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적 도덕 행위자(AMA) 윤리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논리 연구 Ⅰ

        최현철 ( Choi Hyun-cheol ),변순용 ( Byun Sun-yong ),김형주 ( Kim Hyung-ju ),정진규 ( Jeong Jin-ky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최근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인공지능, 그 중 ‘인공적 도덕 행위자’에게 윤리적 행위 지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윤리와 논리의 연관성에 대해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칸트(I. Kant)의 윤리학에 근거한 의무론을 연역 논리적 측면에서 체계화하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귀납 논리적 논변의 핵심을 체계화하여 제시함으로서, AMA와 인공지능 윤리의 하향식 방법론과 상향식 방법론의 논리적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나아가 본 연구는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스(C. S. Peirce)의 논증 구조 구분법을 사용할 것이다. 그 후 앞의 두 이론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귀추논리를 예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AMA 로봇의 윤리행위의 설계나 프로그래밍의 기본적 논리를 마련하려는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AMA 로봇 소프트웨어에 대한 세 가지 일반적 접근법 - ⑴ 논리 기반 접근법(Logic-based approaches)과 ⑵ 사례 기반 접근법(Case-based approaches), ⑶ 다중 행위자 접근법(Multiagent approaches) 모두를 포섭하는 논리적 근거가 될 것이다.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are paying attention to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lso we expe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act as a moral agent. We identify what we can do moral conduct the Artificial Moral Agent(AMA). Thus,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correct direction of the program in providing guidelines for ethical conduct for AMA. First, we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ethics and logic. Second, the deontology that is based on Kant’s ethics is further systematized with the identified connection with the deductive logical argument. Virtue ethics that is centered on that of Aristotle’s is systematized in inductive logical argument. Both can help to find the logical application of the topdown and bottom-up methodology of AMA. Furthermore, this study will use C. S. Peirce's theo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n C. S. Peirce's theory that is called abduction integrate the two previous arguments which are deductive and inductive logical argument. This process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basic logic of designing and programming the behavior of AMA robot.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a logical basis for all three general approaches to the established AMA robot software: (1) Logic-based approach, (2) Case-based approach, and (3) Multi-agent approach.

      • KCI등재

        혐오, 그 분석과 철학적 소고

        최현철(Choi, Hyun-Cheol)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6 No.-

        이 글의 목적은 콜라이(A Kolnai)가 제시한 혐오의 양태인 공포, 역겨움, 그리고 증오를 중심으로 현대 우리 사회에 화두로 자리 잡은 혐오에 대해 개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나는 혐오를 감각의 영역에서 감각적 혐오감과 생존의 혐오감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생존적 혐오감은 죽음과 같이 극단적일 경우 이성의 원초적 개입을 허용한다. 공포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인다. 여기에 동조하는 철학자로는 홉스(T. Hobbes)와 요나스(H. Jonas)가 있다. 또한, 나는 관념과 현상학적 영역에서의 혐오로 문화적 혐오와 권력적 혐오를 제시하였다. 역겨움은 개인적 감정에서 사회적 관념으로 확산력을 보인다. 하이트(J. Haidt)와 같은 현대의 도덕 심리학자들은 문화적 혐오로 확장된 역겨움이 의사결정이나 도덕 판단에서 주도적인 임무를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역겨움이라는 감정이 문화적 혐오로 확장되는 한, 의사결정이나 도덕 판단에서 이성의 역할이 흄(D. Hume)이 주장한 것처럼 정념의 노예는 아니다. 그리고 증오는 혐오감이 분노와 동반되어 나타난다. 증오는 대개 경멸이나 적대로 표출된다. 이때 혐오는 권력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권력적 혐오가 행동으로 옮겨질 때 그것을 정당화 하고자 하는 도덕적 합리화를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ceptually analyze the aversion that has been a topic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ocusing on fear, disgust, and hatred, which is the mode of aversion proposed by A. Kolnai. I classified aversion into sensual aversion and aversion of survival in the area of sensation. In particular, survival aversion allows for primordial intervention of reason in extreme cases such as death. Fear is evident in these features. T. Hobbes and H. Jonas are philosophers who agree with this. In addition, I have presented aversion in the ide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realms as cultural aversion and power aversion. Disgust has spread from personal feelings to social notions. Modern moral psychologists such as J. Haidt argue that the disgust that spreads from cultural aversion plays a leading role in decision-making or moral judgment. But as long as the feeling of disgust extends to cultural aversion, the role of reason in decision-making or moral judgment is not slavery of the mind as D. Hume claims. And hatred is accompanied by anger. Hatred is usually expressed as contempt or hostility. This hatred as aversion forms a power relationship. Moral rationalization appears to justify this power aversion when it is transferred to action.

