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Ultegra rapid platelet function Assay-ASA을 이용한 Aspirin 저항성의 임상적 의의

        임지혜 ( Ji Hye Yim ),박성욱 ( Seong Wook Park ),이승환 ( Seung Whan Lee ),최형오 ( Hyung Oh Choi ),이필형 ( Pil Hyung Lee ),선병주 ( Byung Joo Sun ),박덕우 ( Duk Woo Park ),김영학 ( Young Hak Kim ),이철환 ( Cheol Whan Lee ),홍명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6

        목적: 이전 연구에서 aspirin 저항성은 심근경색, 뇌경색, 경피적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심근괴사 등과 관련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경피적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이 시행된 환자에서 aspirin저항성과 그 임상적 경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받고 항혈소판제재를 복용한 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00 mg 또는 200 mg aspirin을 복용 중이었으며 스텐트 삽입술 후 48시간에 aspirin 저항성을 RPFA-ASA를 사용해 측정하여 ARU≥550을 기준으로 aspirin 저항성을 판단하였다. 스텐트 삽입 후 9개월간의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aspirin 저항성은 33명(7.9%)이었으며, aspirin 저항성군(n=33)에서 aspirin 감수성군(n=386)에 비해 aspirin용량은 더 적었다(118.18±39.2 mg vs. 147.93±50.0 mg, p=0.001). 양 군 간에 스텐트 삽입술 후 심근괴사의 발생 빈도 역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38). 다변량 분석에서 aspirin 용량(odds ratio 4.714; 95% CI 1.865~11.914, p=0.001), 연령(odds ratio 1.048; 95% CI 1.005~0.092, p=0.029), 혈소판수(odds ratio 1.007; 95% CI 1.001~1.014, p=0.011), 고지혈증(odds ratio 2.937; 95% CI 1.310~6.583, p=0.009)이 aspirin 저항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스텐트 삽입술 후 9개월간의 외래 경과관찰 기간 중 스텐트 혈전증과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심근경색증은 aspirin 감수성군에서 1명 발생하였다. 결론: 관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aspirin 저항성은 사용하는 aspirin 용량, 나이, 혈소판수, 고지혈증과 관계있으며, 시술 후 9개월 경과관찰 중 aspirin 저항성에 따른 임상경과에 차이는 없었다. Background/Aims: Aspirin resistance is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myonecr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owever, aspirin resistance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drug-eluting stent (DES) implantation have not been evaluated sufficiently. Methods: The study enrolled 419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DES implantation. All of the patients took aspirin 100 mg (228 patients, 54.4%) or 200 mg (191 patients, 45.6%). Aspirin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the Ultegra Rapid Platelet Function Assay-ASA (Accumetrics, San Diego, CA, USA). The results were expressed as aspirin reaction units (ARU). Aspirin resistance was defined as ARU≥550. We followed all patients for 9 months. Results: Aspirin resistance was found in 33 patients (33/419, 7.9%). The aspirin dose (118.18±39.2 vs. 147.93±50.0 mg, p=0.011) was lower in the aspirin-resistant (n=33) versus the aspirin-sensitive (n=386)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myocardial necrosis (15.6% vs. 15.5%, p=0.988). On multivariate analysis, low-dose aspirin (odds ratio (OR) 4.7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865-11.914; p=0.001), age (OR 1.048; 95% CI 1.005-0.092, p=0.029), platelet count (OR 1.007; 95% CI 1.001-1.014, p=0.011), and hypercholesterolemia (OR 2.937; 95% CI 1.310-6.583, p=0.009)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aspirin resistance. Over the 9 months, no stent thrombosis or death occurred; on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d in the aspirin-sensitive group. Conclusions: Low-dose aspirin, old age, a higher platelet count, and hypercholesterolemia were associated with a high incidence of aspirin resistance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 implant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outcome were found between the aspirin-resistant and -sensitive groups during a 9-month follow-up. (Korean J Med 76:685-691, 2009)

      • KCI등재후보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과 큰 풍선 유두 확장술을 병행한 담관결석의 치료

