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열 난방시스템을 이용한 분만돈사의 난방효과 분석

        최희철,박재홍,송준익,나재천,김민지,방한태,강환구,박성복,채현석,서옥석,유영선,김태원,Choi, H.C.,Park, Jae-Hong,Song, J.I.,Na, J.C.,Kim, M.J.,Bang, H.T.,Kang, H.G.,Park, S.B.,Chae, H.S.,Suh, O.S.,Yoo, Y.S.,Kim, T.W.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3

        Geothermal heat pump system (GHPS) is an energy-efficient technology that use the relatively constant and renewable energy stored in the earth to provide heating and cooling. With the aim of using GHPS as a heating source, it's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in farrowing house were examined by measuring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sow's performance. A total of 96 sows were assigned to 2 pig housings (GHPS and conventional housing) with 48 for four weeks in winter seas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door maximum temperature in GHPS-housing was measured up to $26.7^{\circ}C$, average temperature could maintain $21.2^{\circ}C$. The mean value of dust levels and $CO_2$, $NH_3$ and $H_2S$ gas emissions were decreased in GHPS-housing compare with those of conventional housing. Litter size, birth weight, parity and weaning weight did not differ between housings. However, feed intake of sow in GHPS-housing wa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housing. In energy consumption for he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creased in GHPS-housing than the conventional housing, a 2,250 kwh increase, whereas there is no fuel usage for heater in GHPS-housing. Amount of ground water circulated for heating in cold weather for earth heat exchanger was 8.4-12.9 ton per day. In conclusion, GHPS may have environmental benefits and effectiveness of heating in farrowing housing and affect the performance in sows. 지열히트펌프를 이용한 축사용 냉난방시스템을 개발하고 농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330 $m^2$ 규모의 농장에 개발 시스템을 설치하여 돈사에서의 난방 이용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열 난방시 부하량은 24,104 kcal이었으며 농장시험 지열이용 냉난방시스템의 제원은 히트펌프 용량은 10 USRT 였으며, 상부 덕트형 30,000 kcal 홴코일유니트를 사용하였으며 FCU의 풍량은 90 $m^3$/분 이었다. 2. 지열 난방 1주령시 외부 최고기온 $14.2^{\circ}C$, 최저 영하 $9.3^{\circ}C$일때 시험구는 평균 $21.5^{\circ}C$로서 대조구 $19.8^{\circ}C$에 비하여 높았다. 3. 지열 난방 시험돈사의 먼지 농도는 PM10 185.3, PM2.5 40, PM1.0 $23.4{\mu}g/m^3$으로 대조구 PM10 481.4, PM2.5 47, PM1.0 $28.2{\mu}g/m^3$에 비하여 낮았다.4. 지열 난방 시험돈사의 유해가스농도는 $CO_2$ 1,470, $NH_3$ 10.6, $H_2S$ 0.05 ppm으로서 대조구 $CO_2$ 2,025, $NH_3$ 23.3, $H_2S$ 0.69 pp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5. 지열난방시 복당 이유두수는 10.5두로 대조구 10.4두에 비하여 높았으며 이유시체 중도 6.93 kg으로 대조구 6.86 kg에 비하여 컸으며 특히 온도가 낮은 대조구에서 모돈사료 섭취량이 99.6 kg으로 시험구 88.2 kg 보다 유의적으로 (p<0.05) 많았다. 6. 지열 난방시 외부기온과 지하수 순환량에 있어서 외부기온이 낮을 경우 1일간 8.4-12.9톤으로 지하수 순환량이 많았다.

