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과 뷰티 유행색의 비교 분석

        곽혜선(Hyeasun Kwak),추선형(Sunhyung Choo),이연희(Younhee Lee)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최근 패션, 뷰티 산업 간에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아이템 기획 및 마케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패션과 뷰티 산업은 밀접한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패션과 뷰티는 하나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으로 유행의 변화도 동일하게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산업 간에 공유하는 트렌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패션과 뷰티 산업분야에서 매 시즌마다 제시되는 유행색 정보를 2010년부터 2013년 SS시즌까지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패션과 뷰티 유행색은 YR, Y계열이 가장 중심 색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거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인 유행색으로 제시되었던 R계열 색상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었으며 대신 YR계열 색상의 비중이 패션과 뷰티 모두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은 뷰티보다 다양한 색상과 색조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 분야에서는 SS시즌에 다양한 색상을 활용하고 FW시즌에는 색상보다는 색조에 집중되어 색채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분야에서는 특히 G, BG 색상은 아주 낮은 빈도로 활용되며 색조에 있어서도 dl색조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패션과 뷰티 유행색을 상호 비교해 본 결과 연도별로 중심이 되는 색상과 색조의 경향은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었고 특히 계절별 분포 변화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패션에서는 활용도가 높은 무채색의 비중이 뷰티에서는 낮게 나타났고 또한 RP 색상이 뷰티 분야에서는 꾸준히 활용되는 색상으로 나타나 패션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넷째, 2012년으로 갈수록 내추럴 이미지가 중심 트렌드로 부각되어 패션과 뷰티 산업 모두 내추럴이미지 연출을 위한 색채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패션과 뷰티 산업이 트렌드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것이 색채 연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앞으로 패션과 뷰티 산업을 위한 색채 기획을 위해서는 분야 간 협력을 통해 색채 제품 기획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Active new item projects and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the beauty industries these days imply that they are becoming more and more closely linked. In particular, as fashion and beauty must be in harmony, changes in the trend are equally reflected in both of them. Henc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 shared by the two industries, this study the information on these industries’ trend colors for each season between 2010 and spring/summer 2013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learned that yellow-red and yellow-based colors are the trend colors in the current fashion and beauty. In particular, red-based colors, which were accepted as trend colors in previous studies, are now less commonly used, while the proportion of yellow-red-based colors used is on the increase in both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fashion industry uses a wider range of colors and tones than the beauty industry. The fashion industry uses various colors during spring/summer seasons, and focus more on tones in fall/winter seasons. In the sphere of beauty, green and blue-green-based colors are very seldom used, and tend to focus on dull tones. Third, comparing the trend colors of the fashion and beauty, both areas showed the same color and tone trends in each year, especially seasonal color trends. Achromatic colors were commonly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whereas this was not the case in the beauty counterpart. Also, unlike in the realm of fashion, red-purple colors were used in the beauty sector on a steady basis. Finally, as time went on, natural images were becoming magnified as the main trend, meaning that both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are focusing more on colors for the purpose of creating natural images. This implies that the two industries are sharing the trend, which is reflected in the colors that they express. Hence, it shall be more effective to plan color uses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글로벌 스트리트 패션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주나안(Naan Ju),이지명(Jimyung Lee),추선형(Sunhyung Choo)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지난 20세기 도시가 산업화되고 계층 간 불균형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젊은이들은 기존 주류집단과 자신들을 구별하고자 스트리트 패션을 탄생시켰다. 스트리트 패션은 독특한 스타일과 착장 방식으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새로운 유행으로 끊임없이 재창조 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리트 패션의 색채 특성에 관해 분석하고 이를 지역별, 성별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각 나라별 스트리트 스타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스트리트 패션 전문잡지인 C매거진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색채 분석은 Photoshop과 Munsell Con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배색 분석은 색상 배색을 활용하여 지역과 성별에 따라 나누어 빈도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시아와 아메리카에서는 멀티컬러(Multi colors)가, 유럽에서는 PB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PB와 멀티컬러를 제외하고 나머지 색채들은 세 대륙 모두에서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으며 R 색채에 있어서만 차이를 보였는데, R 색채는 아시아에서 특히 선호되었다. 대륙별 무채색 선호도를 살펴보면, 모든 대륙에서 BK(검정)계열이 80% 이상을 차지하여 WH(흰색)색채보다 선호되었다. 성별 유채색 선호도를 살펴보면, 남성은 PB를 가장 선호하고, 여성은 멀티컬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페이즐리, 도트, 체크, 레오파드, 지브라 등 패턴이 있는 옷을 많이 입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성별 무채색 선호도는 대륙별 무채색 선호도와 마찬가지로 남, 녀 모두 BK 색채를 80%이상 착용하여 성별 무채색 선호에는 차이가 없었다. 배색에 있어서도 대조색과 유사색에 대한 선호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아시아지역에서의 대조배색의 선호도가 다른 대륙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나 아시아 지역의 스트리트 스타일이 색채적으로 더 화려한 감성을 표현한다고 분석 할 수 있었다.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equalities between social classes were intensified and young people want to distinguish themselves with mainstream groups. Street fashion has been emerged from these grassroots inspires to many designers and their unique fashion styles and ways to wear have made new style consta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by gender and region in street people’s preference color and color coordination. In this study, it was reviewed on the history of street fashion and color trends of street fashion via previous literatures. As an empirical study, it was investigated on the street people’s preference color and color coordination in street fashion magazine C from 2010 to 2011. Total 2231 photos were used for analysis and Photoshop and Munsell conversion software used for color analysis and color coordination scheme system was based on the Munsell hue system-b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while the most popular color in Asia and America was multi colors, but Europe was PB color. Beside R color, the other colors had similar preference in all continents. Asian more like R color than European and American. For the achromatic color, most street people favor BK color regardless of continent. Second, there is no big difference of pre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ccording the result, male prefer PB color and female prefer multi colors. Because usually female more wears patterned clothing such as paisley, floral, dot, check, leopard, zebra than male. In the achromatic color, more than 80% of street people like BK color regardless of gender. Third, in the color coordination,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Asian, European and American. All continents more prefer complementary and analogous than monochromatic. Especially since they tend to express their style more strikingly, Asian’s preference of complementary color is little higher than other contin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