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소 문집의 서지적 고찰

        최호석 ( Choi Ho-suk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6 No.-

        본고는 옥소 권섭(1671~1759)의 필사본(筆寫本) 문집 2종과 석인본(石印本) 문집 1종의 현황을 소개하는 한편 각 문집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옥소의 필사본 문집인 『옥소고(玉所稿)』는 제천과 문경에 사는 후손가에 각각 전해져 온 것이며, 석인본 문집인 『옥소집(玉所集)』은 옥소의 10세손인권희만이 1938년에 13권 7책의 체재로 제천에서 간행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필사본 2종을 각각 `제천본(堤川本)`, `문경본(聞慶本)`이라고 구분하였다. 현재 필사본으로는 제천본 45책과 문경본 17책이 전하는데, 남아있는 책의 규모나 다양성 면에서 볼 때 제천본이 문경본보다 완질에 가깝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제천본에는 중복 수록된 작품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제천본은 문집을 간행하기 위하여 일단 수집 가능한 모든 작품을 수록한 초고본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문경본은 중복 수록된 작품도 없으며 부분적으로 제천본과 다른 편제를 갖는, 약간은 완정된 형태의 문집이라고 하겠다. 한편 석인본은 제천본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거기에는 국문시가가 모두 빠져 있으며 한시도 필사본의 5% 정도만 실리는 등 필사본에 있는 작품 중에서 극히 소수의 작품만이 수록되어 연구의 텍스트로 삼기에는 부적당하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제천본과 문경본의 성립연대는 언제인지, 그리고 글씨는 누가 얼마나 썼는지, 문집 안에 있는 그림은 누가 또 그렸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할 수 없는 형편이다. 다만 얼마 지나지 않아 제천본과 문경본을 모두 수합한 『옥소고(玉所稿)』 영인본이 나온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는다. 영인본이 나온 뒤 옥소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In this thesis, I tried to introduce two transcriptional versions(筆寫本) and one lithographic printing version(石印本) of a collection of Okso(玉所) Kwon, Seop(權燮, 1671~1759)`s work. And also I researched the relation of those versions. Oksogo 『玉所稿』 which is Okso`s existing transcriptional version have been separately handed down to his descendants who live in Jecheon and Munkyeong. I name those Jecheonbon(堤川本) and Munkyeongbon (聞慶本). And a lithographic printing version, Oksojip 『玉所集』 was printed in Jecheon by Kwon, Huiman who was Okso`s tenth generation descendant. It was published in 1938 with 13 volumes and 7 books. And also, I found that 10 books` titles are same between the 45 books of Jecheonbon and the 17 books of Munkyeongbon. Therefore the total is 52 books. However I presume that other 14 books had been existed, judged from the formation. Therefore Oksogo 『玉所稿』 would be 66 books at first. It is clear that Jecheonbon is more complete works than Munkyeongbon, judged from the existing volumes and diversity. However Jecheonbon has many overlapped works. I think that Jecheonbon was draft version which was collected to publish. Unlike Jecheonbon, Munkyeongbon has no duplicated work and has a little different style. It is a kind of complete style collection. Seokinbon(the lithographic printing version) is based on Jecheonbon. His vernacular poems were omitted and Beonseolkyeong Jeon(飜薛卿傳) which was translated to Chinese was missing. And also, just 5% of Chinese poems in the transcriptional version were put on Seokinbon. Therefore it is not suitable for research text. Still, there are many secrets about a Collection of Okso`s Work. However Jecheonbon should be the main text and Munkyeongbon the sub-text when researchers will study Okso. I generally examined the relations of Jecheonbon, Munkyeongbon and Seokinbon. But still there are not many clear things. We can not be sure that the publishing date of Jecheonbon and Munkyeongbon and who is the painter of the painting in those books. However Oksogo`s photographic edition which combined Jecheonbon and Munkyeongbon will print soon. I am expecting that the research will become actively after that publishing.