      • 양계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계사 시설현황 분석

        최희철,감동환,나재천,방한태,유동조,서옥석,송준익,전병수,전중환,유용희,이상철,김정수,이동흥,Choi, H.C.,Kham, D.H.,Na, J.C.,Bang, H.T.,Yu, D.J.,Suh, O.S.,Song, J.I.,Jeon, B.S.,Jeon, J.H.,Yoo, Y.H.,Lee, S.C.,Kim, J.S.,Lee, D.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2007년 5월 1일을 기점으로 전국의 30,000 수 이상의 닭 사육농가 1,965호를 대상으로 계사 시설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사의 평균 건축년도는 1996년 8월 이었으며 농가당 평균 계사면적은 $2,848.6m^2$로 건축대장 등재면적은 건축총면적의 52.1%이었다. 2. 계사 건축형태는 윈치커튼형 개방계사 47.7%, 간이계사 19.8%, 무창계사 19.0% 등으로 윈치커튼형 개방계사가 가장 많았으며 100,000 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의 49.2%는 무창계사로 시설하였다. 3. 급수기는 사육규모가 클수록 니플형 급수기를 사용하는 추세였으며 50,000 수 미만은 니플급수기가 33.2% 이었으나 100,000수 이상은 69.5%가 니플급수기를 이용하였다. 4. 급이기는 디스크식이 54.5%로 가장 많았으며, 100,000 수 이상 농가는 디스크식 46.5, 호퍼식 22.5, 체인식 24.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해서 디스크식과 체인식을 선호하였다. 5. 50,000 수 미만 농가의 케이지는 A 타입 케이지가 74.2%로 많았으나 100,000 수 이상 농가는 직립식이 69.4%로 더 많았다. 6. 계분을 계사에서 계사밖으로 수거하는 형태는 벨트형 71.5%, 스크레이퍼 29.4% 이었으며 집란은 자동집란 49.5%, 자동집 선란 25.9%로 집란만 자동화 된 농장이 더 많았다. 그러나 100,000 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 중 14.9%는 자동집 선란이후 포장까지 수행 하였다. 7. 지붕 재질은 보온덮개 28.0%. 판넬 19.0 %, 갈바륨 12.9% 등으로 아직도 보온덮개를 이용하는 계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100,000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는 판넬의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다. 8. 단열재는 보온덮개가 35.3%로 스티로폼 14.0%, 우레탄 13.1%, 샌드위치패널 9.6% 보다 많았다. 9. 환기 방식은 윈치커튼을 이용한 자연환기 40.5%, 자연환기와 기계식 혼합 39.8%, 기계식 무창 20.7% 이었으나 100,000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는 기계식환기를 하는 무창계사가 51.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housing type in poultry farms in Korea. The number surveyed among the farm size over 30,000 heads was 1,965 farms. Poultry housing types of windowless, open sided, vinyl house type were 19.0, 47.7, 19.8%, respectively. Waterers of nipple, bell, and 8 feet trough used in smaller than 50,000 heads of poultry farm were 40.6, 11.3 and 42.8%, respectively. But the bigger farm in the farm size of over 100,000 heads used more nipple waterer. Feeders of disk, hopper and chain used in poultry farm were 54.5, 16.3, 15.8%, respectively. Manure collecting system of scraper and belt was 29.4, 71.5 %, respectively. Ventilation systems of natural ventilation, natural + mechanical ventilation, mechanical ventilation were 40.5, 39.8, 20.7%, respectively.

