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소비자 이용 실태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최희령,홍완수,Choi, Hee-Ryong,Hong, Wan-S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5

        Purpose: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onsumer awareness and consumption of natural carbonated drinks in Korea.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enrolling adults over the age of 20, resid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and who consumed natural carbonated drinks. Data analysis of 544 valid samples was performed using SPSS 17.0.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consumers mostly purchased natural carbonated water the most, primarily as a water substitute. However, many other usages that the consumer selected showed a possibility for a more versatile usages of natural carbonated drinks. As for the reason of purchase, 'interest in a new product'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The factor 'interest in a new product', 'interest in its effectiveness on skin care and diet', 'lower-calorie products', 'health benefits from the usage of natural flavoring and coloring' and 'recommendation from acquaintanc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values for women than men. The most frequent and preferred location for purchase were large discount stores, and the most preferred, major informants were in the order 'tasting events at marts and department stores', 'TV/radio advertisement' and 'recommendations from family/friends'. Analysis of the purchase intent showed high interest for non-alcoholic natural carbonated drink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in the emerging natural carbonated beverage market.

      • KCI등재

        건강증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시장 세분화

        최희령(Hee-Ryong Choi),홍완수(Wan-So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2

        건강증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증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건강증진 고관심형’, ‘건강증진 관심형’, ‘건강증진 저관심형’ 세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건강증진 고관심형은 외모를 추구하고 질병 예방에 가장 적극적이며 건강한 식생활을 중시하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 집단이다. 50대가 30.4%, 20대가 20.1%로 50대의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이며, 월소득 400만 원 이상이 71.1%를 차지하여 건강증진 고관심군을 타깃으로 장년층을 위한 제품, 프리미엄 제품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건강증진 고관심형은 안전한 식재료, 맛, 가격 적절성, 유통기한 표시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저 당분, 갈증 해소 도움, 천연향과 천연색소, 구입 편리, 유통기한 표시, 저 카페인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가격 적절성을 제외한 중요도와 모든 만족도 값이 다른 군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건강증진 고관심형을 타깃으로 제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가격 적절성, 안전 식재료, 맛, 유통기한 표시 순으로 갭이 크게 나타나 고관심형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대에 대한 분석, 제품 선호도 파악, 품질인증을 통한 제품의 안전성 확보 등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건강증진 고관심형의 천연 탄산음료 개발 제품 구매의사는 천연 탄산음료, 천연 탄산수, 천연 탄산과즙음료, 천연 탄산와인, 천연 탄산막걸리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군집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구매의사가 가장 높았다. 