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반 국제규범 제정기구들의 의사결정 절차에 관한 비교 연구: IPCC, Codex, OIE를 중심으로

        하대청 ( Dae-cheong Ha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1 국가정책연구 Vol.35 No.3

        지구화가 진전되면서 국제기구와 과학기반 국제규범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어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그동안 국제기구 내에서 이런 국제규범이 어떻게 생산되고 결정되는지 연구한 사례가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환경레짐과 무역레짐에 속한 세 국제기구를 비교하면서 과학에 기반한 국제규범이 결정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s on Climate Change), Codex(Codex Alimentarius), OIE(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의 설립 배경과 의사결정의 주요 요소(동료심사, 개도국의 과학자문위원회 참여, 불확실성 관리 방안)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과학 기반 규범을 결정하는 의사결정 방식은 각 기구마다 서로 달랐는데, 이는 이 기구가 위치한 국제레짐의 성격과 정치적 가시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연구는 이 국제규범 제정 과정에서 그 역할이 미약한 한국이 대안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한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결정을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s globalization progresses, the rol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cience-based international norm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there have been few cases of research on how these international norms are produced and determined with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is study compares the thre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elonging to the environmental regime and the trade regime, and specifically illuminates the process of determining international norms based on scienc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IPCC(Intergovernmental Panels on Climate Change), Codex(Codex Alimentarius), and OIE(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which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nd key factors of decision-making, i.e. peer review system, participation of expert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s, and measures to manage uncertainty) are intensively analyzed. Each decision-making procedure for determining science-based norms was different for each organization, which was thought to depend on the nature of the international regime in which it was located, and its political visibility.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policy makers of Korean government, which has a weak role in the process of enacting international norms, to suggest alternative opinions and to devise ways to induce decisions that are aligned with Korea's interests.

      • KCI등재후보

        사전주의의 원칙은 비과학적인가? : 위험 분석과의 논쟁을 통해 본 사전주의 원칙의 ‘합리성’

        하대청(Ha Dae Che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0 과학기술학연구 Vol.10 No.2

        과학적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위험에 대응하는 규제 정책의 정당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 이런 중요한 불음과 관련해 70년대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사전주의의 원칙이 하나의 대안으로 부상해왔고 국제 환경법 분야에서는 주요 원리로 인정받아왔다. 하지만 이 원칙은 그 정의의 모호함 때문에 위험분석 옹호자들로부터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다. 이 논문은 이런 여러 비판들의 적실성과 부당함을 함께 평가하면서 사전주의의 원칙의 정교화작업을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작업을 통해 얻은 결과를 위험 거버넌스 중 과학적 영역으로 흔히 인정받는 위험평가에 적용해봄으로써 이 원칙의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볼 것이다. 특히, 사전주의의 원칙은 단지 도덕적 태도이거나 정치적 입장일 뿐이라는 일부 시각을 반박하면서 이 원칙이 실제 과학적 활동 속에서 충분히 적용가능한 실제적 원리임을 강조할 것이다. How can a regulatory policy to address potential hazards be made legitimate in the face of scientific uncertainty? The precautionary principle has been gradually regarded as the most persuasive answer to this intricate question in Europe since the 1970s and generally recognized as a guiding principle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This principle, however, has often been subject to diverse concerns and criticisms due to its vague definition. This article tries to elaborate the precautionary principle while reviewing both the validity and unreasonableness of these criticisms over this principle. Then, this article explores the policy relevance of this principle by applying this elaborated definition to the concrete case of risk governance such as the risk assesment of food safety. In the end, this paper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risk governance, refuting the argument tha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s only a moral attitude or a political position.