      • 변형된 사이클론 먼지포집기의 이용이 무창계사의 먼지농도에 미치는 영향

        최희철,연규영,송준익,강희설,권두중,유용희,양창범,천상석,김용국,Choi, H.C.,Yeong, G.Y.,Song, J.I.,Kang, H.S.,Kwon, D.J.,Yoo, Y.H.,Yang, C.B.,Chun, S.S.,Kim, Y.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변형된 사이클론식 먼지포집기를 이용하여 계사의 먼지농도를 낮추고자 먼지포집기를 개발하였으며 무창육계사에서의 먼지 저감효과를 알아보고자 경기 화성 소재 육계농장의 무창계사에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계사의 환기량은 2주령시 $0.014{\sim}0.015cmm$ 이었으며 5주령시에는 $0.158{\sim}0.181cmm$이었다. 암모니아가슬 농도는 1주령시 $13{\sim}16\;ppm$, 2주령시 $20{\sim}24ppm$이었으며 $CO_2$ 농도는 1주령시 400-500ppm이었으며 2주령 시 $1,000{\sim}2,000ppm$이었다. 2. 먼지포집기의 기계별 1주간 먼지포집량은 1주령시 104.1g, 2주령시 274.7g, 3주령시 388.6g으로 증가하다가 4주령에는 감소하였다. 3. 먼지포집기의 주령별 먼지 포집효율은 TSP의 경우 먼지포집기를 통과하기전 $3,111.7{\sim}8,745.2\;{\mu}g/m^3$로 높았으나 먼지포집기를 통과하고 난 후 $530.8{\sim}2,264.4\;{\mu}g/m^3$로 낮아져 $54.2{\sim}82.9%$의 효율을 보였으나 PM1.0의 경우 통과전 $15.2{\sim}39.0\;{\mu}g/m^3$에서 통과 후 $11.9{\sim}34.9\;{\mu}g/m^3$로 $7.6{\sim}33.8%$의 낮은 포집효율을 보였다. 4. 대조구의 경우 1주령시 TSP 농도는 $1,387.6\;{\mu}g/m^3$, 4주령시 $4,210.1\;{\mu}g/m^3$으로 높았으나 먼지포집기가 설치된 시험구의 경우 1주령시 $876.3\;{\mu}g/m^3$, 4주령시 $2,535.3\;{\mu}g/m^3$으로 $36.8{\sim}39.8%$의 먼지 저감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PM2.5, PM1.0의 경우 $11.4{\sim}39.8%$의 낮은 먼지저감 효과가 있었다. 5. 대조구의 경우 폐사율은 4.06%이었으나 시험구는 3.13%으로 낮아졌으며 출하체중도 대조구는 1.658kg인데 비하여 시험구는 1.742kg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modified cyclone dust collector in windowless broiler building measuring 12 m wide, 46 m long, with a side wall height of 3 m and a capacity of 12,800 birds. Ventilation rate in windowless broiler building was $0.014{\sim}0.015\;and\;0.158{\sim}0.181cmm$ in second weeks and fifth weeks of age, respectively. Ammonia concentration was $13{\sim}16\;and\;20{\sim}24\;ppm$ in first and second weeks of age, respectively. Amount of dust collected in dust collector each week was 104.1, 274.7 and 388.6g in first, second and third weeks of age. But it was decreased from fourth weeks of age because of the increased ventilation rate. Total suspended particulate(TSP) of polluted air was $3,111.7{\sim}8,745.2{\mu}g/m^3$, but it was decreased to $530.8{\sim}2,264.4{\mu}g/m^3$ when it pass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Collecting efficiency was $54.2{\sim}82.9%$ in TSP. But collecting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smaller than $1{\mu}g$ (PM1.0) was $7.6{\sim}33.8%$, and lower than TSP. TSP concentration in control broiler house was 1,387.6 and $4,210.1{\mu}g/m^3$ in first and fourth weeks of age, respectively. But it was decreased to 876.3 and $2,535.3{\mu}g/m^3$ in broiler house operated dust collector in first and fourth weeks of age, respectively. Dust collecting efficiency for TSP was $36.8{\sim}39.8%$, and it was decreased to $11.4{\sim}39.8%$ in smaller dust size.

      • 축분을 이용한 활성탄소 제조와 이의 악취 흡착성 분석

        최희철,송준익,권두중,곽정훈,양창범,유용희,박영태,박경섭,박동금,김용국,Choi, H.C.,Song, J.I.,Kwon, D.J.,Kwag, J.H.,Yan, C.B.,Yoo, Y.H.,Park, Young-Tae,Park, K.S.,Park, D.K.,Kim, Y.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3