특히 천연 탄산과즙음료 제품의 구매의사도 높았으며, 추가지불의사도 18.2%로 가장 높아 과일을 첨가한 천연 탄산음료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건강증진 고관심형의 천연 탄산음료 구매이유는 ‘소화에 도움 되기 때문’, ‘탄산 강도에 따라 제품 선택 가능’ 순으로 나타나 탄산강도를 달리한 천연 탄산음료 제품의 개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건강증진 관심형은 건강증진에 보통의 관심도를 보이는 집단으로 50대가 27.4%, 20대가 26.9%로 고관심형에 비해 20대의 비율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며, 월소득 400만 원 이상은 58.9%를 차지하였다. 천연 탄산음료 제품 선택 시 안전한 식재료, 가격 적절성, 유통기한 표시, 구입 편리, 맛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며, 만족도는 천연향과 천연색소, 저 당분, 갈증 해소, 구입 편리 순으로 나타났다. 가격적절성, 안전한 식재료, 맛 순으로 갭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천연 탄산수의 구매의사와 추가지불의사가 가장 높았다. 건강증진 저관심형은 건강증진 관심도가 보통보다 낮은 집단으로 20대 28.9%, 30대가 32.0%로 청년층의 비율이 높으며, 월소득 400만 원 이상이 51.6%로 다른 군집에 비해 월소득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요도는 가격 적절성, 안전한 식재료, 구입 편리, 유통기한 표시, 맛 순으로 나타나 다른 군집에 비해 가격 적절성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만족도는 천연향과 천연색소, 저 당분, 구입 편리, 갈증해소 순으로 나타났다. 가격 적절성, 맛, 안전한 식재료, 유통기한 표시 순으로 갭이 나타났으며, 건강증진 저관심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격 적절성과 맛의 갭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나 가격과 맛이 가장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증진 고관심형’, ‘건강증진 관심형’, ‘건강증진 저관심형’ 모두 가격 적절성이 가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므로 음료업계는 가격대별 제품 출시, 가격대비 질을 향상시킨 제품개발 등 가격에 대한 다각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천연 탄산음료 제품 선택 시 맛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건강증진 고관심형, 맛에 대한 기대치가 가장 낮은 건강증진 저관심형을 대상으로 선호도가 높은 천연 탄산음료 제품 개발을 위한 전략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건강증진 라이프스타일을 적용하여 소비자군을 분류하여 천연 탄산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위를 분석한 것이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음료, 식품 분야의 시장세분화 분석을 위한 유용한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음료업계가 다양한 천연 탄산음료 제품 개발 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arket for natural carbonated drinks with health improving lifestyle. A survey was conducted enrolling adults over the age of 20 years. Data analysis of 544 valid samples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Participants were segmented based on their degree of interest in a health improving lifestyle as follows: ‘high-interest’, ‘mid-interest’, and ‘low-interest’. In the ‘high-interest’ cluster, 30.4% were in their 50s, and 74.1% had a higher monthly income than ₩4,000,000. The ‘high-inter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atisfaction and importance in all items except price appropriateness compared to other clusters. Safe ingredients, taste, price appropriateness, and expiration date indication showed high importance while low-sugar, thirst relief, natural flavor, and coloring showed high satisfaction by written order. The ‘high-interest’ cluster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purchase intention for natural carbonated drinks than other clusters. In the ‘mid-interest’ cluster, 27.4% were in their 50s, and 26.9% were in their 20s. Moreover, 58.9% had a monthly income higher than ₩4,000,000. The ‘mid-interest’ cluster considered safe ingredients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low-interest’ cluster, 28.9% were in their 20s, and 32.0% were in their 30s. 51.6% of all ‘low-interest’ participants earned more than ₩4,000,000. This group considered price appropriateness to be the most important.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establish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for natural carbonated drinks according to health improving lifestyle.