      • KCI등재

        인공적 도덕행위자(AMA) 개발을 위한 윤리적 원칙 개발

        최현철 ( Choi Hyun Cheol ) , 변순용 ( Byun Sunyong ) , 신현주 ( Shin Hyun Ju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스스로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로봇을 가리켜 `인공적 도덕 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 AMA)`라고 부르는데, 현재 인공적 도덕 행위자를 위한 윤리를 마련하고자 하는 접근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우선 전통적인 공리주의나 의무론적 윤리이론에 기반을 둔 하향식(top-down) 접근, 콜버그나 튜링의 방식을 따르는 상향식(bottom-up) 접근, 그리고 이 두 접근을 융합하려는 혼합식(hybrid) 접근이 있다.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에 대한 하향식 접근은 어떤 구체적 윤리이론을 선택한 다음, 그 이론을 구현할 수 있는 계산적 알고리즘과 시스템 설계를 이끌어내는 방식이다. 이 때 선택된 구체적 윤리이론은 도덕적 직관이 불확실할 때의 사례들을 인공적 도덕 행위자가 제대로 분류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상향식 접근은 인공적인 도덕적 행위자가 다양한 기계-학습을 통해 도덕적인 추론을 배워나가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상향식 접근의 중요한 전제는 아동이 적절한 발달 단계를 거치면서 도덕성과 도덕 추론을 배워나가듯이, 인공적 도덕 행위자도 적절한 교육을 통해 그와 같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공리주의적 결과론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의 모형과 규칙들을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 추론 규칙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인공적 도덕 행위자를 위한 하향식 접근의 윤리를 구상해 보았다. 그런 후 이렇게 마련된 윤리를 10세 수준의 소셜 로봇 시나리오에 적용해 봄으로써, 도덕적 민감성을 갖춘 인공적 도덕 행위자 로봇 개발에 이 윤리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제안하였다. Robots with the ability to make moral judgments on its own is called "Artificial Moral Agent(AMA)", and there are generally three approaches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an ethics for the AMA. First, the top-down approach makes use of the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such as utilitarian or deontological theories. Second, the bottom-up approach follows the central ideas proposed by L. Kohlberg or A. M. Turing. Finally, the hybrid approach is an attempt to unite the top-down and the bottom-up approaches. The top-down approach for the AMA begins with selecting an appropriate ethical theory, followed by coming up with computational algorithms and systems which can be said to incorporate the given theory. The role of the ethical theory in this approach is to provide the AMA with rules to follow in morally complex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bottom-up approach focuses on developing various machine-learning methods for the AMA to learn ethical reasoning without giving it any available rules at hand. The basic idea for this approach is to regard the AMA as a human child who has the potential of obtaining moral reasoning as the child grows up according to proper developmental stages of morality. Among the three approache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adopt the first one to construct a top-down ethics for the AMA. To be precise, it will be a combination of utilitarian rules for decision-making and Kantian deontological rules for ethical reasoning. After this, the proposed top-down ethics for the AMA will be applied to case scenarios involving a health-care robot with the intelligence of a 10-years-old child so as to show the workings of the ethics.