        본 시험은 축분을 이용한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축분의 처리방법을 다변화하고 제조된 활성탄소의 토양개량재, 악취흡착재 등 농업적 이용을 모색하기 위하여 악취제거시험 등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축분을 건조, 펠렛화 과정을 거친 후 $400^{\circ}C$에서 1시간 탄화처리하고 $750^{\circ}C$에서 1시간 활성화처리시 활성탄소가 제조되었다. 2. 축분의 회분 함량은 돈분퇴비가 11.9%로 낮았으나 계분퇴비 29.8%, 젖소깔짚 40.7%로 높았다. 휘발성물질은 젖소깔짚 11.6%, 계분퇴비 18.8%, 계분 31.0%, 돈분퇴비 22.3% 이었으나 육계깔짚은 49.8%로 높았다. 3. 축분활성탄소의 비표면적은 계분퇴비 259.8, 계분 209.8, 돈분퇴비 442.3, 젖소깔짚 $812.9\;m^2/g$으로 야자각 활성탄소 $1,040\;m^2/g$ 보다 낮았으며 미세기공의 크기는 육계깔짚 $5.02\;{\AA}$으로서 큰 반면 젖소깔짚은 $0.39\;{\AA}$으로 야자각 활성탄소와 비슷하였다. 4. 축분활성탄소의 요오드 흡착능력은 $530{\sim}580mg/g$으로 야자각 활성탄소의 1,000 mg/g 보다 낮았다. 5. 암모니아가스의 흡착율은 계분이나 계분퇴비로 만든 활성탄소가 가장 낮았으며 젖소깔짚 활성탄소가 가장 높았으며 계분퇴비 활성탄소는 20분 경에 흡착 포화에 도달하는 반면 젖소깔짚 활성탄소는 40분이 되어서 흡착 포화에 도달하였다. 6. 황화수소의 경우 휘발성물질이 비교적 많은 육계깔짚, 계분퇴비, 산란계분 등으로 만든 활성탄소에서 흡착율이 낮았으며 젖소깔짚 활성탄소에서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ctivated carbon from livestock manure and to analyse it's odor absorptiveness. Each of layer manure(LM), litter from broiler house(BL) and litter from dairy barn(DL), compost from layer manure(LC) and pig manure(PC), and coconut shell(CS) was used as a raw material. Activated carbon by grinding the raw material, adding the coal tar as a binder, palletizing, drying, heating with $N_2$ gas at $400^{\circ}C$ for 1 hour, activating by reaction with steam at a temperature of $750^{\circ}C$ for 1 hour. Moisture contents of raw material was 44.9% in layer compost, 71.9% in layer manure, 24.4% in broiler litter, 47% in pig manure compost and 33.9% in dairy litter. Volatile matter in layer compost, layer manure, broiler litter, pig manure compost and dairy litter was 18.8%, 31.0%, 49.8%, 22.3% and 11.6%, respectively. Surface area(BET) of activated carbon from layer compost, layer manure, broiler litter, pig manure compost, dairy litter and coconut shell was 259.8, 209.8, 63.5, 442.3, 812.9 and $1,040\;m^2/g$, respectively. Activated carbon made by livestock manure or litter were examin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micropore was a type of sponge like particles honeycombed with chambers. Pore size of activated carbon was ranged from 0.39 to $5.02\;{\AA}$, but coconut shell was $0.30\;{\AA}$. Iodine absorptiveness of activated carbon from livestock manure was $530{\sim}580mg/g$. But activated carbon made by coconut shell was 1000 mg/g. Each activated carbon could absorb odor compound very well. Absorptiveness of activated carbon from layer manure for hydrogen sulfide and trimethyl amino was 74.5% and 73.9% at the accumulated flux of 60,000 ml, but, in the case of ammonia was only 15.2% at the accumulated flux of 10,000 ml

      • 오존$\cdot$음이온을 이용한 가축음용수 처리효과

        최희철,이덕수,강희설,권두중,유용희,연규영,송준익,양창범,김용국,Choi H. C.,Lee D. S.,Kang H. S.,Kwon D. J.,Yoo Y. H.,Yeon K. Y.,Song J. I.,Yang C. B.,Kim Y. 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2