      • KCI등재

        『玉所稿』所載 夢畵의 製作에 대한 硏究

        최호석(Choi Ho-suk)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28 No.-

        본고는 옥소 권섭의 문집인 『옥소고』에 실린 몽화와 관련한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잘못을 바로잡고 몽화의 제작과 관련된 제반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몽화의 현황을 살펴보면 몽화는 옥소의 필사본 문집인 『옥소고』 중 제천본에 56점, 문경본에 47점이 실려 있다. 그리고 몽화에 기록된 꿈은 옥소의 나이 50대 후반부터 70대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몽화는 평양 출신의 화가인 조세걸과 권섭의 아우인 권영, 권섭의 손자인 권신응 등 최소 3인 이상이 그린 것으로 보인다. 이중 조세걸은 1695년에 <海島別墅>를 그렸으며, 권영은 1696년의 꿈인 <白玉溪>를 그리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1743년까지 계속하여 몽화를 그렸다. 그리고 권신응은 1743년, 16세의 나이에 몽화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奇勝帖, 혹은 몽화첩의 제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꿈을 꾼 뒤에는 옥소가 그 꿈을 글이나 시로 기록한다. 그리고 이를 가지고 꿈속에서 같이 놀았던 사람에게 화답시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화가를 시켜 꿈 속 광경을 그리게 한 뒤, 글과 그림을 엮어 그림첩으로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cript is to understand general issues related to production of visionary drawing and correct the fault of previous research by examining the data on visionary drawing featured on Ok So Kwon-Seop's anthology, 『Oksogo(玉所稿)』 the summary of it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status of visionary drawings, in among 『Oksogo(玉所稿)』 which is Ok So's manuscript collection, there are 56 pieces in Je Chun Bon (edition) and 47 in Moon Kyoung Bon(edition). And recorded dreams in visionary drawings are centralized when Ok So was in his late 50's to 70'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visionary drawings are the collection of work done by many artists in long period of time. It was confirmed that Kwon Seop himself did not participated in drawings but were done by his brother Kwon Young, his grandson Kwon Shin Eung and Cho Se Gul, the artist from Pyoung Yang. Also visionary drawings were produced in youth years and among the visionary drawings that can be ascertain about the produced year and the oldest is <Hae Do Byul Seo> by Cho Se Gul which was estimated to be done in 1695. And the last one to be completed was <Hae Joong Seok Bool> which was a dream in 1756 turned into a drawing and this was produced between 1756 to 1759 which was a year Ok So passed away. Production of Ki Seung Chup (album) or Mong-Wha Chup (album) was accomplished as follows. When Ok So records his dream in writing he receives response poem from a person he was in dream with and ask artist to draw the vision in dream, then the drawing and scripts were compiled and made into an album. With this some of the issues on visionary drawings featured on 『Oksogo(玉所稿)』 would have been settled. Recently, 2 more volumes of Ok So's anthology were photo-printed and published and hopefully those issues that was unable to settle in this script will have more detailed answers by discovering new and undisclosed data.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 표면 위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플라즈마 유도 그래프트 공중합

        최호석(Ho Suk Choi),지한솔(Han Sol Ji),정시인(Si In Jung),허호(Ho Hur),김재하(Jae Ha Kim),박한오(Han Ok Park) 한국고분자학회 2012 폴리머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된 평판형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 표면 위에 폴리 비닐피롤리돈(poly(N-vinyl-2-pyrrolidone), PVP)을 그래프트 공중합시키기 위한 최적 조건을 찾는데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조건은 RF power 200W, Ar 유속 6 LPM, 처리시간 30초, 처리 후 노출시간은 5분으로 고정 하였다. 그래프트 공중합에서는 중합 시간, 중합 온도, 비닐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농도의 조건을 각 각 달리하여 표면 그래프트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합 시간 6시간, 중합 온도 90 oC, NVP 농도 40%에서 가장 높은 그래프트도를 나타내었다. ATR-FTI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SEM 분석을 통해 서도 PVP의 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for the grafting of poly(Nvinyl- 2-pyrrolidone) (PVP) onto the surface of plasma-treated polypropylene film. The plasma treatment conditions were fixed as 200 W rf power, 6 LPM Ar flow rate, 30 sec treatment time, and 5 min exposure time after treatment. For graft copolymerizat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grafting degree with respect to reaction time, reaction temperature and N-vinyl-2-pyrrolidone concentration. Maximum grafting degree was obtained at the conditions of 6 h reaction time, 90 oC reaction temperature, and 40% N-vinyl-2-pyrrolidone concentration. The introduction of PVP was confirmed by ATR-FTIR, XPS, and SEM analysis.