      • KCI우수등재

        루프 속의 프레카리아트

        하대청(Dae-Cheong Ha)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8

        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과 로봇 기술들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기술과 노동의 관계가 과거와 확연히 다를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기계 학습과 같은 AI는 단순 반복적인 사무 업무뿐만 아니라 복잡한 인지능력이 요구되는 직업까지 대체하면서 대량실업과 같은 어두운 노동의 미래를 가져온다는 예상도 팽배하다. 이 글은 대량실업을 예견하는 논평에 편승하기보다는 거대 디지털 기업의 실제 노동 현장에서 AI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AI와 더불어 인간 노동은 어떤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주목하고자 한다. 인간 대 기계를 대립시키고 이들을 경쟁시키기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인간과 AI가 서로 어떻게 얽히는지 탐색하면서 이러한 과정에서 어떻게 “인간됨 (humanness)”과 “기계됨(machineness)”이 협상되고 구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AI를 구성하고 있는 인간 노동인 데이터 레이블링(data labelling), 콘텐츠 조정(content moderation), 토픽 트렌딩(topics trending)을 차례로 살펴본 후 이 글은 AI의 확산으로 ‘루프 속의 프레카리아트(Precariat-in-the-Loop)’라고 부를 수 있는 저임금의 불안정한 노동이 더 많이 생산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또한 이 글은 혁신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AI 속의 인간 노동을 비가시화하는 ‘노동의 비가시화’와, 정치 · 경제적 고려하에 인간 노동과 AI 노동이 배분되는 ‘경계 짓기의 정치경제’라는 기술정치가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AI와 노동의 미래와 관련해 노동의 소멸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이전에 이런 기술정치에 대항해 AI 기술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할 것이다. With the rapid adv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robot technologies in recent years, it is widely expe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labor will be drastically transformed unlike in the past. Some scholars and visionaries predict a gloomy future for human workers, saying that AI such as machine learning will replace humans’ jobs requiring sophisticated cognition abilities as well as routine clerical capabilities. This paper, far from adding comments to the debates on the massive technological unemployment, pays attention to how AI plays out in working practice of large digital corporations and what missions human workers carry out along with AI. Rather than pitting AI against humans, I explore how AI and humans are intertwined in work settings and how ‘humanness’ and ‘machineness’ are negotiated and constructed in this process. After investigating several human labors constituting AI, such as data labelling, content moderation and topics trending, this paper shows that AI has been increasingly producing lots of precarious low-income jobs, for gig workers whom I call ‘Precariat-in-the-Loop’, rather than just removing lots of human jobs. In addition, I argue that there are two underlying politics of technology, that is, one is ‘the invisiblization of labor’ to make human labor invisible in order to maintain the image as an innovative company, and the other is ‘the political economy of boundary making’ to distribute the work between humans and AI under the consideration of political economy. In the end, this paper suggests that we need to stand up to the dominant politics of technology and ask for mor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AI technology from digital giant companies, rather than discuss the end of labor.

      • KCI등재

        광우병 위험의 사회적 구성

        하대청(Dae-Cheong Ha)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2

        환경 위험에 대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널리 퍼졌지만 지난 2008년 광우병 위험 논쟁을 이런 관점으로 연구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일부 연구들은 그 성과를 분명 보여주었지만, 위험의 사회적 구성을 일관되게 견지하지 못하거나 그 사회적 구성의 구체적 양태를 탐색하는 데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2008년 촛불시위 당시 광우병 위험에 대한 전문가들 사이의 논쟁을 분석하면서 위험 정의와 평가에서의 사회적 구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특정위험물질(SRM) 범위와 한국인의 유전적 취약성을 둘러싼 논쟁들을 분석하면서 위험평가에서 작동하는 실행적ㆍ물질적ㆍ역사적 맥락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의 주장과 달리, SRM이 왜 사회기술적 구성물일 수밖에 없는지, 유전적 취약성을 둘러싼 논쟁이 왜 이해관계에 의존한 해석 차이로만 보기 어려운지를 논증했다. 마지막으로 이런 구체적 연구 결과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위험의 정치화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방법으로 충분히 생산적일지 검토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material and socio-historical context of risk assessment of 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that channelled the violent debates among experts in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08, South Korea. Above all, building on social constructivism of risk, I analyze two major scientific debates, one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SRM(Specific Risk Materials) and another one surrounding the causation between polymorphic genotype and occurrence of disease. I argue that the conflicts among experts can be entirely understood as different ‘scientific practice styles’ and dissimilar socio-technological constructs of risk, rather than, as interest-based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the end, I argue that this result can lead to the alternative policy-makings and the productive research programs that are sensitive to the practical and historical context of risk assessment.

      • KCI등재

        다종적 얽힘과 돌봄 : 코로나 감염병 시대 공번성을 위한 윤리

        하대청 ( Ha Dae-cheong ) 영미문학연구회 2020 안과 밖 Vol.0 No.49

        This paper, drawing on multispecies approach, trie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coronavirus as a symbiosis embracing sacrifice and violence, rather than an opposing or hostile one. I explore how human, animals and virues have been knotted together, which can be called a multispeices entanglement. Viruses, as nonhuman “unloved others,” definitely have an agency but are so difficult to characterize their features or attributes which we can’t scientifically predict and completely control their future.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care for virus-animal-human nexus and the caring should be a slow, affective, mudane and careful practice rather than a control implied by technosciences, in pariticular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s about surveillance against infections and vaccine development. I finally argue that we should seek the ways how human-virus might better flourish together within the complexities of multispeces entanglement, above all through ethics of care and careful labor in worlding.