        축산농가에서 가축 음용수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이용하고 있는 오존$\cdot$음이온 발생기의 이용효과를 구명하고자 0.658 $\~$0.722 g/hr의 오존과 3.27$\~$ 6.17$\times$1,000,000개/sec의 음이온이 발생하는 오존$\cdot$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가축음용수에 3종의 표준균주를 접종 후 오존$\cdot$음이온 처리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축 음용수에 오존$\cdot$음이온 처리시 pH는 대조구의 경우 변화가 없었으나 오존$\cdot$음이온 처리구의 경우 처리 전 6.38 $\~$7.14에서 처리 1시간 후에는 7.5 $\~$7.8로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5) 처리 48시간에는 급격히 낮아졌다. 2. 용존 산소량은 대조구의 경우 시험 개시전에 2.0 $\~$ 3.5 mg/$\iota$ 이었으나 24시간 0.6 $\~$ 2.0 mg/$\iota$ 48시간 0.6mg/$\iota$으로 처리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오존$\cdot$음이온처리시 처리 1시간 후부터 5.5 $\~$ 6.0 mg/$\iota$으로 급격히 상승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3. 용존 오존량은 대조구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처리구의 경우에도 처리 24시간 이내에는 아주 낮은 농도의 용존 오존이 검출되었으나 24시간 0.13$\~$0.37 mg/$\iota$, 48시간 0.48 $\~$ 0.56mg/$\iota$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4. 가축 음용수에 대장균,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을 접종시 대조구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서 높은 세균 수를 보였으나 오존$\cdot$음이온 처리시 처리 1시간 후부터 미생물이 전혀 검출이 되지 않았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zone and anion treatment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drinking water far livestock. The drinking water was treated with an ozone concentration of 0.658 $\~$0.722 g/h and with anion of 3.27 $\~$ 6.17$\times$1,000,000 pieces/sec. With the ozone and anion treatments, the p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range of pH 6.38 $\~$ 7.14 to a range of pH 7.5 $\~$ 7.8(P<0.05). Also, with the ozone and anion treatments, the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in the drinking water was increased from a range of 2.0 $\~$ 3.5 mg/$\iota$ to 5.5 $\~$ 6.1 mg/$\iota$(P<0.05): the DO decreased in the control. The dissolved ozone was not increased in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but was increased by 0.48$\~$0.56 mg/L after 48 h of the ozone and anion treatment. The colony numbers of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s, and Escherichia coli disappeared after one hour of ozone and anion treatment.

      • 지열 냉방시스템을 이용한 분만돈사의 냉방효과 분석

        최희철,송준익,나재천,김민지,방한태,강환구,박성복,채현석,서옥석,유영선,김태원,박재홍,Choi, H.C.,Song, J.I.,Na, J.C.,Kim, M.J.,Bang, H.T.,Kang, H.G.,Park, S.B.,Chae, H.S.,Suh, O.S.,Yoo, Y.S.,Kim, T.W.,Park, J.H.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2

        지열냉방시스템을 분만돈사에 적용하여 냉방효과 및 분만돈과 자돈의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지열냉방돈사와 관행돈사로 2개로 나누였으며, 돈사당 각각 모돈 48두씩를 수용하여 하절기 4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외부기온이 $33.0^{\circ}C$ 이상으로 더운 날에는 냉방을 위한 지하수 순환량이 많이 소요되어 최고기온과 지하수 순환량이 아주 밀접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열냉방 돈사의 온 습도 변화의 경우 최고기온은 관행돈사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고, 최저기온도 많이 떨어지지 않아 일교차가 훨씬 적었다. 미세먼지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PM 10은 지열냉방돈사가 관행돈사에 비하여 최고 61.4% (111.1 vs 42.9) 까지 감소되었다. 그러나 작은 입자의 분진은 오히려 지열 냉방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암모니아가스 배출량의 경우 지열냉방돈사는 관행돈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감소하였다. 총 3회에 걸쳐 측정된 임신돈의 호흡수는 지열냉방돈사에서 유의적으로 (p<0.05) 감소하였고,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호르몬의 경우에 지열냉방돈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유시 체중은 지열 냉방돈사가 관행돈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증가하였으며, 여름철 모돈의 사료 섭취량은 관행돈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따라서 지열냉방시스템은 여름철 분만사의 온 습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진,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빛 모돈의 호흡수 감소에 영향을 주어 모돈과 포유자돈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oling effects of geothermal heat pump system (GHPS) in farrowing house. A total of 96 sows were allocated to 2 pig housings (GHPS and conventional housing) with 48 for four weeks in summer seas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f four weeks, the highest outside temperature observed was approximately $34.1^{\circ}C$, GHPS decrease indoor temperature of pig housing up to $30.9^{\circ}C$, but conventional pig housing was similar to outside temperature. Dust concentrations (maximum 61.4%) of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mu}m$ (PM 10) in GHPS-housing were lower than the conventional housing. GHPS showed no signigicant difference in carbon dioxide emission, whereas the ammonia gas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HPS-housing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housing. Sows in GHPS-housing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spiratory rat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GHPS did not affect hormone level, litter size and birth weight, but weaning weight of piglets was influenced by GHPS. Feed consumption of sow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HPS-housin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os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GHPS decrease dust concentration, ammonia gas emission and indoor temperature of pig housing and may affect performance in sows and weaned piglets.