      • KCI등재

        안성의 방각본 출판 입지

        최호석 ( Choi Ho-suk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4 No.-

        본고는 입지의 측면에서 안성의 방각본 출판에 대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안성방각본의 현황을 정리한 다음, 방각본 출판의 3대 입지요인이라 할 수 있는 개인적 이유, 교통, 시장의 측면에서 안성의 방각본 출판 입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안성 방각본의 출판은 안성에 연고를 둔 자본가가 자신의 연고지인 안성에서 하기에 적합한 사업으로 방각본 출판을 선택하면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방각본 출판은 양성과 죽산이 안성에 합해지기 전, 보개면을 중심으로 한 `옛 안성`에서 행해졌다. 그리고 안성은 방각본 출판에 적합한 교통의 요지였다. 즉 안성은 동래로와 제주로를 이어주는 중간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예부터 삼남지방의 물산이 안성에서 모였다가 다시 각각 길을 바꾸어 삼남으로 내려갔다. 또한 안성은 안성천을 통해 아산 방면의 해로와 연결되는 한편, 육로로는 한강 수계로까지 이어졌다. 그래서 물자 이동(교역)의 측면에서 볼 때 안성은 교통의 요충지라고 하겠다. 한편 시장의 규모 면에서 볼 때에도 안성은 방각본 출판의 적합지였다. 즉조선후기 안성군의 인구밀도는 경기도 평균보다 훨씬 높았으며, 안성의 읍내장을 중심으로 양성, 죽산, 직산, 천안, 평택 등 6개의 군현이 하나의 시장권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안성방각본의 소비시장은 상당히 컸다. 그리고 이지역의 독서 인구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안성 일대는 소비시장으로서 호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Anseong Block Print Edition from the regional aspect. I studied the location of Anseong Block Print Edition publishing in the personal and regional causes about the transportation and marketplace. The personal reason is that publishers of Block Print Edition who had a large amount of capital were related with this Anseong area. Therefore all Anseong Block Print Edition were published in `Old Anseong where was centering around Bogae-myeon(보개면) before Yangseong and Juksan merged into Anseong. And Anseong was a place of great transportational importance. Therefore Anseong was suitable for the publication. Because Anseong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Dongrae-ro and Jeju-ro, three southern provinces` products had been gathered and distributed in Anseong from old times. Anseong was connected with the waterway in Asan through the Anseong-cheon by the sea route, and linked with the Han-gang by the land rout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market, Anseong was proper for the publication. During the late-Choson, Anseong density of population was higher than Gyeonggi-do`s average. And Six Gunhyeon(郡縣)-Yangsong, Juksan, Jigsan, Cheonan, Pyeongtaek and so on-formed a market network around the Anseong`s local markets. So Anseong could be a huge market for the Block Print Edi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readers was not small. For those reasons, now I can say Anseong area had excellent conditions of the Block Print Edition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안성판 방각본 출판의 전개와 특성

        최호석 ( Ho Suk Choi ) 민족어문학회 2006 어문논집 Vol.- No.54

        안성은 서울, 전주에 다음가는 방각본 출판지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전소설에 치우친 그간의 연구는 안성판 방각본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내리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현전하는 안성판 방각본 36종의 현황을 제시한 다음, 안성판 방각본 출판의 전개와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각본 출판이 있기 전, 안성의 도기서원(道基書院)에서는 일찍이 『주자대전(朱子大全)』과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목판으로 간행하였는데, 이와 같은 출판 경험이 안성판 방각본 This paper is a research on Anseong Block Print Editions and its publishing characteristics. Before a block print edition was published commercially, 『Jujadaejeon(朱子大全)』 and 『Jachitonggamgangmog(資治通鑑綱目)』 were published by Dogiseowon(道基書院) in Anseong. And

      • KCI등재

        고등학교『문학』 교과서 수록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 제시 오류에 대한 고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최호석 ( Ho Suk Choi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본고에서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2년에 새롭게 발행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 제시 오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54편의 고전소설을 출판사별로 제시한 뒤에, 교과서에서 제시한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를 작품 별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54편의 고전소설 텍스트를 교과서에서 제시한 출처의 내용과 일일이 대비하였다. 본고에서는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 제시 오류를 4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첫째 유형은 ``출처에 대한 서지 관련 정보의 부족``을 들 수 있는데, 여기에는 작품에 대한 서지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구체적이지 않은 것이 있었다. 둘째 유형은 ``내용의 부분적 누락``인데, 이는 출처의 내용을 교과서에 가져오면서 일부분이 누락된 것이다. 셋째 유형은 ``잘못된 출처 제시``인데, 이는 실제 교과서에서 활용하지 않은 책을 출처로 잘못 제시한 것이다. 넷째 유형은 ``복수 출처의 합성``인데, 이는 교과서에서 하나의 출처를 제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출처에서 내용을 합성한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앞에서 유형별로 살펴본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 제시 오류를 정리한 뒤, 교과서 집필자의 분발을 촉구하였다.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errors of presenting the source of classic novel text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which was newly published in 2012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For this, I assorted sources of the classic novel texts presented in the textbook after presenting 54 classic novel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by publisher, then compared texts of those 54 classic novel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to the contents of sources presented in the textbook one by one. In this article, errors of presenting the source of classic novel texts were divided to 4 types for investigation. The first type was ``A lack of bibliography related information for the source``, that is,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was not correct or concrete. The second type was ``A partial omission of the contents`` which means that a part of the contents of sources was omitted while transferring to the textbook. The third type was ``To present the wrong source``, that is, the novel which had not been actually utilized in the textbook was presented as a source. The fourth type was ``A composite of multiple sources`` which means that one source was presented in the textbook but actually it was a composite contents of multiple sources. Lastly, I arranged the errors of presenting the source of classic novel text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And I encouranged the authers to give more efforts on their textbook.