      • KCI등재

        반 프라센의 설명 화용론에 대한 고찰

        최현철(Choi Hyun-Cheol)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경험주의의 전통에서 설명론의 새롭게 시도를 제공한 이는 반 프라센이다. 구성적 경험론을 주장하는 반 프라센은 과학적 설명을 왜-질문에 대한 문맥적으로 유관한 대답을 제시하는 설명의 화용론을 주장한다. 설명으로 간주되는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그 설명이 요구되는 문맥에 의존적이다. 그래서 반 프라센은 우리가 Q(왜 P가 발생했는가?)에 대한 설명으로 P를 평가하는데 알아야 할 것으로 P에 대한 대조집합(X)과 유관 관계(R)라고 제안한다. 또한 다른 문맥에서 동일한 질문은 다른 함축적인 대조집합을 가진다. 그의 설명의 화용론적 관점은 언어철학의 형식적 화용론의 외연을 모델화 한 것이다. 그렇지만 반 프라센의 화용론은 인과 관계를 넘어선 관계들, 즉 기능적 관계나 통계적 관계, 심지어는 개인적 의도에 의한 관계들 까지도 과학적 설명과 유관 관계를 가진다. 그래서 그의 화용론은 너무나 많은 대답과 설명을 과학적 설명으로 간주하는 한계를 지닌다. 새먼과 키처에 동의하는 나는 반 프라센의 설명의 화용론이 기존의 과학적 설명이론의 과제 중에 하나였던 설명과 예측의 비대칭성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한다. It is Bas van Fraassen who provides a new paradigm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the empirical tradition. He defends the pragmatics of explanation which claims giving contextually relevant answer to the why-question in science. Whatever counts as an explanation depend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explanation is requested and offered. So, Bas van Fraassen suggests that one thing we need to know in order to evaluate P as an explanation of Q(why P occurred?) is what the contra class (X) for P and relevance relation(R) is. Also in different contexts, the same question might have different implicit contrast classes. His pragmatic view of explanation is modeled to some extent on formal pragmatics in philosophy of language. However, the pragmatics of explanation of van Frassen also has relativity with the relations such as functional or statistical, or even intentional that are not of the causal. Thus, his pragmatics of explanation regards too many explanatory answers as scientific explanation, and this has been indicated as its defect. In line with Salmon & Kitcher's idea, I argue that van Frassen's pragmatics of explanation does not resolve even the problems of asymmetry in explanation, which is one of the bid and old problems in scientific explanation.

      • KCI등재후보

        공동주거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소규모 계획공동체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현철 ( Hyun Chul Choi ),유진형 ( Jin Hyung Yoo ),김철중 ( Cheol Joong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4

        (연구배경 및 목적)도시의 팽창으로 주거공간이 경제성, 기능성 합리성 등을 이유로 고밀도 수직화되고 공유공간이 최소화 되어 이웃 간 커뮤니티의 단절로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인간 중심의 커뮤니티가 가능한 모델을 찾고 최근 삶의 질을 중요시 하는 주거 패러다임의 시대적 흐름에 대응한다. (연구방법)먼저 공동주거 공간의 공간적 분류와 범위 그리고 개인과 개인의 소통의 사회적 거리를 알아보고 커뮤니티 형성의 원칙을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하여 장단점과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공동주거 공간에서 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결론)연구결과 커뮤니티 형성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공간구조가 수평적 구조로 이루어져야하며 마을 내부에서 자연스러운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결절부의 배치가 필요하며 공용공간이 확장되면서 오히려 개인의 사적공간이 공적공간과 명확히 분리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social problems arise from high-density and vertical residential space, such as economic issues, functionality, and rationality in the wake of urban expansion and disappearance of community caused by diminished shared space. In this light, I researched a model that enables a sense of human community and responds to the current housing paradigm that values quality of life. (Method)First, I determined how to classify collective housing by type of space, scope, and social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Then,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community formation to actual cases, I performed an analysis to come up with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Accordingly, I am proposing a direction for revitalizing a sense of community within a collective housing space. (Results)Spatial structure should be horizontal for community formation, and proper placement of the node area is needed for natural meeting places in a town. As common use space has expanded, private space and common space should be clearly allocated.