      • KCI등재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

        하대청(Ha Dae-cheong),차승현(Cha Seung-hyun),김근(Kim Kun),이연호(Lee Yeon-ho),백수진(Baik Su-jin),김명희(Kim Myung-hee) 한국생명윤리학회 2015 생명윤리 Vol.16 No.2

        이 글은 오랜 논란 끝에 지난 10월 영국에서 시행된 미토콘드리아 기증에 관한 법령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수정 및 배아발생 (미토콘드리아 기증) 규칙 (The Human Fertilization and Embryology (mitochondrial Donation) Regulations 2015)’이라고 불리는 이 법령은, 심각한 미토콘드리아 질병이 유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체외수정기술을 사용해 미토콘드리아를 교체하는 것을 세계 최초로 허용했다. 이 글은 우선 미토콘드리아 교체기술이 무엇인지, 이것이 왜 필요한 것인지 그 과학적·의학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이 기술이 가진 윤리적 쟁점들이 무엇인지 주로 이 법령과 연관된 것들 중심으로 조사해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 법령의 주요 내용들을 ‘허용된’ 생식세포와 배아, 부모됨(parenthood)과 알권리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 법령의 주요 내용을 이렇게 분석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주요한 윤리적·의학적 쟁점들에 대해 이 법령이 어떻게 응답했는지를 잘 보여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입장이 어떤 근거와 인식에 기초한 것인지 ‘유전자 변형’의 정의와 잠재적 위험의 평가를 중심으로 답해볼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이 법령의 시행 이후 앞으로 어떤 쟁점들이 남겨져 있는지, 그리고 법체계와 문화가 다른 한국의 현실에서 이 법령은 어떤 과제를 안겨주고 있는지 전망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UK’s new regulations on mitochondrial donation which came into force in october this year after long and contentious debates.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law called ‘The Human Fertilization and Embryology (Mitochondrial Donation) Regulations 2015’ allows mitochondrial replacement using IVF(In Vitro Fertilization) to prevent the transfer of serious mitochondrial disease from mother to child. This paper firstly shows what the mitochondrial replacement technologies are and why those have been desperately demanded by patient groups. And then it examines into major bioethical issues surrounding these technologies. Next, it analyses how this law addressed those difficult issues such as potential risks, parenthood and right to know, which finally illuminates how this law redefines ‘genetic modification’ and interprets the potential risks of those technologies to avoid ethical controversies. In the end, it investigates what issues still remain after the enforcement, and what additional problems we have to address in the different legal and cultural settings of South Korea from those of UK.

      • KCI등재

        “2007년 과학” 대 “2008년 정치”?: 광우병 논쟁과 과학 자문의 정치 문화

        하대청 ( Dae Cheong Ha ) 한국과학사학회 2015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7 No.3

        The safety standard on beef imports, to which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greed in a negoti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n 2008, caused largescale protests of citizens who had concerns about the possible risk of mad cow disease. This newly-settled standard was criticized as ignoring the more strict standard suggested by an expert advisory committee in 2007. It was assumed that the “political” power in 2008, expecting that the US Congress would ratify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must have subdued the “scientific” advices of experts in 2007. This paper, regarding this situation as a tricky but significant controvers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advice and policy-making, analyzes the detailed practices of an expert advisory committee and a consultation meeting with stakeholders called the Animal Disease Control Council. This will show that scientific advice was entangled with political and cultural considerations, and especially that economic globalization contributed to a specific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cientific advice on mad cow disease. This paper finally argues that the political culture of scientific advice deserves more attention, as it not only helps explain the controversy over mad cow disease but also disclose diverse factors underlying constraining risk assessment and the negotiation and boundary-making with policy-making.

      • KCI등재

        ‘위로부터의 지구화’와 위험담론의 역사적 구성

        하대청(Dae-Cheong Ha) 한국환경사회학회 2014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8 No.1

        이 논문은 역사적 담론분석을 통해 2008년 미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의 계기가 된 광우병 위험 논쟁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정치학자 하제르(Maarten Hajer)가 담론분석에 사용했던 개념들에 의존해 2008년 당시 발병사례가 없었던 광우병 위험이 왜 그토록 논쟁적이고 정치적으로 폭발적일 수 있었는지 해명하고자 한다. 80년대부터 이미 주요한 통상현안이었던 쇠고기 문제는 WTO의 농업부분 자유화와 한미 FTA 추진 등을 겪으면서 주요한 건강 위협으로 부상하면서 한국사회의 핵심적 공적 문제가 되었다. 이 연구는 특히 이런 ‘위로부터의 지구화’가 어떻게 개방담론과 위험담론 사이, 그리고 위험담론과 정의담론 사이의 연합을 유도하고 대항지식의 성장과 위험인지의 확산을 가져오는지 보여주고자 했다. 결구 이 연구는 실제적 위험과 만들어진 위험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위험의 실재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왜 특정한 위험만이 정치적 이슈가 되는지, 다시 말해 위험담론의 선택과 배제 효과를 이해하는 데에도 단초를 제공해줄 것이다. This paper, drawing on historical discourse analysis, tries to understand the controversy over ‘Mad cow disease(called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that was the direct cause of the Candlelight Vigils against the resumption of US Beef imports in 2008. Using several concepts that political scientists Maarten Hajer used for his discourse analysis, I will illustrate why Mad cow disease with no case of disease occurrence at that time was so controversial and politically explosive. As shown later, the age-old trade issue since the 1980s, ‘the beef problem’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major one of the public risk discourses through the agricultural trade liberalization of WTO and the Korea-U.S. FTA negotiation. In this regard, I will analyze how this ‘economic globalization from above’ shaped the alignment between ‘trade liberalization discourse’ and ‘risk discourse’, the unexpected growth of the expertise and knowledge of counter-experts and the proliferation of risk awareness. Also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provide a way to grasp the meaning of ‘realness’ of the risk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the real risk and the fabricated risk, an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to public problem of a certain risk.