      • 터널환기 무창육계사의 분진크기별 분포와 배출농도에 관한 연구

        최희철,연규영,송준익,강희설,권두중,유용희,양창범,천상석,김용국,Choi, H.C.,Yeon, G.Y.,Spmg, J.I.,Kang, H.S.,Kwon, D.J.,Yoo, Y.H.,Yang, C.B.,Chun, S.S.,Kim, Y.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6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터널환기 무창육계사의 계사내부의 위치별 먼지 농도 분포와 배기홴에서 배출된 먼지의 확산범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기구 방향의 계사 1/4 지점의 먼지농도는 TSP의 경우 $301.0{\sim}1,366.0\;{\mu}g/m^3$으로 입기구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터널홴 앞 3m 지점에서는 TSP $2065.8{\sim}3,092.2\;{\mu}g/m^3$, PM 2.5 $27.6{\sim}36.3\;{\mu}g/m^3$, PM 1.0 $8.3{\sim}11.3\;{\mu}g/m^3$으로 입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3. 배기홴으로부터 3m의 지점의 먼지 배출량은 TSP $354.8{\sim}574.8\;{\mu}g/m^3$으로 매우 높았으며 PM10 $94.4{\sim}156.2\;{\mu}g/m^3$, PM2.5 $14.6{\sim}18.0\;{\mu}g/m^3$, PM1.0 $6.0{\sim}6.4\;{\mu}g/m^3$ 이었다. 4. 배기홴으로부터 50m 떨어진 지점에서의 분진농도는 TSP $25.1\;{\mu}g/m^3$, PM10 $8.8\;{\mu}g/m^3$, PM2.5 $5.6\;{\mu}g/m^3$, PM1.0 $4.9\;{\mu}g/m^3$으로 매우 낮은 분진농도를 보였다. 5. 입기구와 배기구 간 분진농도의 차이는 TSP의 경우 입기구에서 $317.9\;{\mu}g/m^3$인데 비하여 배기구는 $2,678.5\;{\mu}g/m^3$로 8.42배 높았으며 PM10 7.4배, PM2.5 3.4배, PM1.0 1.6배 높았다. 6. 배기홴으로부터 거리별 분진의 배출농도는 3m 지점에서 $446.6\;{\mu}g/m^3$ 이었으나 20 m 지점에서는 $156.3\;{\mu}g/m^3$로 34.9% 수준이었고 PM10 34.9%, PM2.5 48.7%, PM1.0 86.8% 수준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ust originating from tunnel-ventilated windowless broiler building measuring 12 m wide, 61 m long, with a side wall height of 3 m and a capacity of 16,982 birds. Dust concentrations in terms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and particulate matter of sizes $10\;{\mu}m$(PM10), $2.5\;{\mu}m$(PM2.5), and $1\;{\mu}m(PM1)$ were measured at 30 minutes interval by using GRIMM Aerosol Monitor (GRIMM AEROSO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ust showed the lower dust concentration in the inlet than in the outlet of the tunnel ventilation, and dust concentration decreasing as the dust size decreased, as follows: $317.9\;{\mu}g/m^3$ TSP; $74.7{\mu}m/m^3$ PM10; $9.7\;{\mu}g/m^3$ PM2.5; and $6.2\;{\mu}g/m^3$ PM1 in the inlet; and $2,678.5\;{\mu}g/m^3$ TSP; $555.5\;{\mu}g/m^3$ PM10; $33.3\;{\mu}g/m^3$ PM2.5; and $10.2\;{\mu}g/m^3$ PM1 in the outlet. The dust concentration emitted from the tunnel ventilated fan was $446.6\;{\mu}g/m^3$ TSP; $129.1\;{\mu}g/m^3$ PM10; $15.8\;{\mu}g/m^3$ PM2.5; and $6.1\;{\mu}g/m^3$ PM1 in the 3 meters from the fan and $25.1\;{\mu}g/m^3$ TSP; $8.8\;{\mu}g/m^3$ PM10; $5.6\;{\mu}g/m^3$ PM2.5; and $4.9\;{\mu}g/m^3$ PM1 in the 50 meters from the fan.