      • KCI등재
      • KCI등재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에 대한 연구

        최호석(Choi, Ho-suk)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8

        본고에서는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을 분류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활자본 고전소설의 개념을 다시 살펴보고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개의 축에 ‘젼근대/근대’, ‘한국/외국’의 지표를 가지고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을 분류한 뒤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활자본 고전소설은 20세기 초에 연활자 인쇄를 활용하여 단행본으로 출판된 것으로, 그 내용은 국내외의 고전소설과 그것의 개작, 고전이나 역사에서 유래한 서사적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을 가름하는 기준으로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였다. 이때 시간의 축은 전근대와 근대로 구성하고, 공간의 축은 한국과 외국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간과 공간의 축에 전근대와 근대, 한국과 외국으로 나눈 좌표에 활자본 고전소설을 배치하여 다음과 같은 4개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제1유형은 ‘전근대’ 시기에 ‘한국’에서 창작된 작품을 말한다. 즉 제1유형의 작품은 전근대 시기에 우리 민족이 창작한 작품으로, 여기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구운몽〉, 〈홍길동전〉등을 들 수 있다. 제2유형은 ‘근대’에 들어 ‘한국’에서 창작된 작품을 말한다. 제2유형의 작품으로는 전래의 고전소설의 개작이나 파생작, 이 시기 들어 새롭게 등장할 역사 전기물과 실기류, 의고적 취향으로 고전소설을 모방하여 창작된 신작 구소설 등을 들 수 있다. 제3유형은 ‘전근대’ 시기에 국내로 들어온 ‘외국’의 작품을 말한다. 이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삼국지연의〉나 〈수호지〉와 같이 외국에서 창작되어 전근대 시기부터 국내에서 번역, 번안된 작품을 들 수 있다. 제4유형은 ‘근대’에 국내로 들어온 ‘외국’의 작품을 말한다. 이에 속하는 작품으로는 〈쌍미기봉〉이나 〈제갈량전〉과 같이 외국에서 창작되어 국내에서 번역, 번안된 작품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reexamined the concept of ‘print-edited classical novels’ that could encompass various natures of each novel. And the study looked into characteristics by types after classifying the print-edited classical novels focusing on the internal order related to their form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defined that the printed-edited classical novels were published in book form by utilizing lead letterpres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contents contained domestic and foreign classical novels, their adaptations together with narrative stories transmitted from classics or history. And the study set up time and space as standards of dividing types of print-edited classical novels. At that time, the axis of time composed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and special axis home and foreign countries. When arranging print-edited novels to coordinates in which premodern and modern times, in and out of the countly to the time and special axis, following 4 types became to appear. The first type indicates the work that were created ‘at home’ in ‘premodern period.’ That is, the first type work are corresponded to created artworks created by our nation at premodern period, and 〈The cloud dream of the nine/九雲夢〉 and 〈Hong gildong biography/洪吉童傳〉 are belonged to these forms. The second type stands for the created work ‘at home’ from ‘modern times.’ The second type were related to created works after adapting transmitted classical novels or imitating them with pseudoclassical tastes, and 〈Gang Nam-hong/江南紅〉 and 〈Good Kongiui and Bad Patjui〉 can be applicable to such forms. The third type points out the work came from foreign countries in ‘premodern period.’ Regarding to belonged artworks, there are translated or adapted works in the country from premodern period after having been created in foreign countries like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nd 〈All Men Are Brothers/水滸誌〉. The fourth type designates ‘the overseas work’ that entered to Korea in ‘modern times.’ In relation with the corresponding work, translated or adapted artworks after being created in foreign countries can be uttered like 〈Sang-mi-gi-bong/雙美奇逢〉 and 〈Jegallyang-jeon/諸葛亮傳〉.