      • KCI등재

        포퍼의 비결정론과 그 한계

        최현철(Choi, Hyun-Cheol)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2 No.-

        이 글의 목적은 포퍼가 과학적 결정론을 비판하기 위한 세 가지의 논증들 ― 계산 불가능성 논증, 자기 예측 불가능성 논증, 시간 비대칭성의 논증 ― 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포퍼에 따르면 과학적 결정론은 형이상학적 결정론보다 강한 이론이다. 그리고 과학적 결정론에 대한 비판이 결정론 일반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포퍼는 과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는 논증들을 통해 자신의 비결정론을 구축해 나간다. 하지만 그의 논증들은 관찰 명제의 인식적 문제 때문에 자가당착에 빠지며, 자기 예측의 성공한 사례를 설명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그의 비결 정론은 인간의 자유나 창의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This paper purposes to examine critically on Popper"s three arguments ― argument of uncountability, argument of self-unpredicatability, argument of time-asymmetry ― against scientific determinism. According to Popper, scientific determinism is the theory that stronger than metaphysical determinism, and the critique on scientific determinism implies the limits of determinism in general. With this argument, he establishes his indeterminism. However, in my view, his arguments are self-contradictory because of the cognitive limitation of observation propositions, and they cannot explain the successful cases of self-prediction. In addition, Popper"s indeterminism has difficulty to incorporate the problem of human freedom and creativity.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환경 철학을 위한 초석

        최현철 ( Choi Hyun-cheol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이 글의 목적은 현재 우리를 둘러싼 환경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 화이트헤드(A. N. Whitehead)의 유기체 철학이 환경 철학과 환경 윤리적 문제에 적용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그의 유기체 철학을 환경 철학에 적용하여, 그의 환경 철학의 토대를 마련하는 길은 수학과 논리에서 과학으로, 과학과 과학철학에서 형이상학으로 이어지는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여정을 그의 용어대로, 하나의 유기체로 이해하는 맥락에서 출발한다.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은 환경 철학에 적용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논리와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아가 환경문제에 대한 실천적 주장에 동의하는 부분을 충분히 함의하고 있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환경 철학과 윤리에 적용하기 위해, 나는 우선 그의 유기체 철학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을 자연 혹은 환경과 연관한 논의를 전개한다. 또한 나는 이 글에서 화이트헤드의 주저인『과정과 실재(Process and Reality)』 및 다른 주요 저서들에 등장한 화이트헤드의 자연과 환경 개념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현재 환경운동이 생태 철학 중심으로 옮겨지면서, 어떻게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이 현재의 생태 문명 운동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지를 서술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pplying A. N. Whitehead's philosophy to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as part of efforts to find solutions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surrounding us now. Applying A. N.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to environmental philosophy, the road to lay the foundation of his environmental philosophy starts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whitehead's philosophical journey from mathematics and logic to science, from science and science philosophy to metaphysics, as his terms, and as an organism. Already,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s consists of compelling logic and concepts that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fully implies the part that agrees to practical arguments on environmental issues. To apply A. N. Whitehead's philosophy to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I first develop discussions that relate the main concepts that make up his organic philosophy to nature or environment. Also in this article, I summarize A. N. Whitehead's concept of nature and environment, which appeared in A. N. Whitehead's representative book, " Process and Reality " and other major books, and finally, as the current environmental movement shifts to the center of ecological philosophy, how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becom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urrent movement of ecological civi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주의와 인문학의 의사소통가능성에 대한 고찰