      • 한우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축사시설 현황 분석

        최희철,감동환,송준익,전병수,전중환,유용희,나재천,유동조,방한태,서옥석,이상철,김정수,이동흥,Choi, H.C.,Kham, Dong-Hwan,Song, J.I.,Jeon, B.S.,Jeon, J.H.,Yoo, Y.H.,Na, J.C.,Yu, D.J.,Bang, H.T.,Suh, O.S.,Lee, S.C.,Kim, J.S.,Lee, D.H. 한국축산환경학회 2008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4 No.3

        본 조사는 우리나라 한우농가의 지역별,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의 한육우 50두 이상 사육농가 7,433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육규모별 한육우 농가의 사육 마리수는 50두 이상 7,443호의 전업농가에서 736,164 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99마리 이었다. 2. 한육우의 축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8년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396.9m^2$이었다. 3.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계류식과 톱밥 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가 9.8%, 후리스톨 3.0%, 기타 2.9%이었다. 4.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톱밥우사는 $50{\sim}99$두 농가의 경우 86.5%, 200두 이상 89.1%이었으며 계류식+톱밥운동장을 활용하는 농가는 $50{\sim}99$두 농가가 10.1%, 200두 이상은 7.8%로서 규모가 클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지역별 우사 바닥의 형태는 깔짚이 94.7%로 모든 지역에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6. 우사 바닥의 형태는 규모에 관계없이 깔짚을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스크레이퍼는 $5.1{\sim}6.6%$로 낮은 반면 깔짚은 $93.6{\sim}94.8%$로 높았다. 7.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2%, 판넬 13.7%,강판 12.2%, 갈바륨 10.2%, 칼라강판 9.7%, 썬라이트 8.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8. 규모별 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의 경우 평균 32.2%이었으나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슬레이트 비율은 22.5%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9. 우사 외벽 재질의 종류는 윈치커튼(55.6%)을 활용하거나 개방식 (47.6%)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나 윈치커텐이 약간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10. 소규모 농가는 개방형이 48.9%로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 42.4%에 비하여 높았으나 윈치커튼은 200두 이상 대규모 농가에서 59.8%로 원치커텐 5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11. 우사 시설의 사용년수에 있어서 사료 자동급여기와 방서시설은 6년 정도 사용하였으며, 급수기와 전기시설은 8년 정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using typ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farms in Korea. The farm sized over 50 heads of cattle, 7,433 farms were surveyed. Regarding housing types for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litter barn, freestall, mooring+litter ground and others accounted for 87.1, 9.8, 3.0, and 2.9 %, respectively. Most of Korean native cattle and beef cattle farms (94.7%) used litter floor rather than scraper. As for roof types, slate, panel, iron plate, galvanized plate, colored iron plate and sunlight represented 32.2, 13.7, 12.2, 10.2, 9.7, and 8.9 %, respectively. Open side wall type and winch curtain were 55.6, and 47.6 %, respectively. Bigger farms seemed to used more winch curtain than open style. Utilization period of automatic feeder, waterer, electric facility, and cooling facility was 6.7, 8.0, 8.5, and 6.0 years, respectively.