      • KCI등재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의 구매 특성과 제품개발 요구도

        장정민(Jeong-Min Jang),최희령(Hee-Ryong Choi),홍완수(Wan-So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0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유아 편의식 제품의 구매 특성, 제품개발 요구도, 편의식 제품의 첨가 재료 선호도, 제품개발 방향 필요성 및 식품안전 인식도를 분석하여 중국 수출을 준비하는 국내 식품업계의 영유아 편의식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7년 8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 편의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50대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 514명을 유효 표본으로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s(ver. 22.0, 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일반사항을 교차분석 한 결과 연령(P<0.001), 월 소득(P<0.01), 직업(P<0.05)에서 남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 편의식을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의 구매 특성 중 구매 빈도는 ‘자주 구매한다’의 응답이 34%(174명)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선호하는 영유아 편의식의 포장 단위는 ‘1회 섭취량’으로 47.9%(246명)의 비율을 보였다. 선호하는 보관방법은 상온 보관(15~25°C)이 67.3%(346명)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른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의 편의식 제품개발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6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녀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월 소득의 경우 5,000위안 이상의 경우 ‘저 당도 제품개발’, ‘최신 건강 식재료 사용’, ‘다양한 소스 개발’, ‘다양한 양념 개발’, ‘다양한 한국 영유아 편의식 개발’, ‘한국 발효식품을 활용한 개발’, ‘한국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개발’ 항목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제품개발에 대한 요구도도 더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친환경(유기농) 식재료를 사용한 프리미엄 영유아 편의식부터 건강을 고려한 제품, 한국의 발효식품이나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영유아 편의식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 대상자의 제품 첨가 재료 선호도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채소류, 단백질류, 곡류, 유제품의 세부항목에서 성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성보다 여성의 첨가 재료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채소류의 옥수수, 당근, 감자, 토마토, 버섯, 단백질 류의 달걀, 소고기, 콩, 닭고기, 곡류의 백미, 밀가루, 유제품의 우유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이들 식재료를 첨가한 제품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월 소득에 따른 편의식 제품의 첨가 재료 선호도 차이에서는 전체적으로 소득이 8,000위안 이상인 집단에서 5,000위안 이하인 집단에 비해 채소류, 단백질류, 곡류, 유제품류에서 높은 선호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영유아 편의식 제품의 남녀 간 개발 방향 필요성의 차이에 있어서는 총 12개의 항목에서 성별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남성 소비자보다 여성 소비자의 점수가 더 높게 조사되어 여성 소비자가 더 필요를 높게 인식하지만 필요를 높게 인식하는 항목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및 월 소득에 따른 중국 소비자의 영유아 편의식 제품 식품안전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성별은 13문항 중 7개의 문항에서 성별 간 차이를 보였고 남성보다 여성의 식품안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여성의 식품안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소비자에게 중국에 수출될 영유아 편의식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식재료 및 첨가물 등의 성분, 유통경로, 생산과정 및 포장까지 안전한 제품을 만들고 홍보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월 소득에 따른 식품안전 인식의 차이에서는 4개의 문항에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월 소득이 높은 집단에서 소득이 낮은 집단보다 식품안전에 대해 더 높게 지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 편의식을 구매하는 중국 영유아 편의식 소비자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 및 필요를 반영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소비자가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국내 식품 관련 업계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중국이라는 넓은 나라를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으며 온라인으로 설문을 수집했다는 연구의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convenient baby food, needs for developing products,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of convenient baby food, and necessity of direction for developing products. Buying 1 to 3 times per two weeks was ranked as the highest in terms of frequency of buying convenient baby food. Single consumption was the most preferred package unit.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as the most preferred storage method. Women had higher needs for the convenient baby food product development than men. As incomes increased, needs for the convenient baby food product development also increased. Women showed a higher preference in each food category than men in terms of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in products. Those with higher income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dditional ingredients in convenient baby food. Female consumers had higher need than male consumers in terms of the necessity for various development direction. Analysis of perception on food safety revealed that women and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food safely issues compared to men and those with lower income, respectively. The study findings can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convenient baby food for Chinese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

        분리 강남콩 단백질의 유화특성에 관한 연구

        손경희,민성희,최희령 한국조리과학회 1989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tes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pH, addition of NaCl, and heat treatment on the solbulity and emulsion capacity, emulsion stability, surface hydropobicity and emulsion viscos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lubility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affected by pH and showed the lowest value at pH 4.5 which is isoelectric point of kidney bean isolate. When the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96.11%, 97.41% respectively. 2. The emulsion capacity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pH. With addition of NaCl, emulsion capacity decreased steadily. When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82.91㎖ oil/100㎎ protein (60℃), 82.08㎖ oil/100㎎ protein (80℃) respectively. 3. The emulsion st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t pH 4.5 than that of pH 2 and pH 7. (p 0.05) When NaCl was added, emulsion stability was generally increased after 2hrs. When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21.25% (80℃), 23.7%(100℃) respectively after 2hrs. 4.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sharply as 0.2M NaCl was added to pH 4.5. When heat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5. The highest value of emulsion viscosity was observed at pH 4.5 and pH 7 when 0.2M NaCl was added. Under heat treatment, the highest value was 48,000 cps at pH 4.5 (40℃). In the case of pH 7, the highest value was 105,000 cpa at 1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