        최현철(Choi Hyun-Cheol)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3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science and humanities as a great body of discourses through T. S. Kuhn's incommensurability and commensurability concep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point of view, science and humanities are different from their attributes and what their intentions are. Due to the enormous accomplishments of science, it appeared there were some attempts to substitute science for humanities and other studies. It is the very scientism. It happened to have the belief of absolute level about science that this kind of scientism should apply to the whole studying fields(including philosophy,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as to have the method and efficacy of natural science.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consider seriously the humanities still insist that all the culture that contain the consciously creative activity of human are based on the ground of humanities. So that humanists tend to have anti-scientism with the voice of considering seriously about scientism. The opposition and conflict between humanities(anti-scientism) and scientism made the relationship of science and humanities to be proliferated from heterogeneousness to exclusion and therefore, became the background to form the two cultures cutting off communication. This paper scrutinizes firstly by the C. P. Snow's assertion and F. R. Leavis's criticism to show communicative discord between two cultures. And in this study I try to show that the main reason of conflicting two cultures is the humanism claiming scientism and anti-scientism. Also I try to make introduction about the contents of the variation out of scientism and humanities appearing in philosophy. From here, the incommensurability is an important philosophical idea applying usefully to the communicative problem between two cultures. Consequently, in the light of the philosophical development and its discussion about the conflict of science and humanities, we can have prospect of the communicability between two cultures showing the limitation of the Global Incommensurability(GI) and the Global Commensurability(GC) between two cultures. 이 글은 쿤(T. S. Kuhn)이 제시한 공약불가능성과 공약가능성 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과 인문학이라는 거대한 담론체 간의 의사소통 가능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우리의 일반적 견해에 의하면, 과학과 인문학은 그 속성과 지향하는 바가 서로 다르다. 하지만 과학의 놀라운 성과에 힘입어 인문학 및 여타의 학문을 과학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등장하였다. 이것이 바로 과학주의이다. 과학주의는 자연 과학의 방법과 효능이 모든 연구 영역(철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 포함한)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과학에 대한 절대적 수준의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반면 인문학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인간의 의식적 창조활동이 담긴 모든 문화는 여전히 인문학에 바탕을 두어야 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과학주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인문학주의자들은 반-과학주의적 경향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인문학주의(반-과학주의)와 과학주의의 대립과 갈등은 과학과 인문학의 관계를 이질성에서 배타성으로 확장해 나가며 결국에는 의사소통이 단절된 두 문화를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 글은 과학과 인문학이라는 두 문화에 관한 의사소통적 갈등을 스노우(C. P. Snow)의 주장과 리비스(F. R. Leavis)의 비판을 통해 우선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두 문화 간에 대립의 근거가 과학주의와 반-과학주의를 표방한 인문학 주의에 있음을 밝힌다. 또한 철학에 등장하는 과학주의와 인문학주의의 변형들의 내용을 소개한다. 여기서 공약불가능성은 두 문화 간의 의사소통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으로 유용하다. 결국 과학과 인문학의 갈등을 철학사적 전개와 그 논의에 비추어 보면, 두 문화 간의 총체적 공약불가능성(GI)과 총체적 공약가능성(GC)의 한계가 밝혀지게 됨으로 인해 두 문화 간의 의사소통가능성이 전망된다.

      • KCI등재

        빅 데이터 환경과 인문학적 플랫폼

        최현철(Choi, Hyun-Cheol)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This article starts with a social interest in Big Data. In particular, the ultimate goal of this article is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stic thinking and the environmental chang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first focused on the analysis of Big Data, especially the representations of humanities in Big Data centered on text mining and humanities. And I agree that the flow of big data is the fourth paradigm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philosophical problems that can be considered from Big Data environment, I want to summarize the implications of Big Data environment with the concept of “predictability” and “rationality”.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e big data environment reveal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Big Data, and suggests a platform of humanities along with philosophical problems as an alternative. 이 글은 빅 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서 출발한다. 특히 인간의 인문학적 사유 방식과 빅 데이터라는 과학기술의 환경적 변화와의 융합적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나는 우선 빅 데이터의 분석, 특히 텍스트 마이닝과 인문학을 중심으로 빅 데이터에 등장하는 인문학에 대한 표상들에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필자는 빅 데이터의 흐름이 현대 과학기술의 네 번째 패러다임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고찰해 볼 수 있는 철학적 문제들과 더불어서 그것이 함축하는 의미를 “예측성”과 “합리성”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을 통해 필자는 이러한 빅 데이터에 대한 이해과정에서 드러난 빅 데이터 환경이 지니는 한계점을 제시하고, 그것을 보조하는 대안으로 철학적 문제제기와 더불어서 인문학 플랫폼 운동을 제안한다. 이것은 현시대의 문화와 융합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