      • KCI등재

        옥소(玉所)의 문집 편집 구상과 石印本 『玉所集』의 간행

        최호석 ( Choi¸ Ho-su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9

        본고에서는 초고본 『옥소고』 「산록내편」의 기록을 근거로 옥소의 문집 편집 구상을 살펴보는 한편, 20세기 초에 석인본으로 간행된 『玉所集』을 검토하면서 옥소의 문집 편집 구상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산록내편」의 기록을 토대로 현전하는 초고본 『옥소고』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옥소는 「산록내편」에서 자신의 글이 40여권 19종 있다고 하였는데, 이 글의 대부분은 현전하는 초고본 『옥소고』에 전해지고 있다. 그는 자신의 글을 가지고 7가지의 문집 편집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시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가 있다. 첫째, 초고본에 실린 글을 그대로 두기. 여기에 해당하는 글로는 「기몽」, 「화몽」, 「가곡」, 「유행」, 「문답」, 「묘산」, 「정각」, 「필찰」, 「추명지」가 있다. 둘째, 초고본에 실린 글 가운데 좋은 글들만 골라내기. 여기에 해당하는 글로는 「산록외편」, 「잡록」, 「문」, 「잡저」, 「창수」, 「시」가 있다. 셋째, 초고본에 실린 글이지만 문집에 싣지 말고 따로 분류하기. 여기에 해당하는 글로는 「산록내편」, 「잡의」, 「잡지」가 있다. 넷째, 모두 버리기. 여기에 해당하는 글로는 「정식」이 있다. Ⅲ장에서는 1938년에 13권 7책의 석인본으로 간행된 『옥소집』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옥소집』은 옥소의 문집 편집 구상과는 어긋나는 부분이 많았는데, 옥소가 문집에 그대로 남겨 두라고 한 「기몽」, 「화몽」, 「가곡」 등의 글은 『옥소집』에 하나도 수록하지 않은 반면 모두 버려도 좋다고 한 「정식」은 『옥소집』에 수록하였다. 그리고 「시」의 경우 작품의 배열 순서가 어긋난 경우가 많았으며, 「묘산」이나 「정각록」에 수록된 글을 문체별로 다시 정리하여 본래 글의 특성을 해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옥소의 국문문학 전체가 누락된 것은 『옥소집』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요인이라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옥소집』은 필사본으로만 전하던 옥소의 글이 최초로 인쇄본으로 간행된 문집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현전하는 초고본 『옥소고』에 전하지 않는 상당수의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editorial concept of Okso's collection based on the records of the ultra-high edition 『Oksogo』 「Sanroknaepyeon」, while reviewing the editorial concept of Okso's collection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Ⅱ,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ultra-high version, 『Oksogo』, based on the records of 「Sanroknaepyeon」. Okso said that there are 19 kinds of his writings in 40 volumes in 「Sanroknaepyeon」, and most of these writings are handed down in the existing ultra-high version of 『Oksogo』. He suggested seven ways to edit a collection of writings with his own writing, which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First, leave the text in the draft as it is. The corresponding writings include 「Gimong」, 「Hwamong」, 「Gagok」, and so on. Second, pick only good articles from among the writings in the ultra-high text. The corresponding writings include 「Sanrokoepyeon」, 「Mun」, 「Poetry」, and so on. Third, although it is written in the first draft, it is classified separately without being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The corresponding writings include 「Sanroknaepyeon」, 「Japui」, 「Japji」. Fourth, throw them all away. The corresponding article here is 「Jeongsik」. Chapter Ⅲ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Oksojip』 which was published in 1938 in 13 volumes and 7 books. There were many parts that went against Okso's plan to edit Okso's collection of writings, and articles such as 「Gimong」, 「Hwamong」, and 「Gagok」, which Okso told me to leave them in the collection, were included in 『Oksojip』, while they said it was okay to throw them all away. And in the case of 「Poetr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works was often out of order, and in some cases, the writings included in 「Myosan」 or 「Jeonggakrok」 were reorganized by style to und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omission of the entire Korean literature of Okso is a factor that lowers the value of Okso collection. Nevertheless, 『Oksojip』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printed collection of Okso's writings, which were only handed down as manuscripts, and is valuable in that it contains a considerable number of writings that are not handed down in the current ultra-high version 『Okso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