      • 무창 육계사의 계절별 먼지 농도와 특성 연구

        최희철,연규영,송준익,강희설,권두중,유용희,바로가,양창범,천상석,김용국,Choi H. C.,Yeon G. Y.,Song J. I.,Kang H. S.,Kwon D. J.,Yoo Y. H.,Barroga A. J.,Yang C. B.,Chun S. S.,Kim Y. K. 한국축산환경학회 2005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무창육계사의 계절별 먼지 농도와 계사 먼지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경기 화성 소재 육계농장의 무창계사에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름철 무창육계사의 주령별 먼지농도는 TSP의 경우 1주령 1,229, 2주령 904.5, 3주령 558.8 그리고 4주령시 $1,053{\mu}g/m^3$이었다. 2. 겨울철에는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TSP의 경우 1주령시 465.4, 2주령시 1,401, 3주령시 4,497, 4주령시 5,097 그리고 5주령시 $6,873{\mu}g/m^3$이었다. 3. 겨울철 5주령시 최대 TSP량은 $11,132{\mu}g/m^3$을 보여 노출기준에 비하여 매우 높게 검출되었다. 4. 하루중의 먼지 분포는 여름철의 경우 이른 아침에 높게 나타났으며 환기량이 많은 오후에 최소량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이른 아침에 낮은 량이 검출되고 닭의 활동이 많은 오후에 먼지농도가 높게 검출되었다. 5. 먼지 입자 크기 분포에 있어서 숫자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0.05\~0.35{\mu}m$ 크기의 먼지 분포가 높게 나타났으나 용적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16\~99{\mu}m$의 큰 먼지가 높은 분포를 보였다. 6. 먼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DM기준으로 $42.8\~65.2\%$를 보여 급여사료의 조단백질 함량 $20.5\~24.5\%$에 비하여 높았으며 중금속의 경우에도 급여사료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ust originating from windowless broiler building in each season. 12.0m width and 46m tenth with side wall height of 3.0m was investigated and capacity was 12,800 birds at a stock density of 23.2 birds per square meter. Dust concentrations in terms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and particulate matter of sizes $10{\mu}m(PM10),\;2.5{\mu}m (PM2.5),\;and\;1{\mu}m(PM1)$ were measured at 30-minute intervals. On the basis of broiler age, the average dust concentration in summer in TSP as follows: 1,229 904.5 558.8 and $1,053{\mu}g/m^3$ on the broilers' first to fourth week of age, respectively. But during winter, the average dust concentration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as follows: 465.4, 1,401, 4,497, 5,097 and $6,873{\mu}g/m^3$ on the broilers' first to fifth week of age, respectively. The maximum dust concentration of $11,132{\mu}g/m^3$ was observed on the fifth week. On a daily basis, the maximum dust concentration during summer was detected in early morning, and the minimum in the afternoon. The aerial dust particle size of $0.05\~0.35{\mu}m$ was the highest in number. But on volume basis, particle size of 16~99 un had the largest percentage in the broiler house. Crude protein of the dust $(42.8\~65.2\%)$, on dry matter basis, was higher than that $(20.5\~24.5\%)$ fed to the broilers.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the dust also had high levels compared with that of the feed.

      • Porous Calcium Silicate 및 Zeolite가 계분 유해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전병수,최희철,김태일,권두중,노환국,강희설,김형호,한정대,최롱,박흥석,Jeon, B.S.,Choi, H.C.,Kim T.I.,Kwon, D.J.,Rho, W.G.,Kang, H.S.,Kim, H.H.,Han, J.D.,Choi, L.,Park, H.S. 한국축산환경학회 200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7 No.1

        In this experiment porous calcium silicate (PCS) powder prepared by using a 50 mesh sieve was spread on top of chick droppings to investigate the odor from the manure. Zeolite was used as a comparative purpose. Reduction in ammonia production from chick droppings shortly after the PCS and zeolite application was evident (P<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fterwards. hydrogen sulfid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by both PCS and zeolite treatment(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