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유형에 따른 영유아기 자녀양육 경험

        팜티휀짱 ( Pham Thi Huyen Trang ),김영순 ( Young Soon Kim ),박봉수 ( Bong Su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유형에 따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4가지의 가족유형에 속한 현재 인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7월부터 시작하여 2014년 5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Colazzi (1978)의 분석 기법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은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회에 한 시간 정도 소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 부모가정에서 경제적 어려움, 자녀를 위한 희생, 한국의 친척 및 가족과 단절, 자녀의 정서적 불안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부모가정에서 자녀양육에 대한 남편과의 갈등, 베트남 문화 계승, 남편의 불신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부모와 같이 사는 시부모가정에서는 시어머니는 가정교사, 양육방식 으로 인한 고부 갈등, 자녀는 고부갈등의 해결사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트남 친모가정에서는 한국에서 고생하는 딸을 위한 희생, 친모와 갈등, 친모에 대한 죄책감 등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을 원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문화에 대한 소개와 교육이 잘 이루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족들에게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특히 시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우에는 시어머니와 결혼이주여성 간의 생활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원활한 관계를 촉진하는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사회의 사회공동망을 구축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of each family type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ose parenting experiences. Therefore, we have collected the data from 8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hich have been divided into 4 family types in Incheon, South Korea. In the way of in-depth interview, we have conducted an analysis by using Colaizzi`s(1978) methodology. The research has been executed from July 2013 to May 2014. All interviewees have been interviewed face-to-face individually. These interviews have been carried out in three times and separated by one hour one time. There are four common family types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1) single parent family because of divorce and the woman has custody of children; (2) nuclear family with parents and their children; (3) extended family composed of parents, parents in law and their children; (4) extended family consisting of parents, children and aunts or grandmothers invited to care children. For most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s, especially the women group, one the one hand, it is vital for them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culture an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our society also has the responsibility to diffuse the multi-culture of Vietnamese. Particularly, living together with their parents-in-law, Vietnamese women always have a lot of communication barriers to understand traditional Korean family culture and the promotion of relationship. We consider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ome supplement system for these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part is to set up their proper social network.

      • KCI등재

        이중적 어려움 :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

        이영선(Lee, Youngsun),김금희(Kim, GumHee),민기연(Min, Ki-Yeon),박미숙(Park, MiSuk),박순덕(Park, Soonduk),방현희(Bang, Hyunhee),선곡유화(Seongok, Yuhoa),이석란(Lee, Sokran),전경미(Chun, Kyungmi),팜티휀짱(Pham, Thi Huyen Trang),이설희(L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낯선 환경과 문화권에서 장애자녀를 양육하며 이중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부모, 특히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시작으로 장애 자녀의 양육, 특수교육 및 지원프로그램 참여 등 장애가정으로서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 경기, 인천, 경북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부모 2쌍(필리핀, 베트남 출신의 여성 및 그들의 한국인 남편)과 여성결혼이민자 9명(필리핀인 2명, 중국인 3명, 베트남인 2명, 일본인 2명)을 포함한 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는 개별로 이루어졌고 면대면 또는 전화인터뷰로 진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전사 작업을 통해 요인별, 영역별로 정리하여 범주화 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자녀의 부모”, “학교라는 높은 벽 그리고 작은 나”라고 하는 2개의 대주제와 5개의 하위 주제로 정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정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ing a child with disability in Korea. Using purposive sampl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 sets of parents and nin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ranslat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wo main themes regarding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multicultural family and a parent of a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ir experiences and needs as working with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e regarding serv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pecial education system were discus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more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diverse population with specific needs should be conducted in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