의 Plasmid DNA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양성천,배미옥,김선희,정재근,하동룡,원영준,정선식,류필열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최근 Salmonella는 세균성 식중독의 주 원인균으로 매년 환자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어 국가적인 감시가 필요한 전염성 세균이다. 특히 1999년도에는 S. Enteritidis에 의한 식중독이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집단발생이 있었으며 또한 꾸준히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도에 광주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환자로부터 분리된 S. Enteritidis의 분자역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 1999년도 광주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환자의 분변가검물과 의심되는 식품으로부터 S. Enteritidis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기위하여 plasmid DNA의 분석과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실시하였다. 결과 : 광주지역에서 4월, 7월과 10월에 3건의 집단 발생하여 286명의 환자로부터 203주의 S. Enteritidis가 분리되었으며 산발적으로 발생한 환자에서 16주, 음식으로부터 2주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의 O 항원은 D1(1, 9, 12), 편모(H)항원의 phase Ⅰ은 g, m으로 Enteritidis 혈청형이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 vancomycin을 제외한 대부분의 약제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분리된 균주의 plasmid를 분리하여 분석하였던 바 집단 식중독 환자로부터 분리된 균주는 동일하게 8, 6, 3.8kb의 3개의 plasmid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산발적으로 발생한 환자로부터 분리된 균주에서는 2주에서는 8, 6, 3.8kb의 plasmid를, 10주에서는 8, 6, 3.8, 2kb의 4개의 plasmid를 보유하였다. 또한 음식물로부터 분리된 2균주에서는 4개의 plasmid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환자로부터 분리된 1주와 경상남도 함양에서 집단 식중독을 일으킨 균주에서는 plasmid를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이들 분리균주를 보다 더 자세히 구별하기 위해 RAPD를 분석하였던 바 광주지역에서 분리된 균주는 동일한 특성을 보였으며 경남에서 분리된 균주와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1999년 광주에서 발생한 3건의 집단감염과 산발감염 환자에서 분리된 균주 대부분은 동일한 plasmid DNA와 RAPD 양상을 보여, 모두 동일 클론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되었다. Background : During the past 10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caused by salmonellae in Korea. In 1999, there were several outbreaks and sporadic occurrences of food borne infections due to Salmonella entenca serotype Enteritidis in Gwangju. Thus, there is a need for careful monitoring of its occurrence. Methods : Salmonella Enteritidis were isolated from feces samples of patients with foodborne diarrhea in Gwangju, 1999. We performed antigen typing, examination of biochemical properties, anibiotic susceptibility test, plasmid typing and RAPD analysis to characterize of S. Enteritidis isolates. Results : There were three Salmonella outbreaks (April, July, October), and 203 isolates of S. Enteritidis were isolated from the 286 patients. Eighteen isolates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of sporadic occurrences. Antigenic types of the isolates were 0 antigen; D1 (1, 9, 12), H antigen phase 1; (g, m), serotype; Enteritidis. The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most of the antibiotics. We performed plasmid DNA analysis of the isolates, and the results showed 3 plasmids (8, 6, 3.8 kb) in 14 of 14 strains from outbreaks; 3 plasmids (8, 6, 3.8 kb) in 2 isolates from sporadic cases; 4 plasmids (8, 6, 3.8, 2 kb) in 10 isolates from sporadic occurrences, and 2 isolates from food specimens. However, 1 isolate from patients and 2 isolates from Ham-Yang, Kyung Nam, did not contain plasmids. RAPD analysis showed that all isolates from Gwangju in 1999 showed relatively uniform characteristic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derived from Ham-Yang, Kyung-Nam. Conclusion : The present data demonstrated that most food poisoning cases by S. Enteritidis in Gwangju, 1999, were originated from the same Salmonella Enteritidis strains.

      • KCI등재후보

        Shigella flexneri에 의한 집단발병의 역학적 양상

        기현균,김선희,기혜영,서진종,하동룡,김은선,정재근,김성한,이복권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배경 : 국내에서 Shigella flexneri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집단발병은 2000년도에 국립보건원에 집단발병례가 보고된 이후 보고되지 않았으나 최근 저자 등은 S. flexneri에 의한 대규모 집단발병을 경험하여 역학적인 양상을 기술하였다. 방법 : OO회사의 직원 및 구내식당을 이용한 사람 및 가족들을 대상으로 증상여부 및 2002년 12월 23일 이후 식당이용 여부와 취식음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체를 확보하여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 총 258명 중 총 110명에서 증상이 발생하였으며 증상발생일의 분포는 단일정점을 보였다. 확진자는 82명으로 이중 81명은 OO의 식당을 이용한 사람이었고 1명은 식당에서 직접 조리과정에 참여한 사람이었다. 식사여부와 증상여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24일의 취식여부의 상대위험도가 가장 높았다(RR=6.46, 3.56≤95% CI≤11.75). 항균제 내성 양상은 ampicillin 내성균주가 82균주(100.0%) ampicillin-sulbactam 내성균주가 55균주(67.1%),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한 내성균주가 62균주(74.4%),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내성균주가 82균주로 나타났다(98.8%). 분리된 균주간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실시한 PFGE 결과 본 집단발병에서 확인된 균주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비슷한 시기에 분리된 균주와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집단발병은 국내에서 발생한 S. flexneri에 의한 집단발병 중 가장 대규모 집단발병이었다. 본 집단발병에서 확인된 균주간의 PFGE양상이 동일하였으나 기존에 국내에서 분리된 균주의 PFGE양상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다면 S. flexneri 및 설사환자에 대한 감시체계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Most of the shigellosis outbreak in Korea was caused by Shigella sonnei since late 1990's. In contrast, outbreak by Shigella flexneri were rare since late 1990's. Currently. we experienced the shigellosis outbreak by S. flexneri and describ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Methods : We recruited employees from company "A" who had a meal at least once at the company's cafeteria from Dec 23th, 2002 to Dec 26th, 2002. We surveyed the symptoms, food items, and history of travel of eligible person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we collected specimen from eligible persons and their family. Collected specimens were cultured for bacteriologic agents and viruses.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isolates were analyzed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Results : Among the eligible persons, one hundred ten were symptomatic (110/258, 42,6%). Eighty-two were confirmed bacteriologically. Day of symptom onset showed a unipolar pattern. Diarrhe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mong the symptomatic patients (110/110, 100%). The other symptoms included abdominal pain (81.8%), tenesmus (70.0%), headache (63.6%), nausea (61.8%), febrile sense (59.1%), and vomiting (24.5%). Lunch on 24th Dec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the outbreak (RR=6.46, 3.56≤95% Cl≤11.75). All isolates of the outbreak has the same pattern on PFGE analysis and the PFGE pattern was not similar compared with other S. flexneri isolates from Korea. Conclusion : This is the largest and unique outbreak by S.flexneri since 2000 in Korea. The outbreak has the same origin according to the PFGE pattern and epidemic characteristics. Considering rarity of S.flexneri among shigellosis in Korea, surveillance for S.flexneri should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