        김민경 ( Min Kyung Kim ),김명환 ( Myung Hwan Kim ),이태윤 ( Tae Yoon Lee ),오형철 ( Hyoung Chul Oh ),권승현 ( Seung Hyun Kwon ),한정혜 ( Jeung Hye Han ),최형오 ( Hyung Oh Choi ),박수정 ( Soo Jung Park ),김태협 ( Tae Hyup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5

        목적: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은 담관결석의 제거를 위해 가장 빈번하게 시행되지만, 시술과 연관된 출혈, 급성 췌장염 혹은 담낭염의 발생, 천공 등의 위험 때문에 시술에 제약이 따른다. 저자 등은 최근 EST만으로 총담관결석의 제거가 어려웠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EST와 큰 풍선을 이용한 내시경 유두 확장술(endoscopic papillary large balloon dilation, EPLBD)을 병행하는 치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담관결석의 제거를 위해 EST를 시행하거나(21명) 혹은 이전에 이미 시행되었던 환자들(14명) 중에서 12~18 mm 직경의 EPLBD를 병행한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6.91±12.65 (범위: 29~86)세였고, 남녀 비는 11:24로 여자가 많았다. 총담관결석의 수는 1개이었던 경우가 10예(28.6%)였고, 2~5개인 경우가 19예(54.3%), 6~9개인 경우가 2예(5.7%), 10개 이상의 다발성인 경우도 4예(11.4%)있었다. 결석의 평균 최대 직경은 26.11±8.88 (범위: 12~50) mm였다. 결석의 완전 제거는 31예(88.6%)에서 가능하였고, 결석의 제거에 실패한 4예 중 3예는 경피경간 경로를 통한 담관내시경(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dochoscopy)을 이용하여 제거하였으며 나머지 1예는 체외 충격파 쇄석술 시행 후 내시경으로 다시 결석을 제거하였다. 시술 후 급성췌장염이 생긴 경우는 없었고, 1예(2.8%)에서 천공이 발생하였으나 금식과 항생제 치료 등의 대증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이외 시술과 연관된 출혈이나 사망은 한 예도 없었다. 유두 주위 게실을 동반한 환자 9명(25.7%)에서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었고, 이전에 이미 EST를 시행하였던 14명(40.0%)의 환자들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었다. 결론: EST와 EPLBD를 병행한 총담관결석의 제거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이어서, 기존의 EST만으로 총담관결석의 제거가 어려웠던 경우에 EST의 대체 치료법으로 기대되나 주의 깊은 시술 및 적절한 적응대상의 선택이 중요하다. Background: The combined use of small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followed by endoscopic papillary large balloon dilation (EPLBD) might be associated with a lower incidence of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pancreatitis, bleeding or perforation, compared to the use of EPLBD or a large EST alon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utility of a combined EST and EPLBD method for the removal of common bile duct (CBD) stones that could not be extracted by use of an EST and conventional techniques. Methods: Between March 2005 and September 2006, a total of 35 patients with CBD stones were enrolled. Fourteen patients had received a previous EST, and 21 patients underwent an EST. The sphincterotomy site was then dilated with a 12~18 mm diameter balloon. Results: The average number of stones was 3.6±2.9 (range: 110). The average maximum stone diameter was 26.11±8.88 mm (range: 12~50 mm). Complete stone removal was accomplished in 31 patients (88.6%). In 9 patients (25.7%), a mechanical lithotripsy was required. No episode of true pancreatitis occurred. A procedure-related perforation occurred in one patient (2.8%) an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NPO and antibiotics. No procedure-related bleeding or mortality was observed. The procedure was performed safely in 9 patients (25.7%) with a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in 14 patients (40.0%) with a previous EST. Conclusions: Combined EST and EPLBD may be a safe and effective method, and may be a good alternative treatment for removing CBD stones that cannot be extracted by an EST and conventional techniques. However, prospective studies based on a large number of patients are needed.(Korean J Med 73:474-480,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