      • KCI등재

        재현적 증거에서 존재론적 증거로

        하대청(Dae Cheong Ha),이강원(Kang Won Lee),임소연(So Yeon Leem)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1

        This paper highlights the ways in which natives employ the concept of ‘evidence’ in the field and attempts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its concept. Although evidences are consistently located in questions that anthropologists encounter during their research, its concept itself has been rarely discussed in earnest. By focusing on three cases of fieldwork, which study debates and practices of scientists, medical doctors, and engineers, respectively, this paper looks at how those natives produce, use, and justify their evidences.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of ‘their evidences’ has enabled anthropologists to reflect on how we imagine and make use of ‘our evidences.’ In this paper, while evidences that anthropologists have predominantly assumed are defined as ‘representational evidences,’ ‘ontological evidence (Holbraad 2008)’ is redefined and proposed as a new concept of evidence. Lastly,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cept of ‘ontological evidence’ not only negates hierarchies between natives` and researchers` evidences but also resolves confrontations between science and anthropology.

      •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차승현(Seung Hyun Cha),하대청(Dae Cheong Ha)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7 생명, 윤리와 정책 Vol.1 No.2

        최근 의료 트렌드 변화에 따라 인체유래물의 자원으로서 가치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체유래물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서는 인간대상연구와는 별도로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에 대한 ‘동의’ 조항과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동의 면제’ 조항을 동시에 규정해 두고 있다. 그러나 해당 조항의 적용에 있어 그 해석을 두고 논란이 있으며, 이러한 논란으로 인하여 동의면제 판단에 혼선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행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제37조제3항에 따라 인간대상연구의 동의면제 기준인 제16조제3항을 인체유래물연구에도 준용하는데, 제16조제3항의 ‘현실적으로 불가능’, ‘심각한’, ‘위험이 극히 낮은’ 등 개별 요건이 모호하다는 문제가 있다. 모호한 기준은 자의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인체유래물 연구자는 법 적용의 일관성을 기대할 수 없고 나아가 법적 안정성을 해칠 소지가 크다. 이 글은 헬싱키 선언 및 타이페이 선언, CIOMS 가이드라인과 같은 국제 규범과 미국의 개정 45CFR46 등에서 인체유래물연구 시 동의 면제 기준을 검토하고 현행법상 인체유래물연구의 동의 면제 요건이 합리적 범주로 타당한 것인지 검토했다. 이를 통해 ‘현실성’, ‘최소위험’, ‘연구의 공익적 가치’라는 세 가지 기준이 인체유래물연구의 동의 면제 판단 시 유효한 판단 기준이 될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상 인체유래물연구의 동의면제 요건 해석의 바람직한 방향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했다. Recent medical trends have changed the value of human-derived materials as a resource. Accordingly, there is a strong voice that a system should be set up to facilitate the use of human derivatives. In our "Law on Bioethics and Safe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ioethics Law "), apart from human subject research, the" consent exemption "clause is specified as an exception to the" consent "clause and the principle of research use of human derivatism is.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 and due to this controversy. In accordance with Article 37 (3) of the current Bioethics Act, Article 16 (3), which is the consent exemption standard for human subjects, is also applied to the study of human derivation. The term "practically impossible", "serious" Low "and so on. Ambiguous standards enable arbitrary interpretation. Therefore, researchers of human derivatives can not expect the consistency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and they are more likely to lose legal stability. In this article, we review international norms such as the Helsinki Declaration, the Taipei Declaration, the CIOMS Guidelines, and the amendment standard of 45CFR46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consent exemption criteria in the case of human derivatives research. . The three criteria of "reality", "minimum risk" and "public interest value of research" are considered to be valid criteria in judging the exemption of consent of human body research. Therefore, I would also like to consider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requirement for the exemption of con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